렌나르트 칼레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렌나르트 칼레손은 스웨덴의 수학자이다. 조합론, 확률론, 하디 공간 이론, 푸리에 급수, 복소 동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특히, 푸리에 급수의 수렴성을 증명한 칼레손의 정리로 유명하며, 칼레손 척도 이론, 푸리에 승수 정리 개발, 에농 맵에서의 스트레인지 어트랙터 존재 증명 등에도 기여했다. 그는 1984년 스틸상, 1992년 울프 수학상, 2006년 아벨상 등을 수상했으며, 미타그 레플러 연구소 소장, 국제 수학 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웁살라 대학교 -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테오도르 스베드베리는 콜로이드 연구로 브라운 운동 이론을 뒷받침하고 분석적 초원심분리기 기술을 개발하여 단백질 연구에 기여한 스웨덴 화학자로, 192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스베드베리라는 시간 단위가 명명되었다. - 웁살라 대학교 - 은의 서
은의 서는 6세기경에 제작된 고트어 성경 필사본으로, 자주색 양피지에 금색과 은색 잉크로 기록되었으며, 현재는 웁살라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 스웨덴의 수학자 - 헬리에 본 코크
헬리에 본 코크는 역사적 배경, 주요 특징, 국제 관계, 국내 현황 및 정책, 전망 및 과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는 주제이다. - 스웨덴의 수학자 - 예스타 미타그레플레르
예스타 미타그레플레르는 미타그레플레르 분포, 함수, 다항식 등 수학 분야에 기여하고 Acta Mathematica를 창간하여 국제적인 학문 발전에 기여했으며, 스톡홀름 대학교 학장을 역임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랜디 셰크먼
랜디 셰크먼은 세포 내 소포 수송 기전 연구로 201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효모 유전학을 이용해 단백질 분비 과정을 연구하고 학술지 출판 개혁을 주장하며 파킨슨병 연구에도 참여한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줄리언 슈윙거
줄리언 슈윙거는 양자 전기역학 연구로 리처드 파인만, 도모나가 신이치로와 함께 1965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강한 전장 내에서 진공으로부터 입자-반입자 쌍생성을 최초로 예측한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렌나르트 칼레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렌나르트 악셀 에드바르드 칼레손 |
출생일 | 1928년 3월 18일 |
출생지 | 스톡홀름 |
![]() | |
학력 | |
모교 | 웁살라 대학교 (박사, 1950) |
박사 지도교수 | 아르네 뵈를링 |
경력 | |
직장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웁살라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연구 활동 | |
분야 | 수학 |
주요 업적 | 칼레손-제이콥스 정리(Carleson–Jacobs theorem) 칼레손 측정(Carleson measure) 칼레손의 정리(Carleson's theorem) 코로나 정리(Corona theorem) |
박사 제자 | 스반테 얀손 쿠르트 요한손 워릭 터커 |
수상 | |
수상 내역 | 아벨상 (2006) 실베스터 메달(Sylvester Medal) (2003) Lomonosov Gold Medal (2002) 울프 수학상 (1992) 왕립학회 회원(ForMemRS) (1993) 리 Leroy P. Steele Prize 스틸 상(Leroy P. Steele Prize) (1984) |
2. 생애
스톡홀름에서 태어나 아르네 뵈를링에게 수학을 배웠으며, 웁살라 대학교에서 1950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웁살라 대학교, 스톡홀름의 왕립 공과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명예 교수를 지냈고, 1968년부터 1984년까지 미타그 레플러 연구소 소장, 1978년부터 1982년까지 국제 수학 연합 회장을 역임했다.[1] 1953년 붓테 욘손과 결혼하여 카스파(1955년생)와 베아트리체(1958년생) 1남 1녀를 두었다.[1]
2. 1. 학력 및 경력
웁살라 대학교에서 아르네 뵈를링의 지도를 받아 1950년에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50년과 1951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를 수행하면서 안토니 지그문드와 라파엘 살렘과 함께 푸리에 급수와 그 수렴에 대해 연구했다.[1]웁살라 대학교, 스톡홀름의 왕립 기술 연구소,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명예 교수를 지냈다.[1] 1968년부터 1984년까지는 스톡홀름 외곽 주르스홀름에 있는 미타그-레플러 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했고, 1978년부터 1982년까지는 국제 수학 연맹의 회장을 역임했다.[1]
스반테 얀손, 쿠르트 요한손, 워릭 터커, 벵트 로센, 페르 셰린, 한스 발린, 잉게마르 빅을 포함하여 29명의 박사 과정 제자를 지도했다.[1]
2. 2. 가족
칼레손은 1953년에 부테 욘손과 결혼하여 1남 1녀(카스파(1955년생), 베아트리체(1958년생))를 두었다.2. 3. 지도 학생
칼레손은 29명의 박사 과정 학생을 지도했다. 다음은 그가 지도한 박사 과정 학생들이다.- 스반테 얀손
- 쿠르트 요한손
- 워릭 터커
- 벵트 로센
- 페르 셰린
- 한스 발린
- 잉게마르 빅
3. 연구 업적
칼레손은 조합론과 확률론(특히 정지 시간)의 기법을 사용하여 여러 뛰어난 문제들을 해결했다. 하디 공간 이론에서 코로나 정리(1962)와 제곱 적분 가능 함수의 푸리에 급수의 거의 모든 곳에서 수렴성을 확립한 것(현재는 칼레손의 정리로 알려져 있다)이 대표적이다. 그는 또한 "칼레손 측도론" 연구로도 알려져 있다.[1]
1974년에는 준등각 사상에 대한 확장 문제를 해결하고, 2차원에서의 보흐너-리츠 평균에 대한 중요한 새로운 결과를 제시했다. 동역학계 이론에서 칼레손은 복소 동역학 분야를 연구했다. 1991년 마이클 베네딕스와 함께 에농 맵에서 스트레인지 어트랙터의 존재를 증명한 것은 동역학계의 새로운 분야를 열었다.
칼레손은 몇몇 획기적인 논문을 발표하는 것 외에도 전위 이론에 관한 ''예외 집합에 관한 선택된 문제''(Van Nostrand, 1967)와 해석 함수의 반복에 관한 ''복소 동역학''(Springer, 1993, T. W. 가멜린과 공동 저술)을 출판했다.
3. 1. 푸리에 급수와 칼레손 정리
그의 업적은 조합론과 확률론(특히 정지 시간)의 기법을 사용하여 몇몇 뛰어난 문제들을 해결한 것을 포함한다. 하디 공간 이론에서 칼레손의 기여는 코로나 정리(1962)와 제곱 적분 가능 함수의 푸리에 급수의 거의 모든 곳에서 수렴성을 확립한 것이다(현재는 칼레손의 정리로 알려져 있다). 이는 1807년 푸리에 분석을 발명하고 1913년 니콜라이 루진에 의해 루진의 추측으로 공식화되었던 조제프 푸리에의 유명한 오래된 문제였다. 콜모고로프는 1928년에 ''L''1 함수에 대한 추측의 유명한 부정적인 결과를 증명하고, 추측이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38년 후인 1966년 칼레손이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자신의 증명을 발표할 때까지 그랬다. 그러나 그의 증명은 매우 어려웠고,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연산자에 대한 일반 이론이 등장하여 수학자들이 그의 놀라운 아이디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해되었다.3. 2. 코로나 정리
그의 업적은 조합론과 확률론(특히 정지 시간)의 기법을 사용하여 몇몇 뛰어난 문제들을 해결한 것을 포함한다. 하디 공간 이론에서 칼레손의 기여는 코로나 정리(1962)와 제곱 적분 가능 함수의 푸리에 급수의 거의 모든 곳에서 수렴성을 확립한 것이다 (현재는 칼레손의 정리로 알려져 있다). 이는 1807년 푸리에 분석을 발명하고 1913년 니콜라이 루진에 의해 루진의 추측으로 공식화되었던 조제프 푸리에의 유명한 오래된 문제였다. 콜모고로프는 1928년에 ''L''1 함수에 대한 추측의 유명한 부정적인 결과를 증명하고, 추측이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38년 후인 1966년 칼레손이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자신의 증명을 발표할 때까지 그랬다. 그러나 그의 증명은 매우 어려웠고,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연산자에 대한 일반 이론이 등장하여 수학자들이 그의 놀라운 아이디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해되었다. 칼레손은 조합론의 방법을 사용하여 하디 공간에서의 코로나 문제(1962년)나, 푸리에 급수의 개별 수렴 등 몇몇 저명한 문제를 해결했다.[1]3. 3. 칼레손 척도
그는 또한 칼레손 척도 이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도구와 방법은 수학의 많은 분야뿐만 아니라 해석학에도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칼레손과 페르 셰린이 개발한 푸리에 승수 정리는 가케야 문제 연구의 표준이 되었다.3. 4. 푸리에 승수 정리
칼레손과 페르 셰린이 개발한 푸리에 승수 정리는 가케야 문제 연구의 표준이 되었다.3. 5. 준등각 사상
그의 업적은 조합론과 확률론 (특히 정지 시간)의 기법을 사용하여 몇몇 뛰어난 문제들을 해결한 것을 포함한다. 하디 공간 이론에서 칼레손의 기여는 코로나 정리(1962)와 제곱 적분 가능 함수의 푸리에 급수의 거의 모든 곳에서 수렴성을 확립한 것이다 (현재는 칼레손의 정리로 알려져 있다). 이는 1807년 푸리에 분석을 발명하고 1913년 니콜라이 루진에 의해 루진의 추측으로 공식화되었던 조제프 푸리에의 유명한 오래된 문제였다. 콜모고로프는 1928년에 ''L''1 함수에 대한 추측의 유명한 부정적인 결과를 증명하고, 추측이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38년 후인 1966년 칼레손이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자신의 증명을 발표할 때까지 그랬다. 그러나 그의 증명은 매우 어려웠고,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연산자에 대한 일반 이론이 등장하여 수학자들이 그의 놀라운 아이디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해되었다.그는 또한 칼레손 척도 이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도구와 방법은 수학의 많은 분야뿐만 아니라 분석에도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칼레손과 페르 셰린이 개발한 푸리에 승수 정리는 가케야 문제 연구의 표준이 되었다. 1974년에 그는 준등각 사상에 대한 확장 문제를 해결하고, 2차원에서의 보흐너-리츠 평균에 대한 중요한 새로운 결과를 제시했다.
3. 6. 복소 동역학
동역학계 이론에서 칼레손은 복소 동역학 분야에서 연구했다. 1991년 마이클 베네딕스와 함께 에농 맵에서 스트레인지 어트랙터의 존재를 증명한 것은 동역학계의 새로운 분야를 열었다.칼레손은 몇몇 획기적인 논문을 발표하는 것 외에도 T. W. 가멜린과 공동 저술한 ''복소 동역학'' (Springer, 1993)을 출판하였다.
3. 7. 저서
4. 수상
그는 1992년에 울프 수학상을, 2002년에 로모노소프 금메달을, 2003년에 실베스터 메달을, 그리고 조화 분석과 매끄러운 동역학계 이론에 대한 심오하고 획기적인 공헌으로 2006년에 아벨상을 수상했다.[3][5]
5. 학회 회원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다.[6] 1993년에 왕립 학회의 외국 회원, 1981년에 런던 수학회의 명예 회원이 되었으며, 2012년에는 미국 수학회의 회원이 되었다.[7]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핀란드 과학 문학회, 핀란드 과학 아카데미, 덴마크 왕립 과학 문학 아카데미,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기도 하다.
6. 명예 박사 학위
칼레손은 헬싱키 대학교, 파리 대학교, KTH 스톡홀름 왕립 공과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5]
참조
[1]
MathGenealogy
[2]
MacTutor Biography
[3]
웹사이트
2006: Lennart Carleson
https://abelprize.no[...]
2022-08-22
[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Abel Prize Recipient Lennart Carleson
https://www.ams.org/[...]
2021-03-01
[5]
간행물
Interview with Abel Prize Recipient Lennart Carleson
https://www.ams.org/[...]
2008-01-16
[6]
웹사이트
Gruppe 1: Matematiske fag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0-10-07
[7]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s://www.ams.org/[...]
2012-11-10
[8]
서적
Selected Problems on Exceptional Sets
Wadsworth Company
1983
[9]
웹사이트
Academy of Europe: Publications
https://www.ae-info.[...]
2023-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