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제프 푸리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제프 푸리에는 1768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그는 베네딕토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수학 교사로 활동했다.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참여하여 이집트 연구소 서기관을 역임했고, 이후 이제르 주 지사를 지냈다. 푸리에는 열전도 현상을 연구하여 푸리에 법칙과 열전도 방정식을 유도했으며, 푸리에 해석의 기초를 마련했다. 또한, 온실 효과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다항식의 실근을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열의 해석적 이론』이 있으며, 푸리에 변환과 차원 분석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제프 푸리에 - 푸리에 변환
    푸리에 변환은 복소 함수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는 적분 변환으로, 푸리에 급수의 확장 개념이며, 시간-주파수 영역 변환, 선형성, 컨볼루션 정리, 불확정성 원리 등의 성질을 가지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조제프 푸리에 - 푸리에 역변환 정리
    푸리에 역변환 정리는 푸리에 변환된 함수를 시간 영역으로 되돌리는 변환으로, 신호 및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활용되며, 오일러 공식을 사용하여 복소 지수 함수로 표현된다.
  • 1830년 사망 - 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남아메리카 독립 운동가, 군인, 정치가로서, '해방자'라는 칭호로 불리며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하고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기반한 통합을 추구했으나 그란 콜롬비아 해체로 이상이 좌절된,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 1830년 사망 - 도미니크 방담
    도미니크 방담은 프랑스 제1제정 시대의 장군으로, 나폴레옹에게 인정받은 군사적 재능과 잔혹한 성격, 그리고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의 공훈, 쿨름 전투 포로, 워털루 전투 이후의 추방 등 파란만장한 삶으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1768년 출생 - 루이 라자르 오슈
    루이 라자르 오슈는 프랑스 혁명 시기의 군인으로, 혁명 전쟁에서 활약하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고,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석방 후 군 사령관이 되었으나 2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1768년 출생 - 마리아네 부르농빌
조제프 푸리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제프 푸리에
조제프 푸리에
출생명장바티스트 조제프 푸리에
출생일1768년 3월 21일
출생지오세르, 프랑스 왕국
사망일1830년 5월 16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국적프랑스
분야수학, 물리학, 역사
모교고등사범학교
직장고등사범학교
에콜 폴리테크니크
학문적 조언자장바티스트 비오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주목할 만한 제자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클로드루이 나비에
조반니 플라나
알려진 업적푸리에 수
푸리에 급수
푸리에 변환
푸리에 전도 법칙
푸리에-모츠킨 소거법
온실 효과
학문
학문적 조언자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주목할 만한 제자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조반니 플라나
앙리 나비에

2. 생애

푸리에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를 거치며 과학, 행정, 정치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다.

1798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원정에 과학 고문으로 동행하여 이집트 연구소(카이로 연구소)의 서기관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이집트에서 프랑스군의 군수품을 담당하는 작업장을 조직하고, 이집트 연구소에 여러 수학 논문을 기고했다.[3] 1801년 영국군의 승리로 프랑스군이 항복한 후 프랑스로 돌아왔다.[3]

1801년, 나폴레옹은 푸리에를 Isère 주의 주장(지방 행정 책임자)으로 임명했다.[4] 푸리에는 그르노블에서 도로 건설 등 여러 사업을 감독했으며,[5] 그르노블에 있는 동안 열의 전파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고, 1807년 파리 연구소에 "고체 내 열의 전파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했다.[5]

1822년 푸리에는 장 바티스트 조제프 델람브르의 뒤를 이어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상임 서기가 되었다.[3] 1830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

푸리에는 결혼하지 않았다.[6]

1830년 건강이 악화되어 5월 4일 계단에서 넘어진 후 병세가 악화되어, 5월 16일 병상에서 사망했다.[7]

푸리에는 파리의 페르 라셰즈 공동묘지에 묻혔으며, 묘비는 이집트 모티브로 장식되어 있다.[3] 그의 이름은 에펠탑에 새겨진 72개의 이름 중 하나이다.[3] 1849년 오세르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품으로 용해되었다.[3] 그르노블의 조제프 푸리에 대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2. 1. 초기 생애 (1768년 ~ 1789년)

'''조제프 푸리에'''는 1768년 프랑스 욘 주 오세르에서 재단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홉 살에 고아가 된 그는 오세르 주교의 추천으로 생 마르크 수도원의 베네딕토회에서 교육을 받았다. 당시 과학 군단의 장교 임관은 귀족 출신에게만 허락되었기에 푸리에는 자격이 없었고, 대신 수학 강사직을 수락했다.[3]

2. 2. 프랑스 혁명 시기 (1789년 ~ 1798년)

푸리에는 프랑스 혁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지역 혁명 위원회에서 활동했다.[3] 그러나 테러 시대 동안 잠시 투옥되기도 했다.[3] 1795년에는 에콜 노르말에 임명되었고, 이후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조제프루이 라그랑주의 뒤를 이었다.[3]

1794년, 푸리에는 고등사범학교 1기생으로 입학했다. 이듬해 고등사범학교가 잠시 폐쇄되었지만, 푸리에는 재능을 인정받아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와 가스파르 몽주 밑에서 프랑스 공과대학교(에콜 폴리테크니크) 축성학 조교수가 되었고, 후에 해석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이곳 강의에서 대수 방정식의 실수 해 개수에 관한 푸리에의 정리를 증명하였다.

2. 3. 이집트 원정 (1798년 ~ 1801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과학 고문으로 동행했다. 나폴레옹은 영국인도의 연락을 끊기 위해 "불행한 백성을 구하고, 문명의 혜택을 주는 것"을 구실로 이집트 원정을 감행하였다.[3] 푸리에는 이때 편성된 문화 사절단의 일원으로, 몽주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등과 함께 나폴레옹을 수행하였다.



푸리에는 신설된 Institut d'Égypte프랑스어(카이로 연구소라고도 함)의 서기로서 다양한 수학적·고고학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후에 발표된 『이집트 기행 (Description de l'Égypte프랑스어)』(1808년-1825년)도 감수하였다. 영국 함대에 의해 프랑스와 고립된 상황에서 푸리에는 프랑스군의 군수품을 담당하는 작업장을 조직했다. 또한 이집트 연구소에 여러 편의 수학 논문을 기고했다.[3]

이집트 체류 중 로제타석을 발견하여 프랑스로 가져와 한동안 자신의 방에 보관하였으며, 샹폴리옹이 방문했을 때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듬해 유럽 정세가 불안정해지자, 나폴레옹은 몽주 등 몇몇 부하만을 데리고 프랑스로 도망쳤다. 이때 푸리는 대부분의 병사들과 함께 이집트에 남겨졌고, 귀국한 것은 1801년, 영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였다.

이집트 체류 중에 푸리에게는 이상한 버릇이 생겼다. 프랑스의 추위와 습기를 싫어하여 건강과 사색을 위해서는 사막과 같은 열기와 건조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그는 밤낮으로 방을 밀폐하여 습하게 만들고, 온몸에 목화와 붕대를 미라처럼 칭칭 감고 생활하였다. 이러한 습관이 심장에 부담을 주어,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죽음을 앞당겼다고 한다.

2. 4. 그르노블 시절 (1801년 ~ 1815년)

1802년 1월 2일, 푸리에는 나폴레옹에 의해 이제르주(Isère) 주지사(프랑스어: préfet)로 임명되었다.[4] 그는 혁명 이후 악화된 치안을 회복하고, 토리노로 가는 도로를 건설했으며, 부르고앵 늪지대를 간척하고 말라리아를 퇴치하는 등 여러 사업을 수행했다. 1808년, 푸리에는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나폴레옹에 의해 남작으로 서임되었다.

클로드 고테로(Claude Gautherot)가 1806년경에 그린 푸리에의 초상화.


그르노블 주지사 시절은 푸리에가 생애 중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였다. 그는 바쁜 주지사 직무를 수행하면서도 에콜 폴리테크니크(École Polytechnique)에서 계속했던 방정식론 연구와 고체 내부의 열전도에 대한 수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1807년, 푸리에는 열전도에 관한 최초의 논문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했다.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 몽주, 앙드레 마리 앙페르가 논문 심사 위원이었다. 라플라스와 라그랑주는 푸리에 급수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라플라스, 장 밥티스트 비오, 시메옹 드니 푸아송은 열전도 방정식의 설명이 불충분하다고 지적하여 아카데미는 논문 게재를 보류했다. 그러나 1812년, 아카데미는 "열의 해석적 이론"을 현상 논문 제목으로 정했고, 푸리에는 대폭 수정 보완한 두 번째 논문을 제출했다. 라그랑주는 수학적 엄밀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지만, 논문의 중요성이 인정되어 아카데미 대상을 수상했다.

푸리에의 논문은 열의 흐름과 전류를 유사하게 다루어 게오르크 옴옴의 법칙을 유도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방정식을 풀기 위해 도입된 푸리에 급수는 해석학의 한 분야를 개척하는 등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푸리에는 이집트에서 가져온 로제타석을 당시 12세였던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에게 처음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샹폴리옹은 새겨진 세 종류의 문자 중 히에로그리프가 해독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내가 언젠가 읽어 보이겠다"고 선언했으며, 약 20년 후 고대 이집트 문자 해독에 성공했다.

2. 5. 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5년 ~ 1830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패배한 나폴레옹이 1814년 퇴위하여 엘바 섬으로 유배된 후, 푸리에는 라플라스 등과 함께 루이 18세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지사직을 유지할 수 있었다.[4]

그러나 1815년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하여 프랑스로 돌아오자 푸리에는 리옹으로 가서 왕당파에 신고했지만, 나폴레옹에게 다시 체포되어 론주 지사로 임명되었다. 이후 나폴레옹의 강압적인 태도에 반대하여 사직했다.

워털루 전투 이후 나폴레옹이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고 프랑스가 왕정으로 복귀하면서, 루이 18세는 푸리에를 파면했다.[4] 푸리에는 파리에서 재산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다가 친구인 가스파르 드 샤브롤 백작의 도움으로 센주 통계국장 직책을 얻었다. 이 시기에 푸리에는 생명보험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1816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푸리에를 회원으로 추천했지만, 루이 18세는 승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카데미는 이듬해 그를 회원으로 선출했다. 1822년에는 델람브르의 뒤를 이어 과학 아카데미의 종신 간사가 되었고, 1826년에는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또한 라플라스의 뒤를 이어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원장이 되는 등, 푸리에는 나폴레옹에게 끝까지 충성하다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몽주와 비교하면 영예로운 말년을 보냈다.

푸리에는 마지막 몇 년 동안 과거의 연구를 정리하고 논문을 출판하는 데 힘썼으며, 디리클레와 같은 후진 양성에도 힘썼다.

1830년 5월 16일, 7월 혁명이 일어나기 직전 푸리에는 세상을 떠났다. 향년 63세였다. 심장병 또는 동맥류가 사인으로 추정된다.[7]

푸리에가 20대부터 연구해 온 방정식론은 나비에가 유고를 정리하여 1831년에 『정방정식의 해석』 2권으로 출판되었다.

3. 주요 업적

푸리에는 열역학, 해석학, 방정식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열전도 방정식, 푸리에 해석 등이 있으며, 온실 효과의 발견에도 기여했다.

1822년, 푸리에는 열 흐름에 대한 논문인 《열의 해석적 이론》(Théorie analytique de la chaleur)을 출판했다.[8] 이 책에서 그는 뉴턴의 냉각 법칙을 바탕으로 열전도 현상을 설명하고, 차원 분석의 개념을 제시했다.[11]

푸리에는 변수의 함수를 삼각함수의 급수로 전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제시한 특정한 경우를 일반화한 것이다. 페터 구스타프 르장 디리클레는 몇 가지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 푸리에 급수의 수렴성에 대한 증명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오늘날 푸리에 변환으로 알려진 것의 기초를 제공한다.

그는 방정식의 수치 해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합을 나타내는 기호인 Σ를 고안하였고, 방정식 이론과 해법에 평생 동안 관심을 가졌다.[18]

3. 1. 푸리에 법칙과 열전도 방정식

어떤 고체 안의 온도 분포를 어떠한 방정식으로 나타내는지에 대한 답은 푸리에가 유도해낸 열전도 방정식(열방정식이나 푸리에의 방정식 등으로도 불린다)이다.

푸리에는 "각 점에서 열이 이동하는 속도는 그 점의 온도의 기울기에 비례한다"(푸리에 법칙)는 사실을 밝혔다.[8][9][10] 이에 따르면 특정 시각, 특정 영역에 있는 열량은 그 영역에 들어온 열과 나간 열의 차이로 나타낼 수 있다. 또, 열량과 비열·온도의 관계식으로부터 열량을 나타낼 수도 있다. 푸리에는 이러한 관계식을 이용해 열전도 방정식을 유도하여 다양한 경계 조건에서 열 분포를 구해냈다.[9]

3. 2. 푸리에 해석

푸리에 해석이란 푸리에 급수 전개나 푸리에 변환을 이용해 함수를 해석하는 것, 특히 함수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해 조사하는 것이다. 어느 유한구간에서 정의된 함수를 삼각함수의 급수로 나타내는 것을 푸리에 전개라고 하며, 이것을 무한 구간으로 확장한 것을 푸리에 변환이라 한다.[8]

푸리에는 저서 《열의 해석적 이론》에서 "임의의 함수는 삼각함수의 급수로 나타낼 수 있다"(푸리에의 정리)고 주장했다. 이 정리는 당시에는 불충분한 증명이었지만, 이후 많은 수학자들에 의해 엄밀하게 증명되었다. 푸리에 해석은 거의 모든 함수가 주기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역설 때문에 많은 수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거의 모든"의 범위나 "나타낼 수 있다"라는 근거를 둘러싼 논의는 19세기 해석학을 발전시켰다. 이후 리만의 적분론이나 게오르크 칸토어집합론도 이와 관련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8]

푸리에 해석은 선형 미분 방정식을 푸는 데 매우 강력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물리학, 공학에서 빛, 소리, 진동, 컴퓨터 그래픽스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3. 3. 온실 효과 발견

1820년대에 푸리에는 지구 크기의 물체가 태양으로부터 현재의 거리에 있다면, 들어오는 태양 복사만으로는 실제보다 훨씬 더 차가워야 한다고 계산했다. 그는 1824년과 1827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관측된 추가 열의 다양한 가능한 원인을 조사했다.[14] 하지만 그의 계산과 관측치 사이에는 33도의 큰 차이가 있었고, 푸리에는 성간 공간에서 오는 복사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잘못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푸리에가 지구 대기가 어떤 종류의 단열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한 것은 현재 온실 효과로 널리 알려진 현상에 대한 최초의 제안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14] 비록 푸리에 자신은 그렇게 부르지 않았지만.[15][16]

푸리에는 자신의 논문에서 검게 칠한 코르크로 병을 감싼 오라스 베네딕 드 소쉬르의 실험을 언급했다. 드 소쉬르는 코르크에 여러 개의 투명한 유리판을 공기층을 두고 끼워 넣었다. 정오의 햇빛이 유리판 상단을 통해 병 안으로 들어오도록 했고, 이 장치의 더 안쪽 구획에서 온도가 더 높아졌다. 푸리에는 대기 중의 기체가 유리판처럼 안정적인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면 행성 온도에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결론은 대기 온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가리키는 "온실 효과"라는 은유가 이후 사용되는데 기여했을 수 있다.[17] 푸리에는 대기 온도를 결정하는 실제 메커니즘에는 드 소쉬르의 실험 장치에는 없었던 대류가 포함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3. 4. 기타 업적

푸리에는 방정식의 수치 해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평생 동안 방정식 이론과 해법에 관심을 가졌다.[18] 그는 1820년에 합을 나타내는 기호인 Σ를 고안하였다.[18]

또한 푸리에는 열전도 방정식을 풀 때, 단위에 주목하여 해의 대략적인 값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차원 분석의 시초가 되었다. 그는 방정식에서 차원 동차성 개념, 즉 등호 양쪽의 차원이 일치해야 한다는 개념을 제시하여 차원 분석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11]

4. 푸리에의 정리 (다항식 실근 정리)

푸리에는 다항식의 실근을 결정하고 찾는 미완성 연구를 남겼는데, 이는 클로드-루이 나비에에 의해 편집되어 1831년에 출판되었다. 이 연구에는 많은 독창적인 내용이 담겨 있는데, 특히 1820년에 출판된 푸리에의 다항식 실근 정리가 포함되어 있다.[12] 프랑수아 부단은 1807년과 1811년에 독자적으로 자신의 정리(푸리에의 정리로도 알려짐)를 발표했는데, 이는 푸리에의 정리와 매우 유사하다(각 정리는 서로의 계명이다). 푸리에의 증명[12]은 19세기 동안 방정식 이론 교과서에서 일반적으로 제시된 증명이다. 문제의 완전한 해결책은 1829년 자크 샤를 프랑수아 슈투름에 의해 제시되었다.[13]

5. 연표


  • 1768년 - 오세르(Auxerre)에서 태어남.
  • 1787년 - 생부누아 수도원(Saint-Benoît Abbey)에 입회(-1789년).
  • 1794년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École Normale Supérieure)(고등사범학교)의 수강생이 됨.
  • 1795년 - 에콜 폴리테크니크(École Polytechnique)(고등사범학교)의 조교가 됨 (-1798년).
  • 1796년 - 대수 방정식의 실수 해의 개수에 관한 정리(푸리에 정리)를 증명함.
  • 1798년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의 이집트 원정(Expédition d'Égypte)에 참여하여 카이로 대학교의 간사, 이집트 연구소(Institut d'Égypte) 서기가 됨.
  • 1802년 - 이제르 주(Isère) 주지사로 임명되어 그르노블(Grenoble)로 부임함 (-1815년).
  • 1807년 - 열전도에 관한 최초의 논문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Académie des sciences)에 제출함.
  • 1808년 - 남작 작위를 받음.
  • 1815년 - 엘바 섬을 탈출한 나폴레옹을 따르지만, 후에 사직함.
  • 1817년 - 파리(Paris)로 이주하여 곧바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됨.
  • 1822년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종신 간사, 런던 왕립 학회(Royal Society) 외국인 회원이 됨.[19] 저서 『열의 해석적 이론 (Théorie Analytique de la Chaleur)』이 출판됨.
  • 1826년 - 프랑스 아카데미(Académie française) 회원이 됨.
  • 1827년 -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Pierre-Simon Laplace)의 후임으로 에콜 폴리테크니크 원장이 됨.
  • 1829년 -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이 됨.
  • 1830년 - 파리에서 사망. 향년 63세.
  • 1831년 - 저서 『방정식 해석』이 출판됨.

6. 관련 인물

다음은 푸리에와 관련된 주요 인물 목록이다.

인물관계설명
나폴레옹정치적 후원자, 동료나폴레옹은 푸리에를 이집트 원정에 동행시켰고, 귀국 후에는 이제르 주의 주장으로 임명하는 등 정치적으로 후원했다.
라그랑주, 라플라스학문적 동료, 경쟁자라그랑주와 라플라스는 푸리에의 열전도 이론을 초기에 비판했으나, 이후 푸리에의 업적을 인정하고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함께 활동했다.
몽주학문적 동료, 친구몽주는 푸리에와 함께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동행했으며,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함께 교수로 재직했다.
앙페르학문적 동료앙페르는 푸리에의 열전도 이론을 연구했으며,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함께 활동했다.
비오, 푸아송학문적 경쟁자비오와 푸아송은 푸리에와 열전도 이론의 선취권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디리클레제자디리클레는 푸리에의 제자로, 푸리에 급수의 수렴 조건을 연구하여 디리클레 조건을 제시했다.
샹폴리옹지인푸리에는 샹폴리옹에게 로제타 스톤을 처음으로 보여주었고, 이는 샹폴리옹이 상형문자를 해독하는 계기가 되었다.[5]
다니엘 베르누이, 라그랑주푸리에에 앞서 미분방정식을 삼각함수로 푸는 것을 고안했다.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동료몽주와 베르톨레는 모두 푸리에의 친구였으며, 세 사람 모두 나폴레옹의 부하이기도 했다.
게오르크 시몬 옴『열의 해석적 이론』에 자극을 받아 옴의 법칙을 유도했다.


7. 저서

출판 연도기관제목비고
1820년파리 필로마틱 학회〈근의 범위를 찾는 데 있어 데카르트 정리의 사용에 관하여〉[1]과학회보
1822년피르맹 디도 페르 에 휜스열의 해석적 이론 (Théorie analytique de la chaleur)[2]
1824년화학 및 물리학 연보 (Annales de Chimie et de Physique)〈지구와 행성 공간의 온도에 대한 일반적 고찰〉 (Remarques Générales Sur Les Températures Du Globe Terrestre Et Des Espaces Planétaires)[3]
1824년화학 및 물리학 연보 (Annales de Chimie et de Physique)〈복사열의 성질에 대한 이론적 요약〉 (Resume theorique des Proprietes de la chaleur rayonette)[4]
1827년프랑스 왕립 과학 아카데미〈지구와 행성 공간의 온도에 관한 논문〉 (Mémoire sur la température du globe terrestre et des espaces planétaires)[5]회보
1827년프랑스 과학원 왕립 아카데미〈허근의 구별과 열이론에 의존하는 초월 방정식에 대한 대수 해석 정리의 적용에 관한 분석 논문〉 (Mémoire sur la distinction des racines imaginaires, et sur lapplication des théorèmes danalyse algébrique aux équations transcendantes qui dépendant de la théorie de la chaleur)[6]회보
1827년피르맹 디도 프레르결정 방정식 해석 (Analyse des équations déterminées)[7]
1827년프랑스 과학원 왕립 아카데미〈초월 방정식에 대한 대수 해석 원리 적용에 대한 일반적 고찰〉 (Remarques générales sur lapplication du principe de lanalyse algébrique aux équations transcendantes)[8]회보
1833년프랑스 과학원 왕립 아카데미〈유체 내 열의 이동에 관한 분석 논문〉 (Mémoire d'analyse sur le mouvement de la chaleur dans les fluides)[9]회보
1821년프랑스 과학원 왕립 아카데미〈연금에 관한 보고서〉 (Rapport sur les tontines)[10]회보
2005년대학교육출판열의 해석적 이론타케시타 사다오 번역[11]
2020년아사쿠라 서점열의 해석적 이론니시무라 시게토 번역, 다카세 마사히토 감역·해설[12]



1888년판 ''열의 해석적 이론''

참조

[1] 사전 Fourier
[2] 서적 Climate Change: Biological and Human Aspec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문서 Album de 73 Portraits-Charge Aquarelle’s des Membres de I’Institute #29 http://www.photo.rmn[...]
[4] 전기 Fourier
[5] 서적 A Chronicle of Mathematical People http://www.robertnow[...] 2015-02-02
[6] 웹사이트 No. 1878: Jean Baptiste Joseph Fourier https://www.uh.edu/e[...] 2022-11-06
[7] 서적 Biographies of Distinguished Scientific Men http://www.gutenberg[...]
[8] 서적 The Analytical Theory of He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Tragicomical History of Thermodynamics, 1822–1854 Springer
[10] 서적 Digital Image Processing Pearson Prentice Hall
[11] 서적 A History of the Sciences Simon & Schuster
[12] 학술지 Joseph Fourier's Anticipation of Linear Programming 2023-03-21
[13] 문서 Fourier's Theorem
[14] 웹사이트 The Carbon Dioxide Greenhouse Effect http://www.aip.org/h[...] 2008-05-27
[15] 학술지 Joseph Fourier, the "greenhouse effect", and the quest for a universal theory of terrestrial temperatures
[16] 학술지 Future Calculations: The first climate change believer https://www.scienceh[...] 2016
[17] 서적 100 Ideas that Changed the Worl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8] 학술지 Refroidissement séculaire du globe terrestre
[19] 웹사이트 Fourier; Jean Baptiste Joseph (1768 - 1830) 2011-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