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렌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렌주는 오목에서 파생된 2인용 보드 게임으로, 흑과 백의 돌을 번갈아 두어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5개의 돌을 먼저 일렬로 놓는 쪽이 승리한다. 흑에게는 삼삼, 사사, 장연 등의 금수가 적용되어 흑백 간의 균형을 맞춘다. 렌주는 19세기 일본에서 시작되어 국제적으로 발전했으며, 1988년 렌주 국제 연맹(RIF)이 설립되었다. 렌주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가 개최되며, 오프닝 규칙을 통해 흑의 유리함을 조절한다. 2001년 흑 필승 게임으로 증명되었지만, 현대적인 오프닝 규칙이 적용된 렌주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목 - 커넥트포
    커넥트 포는 두 명의 플레이어가 7열 6행 격자판에 자신의 디스크를 떨어뜨려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4개를 먼저 연결하는 완전 정보 2인용 제로섬 게임이다.
  • 오목 - 26주형
    26주형은 오목의 변형 게임으로, 흑에게 3-3, 4-4, 6목 이상의 금수 규칙을 적용하여 흑이 불리하게 설계된 렌주라고도 불린다.
  • 일본의 게임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는 사이게임즈에서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애니메이션 RPG 모바일 게임으로, 전작 프린세스 커넥트!의 후속작이며 고품질 애니메이션 연출과 함께 다양한 미디어 믹스가 전개된 작품이다.
  • 일본의 게임 - 긴교스쿠이
    긴교스쿠이는 얇은 종이 채로 금붕어를 건져 올리는 일본의 전통 놀이로, 참가비와 규칙에 따라 금붕어를 획득하며, 전국 선수권 대회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렌주
기본 정보
렌주
렌주는 15×15 격자판에서 진행된다. 돌이라고 불리는 게임 조각은 격자선 교차점에 놓인다.
장르보드 게임
추상 전략 게임
플레이어 수2
준비 시간최소
플레이 시간캐주얼 게임: 5~30분; 토너먼트 게임: 10분(렌주 블리츠) ~ 5시간 이상
무작위 요소없음
필요 기술전략, 전술
언어별 명칭
일본어連珠 (렌주)

2. 역사

1899년(메이지 32년), 구로이와 루이코는 자신이 주간이었던 만초호에 오목의 선수 필승법을 게재했다.[19] 같은 해 12월 6일, 그는 이 게임을 "렌주"라고 부를 것을 같은 신문에서 제안했다.[19] 이 날이 렌주의 발상일이 된다. 렌주의 초대 영세 명인인 '''고야마 고라쿠'''는 '''구로이와 루이코''' 본인이며, 고야마 고라쿠는 그의 호이다.[19]

1931년, 제3대 명인이자 바둑도 강했던 '''다카기 라쿠잔'''은 15도반 채택, 흑의 사사 금지 등의 규칙 개정을 제창했다. 그러나 이는 논쟁을 일으켜 렌주 관련 단체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1966년, 분열되었던 연맹이 사단법인 일본렌주사로 하나가 되었다.[20]

1988년, 렌주 국제 연맹이 발족했다. 렌주 국제 연맹은 일본렌주사의 규칙을 채용하고 있다.

1989년부터 렌주 국제 연맹이 주최하는 렌주 세계 선수권이 시작되어, 홀수 해에는 개인 세계 선수권이, 짝수 해에는 팀 세계 선수권이 실시되고 있다.

2014년, 일본렌주사는 공익 사단 법인화되었다.[20]

3. 규칙

렌주는 오목과 유사하게 15x15 크기의 바둑판에서 진행되며, 흑과 백이 번갈아 돌을 놓아 먼저 5개의 돌을 일렬로 만드는 쪽이 승리한다. 렌주는 2인 제로섬 유한 확정 완전 정보 게임으로 분류된다.[21]

두 명의 대국자가 각각 흑, 백의 바둑돌을 가지고, 번갈아가며 하나씩 돌을 놓는다. 돌은 선의 교점 위에 놓는다. 흑이 선수로 첫 수는 천원(중앙의 별)에 둔다. 백의 두 번째 수는 천원에서 한 눈 떨어진 위치에, 흑의 세 번째 수는 천원에서 두 눈 이내 떨어진 위치에 두어야 한다. 세 번째 수까지의 형태는 (대칭형을 제외하고) 26가지가 있으며, 이것을 '''주형'''이라고 부른다. 주형에는 각각 이름이 붙어 있다. 4번째 수 이후의 착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하지만 이 조건에서는 선수(흑)의 필승법이 밝혀져[21] 경기로서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흑에게는 여러 가지 제약(금수)이 있다.

렌주의 용어와 그 정의
용어정의
세로, 가로, 대각선 중 한 쪽에 인접한 교점에 같은 색의 돌이 공간 없이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것. 규칙 용어로서의 은 오연과 장연에만 사용하며, 사연·삼연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 과 같이 단순히 이어진 같은 색 돌의 개수로 정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어져 있어도 말하지 않거나, 이어져 있지 않아도 말하는 경우가 있다.
오연정확히 5개의 돌이 연결된 것. 흑백 관계없이 오연을 만들면 승리한다. 흑이 반칙이 되는 수를 동시에 만들고 있어도 오연이 우선되어 흑이 승리한다.
장연6개 이상의 돌이 연결된 것. 흑은 반칙패, 백은 승리한다.
돌 1개를 더하면 오연이 되는 것. 백은 돌 1개를 더하면 장연이 되는 것도 로 간주한다.
달사사의 일종. 돌 1개를 더하면 오연이 되는 점이 2곳 있는 것. 봉사라고도 한다.
돌 1개를 더하면 달사가 되는 것.
사사한 교차점에 사(달사 포함)가 2개 이상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은 반칙패가 된다.
삼삼한 교차점에 삼이 2개 이상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은 반칙패가 된다.
사삼한 교차점에 사(달사 포함)와 삼이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이 이기려면 사삼을 만들어야 하지만, 사 또는 삼이 2개 이상 생기면 사사 또는 삼삼이 우선되므로 흑은 반칙패가 된다.
면삼검선이라고도 한다. 한쪽이 상대의 돌로 막혀 있거나, 바둑판의 가장자리에 닿아 있는 3연. 삼으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흑이 면삼을 2개, 혹은 면삼과 삼을 동시에 만들어도 삼삼이 되지 않아 반칙이 되지 않는다.


3. 1. 금수

렌주에서 흑은 삼삼, 사사, 장연(6개 이상 연속된 돌)을 둘 수 없다. 이를 어기면 즉시 패배한다.[1] 다만, 금수를 두면서 동시에 오목을 완성하면 흑이 이긴다. 백은 금수가 없으며, 장연도 승리로 인정된다.

  • 쌍삼(Double three): 한 교차점에 돌을 놓아 2개 이상의 '3'을 만드는 것.
  • '3': 3개의 돌이 일렬로 놓여 있고, 돌 하나를 더 놓으면 '4'를 만들 수 있는 상태.
  • '4': 4개의 돌이 일렬로 놓여 있고, 돌 하나를 더 놓으면 오목을 만들 수 있는 상태.
  • 쌍사(Double four): 한 교차점에 돌을 놓아 2개 이상의 '4'를 만드는 것.


렌주의 용어와 그 정의
용어정의
오연정확히 5개의 돌이 연속된 것. 흑백 관계없이 오연을 만들면 승리한다. 흑이 반칙이 되는 수를 동시에 만들고 있어도 오연이 우선되어 흑이 승리한다.
장연6개 이상의 돌이 연속된 것. 흑은 반칙패, 백은 승리한다.
돌 1개를 더하면 오연이 되는 것. 백은 돌 1개를 더하면 장연이 되는 것도 로 간주한다.
달사사의 일종. 돌 1개를 더하면 오연이 되는 점이 2곳 있는 것. 봉사라고도 한다.
돌 1개를 더하면 달사가 되는 것.
사사한 교차점에 사(달사 포함)가 2개 이상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은 반칙패가 된다.
삼삼한 교차점에 삼이 2개 이상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은 반칙패가 된다.
사삼한 교차점에 사(달사 포함)와 삼이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이 이기려면 사삼을 만들어야 하지만, 사 또는 삼이 2개 이상 생기면 사사 또는 삼삼이 우선되므로 흑은 반칙패가 된다.



흑은 오연을 만들기 전에는 삼삼, 사사, 장연을 둘 수 없다. 이를 '''금수'''라고 한다. 흑이 금수를 두면 즉시 패배한다. 백은 금수가 없고, 장연은 승리로 간주한다. 단, 흑이 금수를 두고 백이 이를 눈치채지 못하고 다음 수를 두면, 금수가 해제되어 대국을 계속할 수 있다.

흑이 삼사사, 삼삼사를 만들면 흑의 금수가 된다. 흑이 오연을 만들 때 오삼삼, 오사사, 오육 등 오연과 동시에 장연이 생기는 경우는 금수가 아니며, 흑의 승리이다.

3. 2. 승리 조건

흑은 정확히 5개의 흑돌을 일렬(수직, 수평 또는 대각선)로 놓아야만 이길 수 있다.[1]

백은 5개 이상의 백돌을 일렬로 놓거나, 흑이 금수(삼삼, 사사, 육목)를 두도록 유도하여 이길 수 있다.

렌주의 승리 조건
대국자승리 조건
정확히 5개의 돌을 일렬로 연결하여 오목을 만든다. (금수를 두지 않으면서)[1]
5개 이상의 돌을 일렬로 연결하거나, 흑이 금수를 두도록 유도한다.


3. 3. 무승부

렌주에서, 대국자들은 돌을 놓는 것을 포기할 수 있는데, 이를 '''패스'''라고 한다. 두 대국자가 연속으로 패스하면 경기는 무승부가 된다. 주로 바둑판이 거의 다 찼을 때, 흑이 돌을 놓으면 오버라인이 되는 상황에서 패스를 사용한다.

4. 오프닝 규칙

오목에서 흑이 유리하다는 것은 빅토르 알리스가 아무 제한이 없는 오목에서 흑이 언제나 이긴다는 사실[21]을 증명하기 전부터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었다. 렌주는 흑에게만 삼삼, 사사, 육목을 금지하여 흑의 유리함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15x15 크기의 판에서 자유형 렌주도 흑의 필승법이 밝혀지면서, 경기 시작 시 몇 가지 규칙이 추가되었다.[21] 이러한 규칙들은 흑이 동시에 여러 개의 수를 두게 한 후 백이 그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흑백을 바꿀 수 있는 권한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렌주는 바둑판 위에 흑백의 바둑돌을 번갈아 놓아, 먼저 돌을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5개 놓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그러나 이 조건에서는 선수(흑)의 필승법이 밝혀져[21] 경기로서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규칙에 의해 선수의 착수를 제한하여 선수와 후수의 균형을 맞춘다. 하지만 선수의 착수를 제한해도 여전히 선수 필승의 방법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단순히 선후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변칙적인 방법으로 진행된다.
개국 규정(오프닝 규칙)이란, 이름 그대로 개국을 진행하기 위한 규정이다. 단순히 번갈아 가며 수를 두는 것만으로는 많은 형태에서 반드시 선수가 승리하기 때문에, 선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고안되었다.

렌주에는 여러 종류의 오프닝 규칙이 존재한다. 주요 오프닝 규칙은 다음과 같다:


  • RIF 오프닝 규칙: 국제 렌주 연맹(RIF)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규칙이다.[2]

1. 첫 번째 플레이어가 검은 돌 2개와 흰 돌 1개를 놓아 오프닝 패턴을 만든다.

2. 두 번째 플레이어가 흑 또는 백을 선택한다.

3. 백이 돌을 하나 더 놓는다.

4. 흑이 돌 2개를 놓는다.

5. 백이 흑의 돌 2개 중 하나를 제거한다.

6. 백이 흰 돌을 놓는다.

  • 사카타 룰: 첫 번째 플레이어가 26가지 주형 중 하나를 제시하면, 두 번째 플레이어가 흑 또는 백을 선택하고, 백의 4번째 수와 흑의 5번째 수를 결정한다. 첫 번째 플레이어는 흑백을 교체할 수 있다.[26]
  • 야마구치 룰: 첫 번째 플레이어가 주형과 함께 흑의 5번째 수의 개수를 제시한다. 두 번째 플레이어는 흑 또는 백을 선택하거나 흑백을 교체할 수 있다. 백은 4번째 수를 자유롭게 놓고, 흑은 제시된 개수만큼 5번째 수를 놓는다. 백은 흑의 5번째 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다음 수를 둔다.[27]
  • 타라구치 룰[3]
  • 수소르브 룰[3]


이 외에도 다양한 오프닝 규칙들이 존재하며, 새로운 규칙들이 계속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3]

현재 세계 공통 규칙(RIF 규칙)에서는 '''주형 교대·5수 2지점 착수'''가 사용된다. 이는 다음 절차에 따라 수행된다.

1. 먼저, 양쪽 대국자가 임의로 백돌 또는 흑돌을 선택하여 상대에게 보이지 않도록 돌을 적당수 쥔 후 동시에 판 위에 놓는다.

2. 양쪽의 돌 개수의 합이 홀수이면 그대로, 짝수이면 흑돌과 백돌을 바꾼다. 이때 흑돌을 가지게 된 쪽을 가선(가짜 선수), 백돌을 가지게 된 쪽을 가후(가짜 후수)라고 부른다.

3. 가후는 백돌 1개를 가선에게 넘겨준다. 대국 시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여기서 시계를 누른다. → 가선의 제한 시간이 줄어든다.

4. 가선은 26개의 주형 중에서 1개를 제시한다. 제시 후 가선이 시계를 누른다. → 가후의 제한 시간이 줄어든다.

5. 가후는 제시된 주형을 보고 흑번, 백번 중 자신이 원하는 쪽을 선택한다. 이로써 흑(선수)과 백(후수)이 결정된다.

6. 선택한 후, 정식으로 백번이 된 쪽이 백의 4번째 수를 임의의 위치에 둔다.

7. 다음 흑번이 흑의 5번째 착수 위치를 2곳 지정한다. 이 2곳은 서로 대칭형이 되지 않도록 한다.

8. 백번은 이 2곳을 비교하여, 두고 싶은 주를 남기고, 다른 한 곳을 제거함으로써 5번째 착수를 선택한다.

9. 이어서 백이 6번째 수를 두고, 이후 흑백이 교대로 임의의 위치에 둔다.

'''주형 오수 제수 提示(제시) 선택 쳐내기'''는 야마구치 유스이 9단이 제창한 규칙으로, "제수 지정 쳐내기", "제수 提示(제시) 쳐내기"라고도 불린다.

'''균형수'''는 사카타 고로 9단이 제창한 규칙이다.

세계 렌주 선수권 대회와 팀 세계 렌주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6년 이전에는 스왑 오프닝 규칙이 사용되었으나, 1997년부터 RIF 오프닝 규칙이 공식 규칙으로 채택되었다.[4] 2009년부터는 야마구치 오프닝 규칙이,[3] 2017년부터는 수소르브-8 오프닝 규칙이 사용되고 있다.[5]

과거에는 "연주"라고 표기했지만, 현재는 "렌주"라는 표기가 일반적이다.

4. 1. 주형

렌주에서 주형은 처음 세 수를 놓는 정해진 26가지 형태를 말한다.[21] 주형은 흑의 첫 수(천원)에 대해 백의 두 번째 수가 어디에 놓이는지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백의 두 번째 수가 흑의 첫 수에 가로 또는 세로로 인접하면 직접 주형, 대각선으로 놓이면 간접 주형이다.[21]

과거에는 주형을 흑 1번째 수와 3번째 수의 위치에 따라 '연'(두 돌이 인접), '간'(가로, 세로, 대각선 중 하나를 건너뜀), '계'(바둑에서 말하는 계마 위치)로 분류했다. 현재는 직접 주형과 간접 주형으로 분류한다.

각 주형의 이름은 백돌을 에, 흑돌을 나무 등에 비유하여 붙여졌다. 예를 들어, '산월'은 달이 산 꼭대기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주형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직접 주형 (13가지)
번호이름설명이미지
1한성흑1(천원) 바로 옆--
2계월흑1(천원) 가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위--
3소성흑1(천원) 가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가로 위--
4화월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백2의 옆--
5잔월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백2의 대각선 위--
6우월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세로 아래--
7금성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가로 아래--
8송월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아래--
9구월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가로 옆--
10신월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옆--
11서성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세로 옆--
12산월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가로 아래--
13유성흑1(천원) 세로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아래--



간접 주형 (13가지)
번호이름설명이미지
1장성흑1(천원)의 대각선 옆--
2협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백2의 옆--
3항성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세로 아래--
4수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아래--
5유성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아래--
6운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세로 아래--
7포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아래--
8난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아래--
9은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가로 옆--
10명성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대각선 옆--
11사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가로 옆--
12명월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가로 옆--
13혜성흑1(천원)의 대각선 옆, 흑3은 흑1(천원)의 세로 아래--


4. 2. 종류

렌주는 오목에서 흑이 유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흑에게 삼삼, 사사, 육목을 금지하는 규칙을 추가한 게임이다. 15x15 크기의 판에서 진행되는 렌주는 흑의 필승법이 밝혀져, 경기 시작 시 추가적인 규칙들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규칙들은 흑이 동시에 여러 개의 수를 두게 한 후 백이 그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흑백을 바꿀 수 있는 권한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21]

렌주에는 여러 종류의 오프닝 규칙이 존재한다. 주요 오프닝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사카타 룰: 첫 번째 플레이어가 26가지 주형 중 하나를 제시하면, 두 번째 플레이어가 흑 또는 백을 선택하고, 백의 4번째 수와 흑의 5번째 수를 결정한다. 첫 번째 플레이어는 흑백을 교체할 수 있다.[26]
  • 야마구치 룰: 첫 번째 플레이어가 주형과 함께 흑의 5번째 수의 개수를 제시한다. 두 번째 플레이어는 흑 또는 백을 선택하거나 흑백을 교체할 수 있다. 백은 4번째 수를 자유롭게 놓고, 흑은 제시된 개수만큼 5번째 수를 놓는다. 백은 흑의 5번째 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다음 수를 둔다.[27]
  • RIF 오프닝 규칙: 국제 렌주 연맹(RIF)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규칙이다.[2]

1. 첫 번째 플레이어가 검은 돌 2개와 흰 돌 1개를 놓아 오프닝 패턴을 만든다.

2. 두 번째 플레이어가 흑 또는 백을 선택한다.

3. 백이 돌을 하나 더 놓는다.

4. 흑이 돌 2개를 놓는다.

5. 백이 흑의 돌 2개 중 하나를 제거한다.

6. 백이 흰 돌을 놓는다.

  • 타라구치 룰[3]
  • 수소르브 룰[3]


이 외에도 다양한 오프닝 규칙들이 존재하며, 새로운 규칙들이 계속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3] 세계 렌주 선수권 대회와 팀 세계 렌주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6년 이전에는 스왑 오프닝 규칙이 사용되었으나, 1997년부터 RIF 오프닝 규칙이 공식 규칙으로 채택되었다.[4] 2009년부터는 야마구치 오프닝 규칙이,[3] 2017년부터는 수소르브-8 오프닝 규칙이 사용되고 있다.[5]

과거에는 "연주"라고 표기했지만, 현재는 "렌주"라는 표기가 일반적이다.
개국 규정은 단순히 번갈아 가며 수를 두는 것만으로는 선수가 유리하기 때문에, 선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고안되었다.
주형 오수 제수 提示(제시) 선택 쳐내기는 야마구치 유스이 9단이 제창한 규칙으로, "제수 지정 쳐내기", "제수 提示(제시) 쳐내기"라고도 불린다.
균형수는 사카타 고로 9단이 제창한 규칙이다.

5. 국제 렌주 연맹 (Renju International Federation, RIF)

렌주 국제 연맹(RIF)은 1988년 8월 8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창설된 국제 기구이다. 렌주 국제 연맹의 주요 목적은 전 세계의 모든 렌주 및 오목 국가 연맹을 통합하고, 렌주와 오목의 국제 토너먼트 및 기타 활동을 조직하며, 세계에 렌주 활동을 전파하는 것이다. 이 연맹은 2년마다 총회를 개최한다.[6]

6. 세계 선수권 대회

렌주 국제 연맹은 렌주 세계 선수권 대회,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 팀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를 개최한다.[7]

렌주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89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7] 오프닝 룰은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야마구치였으며, 2017년부터는 소스보르브-8로 변경되었다.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97년에 시작되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와 같은 시기와 장소에서 격년으로 개최된다.[8]

렌주 팀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96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9]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오프닝 룰은 야마구치였으며, 2018년부터는 소스보르브-8로 변경되었다.

7. 컴퓨터와 렌주

빅토르 알리스가 아무 제한이 없는 오목에서 흑이 언제나 이긴다는 사실[21]을 증명하기 이전에 이미 오목은 흑이 유리하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었다. 렌주는 흑에게만 삼삼, 사사, 육목을 금지한다. 따라서 판이 커지면 흑이 유리하고 판이 작으면 백이 유리해진다. 오랫동안 균형이 맞는다고 믿어오던 15x15판의 자유형 렌주도 흑의 필승법이 있는 풀린 게임인 것이 밝혀지면서 경기 시작 시의 몇 가지 규칙이 추가로 더해진다.(:en:Renju opening pattern) 흑이 동시에 여러 개의 수를 둔 뒤 백이 그중 이용할 수를 고르는 방식, 흑백을 바꿀 권리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렌주는 2001년에 선공의 승리로 확정되었다.[10] 그러나 야마구치와 수소르브-N과 같은 현대적인 오프닝 규칙이 적용된 렌주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렌주 세계 컴퓨터 선수권 대회는 1991년에 시작되어 2004년까지 4번 개최되었다.[11][12] 2016년부터 렌주는 고모컵 토너먼트에 추가되어[13]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공개 대회에서 인간과 대결한 최초의 프로그램은 러시아의 올레그 스테파노프가 개발한 ''메이진-2000''이다. 2000년에 ''메이진-2000''은 모스크바 오픈 토너먼트에서 인간 선수들과 대결했다.[14] 그러나 2017년이 되어서야 컴퓨터 프로그램이 공개 대회에서 최고 수준의 인간 선수들을 능가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2017년에는 세계 챔피언 프로그램 이신[15]과 대만의 메이진 타이틀 보유자 린수쉬안의 대결이 있었으며, 이신이 3-1로 승리했다.[16] 2018년에는 이신과 전 세계 챔피언 치관의 대결이 있었으며, 경기는 2.5-2.5 무승부로 끝났다.[17]

8. 용어

렌주의 용어와 그 정의
용어정의
세로, 가로, 대각선의 어느 한 쪽에 인접한 교점에 같은 색의 돌이 공간 없이 일직선상으로 이어지는 것. 규칙 용어로서의 은 오연과 장연에만 사용하며, 사연·삼연 등과는 말하지 않는다. 단순히 , 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쪽은 단순히 이어진 같은 색 돌의 개수로 정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어져 있어도 말하지 않거나, 이어져 있지 않아도 말하는 경우도 있다.
오연정확히 5개의 돌이 이어진 것. 흑백 관계없이 이것을 만들면 승리한다. 흑의 경우 반칙이 되는 돌덩이를 동시에 만들고 있어도 오연이 우선되어 반칙패가 되지 않고 승리한다.
장연6개 이상의 돌이 이어진 것. 흑의 경우는 반칙패, 백의 경우는 승리한다.
같은 종류의 돌을 1개 더하면 오연이 되는 것. 주법의 차이가 있으므로, 백의 경우는 돌 1개를 더하면 장연이 되는 것도 로 간주하고 흑의 경우는 간주하지 않는다(달사의 경우도 마찬가지). 하지만 백에게 금수가 없기 때문에 백의 경우도 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의(돌 1개를 더하면 장연이 되는 것은 로 간주하지 않음)해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
달사사의 일종. 같은 종류의 돌을 1개 더하면 오연이 되는 점이 2곳 있는 것. 봉사라고도 한다.
같은 종류의 돌을 1개 더하면 달사가 되는 것.
사사동일 충점에 사(달사 포함)가 2개 이상 동시에 생기는 것. 일직선상에 사사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흑이 만들면 반칙패가 된다.
삼삼동일 충점에 삼이 2개 이상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이 만들면 반칙패가 된다.
사삼동일 충점에 사(달사 포함)와 삼이 동시에 생기는 것. 흑이 이기기 위해서는 이것을 만들 수밖에 없지만, 사(달사 포함)와 삼 중 어느 쪽이 2개 이상 생기면 사사 혹은 삼삼이 우선되므로 반칙패가 된다.
면삼검선이라고도 한다. 한쪽이 상대의 돌로 막혀 있거나, 바둑판의 가장자리에 닿아 있는 3연의 것. 삼으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흑이 면삼을 2개, 혹은 면삼과 삼을 동시에 만들어도 삼삼이 되지 않아 반칙이 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Rules of Renju https://www.renju.ne[...] 2017-01-20
[2] 웹사이트 The Protocol of General Assembly 2003 https://www.renju.ne[...] 2017-01-20
[3] 웹사이트 The Protocol of Extra General Assembly 2008 https://www.renju.ne[...] Renju.Net 2016-08-17
[4] 웹사이트 The Protocol of Extra General Assembly 1996 - RenjuNet https://www.renju.ne[...] 2023-04-26
[5] 웹사이트 The Protocol of General Assembly 2015 - RenjuNet https://www.renju.ne[...] 2023-04-26
[6] 웹사이트 The Renju International Federation https://www.renju.ne[...] 2017-01-20
[7] 웹사이트 World Championship https://www.renju.ne[...] 2017-01-20
[8] 웹사이트 Women World Championship https://www.renju.ne[...] 2017-08-12
[9] 웹사이트 Team World Championship https://www.renju.ne[...] 2017-01-20
[10] 학술지 Solving Renju https://pdfs.semanti[...] 2001-03
[11] 웹사이트 Renju Computer World Championship http://www.5stone.ne[...] 2016-06-02
[12] 웹사이트 4-th World Championship among Computer programs http://nosovsky.naro[...] 2016-06-03
[13] 웹사이트 Gomocup 2016 Announcement http://gomocup.org/g[...] 2017-08-07
[14] 웹사이트 Renju Newsletter Januari 2000 - June 2000 https://old.renju.ne[...]
[15] 웹사이트 Yixin, the Strongest Gomoku/Renju Engine in the World http://www.aiexp.inf[...]
[16] 웹사이트 Lin Shu-Hsuan versus Yixin http://www.aiexp.inf[...]
[17] 웹사이트 AI vs Human LIVE http://wuziqi.org/re[...] 2018-11-27
[18] 서적 囲碁の日本棋院 https://www.nihonkii[...] 2023-04-13
[19] 문서 連珠…その起源 http://renjusha.net/[...]
[20] 문서 日本連珠社 http://renjusha.net/[...]
[21] 문서 현재는 15x15까지 증명되어 있다.
[22] 웹인용 The Procedure of Starting the Game http://www.renju.net[...] Renju International Federation 2009-10-07
[23] 문서 권리이지 의무가 아님 - 해도 되고 안 해도 됨
[24] 문서 대칭이라 함은 모양의 대칭을 말하는 것
[25] 문서 이게 이 룰의 중화과정임. 흑백이 서로 균형을 맞추는.
[26] 문서 -역시 권리이지 의무가 아님. 유리한 쪽으로 결정.
[27] 문서 권리이지 의무가 아님, 돌 변경은 한 번 밖에 없음. 착각하면 안 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