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렌즈운은 안정된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산이나 산맥을 넘을 때, 바람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정상파로 인해 나타나는 렌즈 모양의 구름이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되며, 렌즈 모양이나 접시 모양을 띤다. 렌즈운은 UFO로 오인되기도 하며, 채운이 나타나기도 한다. 렌즈운은 항공기 운행에 위험을 초래하는 난류를 발생시키기도 하지만, 글라이더 조종사들은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비행에 활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렌즈운 | |
|---|---|
| 구글 지도 | |
| 개요 | |
| 종류 | 층적운, 고적운, 권적운 |
| 학명 | lenticularis (라틴어: "렌즈 모양") |
| 고도 | 지상 부근 - 12,000 m (40,000 ft) |
| 높이 | 낮음, 중간, 높음 |
| 형태 | 렌즈 모양, 접시 모양 |
| 강수 | 비르가 (강수가 지면에 도달하지 않음) |
2. 형성
렌즈운은 안정되고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산이나 산맥 위로 흐를 때 형성된다. 공기가 지구 표면을 따라 이동하다 산이나 언덕 같은 자연 지형이나 인공 구조물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아 소용돌이나 난류 영역이 생긴다.
특히 습하고 안정된 공기가 산에 의해 생긴 큰 소용돌이 위로 흐르면, 산의 바람이 불어 나가는 쪽(풍하측)에 일련의 대규모 정상파(리 파동)가 형성된다. 이 파동의 마루(가장 높은 부분)에서 공기 온도가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렌즈 모양의 구름, 즉 렌즈운이 만들어진다. 반대로 파동의 골(가장 낮은 부분)에서는 공기가 하강하면서 기온이 올라가 구름이 다시 증발하여 사라진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구름 자체는 한 자리에 머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구름을 이루는 구름 입자는 바람에 의해 빠르게 교체된다. 정상파는 수 시간 동안 위치가 거의 바뀌지 않아 렌즈운도 같은 자리에 머무는 것처럼 보인다.
특정한 조건에서는 이러한 렌즈운이 연속적으로 나타나 긴 띠 형태의 '파동운'을 만들기도 한다. 이 파동 시스템은 강한 상승기류를 만들어 때로는 강수를 유발하기도 한다.[1]
렌즈운은 주로 산악 지형에서 형성되지만, 드물게 산이 없는 곳에서도 전선에 의해 생성된 전단풍의 결과로 형성될 수도 있다.[2]
렌즈운 형태는 다양한 종류의 구름에서 나타날 수 있다. 권적운에서는 잘게 흩어진 구름 조각으로 이루어진 구름층의 무늬 변화로 나타나며, 렌즈 모양의 짙은 부분이 다른 부분과 분리되거나 융합하여 흰색으로 보인다. 고적운에서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렌즈 모양 구름 조각이 다른 구름과 떨어져 나타나며, 표면이 매끄럽고 뚜렷한 음영을 가진다. 층적운에서는 렌즈운이 나타나는 빈도가 비교적 적다.
산봉우리 바로 위에 모자처럼 형성된 렌즈운은 '''갓구름''' 또는 '''산갓구름'''이라고도 불린다. 상공의 바람이 강할 때 산의 풍하측에 형성되는 렌즈운은 '''매달린 구름''' 또는 산 깃발 구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가늘고 길며 콩깍지 같은 모양을 한 것은 꼬투리 구름이라고도 한다.
렌즈운은 대류권 중층 이상에서 강풍이 불고 있음을 나타내며, 날씨 변화, 특히 악화될 조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등산 시 산에 걸린 구름을 관찰하는 것은 안전에 도움이 된다.
렌즈운은 항공기 운항에 위험한 난류의 원인이 되는 산악파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산에 걸린 렌즈운과 산 사이의 구름 없는 틈(푄 갭)이 넓을수록 난류가 심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난류는 구름 없이 발생하기도 한다(청천 난류).
렌즈운은 고도가 다른 여러 층에 나타나기도 한다.
적운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적운과 다른 구조를 가진 구름이다. 두건운이나 베일 구름 중 렌즈운과 비슷하게 보이는 것도 있지만 다른 종류의 구름이다.
2. 1. 렌즈운과 UFO
렌즈운은 이름처럼 렌즈 모양이나 매끄러운 받침 접시 같은 독특한 모양 때문에 미확인 비행 물체 또는 비행접시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다.[2] 렌즈운은 일반적으로 산악 지형 위에서 형성되고 저지대나 평지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런 구름을 직접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은 그 존재를 모를 수도 있다.[2] 때때로 렌즈운의 가장자리에서는 밝은 색깔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채운 현상이다.[3]3. 명칭
학술 명칭 "lenticularis"는 라틴어로 "작은 렌즈콩"을 의미한다. "lentil"(렌즈콩)은 "lens"(렌즈)의 어원이 된 단어이며, "lenticular"는 영어로 "렌즈 모양의"를 의미한다.
4. 형태와 출현 환경
렌즈운은 그 이름처럼 렌즈 모양이나 매끄러운 접시 모양의 독특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 종종 미확인 비행 물체로 오인되기도 한다.[2] 일반적으로 저지대나 평지에서는 잘 형성되지 않아 많은 사람에게 생소할 수 있으며[2], 때때로 가장자리에서 채운 현상으로 인해 밝은 색상이 나타나기도 한다.[3]
렌즈운은 안정되고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산이나 산맥과 같은 지형 위를 흐를 때 주로 형성된다. 공기가 지구 표면을 따라 이동하다 산, 언덕 등의 자연 지형이나 건물 같은 인공 구조물을 만나면 흐름이 방해받아 소용돌이나 난류 영역이 만들어진다. 특히 습하고 안정된 공기가 산과 같은 큰 장애물 위로 흐르면, 산의 풍하측에 일련의 대규모 정상파(산악파)가 형성된다. 이 파동의 마루 부분에서 공기가 상승하며 단열 팽창하여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렌즈운이 만들어진다.[1] 반대로 파동의 골짜기 부분에서는 공기가 하강하며 단열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하고 구름 입자가 증발하여 사라진다. 이러한 과정 때문에 렌즈운은 보통 상승 기류가 있는 풍상측에서 생성되고 하강 기류가 있는 풍하측에서 소멸한다. 특정 조건에서는 연속적인 파동의 마루마다 렌즈운이 길게 늘어선 "파동운"이 형성되기도 한다.[1] 상공의 습한 공기층이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지는 경우에도 렌즈운이 형성될 수 있다.
산악파는 안정층 아래에서 기류가 산을 넘을 때 풍하측에 발생하며, 렌즈운의 형성과 위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파의 경우, 수 시간 동안 산악파의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렌즈운도 한 자리에 머물거나 천천히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 렌즈운이 위치한 고도에서는 강한 바람이 불고 있어, 구름을 구성하는 구름 입자는 바람에 의해 빠르게 교체된다. 즉, 구름이 생성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산악파는 때때로 수평적으로 먼 거리까지, 그리고 수직적으로 높은 고도까지 전달될 수 있다.
렌즈운은 다양한 종류의 구름에서 나타날 수 있다.
- 권적운에서는 잘게 흩어진 구름 조각으로 이루어진 구름층에 나타나는 무늬의 변화로 관찰된다. 렌즈운 형태를 띤 짙은 부분은 다른 부분과 분리되거나 구름 조각끼리 융합하여 흰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 고적운에서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렌즈 모양 구름 조각이 다른 구름과 떨어져 나타나며, 표면이 매끄럽고 윤곽이 뚜렷한 음영을 가진다.
- 층적운에서는 렌즈운이 나타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다.
산 정상 부근에 모자처럼 걸쳐 생기는 렌즈운은 '''갓구름''' 또는 '''산갓구름'''이라고도 불린다. 상공에 나타나는 렌즈운은 '''매달린 구름''', 산 깃발 구름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가늘고 긴 콩깍지 모양을 한 경우 꼬투리 구름, 꼬투리 모양 구름이라는 명칭도 있다.
렌즈운의 출현은 대류권 중층 이상에 강한 바람이 불고 있음을 나타내며, 종종 날씨 변화, 특히 날씨가 악화될 조짐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등산과 같은 산악 활동 시에는 산에 걸린 구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안전 확보에 중요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특정 산에 걸리는 구름의 모양에 이름을 붙이고, 그 구름이 나타났을 때의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관천망기 지식이 전승되기도 한다.
렌즈운은 항공기 운항에 위험한 난류를 유발하는 산악파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에 걸린 렌즈운과 산 정상 사이의 구름 없는 틈(푄 갭, Föhn gap)이 넓을수록 난류가 더 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난류는 구름 없이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청천 난류), 렌즈운이 없다고 해서 반드시 안전한 것은 아니다. 렌즈운은 고도가 다른 여러 층에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렌즈운은 때때로 적운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적운과 다른 형성 과정을 가진 별개의 구름이다. 또한, 적운이나 적란운의 정상부에 생기는 두건운이나 베일 구름 중 렌즈운과 비슷하게 보이는 것이 있지만, 이 역시 다른 분류에 속하는 구름이다.
5. 비행
항공기 조종사들은 렌즈운이 동반하는 회전 기류 시스템의 난기류 때문에 렌즈운 가까이에서 비행하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동력 항공기 조종사들은 렌즈운의 후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난기류와 하강 기류를 우려한다.[4][5]
그러나 글라이더 조종사들은 렌즈운 전면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상승 기류, 즉 "파동 상승"을 이용하여 고도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렌즈운을 찾는다. 상승 기류의 정확한 위치는 구름의 방향을 통해 비교적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파동 상승은 종종 매우 부드럽고 강력하여, 글라이더가 놀라운 고도로 활공하고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현재 글라이딩 세계 기록인 거리(3000km 이상)[4] 및 절대 고도(22000m 이상)[5]는 이러한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세워졌다.
렌즈운은 항공기 운행에 위험을 초래하는 난기류의 원인이 되는 산악파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산에 걸린 렌즈운과 산 사이의 구름 없는 틈(푄 갭)이 넓을수록 난류는 더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난류는 구름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청천 난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6. 한국의 렌즈운
한국에서도 렌즈운은 관측되며, 특히 산이나 언덕과 같은 지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기류가 산을 넘어갈 때, 특정 대기 조건 하에서 산 정상 부근이나 바람이 불어 내려가는 쪽에 렌즈 모양의 구름이 만들어진다. 이는 산악파라고 불리는 대기의 파동 현상과 관련이 깊다.
산악파는 주로 안정된 대기층 아래에서 기류가 산을 넘을 때 그 바람 아래쪽으로 발생하며, 때로는 수 시간 동안 거의 같은 위치에 머무르기도 한다. 이 때문에 렌즈운 역시 한 자리에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구름을 구성하는 구름 입자는 상공의 강한 바람에 의해 끊임없이 빠르게 교체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이러한 렌즈운을 다양한 이름으로 불러왔다. 산 정상에 모자처럼 걸쳐진 렌즈운은 갓구름 또는 산갓구름이라고 불린다. 상공에 떠 있는 렌즈운은 매달린 구름이나 산 깃발 구름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길고 가는 콩깍지 모양의 렌즈운은 꼬투리 구름이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렌즈운의 출현은 상공에 강한 바람이 불고 있음을 시사하며, 전통적으로 날씨가 나빠질 징조로 해석되기도 했다. 등산과 같은 산악 활동 중에는 산에 걸린 구름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안전을 위해 중요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특정 산에 나타나는 구름의 모양을 보고 날씨를 예측하는 관천망기의 지혜가 전해져 내려오기도 한다.
또한 렌즈운은 항공기 운항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난류를 발생시키는 산악파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ltocumulus Standing Lenticular Clouds
https://www.weather.[...]
NOAA
2018-03-09
[2]
웹사이트
Lenticular clouds look like UFOs
http://earthsky.org/[...]
2022-05-03
[3]
웹사이트
Atmospheric Optics: Iridescent Clouds
http://www.atoptics.[...]
[4]
웹사이트
Klaus Ohlmann (GER) (7605) {{!}} World Air Sports Federation
https://www.fai.org/[...]
2022-11-22
[5]
웹사이트
Records
https://www.fai.org/[...]
2020-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