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드 투 퍼디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 투 퍼디션은 1931년 일리노이주를 배경으로, 아일랜드 갱 두목의 양아들인 킬러 마이클 설리번이 아내와 막내아들을 잃고 아들과 함께 복수를 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샘 멘데스가 감독하고 톰 행크스, 폴 뉴먼, 주드 로 등이 출연했으며, 맥스 앨런 콜린스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한다. 폭력의 대가,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비를 주요 주제로 다루며, 콘래드 L. 홀의 촬영, 톰 행크스와 폴 뉴먼의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 흥행에서도 성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1억 8,1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샘 멘데스 감독 영화 - 아메리칸 뷰티
    앨런 볼 각본, 샘 멘데스 감독의 1999년 미국 드라마 영화 《아메리칸 뷰티》는 중년의 위기를 겪는 레스터 번햄과 그의 가족, 이웃을 통해 미국 교외 사회의 허위와 욕망, 억압된 감정을 탐구하며, 아카데미 5개 부문 수상 등 성공을 거두었으나 케빈 스페이시의 성추행 의혹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샘 멘데스 감독 영화 - 레볼루셔너리 로드
    샘 멘데스 감독의 영화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195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불만과 권태에 빠진 부부의 이야기를 그리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 윈슬렛이 주연을 맡아 사회적 순응주의와 파국으로 향하는 관계를 묘사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931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아티스트 (2011년 영화)
    미셸 아자나비시우스 감독의 흑백 무성 영화 《아티스트》는 1920년대 후반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무성영화 시대 스타 조지 발렌타인과 신인 여배우 페피 밀러의 만남과 흥망성쇠를 그린 멜로드라마로, 유성영화 시대 도래에 따른 두 사람의 대비되는 운명을 통해 시대 변화와 영화 산업 변혁을 보여주며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다.
  • 1931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죽음의 추적자
    죽음의 추적자는 1931년 앨버트 존슨이 살인을 저지른 후 캐나다 왕립 기마 경찰의 추격을 받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실제 사건과는 차이가 있으며 흥행에는 실패했다.
  • DC 코믹스를 바탕으로 한 영화 - 더 배트맨 (영화)
    맷 리브스 감독의 영화 《더 배트맨》은 2년 차 배트맨이 리들러를 추적하며 고담시의 부패와 과거의 진실을 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탐정적 요소 강조, 어두운 이면 묘사, 긴 러닝타임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흥행과 연출, 연기, 시각적 연출에 대한 호평을 받았다.
  • DC 코믹스를 바탕으로 한 영화 - DC 확장 유니버스
    DC 확장 유니버스는 워너 브라더스가 DC 코믹스 캐릭터를 기반으로 제작한 공유 세계관 영화 및 TV 시리즈로, 2013년 《맨 오브 스틸》을 시작으로 여러 영화와 TV 시리즈가 제작되었으며, 초기 연계성을 강조하다가 작품 완성도로 전환, 현재는 DC 유니버스로 부분적인 리부트를 예고하고 있다.
로드 투 퍼디션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Road to Perdition
감독샘 멘데스
각본데이비드 셀프
원작맥스 앨런 콜린스, 리처드 피어스 레이너의 로드 투 퍼디션
제작리처드 D. 자눅, 딘 자눅, 샘 멘데스
주연톰 행크스, 폴 뉴먼, 주드 로, 제니퍼 제이슨 리, 스탠리 투치, 대니얼 크레이그
음악토마스 뉴먼
촬영콘래드 L. 홀
편집질 빌콕
제작사자눅 컴퍼니
배급사드림웍스 (미국), 20세기 폭스 (국제)
개봉일2002년 7월 12일 (미국), 2002년 10월 5일 (일본)
상영 시간117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
예산8천만 달러
흥행
총 수익1억 8340만 달러 (전 세계)

2. 줄거리

1930년대 대공황 시기, 일리노이주 록 아일랜드의 아일랜드계 갱단 행동대장 마이클 설리번 시니어는 고아 출신으로 갱단 두목 존 루니에게 길러졌다. 루니는 친아들 코너보다 설리번을 더 아꼈다.

루니의 동료 핀 맥거번이 살해당하고, 설리번과 코너는 사건 해결에 파견된다. 설리번의 아들 마이클 주니어가 우연히 현장을 목격하고, 설리번은 아들에게 비밀을 맹세시킨다. 그러나 코너의 질투로 설리번은 함정에 빠진다.

설리번은 칼비노와 그의 경호원을 죽이고, 코너가 아내와 막내아들을 살해한 것을 알게 된다. 설리번은 아들 마이클과 시카고 아웃핏프랭크 니티에게 복수를 요청하나 거절당하고, 자유 계약 살인자 맥과이어에게 쫓긴다.

설리번은 아웃핏의 돈을 빼돌려 코너를 압박하고, 아들 마이클에게 운전을 가르친다. 그는 루니의 회계사로부터 코너가 오랫동안 아버지의 돈을 횡령했음을 알게 된다.

설리번은 루니와 대면하고, 루니는 아들의 범죄를 알고도 아들을 포기하지 않는다. 설리번은 루니와 경호원들을 죽이고, 니티와의 약속으로 코너를 살해한다.

설리번은 마이클을 퍼디션의 해변 별장으로 데려가지만, 맥과이어에게 기습당해 죽는다. 마이클은 아버지의 죽음 이후 총을 잡지 않았고, 아버지를 "그는 나의 아버지였다"라고 회상한다.

2. 1. 한국적 관점에서의 재해석

1930년대 대공황 시기, 아일랜드계 갱단의 행동대장이었던 마이클 설리번 시니어는 고아 출신으로 갱단 두목 존 루니의 손에 자랐다. 루니는 친아들 코너보다 설리번을 더 아꼈지만, 이는 비극의 씨앗이 된다.

어느 날, 루니의 동료 핀 맥거번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설리번과 코너는 사건 해결을 위해 파견된다. 이 과정에서 설리번의 아들 마이클 주니어가 우연히 살인 현장을 목격하게 된다. 설리번은 아들에게 비밀을 지킬 것을 맹세시키지만, 코너의 질투심은 설리번에게 칼비노에게 보내는 함정 편지를 전달하게 만든다.

설리번은 칼비노와 그의 경호원을 죽이고, 코너가 자신의 아내와 막내아들을 살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살아남은 아들 마이클과 함께 설리번은 시카고 아웃핏의 프랭크 니티에게 복수를 위한 도움을 요청하지만 거절당한다. 오히려 니티는 자유 계약 살인자 맥과이어를 보내 설리번 부자를 제거하려 한다.

설리번은 아웃핏의 돈을 빼돌려 코너를 압박하려 하고, 이 과정에서 아들 마이클에게 운전을 가르치며 유대감을 쌓는다. 설리번은 루니의 회계사로부터 코너가 오랫동안 아버지의 돈을 횡령해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결국 설리번은 루니와 대면하고, 루니는 아들의 범죄를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들을 포기하지 않는다. 설리번은 루니와 그의 경호원들을 죽이고, 니티와의 약속을 통해 코너의 위치를 알아내 살해한다.

복수를 마친 설리번은 마이클을 퍼디션의 해변 별장으로 데려가지만, 맥과이어의 기습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마이클은 아버지의 죽음 이후 총을 잡지 않았고, 아버지를 "그는 나의 아버지였다"라고 회상하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이 영화는 단순한 갱스터 영화를 넘어,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복수와 용서, 그리고 폭력의 악순환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준다. 특히, 아들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과 맞닿아 있으며, 권력에 대한 탐욕과 부패는 결국 파멸로 이어진다는 교훈을 준다. 이는 부패한 권력에 맞서 싸우는 민주주의 정신과도 연결될 수 있다.

3. 등장인물

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및 배역은 다음과 같다.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마이클 설리번톰 행크스에바라 마사시
존 루니폴 뉴먼코바야시 카츠히코
할렌 맥과이어주드 로나카이에 히로시
마이클 설리번 주니어타일러 호클린카메이 요시코
피터 설리번리암 에이켄와타나베 미사
코너 루니다니엘 크레이그센다 미츠오
애니 설리번제니퍼 제이슨 리사토 시노부
알렉산더 렌스딜런 베이커타하라 아르노
핀 맥거번키어런 하인즈미즈노 류지
프랭크 니티스탠리 투치사사키 바이치
칼비노더그 스피누자이와사키 히로시
잭 켈리데이비드 다로우이시이 타카오
프랭크케빈 챔벌린아마다 마스오
사라다이앤 도시타케구치 아키코
버지니아페기 로더사다오카 사유리
니티의 부하로데릭 피플스키타가와 카츠히로
루비라라 필립스카타기리 마이


  • 루니의 하수인 역은 배역을 맡은 배우가 알려져 있지 않다.
  • 알 카포네 역으로 앤서니 라파글리아가 한 장면을 촬영했으나, 최종 편집에서 삭제되어 DVD 삭제 장면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14][15]

3. 1. 주요 인물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마이클 설리번톰 행크스에바라 마사시
존 루니폴 뉴먼코바야시 카츠히코
할렌 맥과이어주드 로나카이에 히로시
마이클 설리번 주니어타일러 호클린카메이 요시코
피터 설리번리암 에이켄와타나베 미사
코너 루니다니엘 크레이그센다 미츠오
애니 설리번제니퍼 제이슨 리사토 시노부
핀 맥거번키어런 하인즈미즈노 류지
프랭크 니티스탠리 투치사사키 바이치
알렉산더 랜스딜런 베이커타하라 아르노
칼비노더그 스피누자이와사키 히로시
잭 켈리데이비드 다로우이시이 타카오
프랭크케빈 챔벌린아마다 마스오
사라다이앤 도시타케구치 아키코
버지니아페기 로더사다오카 사유리
니티의 부하로데릭 피플스키타가와 카츠히로
루비라라 필립스카타기리 마이


  • 맥과이어 역의 주드 로는 배역을 위해 실제로 머리카락을 뽑아 연기했다.

3. 2. 조연


  • 제니퍼 제이슨 리 - 애니 설리번 역
  • 스탠리 투치 - 프랭크 니티
  • 다니엘 크레이그 - 코너 루니 역
  • 딜런 베이커 - 알렉산더 렌스 역
  • 키아란 힌즈 - 핀 맥거번 역
  • 더그 스피누자 - 칼비노 역
  • 데이비드 다로우 - 잭 켈리 역
  • 케리 로설 - 루니의 하수인 (출연자 미상)
  • 앤서니 라파글리아 - 알 카포네 역 (출연자 미상)
  • 케빈 챔벌린 - 프랭크 (보디가드) 역
  • 해리 그로너 - 맥두걸 씨 역
  • 조비 세르니 - 은행가 역


스탠리 투치이탈리아계 미국인을 갱스터로 고정관념화하는 할리우드의 경향에 신중했지만, 멘데스와 함께 일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시카고 출신의 실존 인물인 갱스터 보스 니티 역을 수락했다.[13]

앤서니 라파글리아는 알 카포네 역으로 단 한 장면을 촬영했지만, 최종 편집본에서 삭제되었고,[14] DVD의 삭제 장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15] 멘데스는 카포네가 보이지 않는 존재로 묘사될 때 더 위협적이라고 생각했다. 배우 알프레드 몰리나도 카포네 역을 제안받았지만, ''프리다'' (2002)와의 일정 충돌로 인해 거절해야 했다.[16]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핀 맥거번키어런 하인즈미즈노 류지
프랭크 니티스탠리 투치사사키 바이치
알렉산더 랜스딜런 베이커타하라 아르노
칼비노더그 스피누자이와사키 히로시
잭 켈리데이비드 다로우이시이 타카오
프랭크케빈 챔벌린아마다 마스오
사라다이앤 도시타케구치 아키코
버지니아페기 로더사다오카 사유리
니티의 부하로데릭 피플스키타가와 카츠히로
루비라라 필립스카타기리 마이


4. 제작 과정

맥스 앨런 콜린스의 그래픽 노블 ''로드 투 퍼디션''이 영화화될 가능성이 제기된 후, 1999년 제작자 리처드 D. 자눅과 그의 아들 딘 자눅에게 전달되었다. 스티븐 스필버그드림웍스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나, 꽉 찬 일정으로 연출은 맡지 않았다.[5] 아메리칸 뷰티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샘 멘데스가 감독을 맡아, 톰 행크스, 폴 뉴먼, 주드 로 등 신구 실력파 배우들을 기용하여 대공황 시대 시카고를 배경으로 영화를 제작했다.

멘데스는 갱스터 장르의 진부함을 피하는 시대극을 제작하고자 했다. 그는 의상 디자이너 앨버트 월스키, 프로덕션 디자이너 데니스 개스너, 촬영 감독 콘래드 홀과 협력하여 영화의 스타일을 디자인했다. 월스키는 "매우 절제되고 부드러운 윤곽과 실루엣"을 가진 의상을 디자인했고, 개스너는 시대의 차가운 모습을 담을 수 있는 세트를 제작했다. 멘데스는 어둡고 톤 다운된 녹색과 회색의 배경과 세트를 사용하여 영화에 차분한 색감을 추구했다.[17]

촬영은 시카고 대학교 클럽, 풀먼 지역, 찰스 G. 도스 하우스, 제네바 등 일리노이주 시카고와 그 주변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제너럴 존스 병기창에는 설리반 가족과 루니 저택 내부 세트가 설치되어, 제작진은 비계 설치를 통해 조명 환경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17] 2001년 겨울과 봄, 일리노이에서 야외 장면 촬영 시 실제 기상 조건을 활용하여 등장인물의 감정 상태를 표현했다. 풀먼의 역사적인 플로렌스 호텔 등은 영화 제작진이 쉽게 재단장하여 촬영에 사용했다.[17] 촬영은 2001년 6월에 마무리되었다.[5]

영화는 주로 영화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제75회 아카데미상에서 촬영상을 수상했다. 촬영 감독 콘래드 L. 홀은 시상식 6개월 전 사망하여 아들이 대리 수상했다.

일본 시사회에서는 제목을 "늑대는 천사의 냄새"로 했지만, 최종적으로 원제를 가타카나 표기로 결정했다.


  • 감독: 샘 멘데스
  • 각본: 데이비드 셀프
  • 원작: 맥스 알란 콜린스, 리처드 피어스 레이너
  • 제작: 샘 멘데스, 딘 자누크, 리처드 D. 자누크
  • 제작 총괄: 월터 F. 파크스, 조앤 브래드쇼
  • 촬영 감독: 콘래드 L. 홀
  • 프로덕션 디자이너: 데니스 가스너
  • 편집: 질 빌콕
  • 의상 디자인: 앨버트 월스키
  • 음악: 토마스 뉴먼
  • 일본어 자막: 토다 나츠코
  • 더빙 번역: 스기타 토모코
  • 더빙 연출: 다테 야스마사
  • 더빙 조정: 타카하시 아키오
  • 더빙 제작: 도호쿠 신샤

4. 1. 기획 및 각본

맥스 앨런 콜린스가 그래픽 노블 ''로드 투 퍼디션''을 집필했을 때, 그의 에이전트는 이 이야기가 영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영화 에이전트에게 보여주었다.[4] 1999년, 이 소설은 제작자 리처드 D. 자눅의 아들이자 회사 개발 담당 부사장인 딘 자눅에게 전달되었다. 이 소설은 당시 ''룰스 오브 인게이지먼트''(2000)를 제작하기 위해 모로코에 있던 자눅에게 보내졌다. 자눅 부자는 이 이야기에 대한 기대를 모았고,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겸 제작자에게 보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스필버그는 자신의 스튜디오 드림웍스에서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꽉 찬 일정 때문에 영화 연출은 맡지 않았다.[5]

아메리칸 뷰티(1999)를 완성한 후, 샘 멘데스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찾았고, 그 과정에서 ''뷰티풀 마인드'', ''K-PAX'', ''쉬핑 뉴스'',[6] ''더 룩아웃''을 포함한 여러 작품들을 검토했다. 드림웍스는 멘데스에게 ''로드 투 퍼디션''을 제안했고, 멘데스는 이 이야기에 매료되어 "이야기 구조는 매우 단순하지만, 주제는 매우 복잡하다"고 생각했다.[5] 멘데스는 부모의 세계가 자녀에게 접근할 수 없다는 점을 한 가지 주제로 꼽았다. 멘데스는 이 이야기의 주제가 아이들이 폭력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그리고 폭력에 노출되는 것이 아이들을 폭력적으로 만드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멘데스는 이 시나리오가 "도덕적 절대성이 없다"고 묘사했는데, 이는 그가 이 영화에 매력을 느낀 요인 중 하나였다.[7]

4. 2. 감독 및 캐스팅

샘 멘데스 감독은 아메리칸 뷰티를 완성한 후, 새로운 프로젝트를 찾던 중 ''로드 투 퍼디션''의 원작 그래픽 노블을 접하게 되었다. 멘데스는 "이야기 구조는 매우 단순하지만, 주제는 매우 복잡하다"라고 평가하며 연출을 결심했다.[5] 그는 부모의 세계가 자녀에게 접근할 수 없다는 점과, 아이들이 폭력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한 주제에 주목했다.[7] 멘데스는 갱스터 장르의 진부함을 피하는 시대극을 제작하고자 했다.[17]

톰 행크스는 주인공 마이클 설리번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멘데스 감독은 영화 초반에 톰 행크스가 연기한 배역과 카메라의 거리를 의도적으로 두어, 아버지의 진실을 모르는 아들의 시점을 확립했다.[5] 설리번은 부분적으로 가려진 채 문을 통해 보이게 촬영되었고, 등장과 퇴장은 그림자 속에서 이루어졌다.[17]

폴 뉴먼은 존 루니 역으로, 주드 로는 맥과이어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주드 로는 배역을 위해 실제로 머리카락을 뽑는 열정을 보였다.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마이클 설리번톰 행크스에바라 마사시
존 루니폴 뉴먼코바야시 카츠히코
맥과이어주드 로나카이에 히로시
마이클 설리번 주니어타일러 호클린카메이 요시코
피터 설리번리암 에이켄와타나베 미사
코너 루니다니엘 크레이그센다 미츠오
애니 설리번제니퍼 제이슨 리사토 시노부
핀 맥거번키어런 하인즈미즈노 류지
프랭크 니티스탠리 투치사사키 바이치
알렉산더 랜스딜런 베이커타하라 아르노
칼비노더그 스피누자이와사키 히로시
잭 켈리데이비드 다로우이시이 타카오
프랭크케빈 챔벌린아마다 마스오
사라다이앤 도시타케구치 아키코
버지니아페기 로더사다오카 사유리
니티의 부하로데릭 피플스키타가와 카츠히로
루비라라 필립스카타기리 마이


4. 3. 촬영 및 미술

샘 멘데스는 갱스터 장르의 진부함을 피하는 시대극을 제작하고자 했다. 영화 《로드 투 퍼디션》의 촬영 장소로 일리노이주 시카고를 선택했는데, 여기에는 시카고 대학교 클럽, 풀먼 지역, 에반스턴에 있는 찰스 G. 도스 하우스, 그리고 시카고 서부 교외인 제네바가 포함되었다. 일리노이 주 방위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주 최대의 촬영 장소인 제너럴 존스 병기창은 일리노이 주 영화 위원회에서 스튜디오에 제공했다. 병기창 내부에 설비가 설치되었는데, 여기에는 설리반 가족의 집과 루니 저택 내부도 포함되었다. 실내 촬영 장소의 확보로 인해 제작진은 비계 설치를 통해 조명 환경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17]

멘데스는 영화의 스타일을 디자인하기 위해 의상 디자이너 앨버트 월스키, 프로덕션 디자이너 데니스 개스너, 촬영 감독 콘래드 홀과 협력했다. 월스키는 "매우 절제되고 부드러운 윤곽과 실루엣"을 가진 의상을 디자인했다. 개스너는 시대의 차가운 모습을 담을 수 있는 세트를 제작했다. 멘데스는 어둡고 톤 다운된 녹색과 회색의 배경과 세트를 사용하여 영화에 차분한 색감을 추구했다. 《로드 투 퍼디션》은 슈퍼 35 형식으로 촬영되었다.[17]

감독은 2001년 겨울과 봄에 일리노이에서 야외 장면을 촬영했으며, 눈, 비, 진흙과 같은 실제 기상 조건을 장면에 사용했다. 멘데스는 음울한 기상 조건과 개스너가 의도한 차가운 야외 촬영 장소를 사용하여 등장인물의 감정 상태를 정의하는 것을 고려했다. 풀먼은 이러한 주제를 반영하는 주요 촬영 장소가 되었으며, 영화 제작진이 쉽게 재단장할 수 있는 이 도시의 역사적인 플로렌스 호텔을 포함한 여러 설정이 있었다.[17] 촬영은 2001년 6월에 마무리되었다.[5]

원작의 장면을 묘사하기 위해, 멘데스는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에서 힌트를 얻어 조명을 설치하기로 했고, 그와 촬영 감독인 콘래드 L. 홀은 호퍼의 그림과 비슷한 분위기를 내도록 노력했다.[53] 홀은 렌즈의 조리개를 와이드로 열어 피사계 심도를 얕게 하고, 한 점에 초점이 맞도록 했다. 그는 영화의 감정적인 차원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하며, 틀에 얽매이지 않는 기술과 독특한 조명 효과를 만들어내는 재료를 사용했다. 홀의 촬영 방법 중 하나는 야외에서 그늘진 분위기를 내기 위해 조명에 검은 실크를 씌우는 것이었다.[54]

홀은 의도적으로 톰 행크스가 연기한 마이클 설리번으로부터 카메라의 거리를 두고, 아버지의 진실을 모르는 아들의 시점으로 보이도록 했다.[50] 행크스가 장면에 등장할 때와 퇴장할 때 부분적으로 흐릿하게 처리했다. 와이드 렌즈는 등장인물과의 거리를 유지하는 장면에 사용되었다.[54] 자동차 창문에 비치는 하늘의 윤곽 등 리처드 피어스 레이너가 그린 원작의 삽화가 삽입되었다.[55]

4. 4. 음악

Thomas Newman영어이 작곡한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2002년 아카데미 음악상 후보에 올랐다.[17]

5. 주제 및 상징

영화는 마이클 설리번과 그의 아들, 설리번과 그의 보스인 존 루니, 그리고 루니와 그의 아들 코너 사이의 복잡한 부자 관계를 탐구한다. 설리번은 루니를 존경하는 동시에 두려워하고, 설리번의 아들 역시 아버지에게 같은 감정을 느낀다. 루니는 친아들 코너보다 설리번을 더 신뢰하며, 이로 인해 코너는 아버지에게 질투심을 느끼고, 이는 연쇄적인 비극을 불러온다.[21]

설리번은 자신의 과거를 아들에게 숨기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부자 관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비극적인 사건은 설리번과 아들을 하나로 묶고, 함께 낡은 세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찾아 나선다. 아들 마이클은 아버지와의 여정을 통해 그동안 몰랐던 아버지의 모습을 발견하고, 부자 관계는 더욱 깊어진다.[22][21]

샘 멘데스 감독은 부모의 세계가 자녀에게 접근할 수 없다는 점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그는 아이들이 폭력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그리고 폭력에 노출되는 것이 아이들을 폭력적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멘데스는 시나리오에 "도덕적 절대성이 없다"고 묘사하며, 이는 그가 이 영화에 매력을 느낀 요인 중 하나라고 밝혔다.[7][5]

영화의 제목인 '로드 투 퍼디션'에서 '퍼디션(Perdition)'은 '파멸', '지옥'을 의미하며, 등장인물들이 처한 비극적인 상황과 운명을 상징한다.

5. 1. 폭력의 대가

마이클 설리번은 일리노이주 록 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 갱 두목 존 루니에게 친아들처럼 길러졌지만, 조직의 가장 무서운 행동대원이기도 했다. 1931년, 설리번의 장남 마이클 주니어(12세)는 우연히 아버지의 범행을 목격하고, 이로 인해 설리번 가족은 비극을 맞는다. 설리번은 아내와 막내아들을 잃고, 살아남은 장남과 함께 복수를 결심한다.

설리번은 시카고 아웃핏프랭크 니티에게 협력을 제안하지만 거절당하고, 자유 계약 살인자 할렌 맥과이어가 그들을 추적한다. 설리번은 아웃핏의 돈을 털며 압박하고, 아들에게 운전을 가르쳐 도주 운전사 역할을 맡긴다. 결국 설리번은 루니와 아들 코너를 죽여 복수에 성공하지만, 자신도 맥과이어에게 살해당한다.

설리번은 아들 마이클에게 "아버지가 좋은 사람이었는지 질문받으면 '그는 나의 아버지였다'라고 답하라"는 말을 남긴다. 영화는 설리번과 아들, 설리번과 루니, 루니와 코너 사이의 복잡한 부자 관계를 통해 폭력의 대물림과 그 비극성을 보여준다. 설리번은 아들을 위해 폭력적인 삶을 청산하려 하지만, 결국 폭력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한다.

5. 2. 아버지와 아들

Michael Sullivan, Sr.영어는 고아가 된 후 아일랜드 갱 두목 존 루니에게 일리노이주 록 아일랜드에서 길러졌다. 루니는 자신의 친아들인 코너보다 설리번을 더 사랑하게 되었다.[21]

영화는 마이클 설리번과 그의 아들, 설리번과 그의 보스인 존 루니, 그리고 루니와 그의 아들 코너 사이의 부자 관계를 탐구한다. 설리번은 동시에 루니를 숭배하고 두려워하며, 설리번의 아들도 아버지에 대해 똑같이 느낀다. 루니의 아들 코너는 설리번이 가진 좋은 점들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며, 루니는 친아들과 대리 아들 중 누구를 보호해야 할지 갈등한다. 코너는 설리번과 아버지의 관계를 질투하며, 이는 그의 행동에 불을 지피고, 결국 영화를 이끄는 도미노 효과를 일으킨다.[21]

설리번이 자신의 배경을 아들로부터 숨기기 때문에, 부자 관계를 유지하려는 그의 시도는 실제로 해롭다. 비극은 설리번과 그의 아들을 함께 묶어준다.[22] 설리번은 아들과 함께 낡은 세상에서 탈출하고, 아들은 아버지와의 관계를 강화할 기회를 찾는다. 마이클 주니어 역을 맡은 타일러 호클린은 "아버지는 마이클이 이제 자신에게 유일하게 남은 존재이고, 그동안 얼마나 많은 것을 놓치고 있었는지 깨닫기 시작한다. 여정은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를 알아가고, 또한 자신들이 누구인지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21]

5. 3. 비

Road to Perdition영어에서 '비'는 중요한 상징적 요소로 반복해서 등장한다. 영화 속에서 비는 여러 주요 장면에서 나타나는데, 특히 궂은 날씨는 등장인물들의 어두운 운명과 사건들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설리번이 자신의 상사인 루니와 그의 아들 코너를 죽이는 장면은 폭우 속에서 벌어진다. 이 장면에서 비는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등장인물들이 처한 상황의 비극성과 운명의 불가항력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빗속에서 벌어지는 살인은 등장인물들의 슬픔과 절망을 더욱 극대화하며,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21]

또한, 비는 죽음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영화 속에서 비가 내리는 장면은 종종 죽음이나 비극적인 사건을 동반하는데, 이는 비가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니라 등장인물들의 운명과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6. 평가

맥스 앨런 콜린스가 그래픽 노블 ''로드 투 퍼디션''을 집필했을 때, 그의 에이전트는 이 이야기가 영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영화 에이전트에게 보여주었다.[4] 1999년에는 제작자 리처드 D. 자눅과 그의 아들 딘 자눅에게 전달되었다. 자눅 부자는 이 이야기에 큰 기대를 걸고 스티븐 스필버그에게 보냈고, 스필버그는 드림웍스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5]

아메리칸 뷰티로 제72회 아카데미상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한 샘 멘데스는 ''로드 투 퍼디션''의 이야기에 매료되어 연출을 맡게 되었다. 멘데스는 이 영화의 주제가 아이들이 폭력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그리고 폭력에 노출되는 것이 아이들을 폭력적으로 만드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했다.[7]

영화는 대공황 시대의 시카고를 배경으로 마피아 세계의 규칙과 아버지와 아들의 유대감을 그린 작품으로, 고이케 가즈오와 고지마 고세키의 만화 고독한 늑대를 모티브로 했다.

촬영은 2001년 6월에 종료되었고, 개봉일은 2002년 7월 12일로 조정되었다.[5]

제75회 아카데미상에서는 작품상을 제외한 6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촬영상을 수상했다. 촬영 감독 콘래드 L. 홀은 시상식 6개월 전에 사망하여 아들이 대리 수상했다.

일본 시사회에서는 제목을 "늑대는 천사의 냄새"로 했지만, 최종적으로 원제의 가타카나 표기로 결정되었다.

6. 1. 비평가들의 반응

《로드 투 퍼디션》은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콘래드 L. 홀의 촬영과 프로덕션 디자인, 그리고 톰 행크스폴 뉴먼의 연기가 호평받았다.[31]

평가 사이트평가
로튼 토마토81% (평균 평점 7.5/10)
메타크리틱72/100
시네마스코어B+



로튼 토마토는 "침울하고, 위엄 있으며, 아름답게 연출된 샘 멘데스의 《로드 투 퍼디션》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유대감을 탐구하는 잘 만들어진 갱스터 영화이다"라고 평가했다.[31] 메타크리틱에서는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32] 시네마스코어에서 관객들은 평균 "B+" 등급을 부여했다.[33]

로저 이버트는 《시카고 선타임스》에서 홀의 촬영과 물의 주제적 사용을 칭찬했지만, 등장인물들에게서 감정적인 거리를 느꼈다고 말했다.[34] 《할리우드 리포터》의 커크 허니컷은 행크스, 뉴먼, 다니엘 크레이그를 칭찬했지만, 주드 로의 연기는 "거의 만화 같다"고 평가했다.[35]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행크스와 뉴먼의 연기를 극찬하며, 홀의 촬영과 토마스 뉴먼의 음악을 호평했다.[36]

반면, CNN의 폴 클린턴은 영화가 깊이 있는 인간적인 문제를 다루지만, 완전히 탐구하지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크레이그의 캐릭터가 일차원적이며, 촬영에 비해 스토리가 약하다고 평가했다.[37]빌리지 보이스》의 J. 호버만은 영화가 "엄숙하지만 감상적"이며, 액션이 부자연스럽다고 비판했다.[38]워싱턴 포스트》의 스티븐 헌터는 설리번과 그의 아들이 도망치는 부분에서 각본이 길을 잃었다고 평가했다.[39]

《애틀랜타 저널-헌스티튜션》의 엘리노어 링겔 길레스피는 영화의 촬영, 대공황 시대 배경, 행크스와 뉴먼의 연기를 칭찬했지만, 영화가 감정적인 핵심을 더 깊이 탐구하지 못한 점을 아쉬워했다.[40]휴스턴 크로니클》의 에릭 해리슨은 《로드 투 퍼디션》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1984) 이후 최고의 갱스터 영화로 평가하며, 셀프의 각본이 정교하다고 칭찬했다.[41]

6. 2. 흥행 성적

Road to Perdition영어은 개봉 첫 주말에 1,798개 극장에서 레이 오브 파이어, 할로윈: 부활, 악어 사냥꾼: 충돌 코스 등 여러 신작들과 경쟁하며 2210만달러를 벌어들여, 맨 인 블랙 2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29] 두 번째 주말에는 154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맨 인 블랙스튜어트 리틀 2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30] 최종적으로 미국에서 1.045억달러, 기타 지역에서 7650만달러를 벌어들여 전 세계적으로 총 1.81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1]

7. 수상 내역

부문수상자결과
아카데미상[42]남우조연상폴 뉴먼
미술상데니스 개스너, 낸시 헤이그
촬영상콘래드 L. 홀 (사후 수상)
음악상토머스 뉴먼
음향상스콧 밀란, 밥 비머, 존 프리쳇
음향편집상스콧 헤커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43]남우조연상폴 뉴먼
촬영상콘래드 홀 (사후 수상)
미술상데니스 개스너
골든 글로브상영화 부문 남우조연상폴 뉴먼
미국 촬영 감독 협회[44]촬영 공로상콘래드 홀 (사후 수상)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10대 영화
작품상
남우조연상폴 뉴먼
젊은 배우상타일러 호클린
새턴상액션/어드벤처/스릴러 영화상
젊은 남우상타일러 호클린


8.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영화 《로드 투 퍼디션》은 권력형 비리, 가족 해체, 사회적 약자 문제 등 한국 사회의 현실과 맞닿아 있는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영화 속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는 여러 갈등 속에서 유지된다. 마이클 설리번은 자신의 어두운 배경을 아들로부터 숨기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관계를 해치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설리번과 그의 아들은 함께 낡은 세상에서 탈출하고, 서로를 알아가며 관계를 회복해 간다. 이는 가족 간의 소통과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특히, 아들 마이클 주니어 역을 맡은 타일러 호클린은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를 알아가고, 또한 자신들이 누구인지 알아가는 과정"은 진정한 관계 회복의 의미를 강조한다고 설명했다.[21]

영화는 또한 부자 관계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관계를 보여준다. 설리번과 그의 아들, 설리번과 그의 보스 존 루니, 그리고 루니와 그의 아들 코너의 관계는 각각 다른 양상을 띤다. 설리번은 루니를 숭배하면서도 두려워하고, 그의 아들도 아버지에게 같은 감정을 느낀다. 루니는 친아들 코너와 대리 아들 설리번 사이에서 갈등하고, 코너는 아버지의 애정을 독차지하려는 설리번을 질투한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는 권력과 애증이 얽힌 한국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듯하다.[21]

샘 멘데스 감독은 이 영화의 주제 중 하나로 "부모의 세계가 자녀에게 접근할 수 없다"는 점을 꼽았다. 이는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 간의 소통 부재와 이해 부족 문제를 시사한다.[7] 또한, 멘데스는 "아이들이 폭력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그리고 폭력에 노출되는 것이 아이들을 폭력적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7] 이는 가정폭력, 학교폭력 등 한국 사회의 다양한 폭력 문제와 연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로드 투 퍼디션》은 단순한 갱스터 영화를 넘어, 가족, 권력, 폭력 등 한국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는 심오한 주제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진정한 관계 회복과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9. 기타

역할담당
원작자맥스 앨런 콜린스
협력프로듀서체릴앤 마틴
미술데니스 가스너
의상앨버트 울스키
배역데브라 제인

[4]

참조

[1]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2002)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10-04-24
[2]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2002) - Financial Information https://m.the-number[...] 2021-01-27
[3] 뉴스 Winners: Big upsets https://www.newspape[...] Detroit Free Press 2003-03-24
[4] 뉴스 Just The Facts Ma'am: Max Collins Talks 'Road To Perdition' https://web.archive.[...] 2002-06-16
[5] 간행물 Killer Instinct https://web.archive.[...] 2002-07-19
[6] 뉴스 Power trio hits the 'Road' https://www.usatoday[...] 2002-07-12
[7] 뉴스 Rumblings on 'The Road to Perdition' http://movies.ign.co[...] 2002-01-24
[8] 웹사이트 Graphic Novel: 'Road To Perdition' https://www.bbc.co.u[...] BBC Collective 2008-06-22
[9] 뉴스 So, as Paul said to Tom ... https://www.theguard[...] 2002-09-15
[10] 뉴스 COLLINS' 'ROAD' TO THE FUTURE https://web.archive.[...] 2002-08-07
[11] 간행물 'Road' Warrior https://web.archive.[...] 2002-07-17
[12] 뉴스 On the Road to Perdition https://web.archive.[...] 2010-04-24
[13] 뉴스 Out of Season 2002-07-07
[14] 웹사이트 Capone chats with Max Allan Collins about why he isn't in ROAD TO PERDITION!!! http://www.aintitcoo[...] 2002-04-26
[15] 뉴스 Road to Perdition: DTS Edition https://web.archive.[...]
[16] 뉴스 The Understudy 2002-01-15
[17] 뉴스 Emotional Triggers http://www.theasc.co[...] 2002-08
[18] 뉴스 A Master of Mood http://www.theasc.co[...]
[19] 뉴스 Effecting a Key Transition http://www.theasc.co[...]
[20] 문서 Taking the Road
[21] 웹사이트 Fathers & Sons http://www.roadtoper[...] 2007-06-15
[22] 뉴스 American 'Perdition'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Circa 1931 http://www.roadtoper[...] 2007-06-15
[24] 뉴스 Richer Version of Road to Perdition is Released https://www.apnews.c[...] 2017-07-11
[25] 뉴스 Road to Perdition – DVD Preview http://uk.dvd.ign.co[...] 2002-11-27
[26] 뉴스 Mark Rowen – DVD Producer of Road to Perdition http://www.dvd.revie[...] 2003-03-19
[27] 뉴스 Road to Perdition – DVD Review http://dvd.ign.com/a[...] 2006-02-26
[28] Citation Road to Perdition Blu-ray https://www.blu-ray.[...] 2023-03-19
[29] 웹사이트 July 12–14, 2002 Weekend http://www.boxoffice[...] IMDb 2010-04-24
[30]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Squeaks Past 'Stuart Little 2' in Photo Finish https://www.boxoffic[...] 2002-07-22
[31]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http://www.rottentom[...] Flixster 2010-04-24
[32]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https://web.archive.[...] CBS Interactive 2010-04-24
[33] 웹사이트 Find CinemaScore https://www.cinemasc[...] CinemaScore 2021-01-27
[34] 뉴스 Road to Perdition https://web.archive.[...] 2002-07-12
[35] 뉴스 Road to Perdition http://www.hollywood[...] 2002-07-01
[36] 뉴스 Road to Perdition: Review https://www.google.c[...] 2002-08-01
[37] 뉴스 Review: 'Road to Perdition' scenic trip nowhere http://archives.cnn.[...] 2007-07-25
[38] 뉴스 Industrial Symphony http://www.villagevo[...] 2010-04-24
[39] 뉴스 Bedeviled by The Details In 'Perdition' https://www.washingt[...] 2007-07-25
[40] 뉴스 Road to Perdition http://www.accessatl[...] 2007-07-25
[41] 뉴스 Road to Perdition http://chron.com/dis[...] 2011-01-01
[42] 웹사이트 75th Academy Award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07-05-20
[43] 뉴스 'Pianist,' Kidman win BAFTAs http://www.cnn.com/2[...] 2010-04-24
[44] 웹사이트 ASC 17th Annual Awards – 2002 http://www.theasc.co[...] 2007-05-20
[45] 간행물 The 20 greatest comic book movies of all time http://www.empireonl[...] 2011-01-01
[46]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2002)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1-05-08
[47] 문서 映連興行収入 2002
[48] 문서 なおこの語は小池の造語。2011年5月21日、小池一夫公式twitterツイートより。
[49] 뉴스 Just The Facts Ma'am: Max Collins Talks 'Road To Perdition' http://www.comicbook[...] 2013-04-14
[50] 뉴스 Killer Instinct https://ew.com/artic[...] 2013-04-14
[51] 뉴스 Power trio hits the 'Road' https://usatoday30.u[...] 2013-04-14
[52] 뉴스 Rumblings on 'The Road to Perdition' http://movies.ign.co[...] 2013-04-14
[53] 뉴스 A Master of Mood https://theasc.com/m[...] 2013-04-14
[54] 뉴스 Emotional Triggers https://theasc.com/m[...] 2013-04-14
[55] 뉴스 On the Road to Perdition http://asitecalledfr[...] 2013-04-14
[56]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https://www.rottento[...] 2012年1月31日
[57] 웹사이트 Road to Perdition https://www.metacrit[...] 2012年1月31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