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로빈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로빈슨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유기 화학 분야의 선구자이다. 그는 트로피논의 합성, 벤젠 고리 표기법 고안, 전자 이동을 나타내는 컬리 화살표 사용 발명, 모르핀과 페니실린 분자 구조 연구, 로빈슨 고리화 반응 개발 등 유기 화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4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왕립학회 회장, 영국 체스 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비셔주 출신 - 힐러리 맨텔
    영국의 소설가이자 평론가인 힐러리 맨텔은 토마스 크롬웰 3부작 역사 소설로 부커상을 두 차례 수상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16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권력, 욕망,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작품과 왕실 및 가톨릭 교회 비판으로도 알려져 있다.
  • 더비셔주 출신 - 비비안 웨스트우드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펑크 패션을 이끌며 "펑크의 여왕"으로 불린 영국의 패션 디자이너이자 사회 운동가로, 말콤 맥클라렌과의 협업을 통해 펑크 스타일을 대중화하고 역사적 의상에서 영감을 얻은 독창적인 디자인을 선보였으며, 환경 및 정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패션 디자인에 대한 공헌으로 데임 칭호를 받았다.
  •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 교수 - 길버트 라일
    길버트 라일은 영국의 분석철학자로, 심신이원론을 비판하며 마음을 행동의 경향성으로 재해석한 『마음의 개념』과 '알고 있다'의 구분, '두꺼운 기술' 개념 등으로 철학, 인지과학, 문화인류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 교수 - 에르빈 슈뢰딩거
    에르빈 슈뢰딩거는 파동역학 창시와 슈뢰딩거 방정식 유도로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이론물리학자로서, 노벨 물리학상 수상,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 색채 과학 및 철학 연구, 『생명이란 무엇인가』 저술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사생활 논란도 있었다.
  • 영국의 화학자 -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은 의학에서 과학으로 전향하여 팔라듐과 로듐을 발견하는 화학적 업적과 더불어 태양 스펙트럼 흑선 발견, 카메라 루시다와 윌러스턴 프리즘 발명 등 물리학 및 광학 분야에도 기여했으며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체계적인 발표 부족으로 덜 알려졌다.
  • 영국의 화학자 - 해럴드 크로토
    해럴드 크로토는 1996년 풀러렌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화학자로, 분광학, 양자화학, 천체화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으며 과학 교육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무신론자이자 인본주의자이다.
로버트 로빈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버트 로빈슨 유기 화학자
로버트 로빈슨
출생일1886년 9월 13일
출생지잉글랜드 더비셔주
사망일1975년 2월 8일
사망지잉글랜드 버킹엄셔주 그레이트미센던
국적영국
학력
모교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
지도 교수윌리엄 헨리 퍼킨 주니어
지도 학생에드워드 에이브러햄
아서 버츠
존 콘포스
윌리엄 세이지 랩슨
리타 해러던스
K. 벤카타라만
경력
주요 근무 기관시드니 대학교
리버풀 대학교
브리티시 다이스터프스 코퍼레이션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
런던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왕립 학회 회장1945년 - 1950년
이전헨리 할렛 데일 경
이후에드가르 에이드리언 남작
연구 분야 및 업적
분야유기화학
주요 업적유기합성 개발
화살표 밀기 (전자 밀도 이동 표기법)
생체 모방 합성
콜레스테롤 전합성
트로피논
로빈슨 고리화 반응
로빈슨-가브리엘 합성
앨런-로빈슨 반응
수상
수상 내역롱스태프 상 (1927년)
데비 메달 (1930년)
로열 메달 (1932년)
코플리 메달 (1942년)
노벨 화학상 (1947년)
프랭클린 메달 (1947년)
앨버트 메달 (왕립 예술 협회) (1947년)
패러데이 강연상 (1947년)

2. 생애

로버트 로빈슨은 1886년 잉글랜드 더비셔주에서 태어났다. 1912년 시드니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1915년에는 리버풀 대학교런던 대학교 교수를 거쳐 1930년부터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20년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45년부터 1950년까지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로버트 로빈슨은 1886년 잉글랜드 더비셔주에서 서지용품 제조자인 아버지 제임스 브래드버리 로빈슨과 어머니 제인 데이븐포트 사이에서 태어났다.[5] 그는 체스터필드 인근 더비셔의 러퍼드 하우스 농장에서 태어났다.[5]

로빈슨은 체스터필드 문법 학교와 사립 풀넥 학교에서 수학하였다.[7] 이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여 1905년에 이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7] 1907년에는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1851년 만국 박람회 왕립 위원회로부터 1851년 연구 펠로우십을 받았다.[7]

2. 2. 학문 경력

로버트 로빈슨은 1886년 잉글랜드 더비셔주에서 태어났다. 체스터필드 문법 학교와 사립 풀넥 학교를 졸업하고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여 1905년에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1907년에는 1851년 만국 박람회 왕립 위원회로부터 1851년 연구 펠로우십을 받아 모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7]

1912년 시드니 대학교 화학부의 초대 순수 및 응용 유기화학 교수로 임명되었다.[8] 이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1920–1922)를 거쳐 맨체스터 대학교 유기화학 교수로 재직했다. 1928년에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가 되었으나 2년 만에 옥스퍼드 대학교 웨인플리트 화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고, 매그달렌 칼리지의 펠로우가 되었다.

1920년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45년부터 1950년까지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34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국제 회원,[9] 1944년 미국 철학 학회 국제 회원,[10] 1948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국제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1]

옥스퍼드 과학 지구의 ''로빈슨 클로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12] 리버풀 대학교의 로버트 로빈슨 연구소, 맨체스터 대학교의 로버트 로빈슨 유기 화학 연구소,[13] 시드니 대학교의 로빈슨 및 콘포스 연구소도 마찬가지이다.

로빈슨은 아마추어 체스 선수로도 활동했다. 1944년 12월 블레츨리 파크 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옥스퍼드 대학교를 대표하여[14] I. J. 굿에게 패했다.[15]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영국 체스 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16] 레이몬드 에드워드와 함께 ''체스의 예술과 과학'' (Batsford, 1972)을 공동 집필했다.[17]

2. 3. 연구 활동

로버트 로빈슨은 1917년 트로피논(아트로핀과 벤즈트로핀의 전구체) 합성을 통해 알칼로이드 화학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으며, 원-팟 반응에서 탠덤 반응이 이환식 분자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8][19]

트로피논 합성


1923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연구하면서 벤젠의 기호로 가운데 원이 있는 형태를 고안했다.[20] 그는 전자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컬리 화살표 사용을 발명했으며,[21] 모르핀페니실린의 분자 구조를 발견했다.[22][23] 로빈슨 고리화 반응은 스테로이드의 총합성에 적용되었다.

에드워드 찰스 도즈와 함께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의 최초 합성에 관여했다.[24] 1946년에는 스트리크닌의 구조를 밝혀냈다.[25][26][27]

1957년, 로빈슨은 퍼가몬 출판사에서 다른 50명의 편집자들과 함께 학술지 ''테트라헤드론''을 창간했다. 그는 유기 전자론을 발전시켰고, 1917년 트로피논의 전합성을 보고했으며, 1935년 로빈슨 환화를 보고했다. 또한 스트리크닌, 니코틴, 모르핀 등의 구조 결정과 항말라리아제 개발에도 기여했다.

2. 4. 기타 활동

1920년에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45년부터 1950년까지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

2. 5. 개인사

로버트 로빈슨은 1886년 잉글랜드 더비셔주에서 서지용품 제조자인 아버지 제임스 브래드버리 로빈슨과 어머니 제인 데이븐포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체스터필드 인근 더비셔의 러퍼드 하우스 농장에서 자랐다.[5]

체스터필드 문법 학교와 사립 풀넥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여 1905년에 이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07년에는 1851년 만국 박람회 왕립 위원회에서 1851년 연구 펠로우십을 받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7]

체스 애호가로도 활동하여 1944년 12월 블레츨리 파크 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옥스퍼드 대학교를 대표하여 출전했으나, 컴퓨터 과학자 I. J. 굿에게 패배했다.[14][15]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영국 체스 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16] 레이몬드 에드워드와 함께 ''체스의 예술과 과학''(Batsford, 1972)을 공동 집필했다.[17]

1912년 거트루드 모드 왈시와 처음 결혼했고, 1954년 그녀가 사망한 후 1957년 실비아 힐스트롬(결혼 전 성은 허쉬)과 재혼했다.[28]

3. 주요 업적

로버트 로빈슨은 화학, 특히 유기 화학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그는 유기 전자론을 발전시켰고, 1935년 로빈슨 환화를 보고했다. 스트리크닌, 니코틴 등의 구조 결정에 기여했으며, 항말라리아제 개발에도 기여했다.

3. 1. 유기 화학 연구

1917년, 그는 트로피논(아트로핀과 벤즈트로핀의 전구체) 합성을 통해 알칼로이드 화학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원-팟 반응에서 탠덤 반응이 이환식 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8][19]

1923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연구하는 동안 벤젠의 기호로 가운데 원이 있는 형태를 고안했다.[20] 그는 전자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컬리 화살표 사용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1] 모르핀페니실린의 분자 구조를 발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22][23] 로빈슨 고리화 반응은 스테로이드의 총합성에 적용되었다.

에드워드 찰스 도즈와 함께, 로빈슨은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의 최초 합성에 관여하기도 했다.[24]

1946년, 그는 스트리크닌의 구조를 밝혀냈다.[25][26][27]

1957년, 로빈슨은 퍼가몬 출판사를 위해 다른 50명의 편집자들과 함께 학술지 ''테트라헤드론''을 창간했다. 로버트 로빈슨은 화학, 특히 유기 화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유기 전자론을 발전시켰다. 1917년에 트로피논의 전합성을 보고했으며, 1935년에 로빈슨 환화를 보고했다. 스트리크닌, 니코틴, 모르핀 등의 구조 결정에 기여했으며, 항말라리아제 개발에도 기여했다.

4. 수상 및 서훈

로버트 로빈슨은 1939년에 기사작위(Knight Bachelor)를 받았고[32], 1949년에는 메리트 훈장(OM)을 받았다[33]

4. 1. 수상

연도수상
1930년데비 메달
1930년프랭클린 메달
1930년베이커리안 메달
1932년로열 메달
1941년파라켈수스 메달
1942년코플리 메달
1947년노벨 화학상
1947년프랭클린 메달
1947년앨버트 메달
1949년공로 훈장
1953년프리스틀리 상
1957년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호프만 메달


4. 2. 서훈

연도내용
1939년기사작위(Knight Bachelor)[32]
1949년메리트 훈장(OM)[33], 공로 훈장
1930년프랭클린 메달, 베이커리안 메달
1932년로열 메달
1941년파라켈수스 메달
1942년코플리 메달
1947년프랭클린 메달, 앨버트 메달, 노벨 화학상
1953년프리스틀리 상
1957년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호프만 메달


참조

[1] 논문 The development of Sir Robert Robinson's contributions to theoretical organic chemistry
[2] 웹사이트 Some substituted peptides and Experiments with lysozyme http://solo.bodleian[...] University of Oxford 2017-06-03
[3] 웹사이트 Krishnaswami Venkataraman (1901–1981) http://www.insaindia[...] 2018-05-22
[4] 논문 Robert Robinson. 13 September 1886 – 8 February 1975
[5] 웹사이트 Former RSE Fellows 1783–2002 http://www.royalsoc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0-03-31
[6]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
[7] 문서 1851 Royal Commission Archives
[8]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 Chemistry - The University of Sydney http://www.chem.usyd[...]
[9] 웹사이트 Robert Robinson http://www.nasonline[...] 2023-04-06
[1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06
[11] 웹사이트 Robert Robinson https://www.amacad.o[...] 2023-04-06
[12] 웹사이트 Science Area http://www.ox.ac.uk/[...] www.ox.ac.uk 2009-06-12
[13] 문서 In Burlington Street and opened in 1950: Charlton, H. B. (1951) ''Portrait of a Universit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lan facing p. 172; since demolished.
[14] 서적 "Nicholas Metropolis (ed.), ''History of Computing in the Twentieth Century''; chapter ''Pioneering Work on Computers at Bletchley'' (I. J. Good), p38" https://books.google[...]
[15] 간행물 "'British Chess magazine', February 1945" https://books.google[...]
[16] 웹사이트 Nobel Prize bio https://www.nobelpri[...]
[17] 뉴스 Chemical and Engineering news http://pubs.acs.org/[...]
[18] 논문 LXIII. A Synthesis of Tropinone https://zenodo.org/r[...]
[19] 논문 Investigating a Scientific Legend: The Tropinone Synthesis of Sir Robert Robinson, F.R.S
[20] 논문 Polynuclear heterocyclic aromatic types. Part II. Some anhydronium bases 1925
[21] 논문 An explanation of the property of induced polarity of atoms and an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partial valencies on an electronic basis https://zenodo.org/r[...] 1922
[22] 논문 Constitution of codeine and thebaine 1925
[23] 논문 Sir Robert Robinson and the early history of penicillin
[24] 논문 Synthetic œstrogens in treatment
[25] 논문 The constitution of strychnine
[26] 논문 Strychnine and brucine. Part XLII. Constitution of the neo-series of bases and their oxidation products
[27] 논문 Constitution of Strychnine and the Biogenetic Relationship of Strychnine and Quinine
[28]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
[29] FRS Robinson; Sir; Robert (1886 - 1975) 2011-12-11
[30] 논문 The development of Sir Robert Robinson's contributions to theoretical organic chemistry
[31] 웹인용 Some substituted peptides and Experiments with lysozyme http://solo.bodleian[...] University of Oxford 2017-06-03
[32] 저널 https://www.thegazet[...]
[33] 저널 https://www.thegaz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