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베르 1세 드 모 백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 1세 드 모 백작은 920년, 915년 또는 910년 출생으로 추정되며, 베르망두아의 헤르베르트 2세와 프랑스의 로베르 1세의 딸 아델의 아들이다. 그는 헤르베르터 왕가 출신으로, 946년 모 백작이 되었고, 956년에는 트루아 백작이 되었다. 950년 부르고뉴의 아델라이드와 결혼하여 상파뉴 지방을 얻었으며, 959년 디종을 점령했으나, 로테르 3세와 오토 1세의 공격으로 디종을 반납해야 했다. 그는 966년 8월 29일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66년 사망 - 교황 베네딕토 5세
    교황 베네딕토 5세는 964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지만,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의 개입과 교황 레오 8세와의 갈등으로 폐위되어 유배 후 생을 마감한, 학자로서 명망 높았던 인물이다.
  • 966년 사망 - 산추 1세
    산초 1세는 10세기 중엽 레온 왕국의 국왕로, 비만과 귀족 반란으로 폐위 후 코르도바 칼리프국 지원으로 복위했으나 불안정한 통치 끝에 사망했으며, 산 펠라요 수도원을 건립하고 산 이시도로 데 레온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 920년 출생 - 유분
    남한의 제2대 황제인 유분은 유암의 셋째 아들로, 재위 기간 동안 국정을 소홀히 하여 동생 유홍희에게 암살당해 남한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 920년 출생 - 루도비쿠스 4세 트란스마리누스
    샤를 3세의 아들 루도비쿠스 4세 트란스마리누스는 아버지의 폐위 후 잉글랜드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 위그 르 그랑의 초청으로 서프랑크 왕국의 왕이 되었으나, 그의 치세는 위그 르 그랑과의 권력 투쟁과 왕권 강화 노력으로 특징지어진다.
  • 백작 - 백국
  • 백작 - 방백
    방백은 고대 중국에서 제후의 장을 지칭하거나 신성 로마 제국에서 공작에 준하는 작위를 가진 귀족을 의미한다.
로베르 1세 드 모 백작
인물 정보
이름로베르 드 ヴェルマンドワ
작위모 백작
작위 계승 정보
이전기젤베르 드 부르고뉴
이후에르베르 3세 드 모
통치 기간946년–966년
이전에르베르 2세 드 ヴェルマンド와
이후에르베르 3세 드 모
통치 기간956년–966년
가문
가문카롤링거 왕조
아버지에르베르 2세 드 ヴェルマンド와
어머니아델 드 프랑스
결혼 및 자녀
배우자아델라이스 웨라
자녀에르베르 3세 드 모
아델 드 모
생애
출생일931년 이전
사망일966년 6월 이후

2. 생애

로베르는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와 그의 아내이자 프랑스의 로베르 1세의 딸인 아델의 아들이었다. 그는 946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모 백작이 되었으며, 956년에는 트루아 백작 지위도 얻었다. 959년에는 부르고뉴디종을 점령하기도 했으나, 이듬해 서프랑크의 로테르 왕과 신성 로마 제국의 오토 1세의 공격을 받고 물러나야 했다.[2] 로베르가 967년경 사망하자 그의 아들 모의 에르베르 3세가 트루아와 모 백작 자리를 계승했다.

2. 1. 출생과 가계

출생 연도는 정확하지 않아 920년생, 915년생, 910년생 등의 여러 설이 존재한다. 940년 7월경 작성된 아버지 헤르베르트 2세 관련 문서에 따르면, 그는 아버지의 다섯 번째 아들이었다.

로베르 1세는 카롤링거 왕가의 분가인 헤르베르터 왕가 출신이다. 그는 피피노 카를로만의 4대손인 베르망두아 백작 헤르베르트 2세와, 로베르 가문 출신으로 서프랑크의 국왕이었던 로베르 1세의 딸 아델라 드 로베르티엥(Liégarde)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고조부인 베른하르트는 삼촌인 경건왕 루이의 상속령에 반기를 들었다가 사로잡혀 장님이 되었고,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또한 증조부인 피핀 2세는 베른하르트의 서자였기 때문에 왕위 계승권과는 거리가 멀었다.

로베르 1세의 어머니 아델라는 그에게 고종사촌 누나가 된다. 이는 로베르 1세의 외할머니 베아트릭스가 그의 친할아버지인 베르망두아 백작 헤르베르트 1세의 딸이었기 때문으로, 결국 어머니 아델라는 자신의 친외삼촌과 결혼한 셈이다.

로베르는 946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모 백작위를 계승했으며, 956년에는 트루아 백작이 되었다. 그의 아들인 모의 에르베르 3세는 로베르가 사망한 967년경에 트루아와 모 백작 자리를 이어받았다.

2. 2. 초기 활동

로베르는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와 그의 아내이자 로베르 1세 국왕의 딸인 아델의 아들이었다. 그의 외할아버지인 로베르 1세의 다른 딸 기셀라의 남편은 부르고뉴의 라울로, 로베르에게는 이모부가 된다.

940년 로베르의 아버지 헤르베르트 2세는 로베르티엥 가문의 편에 섰으며, 단순왕 샤를 3세를 투옥시키고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했다. 이 때문에 로베르는 아버지가 사형당할 경우를 대비하여 형제들과 영토 분할을 준비했다. 943년 2월 23일, 아버지 헤르베르트 2세가 모반죄로 투옥되었다가 처형당하자 로베르는 피신했다. 이후 946년 형제들과 유산을 분할하여 모우(Meaux) 백작령을 차지했다. 당시 형제들의 유산 상속이 확정되지 않아, 사촌이자 외삼촌인 위그 르 그랑이 개입하여 그의 지도하에 유산이 분배되었다.

950년 로베르는 부르고뉴 백작 겸 살롱 쉬르 손 백작, 트루아 백작인 기셀베르트 드 샬롱(Giselbert de Chalon)과 디종의 이르멘가르드(Ermengarde)의 딸 아델라이드 베라(Adélaïde Werra) 드 트루아와 결혼했다.[5] 이 결혼을 통해 그는 상파뉴 지방을 양도받았다. 956년 장인 기셀베르트 드 샬롱이 사망하자, 로베르는 트루아 백작령과 백작 작위를 물려받았다.

955년 로베르는 카페 가문의 위그 르 그랑의 가신이 되었다. 그는 자신의 처형인 리우트가르트를 위그 르 그랑의 아들 부르군트의 오토와 결혼시키는 것을 주선하기도 했다.

959년 로베르는 갑자기 부르군트를 공격하여 디종디종 주교령을 차지하고, 디종 주교를 감금했다가 추방했다. Richeri Historiarum에 따르면, 그는 디종 지역을 공격하기 전에 주지사를 뇌물로 매수했다고 한다. 같은 기록에 따르면 960년 로베르는 쾰른의 주교가 이끄는 2천 명의 병력에게 공격받았다고 한다. 결국 960년 서프랑크의 왕 로테르 3세와 독일의 오토 1세의 연합군이 쳐들어오자 디종 지역을 반납해야 했다.[2]

로베르는 966년 8월 29일에 상파뉴 혹은 아키텐에서 사망했다고 전해지나, 967년 또는 968년 사망설도 있다. 그는 만느-에뜨-르와레(Maine-et-Loire)의 생뜨 오방(Saint-Aubin)에 매장되었다. 그의 아들 모의 에르베르 3세는 로베르가 사망한 약 967년에 트루아와 모 백작 자리를 계승했다.

2. 3. 디종 공격과 패배

959년 로베르는 부르군트를 공격하여 디종과 그 주교령을 점령하고, 디종의 주교를 감금한 뒤 추방했다. Richeri Historiarum 기록에 따르면, 그는 디종을 공격하기 전에 주지사를 뇌물로 매수했으며, 960년에는 쾰른의 주교가 이끄는 2천 명의 병력에게 공격받기도 했다고 한다. 같은 해 서프랑크의 왕 로테르 3세와 독일의 오토 1세가 이끄는 연합군의 공격을 받자, 결국 디종 지역을 반납하고 굴복했다.[2]

3. 가족 관계

950년 부르군트의 아델라이드와 결혼했다. 장인 길베르 드 샬롱은 부르고뉴 공작으로, 트루아, 부르고뉴, 오툉, 본(Beaune) 등의 영지를 소유했다. 로베르 1세의 부인 아델라이드는 아버지로부터 트루아를 상속받았다.


  • 할아버지 : 헤르베르트 1세
  • 아버지 : 헤르베르트 2세
  • 어머니 : 아델라 드 서프랑크, 로베르 1세의 딸
  • 외할아버지 : 로베르 1세, 로베르티앙 가문
  • * 외삼촌 : 위그 르 그랑, 위그 카페의 아버지
  • * 이모 : 엠마
  • * 이모부 : 라울, 대머리 카를 2세의 후처 리첼다의 친정조카
  • * 외종조부 : 외드, 서프랑크 국왕
  • 형 : 외드 베르망두아 (915년 ~ 946년 6월 19일)
  • 형 : 아달베르트 1세
  • 누나 : 아델라 드 베르망두아
  • 매부 : 아르눌프 1세, 플랑드르 백작
  • 형 : 헤르베르트 3세, 별칭은 장로(the old)
  • 여동생 : 리우트가르트 (914년 - 978년 2월 9일)
  • 매부 : 윌리엄 1세 롱스워드, 그의 큰아버지 피핀 3세의 딸 발루아의 포파의 아들, 자녀 없음
  • 매부 : 블루아의 테오도발트 1세
  • 부인 : 아델라이드 드 트루아 (Adélaïde Werra, 914년–967년)
  • 장인 : 길베르 드 샬롱 (890년경 - 956년), 부르고뉴 공작
  • 장모 : 이르멘가르트 (883년경 - 935년 이후)
  • 자녀
  • * 아들 : 헤르베르트 4세 (945년/950년경 - 995년/996년), 트루아, 백작 겸 오모이 백작
  • * 딸 : 아델라 드 모 (Adele of Meaux, 950년경 - 974년/984년 3월 6일)
  • ** 사위 : 샬롱의 람베르트 (첫 남편)
  • ** 사위 : 제프리 1세 회색드레스 공작 (? - 987년 7월 21일), 아델라의 두 번째 남편

외손자 : 풀크 3세, 앙주 백작[6]

  • * 딸 : 아델하이스 (Adelhais of Meaux, 언니 아델라와 같은 이름, ? - 991년 사망)
  • ** 사위 : 샤를, 하로렌 공작[7]

외손자 : 오토 (? - 1012년), 하로렌 공작
외손자 : 외드 (? - 1012년), 하로렌 공작, 대머리 카를 2세 계열의 마지막 남자 후손

  • * 아들 : 아치볼드 (Arcibaldo, ? - 968년 8월 29일), 상스 주교. 959년 상스 주교에 임명되었으나 968년 9월 29일 사망하여 성 베드로 수도원에 묻혔다.
  • * 아들 : 아르눌프 (Arnulf, 940년 ~ ?)

참조

[1] 서적 La préhistoire des Capétiens (481-987) P. Van Kerrebrouck 1993
[2] 서적 La préhistoire des Capétiens (481-987) P. Van Kerrebrouck 1993
[3] 간행물 Europäische Stammtafeln: Stammtafeln zur 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aten J. A. Stargardt 1984
[4] 논문 Fulk Nerra, the Neo-Roman Consul
[5] 문서
[6] 문서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