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96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60년은 후주, 북송, 요나라, 고려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한 해이다. 북송이 건국되었고, 고려 광종이 준풍을 건원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북송의 건국, 비잔틴 제국과 하마단군의 전투, 악숨 왕국의 멸망 등이 일어났다. 이 해에는 15명의 인물이 태어났고, 후지와라노 모로스케 등 20명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960년
960년
주요 사건폴란드미에슈코 1세기독교로 개종하다.
송나라의 조광윤이 후주의 공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개봉에서 즉위하고 송나라를 건국하다. (태조 건륭 원년)
탄생
날짜 미상굴리엘모 5세, 아키텐 공작 (1030년 사망)
4월 29일가르시아 산체스 2세, 나바라 왕국 왕 (999년 사망)
사망
날짜 미상에드윈, 에식스 왕

2. 연호

3. 기년

4. 사건

960년은 세계사적으로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난 해이다.

4. 1. 동아시아

2월 4일 - 조광윤이 카이펑에서 송 왕조를 세우고, '''송 태조'''로 불리는 첫 번째 황제가 되었다. 그는 다른 영토를 정복하여 제국을 통일하기 시작했다. 송나라는 300년 이상(1279년까지) 중국 북부를 통치할 것이다.

4. 2. 유럽


  • 여름 – 비잔틴 함대가 니케포로스 포카스의 지휘 아래 크레타에 상륙했다. 니케포로스는 무슬림 저항 세력을 격파하고 수도 찬다크스에서 공방전을 시작했다.[1]
  • 11월 8일 – 안드라소스 전투: 레오 포카스 더 영거가 이끄는 비잔틴군이 하마단군을 소아시아 남부(현대 터키)의 킬리키아 산길에서 매복하여 격파했다. 에미르 사이프 알-다울라는 간신히 탈출하여 알레포로 돌아갔다.[1]
  • 미에슈코 1세는 대폴란드의 공작(실질적인 통치자)이 되었다. 미에슈코는 그의 지배하에 있는 인접 부족들을 계속 정복했다.[2]
  • 하랄드 블루투스는 윌란 반도와 셸란에 대한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그는 기독교를 받아들여 옐링 비문에 조각된 돌을 세웠다. 여기에는 룬 문자 비문과 얽힌 문양으로 둘러싸인 예수의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2]
  • 6/7월 – 이탈리아의 아달베르토 2세는 이탈리아의 베렝가리오 2세 왕의 공동 통치자이자 아들로, 토스카나의 휴 공작의 지원을 받아 교황 요한 12세 치하의 교황령을 침략했다. 롬바르디아군이 로마로 접근하자 교황 사절단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 ('''대제''')에게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 가을 – 오베르토 1세는 독일로 피신했다. 그는 영향력 있는 이탈리아 지도자들과 함께 오토 1세의 작센 궁정을 방문하여 이탈리아 왕국(신성 로마 제국)에 개입하여 베렝가리오 2세로부터 그를 보호했다.
  • 노르망디의 리처드 1세는 노르망디 공국의 공작으로 파리의 엠마와 결혼했다. 그녀는 전 프랑크 공작 위그 르 그랑의 딸이다. 이 결혼은 그에게 카페 왕가에 대한 영구적인 지위를 부여했다.
  • 던스턴은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팔리움을 받았다. 그는 수도원을 개혁하고 성 베네딕토의 규칙을 시행했다.

4. 3. 아프리카

악숨 왕국(오늘날의 에리트레아)은 구딧 여왕의 지휘 아래 베타 이스라엘 침략자들에 의해 멸망했다.[1]

5. 탄생


  • 아부 나스르 만수르, 페르시아의 수학자 (대략적인 연도)
  • 아모인, 프랑스 출신 수도사이자 연대기 작가 (대략적인 연도)
  • 아르눌프 2세 ('''젊은이'''), 프랑크족 귀족 (또는 961년)
  • 바그라트 3세, 압하지아 (조지아)의 국왕 (사망 1014년)
  • 베른바르트, 힐데스하임의 주교 (대략적인 연도)
  • 콘스탄티누스 8세, 비잔틴 황제 (사망 1028년)
  • 에카르트 1세, 독일 귀족 (대략적인 연도)
  • 판관, 중국 산수화 화가 (대략적인 연도)
  • 게르솜 벤 유다, 독일 랍비 (대략적인 연도)
  • 고름플라트 인겐 무르차다, 아일랜드 여왕 (사망 1030년)
  • 고트하르트, 힐데스하임 주교 (사망 1038년)
  • 휴 3세, 프랑스 귀족 (대략적인 연도)
  • 인드라 팔라, 카마루파 (인도)의 국왕 (사망 990년)
  • 이씨, 송나라 황후 (사망 1004년)
  • 마조, 중국 어부의 딸이자 도교 여신으로 숭배됨 (대략적인 연도)
  • 샤라프 알-다울라, 부이 왕조 아미르, 케르만과 파르스 (대략적인 연도)
  • 시구르드 스투트, 바이킹 귀족 (백작) (대략적인 연도)
  • 스베인 포크비어드, 덴마크잉글랜드의 국왕 (사망 1014년)
  • 쉬유, 남당의 관료이자 궁중 대신
  • 엔쿠, 헤이안 시대승려 (사망 1039년)
  • 가쿠초, 헤이안 시대의 덴다이종 승려 (사망 1034년)
  • 성종, 제6대 고려 국왕 (사망 997년)
  • 지리, 북송의 톈타이종산가파의 승려 (사망 1028년)
  • 테오파노,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오토 2세의 황후 (사망 991년)

6. 사망


  • 5월 31일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 일본의 정치가 (909년 출생)[1]
  • 6월 7일 (덴토쿠 4년 5월 6일)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 헤이안 시대의 공경 (* 908년)
  • 6월 15일 - 윈체스터의 에드버, 잉글랜드 공주이자 성녀[2]
  • 6월 23일 - 펑옌지, 남당의 재상 (903년 출생)
  • 8월 12일 - 이기, 후저우의 재상 (903년 출생)
  • 에일프릭, 헤리퍼드 교구의 주교 (추정)
  • 베르망두아의 아델, 프랑크 귀족 여성
  • 아스타라크의 아르놀 1세, 프랑크 귀족
  • 데인의 버나드, 바이킹 귀족 (추정)
  • 체슬라프, 세르비아 공국의 공작 (추정)
  • 에마누엘 1세,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총대주교
  • 풀크 2세 ('''선량공'''), 프랑크 귀족
  • 가오바오롱, 징난(십국 시대)의 왕 (920년 출생)
  • 가오 바오룽, 십국·형남의 제3대 군주 (* 920년)
  • 게오르기 2세, 압하지아(조지아)의 왕
  • 고팔라 2세, 팔라 제국(인도)의 통치자
  • 관동, 중국의 산수화 화가
  • 유스탄 1세 이븐 마르주반, 살라리드 왕조의 통치자
  • 라첸 팔기공, 마유(티베트)의 왕
  • 머차드 맥 아오다, 위 마인(아일랜드)의 왕
  • 라트나 팔라, 카마루파(인도)의 왕 (920년 출생)
  • 시에모미슬, 피아스트 왕조(폴란드)의 공작
  • 윌리엄 가르세스, 프랑크 귀족
  • 옐뤼 리후, 거란 제국의 왕자 (911년 출생)
  • 3월 - 후지와라노 오키카타, 헤이안 시대의 관인 (* 생년 미상)

참조

[1] 서적 Byzantium Triumphant Pen and Sword Books 2015
[2] 서적 History of Poland: Old Poland, King Mieszko I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