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어링 포티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어링 포티즈'는 남위 40도 부근에서 부는 강한 편서풍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지역은 넓은 해역으로 인해 바람의 속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며, 범선 시대에는 이 바람을 이용하여 항해 시간을 단축했다. 오존층 파괴와 온실 가스 배출로 인해 바람의 최대 강도가 남쪽으로 이동하는 등 기후 변화와도 관련이 있으며, 영화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2. 역학

뉴질랜드 쿡 해협의 '로어링 포티즈'는 높은 파도를 만들어내며, 이 이미지처럼 해안을 침식시킨다.


더운 공기는 적도에서 상승하고, 적도를 향해 이동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극지방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는 해들리 순환이라고 알려진 대기 순환 특징이다.[2] 약 남위 30°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낮은 고도로 내려가 지표면 가까이에서 극지방으로 계속 이동하다가(페렐 순환), 남위 60° 부근에서 다시 상승하여 극 소용돌이에 합류한다.[2] 이 남위 30°~60° 구역에서의 이동은 지구의 자전과 결합하여 공기 흐름을 서에서 동으로 이동시켜 편서풍을 생성한다.[2]

남위 40° 이남의 광활한 대양은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그리고 남아메리카 남부 지역에 의해서만 방해받는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작은 장애물들은 남쪽 해안을 따라 광활한 열린 수역에 접해 있으며,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큰 대륙이 전 지구적 편서풍의 흐름을 방해하는 북위 40° 부근보다 훨씬 높은 풍속을 발생시킨다.[2]

'로어링 포티즈' 및 유사한 바람의 위도 범위는 일정하지 않으며, 남반구 여름에는 남극 쪽으로, 남반구 겨울에는 적도 쪽으로 모두 이동한다.[2] 뉴질랜드의 수도인 웰링턴은 이러한 강풍이 부는 위도에 위치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바람 부는 웰리"로 알려져 있다.[6]

적도 부근에서 데워져 상승한 공기는 극지방에서 적도 부근으로 이동해 온 차가운 공기에 밀려 극지방으로 향한다. 이것이 해들리 순환이라고 불리는 대기 순환이다.[10] 적도 부근에서 극지방으로 향하는 공기는 위도 30도 부근에서 하강하며, 거기에서부터 지표면 가까이를 지나면서 계속해서 극지방으로 향하지만 (페렐 순환), 위도 60도 부근에서 극 소용돌이의 영향을 받아 다시 상승한다.[10] 이 위도 30~60도 부근에서의 대기 순환과 지구의 자전이 결합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 즉 편서풍이 발생한다.[10]

북반구와는 달리 남반구의 위도 40도대는 태즈메이니아 섬이나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대륙 남부를 제외하면 넓은 면적이 열린 대양으로 이루어져 있어, 남미 남부에서는 매우 빠른 바람인 "로어링 포티스"가 불어온다.[10] 더욱 남극 대륙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더 강한 바람이 불어와, '''퓨리어스 피프티스'''(Furious Fifties, 남위 50도~60도대), '''쉬리킹 식스티스'''(Shrieking Sixties, 남위 60도 이상. "스크리밍 식스티스"(Screaming Sixties)라고도 함[11])라고 불린다.[12] 로어링 포티스, 퓨리어스 피프티스, 쉬리킹 식스티스의 위도는 일정하지 않고, 남반구가 여름일 때는 남극에 가까워지고 겨울에는 적도에 가까워진다.[10]

2. 1. 대기 순환



더운 공기는 적도에서 상승하고, 적도를 향해 이동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극지방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는 해들리 순환이라고 알려진 대기 순환 특징이다.[2] 약 남위 30°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낮은 고도로 내려가 지표면 가까이에서 극지방으로 계속 이동하다가(페렐 순환), 남위 60° 부근에서 다시 상승하여 극 소용돌이에 합류한다.[2] 이 남위 30°~60° 구역에서의 이동은 지구의 자전과 결합하여 공기 흐름을 서에서 동으로 이동시켜 편서풍을 생성한다.[2]

남위 40° 이남의 광활한 대양은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그리고 남아메리카 남부 지역에 의해서만 방해받는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작은 장애물들은 남쪽 해안을 따라 광활한 열린 수역에 접해 있으며,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큰 대륙이 전 지구적 편서풍의 흐름을 방해하는 북위 40° 부근보다 훨씬 높은 풍속을 발생시킨다.[2][10] 더욱 남극 대륙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더 강한 바람이 불어와, '''퓨리어스 피프티스'''(Furious Fifties, 남위 50도~60도대), '''쉬리킹 식스티스'''(Shrieking Sixties, 남위 60도 이상. "스크리밍 식스티스"(Screaming Sixties)라고도 함[11])라고 불린다.[12] '로어링 포티즈' 및 유사한 바람의 위도 범위는 일정하지 않으며, 남반구 여름에는 남극 쪽으로, 남반구 겨울에는 적도 쪽으로 모두 이동한다.[2][10] 뉴질랜드의 수도인 웰링턴은 이러한 강풍이 부는 위도에 위치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바람 부는 웰리"로 알려져 있다.[6]

2. 2. 편서풍 발생



적도 부근에서 데워져 상승한 공기는 극지방에서 적도 부근으로 이동해 온 차가운 공기에 밀려 극지방으로 향한다. 이것이 해들리 순환이라고 불리는 대기 순환이다.[10] 적도 부근에서 극지방으로 향하는 공기는 위도 30도 부근에서 하강하며, 거기에서부터 지표면 가까이를 지나면서 계속해서 극지방으로 향하지만 (페렐 순환), 위도 60도 부근에서 극 소용돌이의 영향을 받아 다시 상승한다.[10] 이 위도 30~60도 부근에서의 대기 순환과 지구의 자전이 결합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 즉 편서풍이 발생한다.[10]

북반구와는 달리 남반구의 위도 40도대는 태즈메이니아 섬이나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대륙 남부를 제외하면 넓은 면적이 열린 대양으로 이루어져 있어, 남미 남부에서는 매우 빠른 바람인 "로어링 포티스"가 불어온다.[10] 더욱 남극 대륙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더 강한 바람이 불어와, '''퓨리어스 피프티스'''(Furious Fifties, 남위 50도~60도대), '''쉬리킹 식스티스'''(Shrieking Sixties, 남위 60도 이상. "스크리밍 식스티스"(Screaming Sixties)라고도 함[11])라고 불린다.[12] 로어링 포티스, 퓨리어스 피프티스, 쉬리킹 식스티스의 위도는 일정하지 않고, 남반구가 여름일 때는 남극에 가까워지고 겨울에는 적도에 가까워진다.[10]

2. 3. 위도 변화



더운 공기는 적도에서 상승하고, 적도를 향해 이동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극지방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는 해들리 순환이라고 알려진 대기 순환 특징이다.[2] 약 남위 30°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낮은 고도로 내려가 지표면 가까이에서 극지방으로 계속 이동하다가(페렐 순환), 남위 60° 부근에서 다시 상승하여 극 소용돌이에 합류한다.[2] 이 남위 30°~60° 구역에서의 이동은 지구의 자전과 결합하여 공기 흐름을 서에서 동으로 이동시켜 편서풍을 생성한다.[2]

남위 40° 이남의 광활한 대양은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그리고 남아메리카 남부 지역에 의해서만 방해받는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작은 장애물들은 남쪽 해안을 따라 광활한 열린 수역에 접해 있으며,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큰 대륙이 전 지구적 편서풍의 흐름을 방해하는 북위 40° 부근보다 훨씬 높은 풍속을 발생시킨다.[2]

'로어링 포티즈' 및 유사한 바람의 위도 범위는 일정하지 않으며, 남반구 여름에는 남극 쪽으로, 남반구 겨울에는 적도 쪽으로 모두 이동한다.[2] 뉴질랜드의 수도인 웰링턴은 이러한 강풍이 부는 위도에 위치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바람 부는 웰리"로 알려져 있다.[6]

3. 항해

클리퍼 항로 - 로어링 포티즈를 활용하기 위해 유럽에서 호주로 항해하는 배들이 이용한 항로


범선 시대 동안, 유럽에서 동인도 또는 오스트랄라시아로 향하는 배들은 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내려가 희망봉을 돌아 로어링 포티즈를 이용하여 인도양을 빠르게 횡단한 다음, 귀항 시에는 태평양을 동쪽으로 건너 케이프 혼 남쪽을 지나 아메리카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본국으로 돌아갔다.[7][13]

이 항로는 1611년 헨드릭 브라우어가 발견한 브라우어 항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는 유럽에서 자바까지의 항해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했다. "To run the easting down"(동쪽으로 항해하다)은 로어링 포티즈에서 이루어진 빠른 항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 구절이었다.[7][14] 샬리마르의 단편 소설 ''Easting Down''은 이러한 위도에서 더 빠른 항해를 시도하다가 불행한 사건을 겪는 증기선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8]

현대의 세계 일주 항해자들 또한 여행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로어링 포티즈를 활용하며, 특히 세계 일주 항해 기록에 도전하거나 경주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그렇다.[7][14] 옛 뱃사람들의 표현에는 "남위 40도 아래에는 법이 없고, 남위 50도 아래에는 신도 없다"라는 말이 있다.[6]

3. 1. 범선 시대



범선 시대 동안, 유럽에서 동인도 또는 오스트랄라시아로 향하는 배들은 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내려가 희망봉을 돌아 로어링 포티즈(Roaring Forties)를 이용하여 인도양을 빠르게 횡단한 다음, 귀항 시에는 태평양을 동쪽으로 건너 케이프 혼 남쪽을 지나 아메리카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본국으로 돌아갔다.[7][13]

이 항로는 1611년 헨드릭 브라우어가 발견한 브라우어 항로(Brouwer Route)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는 유럽에서 자바까지의 항해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했다. "To run the easting down"(동쪽으로 항해하다)은 로어링 포티즈(Roaring Forties)에서 이루어진 빠른 항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 구절이었다.[7][14] 샬리마르(Frank Coutts Hendry)의 단편 소설 ''Easting Down''은 이러한 위도에서 더 빠른 항해를 시도하다가 불행한 사건을 겪는 증기선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8]

현대의 세계 일주 항해자들 또한 여행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로어링 포티즈(Roaring Forties)를 활용하며, 특히 세계 일주 항해 기록(around the world sailing record)에 도전하거나 경주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그렇다.[7][14] 옛 뱃사람들의 표현에는 "남위 40도 아래에는 법이 없고, 남위 50도 아래에는 신도 없다"라는 말이 있다.[6]

3. 2. 현대

범선 시대 동안, 유럽에서 동인도 또는 오스트랄라시아로 향하는 배들은 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내려가 희망봉을 돌아 로어링 포티즈를 이용하여 인도양을 빠르게 횡단했다.[7] 귀항 시에는 태평양을 동쪽으로 건너 케이프 혼 남쪽을 지나 아메리카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본국으로 돌아갔다.[7]

이 항로는 1611년 헨드릭 브라우어가 발견한 브라우어 항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는 유럽에서 자바까지의 항해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했다. "To run the easting down"(동쪽으로 항해하다)은 로어링 포티즈에서 이루어진 빠른 항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 구절이었다.[7] 샬리마르의 단편 소설 ''Easting Down''은 이러한 위도에서 더 빠른 항해를 시도하다가 불행한 사건을 겪는 증기선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8]

현대의 세계 일주 항해자들 또한 여행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로어링 포티즈를 활용하며, 특히 세계 일주 항해 기록에 도전하거나 경주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그렇다.[7] 옛 뱃사람들의 표현에는 "남위 40도 아래에는 법이 없고, 남위 50도 아래에는 신도 없다"라는 말이 있다.[6]

4. 환경

로어링 포티스를 항해하는 배


20세기 후반에 인간이 유발한 오존층 파괴와 온실 가스 배출의 결합으로 인해 바람의 최대 강도가 약 2.5도 정도 남쪽으로 이동했다.[1] 이로 인해 호주 남부 대부분 지역(특히 겨울)에서 더 빠른 온난화가 발생했으며, 서호주에서는 강수량이 감소했다.[1]

4. 1. 오존층 파괴 및 온실 가스

20세기 후반에 인간이 유발한 오존층 파괴와 온실 가스 배출의 결합으로 인해 바람의 최대 강도가 약 2.5도 정도 남쪽으로 이동했다.[1] 이로 인해 호주 남부 대부분 지역(특히 겨울)에서 더 빠른 온난화가 발생했으며, 서호주에서는 강수량이 감소했다.[1]

4. 2. 더불어민주당 관점

5. 대중문화

1982년 프랑스 영화감독 크리스티앙 드 샤롱주는 1969년 선데이 타임스 골든 글로브 레이스에서 사망한 영국인 선원 도널드 크로우허스트의 죽음에서 영감을 얻은 드라마 영화 ''로어링 포티즈''를 연출했다.[9]

5. 1. 영화

1982년 프랑스 영화감독 크리스티앙 드 샤롱주는 1969년 선데이 타임스 골든 글로브 레이스에서 사망한 영국인 선원 도널드 크로우허스트의 죽음에서 영감을 얻은 드라마 영화 ''로어링 포티즈''를 연출했다.[9]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Roaring Forties' shift south means more droughts for southern Australia https://www.theguard[...] 2014-05-12
[2] 웹사이트 Roaring forties https://abc.net.au/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1-04-07
[3] 웹사이트 Wind turbine https://www.roaring4[...]
[4] 간행물 Deploying a submarine seismic observatory in the Furious Fifties https://trove.nla.go[...]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24-02-07
[5] 뉴스 Perilous Tow for Polar Ship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24-02-07
[6] 웹사이트 What are the Roaring Forties? https://www.surferto[...] 2023-12-18
[7] 백과사전 Roaring Forties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14
[8] 서적 The Oxford book of sea stori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Les 40e RUGISSANTS (1982) http://ftvdb.bfi.org[...]
[10] 웹사이트 Roaring forties http://www.abc.net.a[...] ABC Science 2011-04-07
[11] 학술저널 南大洋での研究航海中に遭遇した氷山とクジラ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12] 웹사이트 Exploring the Southern Ocean http://www.ecophotoe[...] Eco-Photo Explorers 2011-04-07
[13] 백과사전 Roaring Forties http://www.oxfordref[...] Oxford Reference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14
[14] 백과사전 Run the easting down, to http://www.oxfordref[...] Oxford Reference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