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쿡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쿡 해협은 뉴질랜드 북섬과 남섬 사이의 해협으로, 마오리 신화에서는 항해사 쿠페가 발견했다고 전해진다. 1642년 아벨 타스만이 만으로 오인했지만, 1769년 제임스 쿡에 의해 해협임이 확인되었다. 19세기 초에는 고래 이동 경로로 포경업자들이 기지를 세웠으며, 1866년에는 남섬과 웰링턴을 연결하는 전신 케이블이 부설되었다. 펠로러스 잭이라는 돌고래가 배를 호위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해안 요새가 건설되기도 했다. 현재는 페리 서비스가 운행되며, 수영으로 횡단하는 기록도 있다. 지리적으로는 좁은 지점이 약 22km이며,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해협 - 포보 해협
    포보 해협은 뉴질랜드 남섬과 스튜어트 섬 사이에 위치하며, 쿡 선장에 의해 발견되었고, 혹독한 기후와 거친 해상 상태를 보이며, 블러프 굴 어업과 페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쿡 해협
위치 정보
위치뉴질랜드
좌표41°13′46″S 174°28′59″E
설명북섬남섬을 분리하는 해협
위성에서 본 쿡 해협, 뉴질랜드의 북섬과 남섬이 이미지 양쪽에 보임
센티널-2 미션에서 촬영한 쿡 해협 위성 사진
쿡 해협의 위치를 보여주는 뉴질랜드 지도
쿡 해협
기본 정보
다른 이름테 모아나오라우카와 (마오리)
최소 너비22km
깊이128m
해협뉴질랜드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Te Moana-o-Raukawa (테 모아나오라우카와)
설명라우카와의 바다
최소 너비24.5km
외부 미디어

2. 역사

마오리 전설에 따르면, 쿡 해협은 항해사 쿠페가 테 헤케-아-무투랑가이라는 거대한 문어를 쫓다가 발견했다. 쿠페는 이 문어를 토리 채널이나 파테아에서 처치했다.[5]

펠로러스 잭


1642년 네덜란드 탐험가 아벨 타스만은 쿡 해협을 동쪽으로 막힌 만이라고 생각하여 ''제이하엔 만''이라고 명명했다. 1769년 제임스 쿡이 항해 가능한 해협임을 확인했다.

쿡 해협은 고래 이동 경로였기 때문에 19세기 초 유럽 정착민들을 끌어들였다. 포경업자들은 말버러 사운즈와 카피티 지역에 기지를 설립했다.[6][7] 182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아라파오아 섬은 포경 기지였으며, 섬 동쪽 해안의 페라노 헤드는 주요 포경 기지였다.[8]

1820년대 테 라우파라하는 마오리족의 쿡 해협 지역 이주, 정복, 정착을 이끌었다. 1840년부터는 웰링턴, 넬슨, 왕가누이(페트레)에 영구적인 정착촌이 생겨났다.

1866년, 남섬 전신 시스템을 웰링턴에 연결하는 최초의 전신 케이블이 부설되었다.[9][10]

1888년부터 1912년까지 리스소 돌고래인 펠로러스 잭은 쿡 해협을 지나는 배를 호위하는 것으로 유명해졌다. 펠로러스 잭은 웰링턴과 넬슨 사이 수로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며, 암살 미수 사건 이후 1904년 뉴질랜드 법에 의해 보호받았다.

뉴질랜드 침략 우려 시기에 쿡 해협 방어를 위해 다양한 해안 요새가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라이트 힐에 23cm 함포가 설치되었고, 웰링턴 주변, 마카라 해안, 말버러 사운즈 입구를 따라 15cm 함포 설치가 13곳 건설되었다.

펜캐로 헤드 등대는 뉴질랜드 최초의 상설 등대였으며, 첫 등대지기인 메리 제인 베넷은 뉴질랜드 역사상 유일한 여성 등대지기였다.

쿡 해협에서는 많은 배들이 침몰하여 상당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주요 침몰 사고로는 1851년 ''마리아''호,[11] 1865년 ''시티 오브 더니딘''호,[12] 1869년 ''세인트 빈센트''호,[11] 1884년 ''라스팅햄''호,[13] 1909년 펭귄호,[14] 1968년 와히네호 등이 있다.

확대도

2. 1. 마오리 전설

마오리 전설에 따르면, 쿡 해협은 위대한 항해사 쿠페가 자신의 카누를 타고 거대한 문어 테 헤케-아-무투랑가이를 쫓아가다가 발견했다고 한다.[5] 쿠페는 이 문어를 토리 해협이나 파테아에서 처치했다.

2. 2. 유럽인의 탐험과 정착

1642년 네덜란드 탐험가 아벨 타스만은 쿡 해협을 동쪽으로 막힌 만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이 곳을 자신의 탐험선 중 하나인 ''제이하엔''의 이름을 따서 ''제이하엔 만''이라고 명명했다.[5] 1769년 제임스 쿡이 이곳이 항해 가능한 수로를 형성하는 해협임을 확인하고 '쿡 해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쿡 해협은 19세기 초 고래 이동 경로였기 때문에 유럽 정착민들을 끌어들였다. 포경업자들은 말버러 사운즈와 카피티 지역에 기지를 설립했다.[6][7] 182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아라파오아 섬은 사운즈에서 포경의 기지였다. 섬 동쪽 해안의 페라노 헤드는 이 지역의 주요 포경 기지였으며, 페라노 가족이 지은 집들은 현재 관광 숙박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8]

1820년대 테 라우파라하는 마오리족의 쿡 해협 지역으로의 이주와 정복, 정착을 이끌었다.

1840년부터 웰링턴을 시작으로, 넬슨과 왕가누이(페트레)에 더 영구적인 정착촌이 형성되었다. 이 시대 정착민들은 오늘날 페리를 중심으로 하는 뉴질랜드인들보다 더 넓은 의미로 쿡 해협을 보았다. 그들에게 해협은 타라나키에서 케이프 캠벨까지 뻗어 있었으므로, 이 초기 도시들은 모두 새로운 식민지의 중심 수로인 "쿡 해협" 주변에 모여 있었다.

2. 3. 해저 케이블 부설과 기술 발전

1866년, 남섬 전신 시스템을 웰링턴에 연결하기 위해 최초의 전신 케이블이 쿡 해협에 부설되었다.[9][10]

트랜스파워에서 운영하는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은 쿡 해협을 가로질러 북섬과 남섬을 연결한다.[39] 북섬 오테랑가 만과 남섬 파이팅 만 사이에는 HVDC 해저 케이블의 일부로 3개의 해저 전력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블들은 남섬 벤모어와 북섬 헤이워즈 사이의 전력 연결을 제공하며, 각 케이블은 350kV로 작동하여 최대 500MW를 전송할 수 있다. 링크의 총 용량은 1200MW이다. 케이블은 케이블 보호 구역(CPZ) 내 해저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 구역 내에서는 어업 활동과 닻을 내리는 것이 금지된다.[39]

광섬유 케이블은 뉴질랜드 주요 통신 회사의 통신 트래픽과 HVDC 링크 제어를 위한 트랜스파워의 통신을 전송한다.

2. 4. 20세기 이후의 사건


  • 1909년: SS 펭귄호가 쿡 해협에서 침몰하여 75명이 사망했다.[14]
  • 1920년: 쿡 해협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비행이 이루어졌다.[15]
  • 1935년: 쿡 해협을 가로지르는 항공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 1962년: 쿡 해협 철도 연락선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 1968년: TEV 와히네호가 웰링턴 항구 입구에서 좌초되어 53명이 사망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쿡 해협 방어를 위해 다양한 해안 요새가 건설되었다. 라이트 힐에 23cm 함포 설치가 두 곳 건설되었으며, 웰링턴 주변, 마카라 해안, 말버러 사운즈 입구를 따라 15cm 함포 설치가 13곳 건설되었다.
  • 2013년: 릭터 규모 6.5와 6.6의 두 차례의 대규모 지진이 쿡 해협을 강타했다.
  • 2021년: 게리 프리드먼이 피피스트렐 알파 일렉트로를 이용하여 오마카 비행장에서 웰링턴 공항까지 쿡 해협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전기 항공기 비행을 했다.[19][20]

3. 지리

쿡 해협은 일반적으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쪽에는 남섬, 동쪽에는 북섬이 위치한다. 가장 좁은 지점에서는 22km 거리로 북섬의 테라위티 곶과 말버러 사운즈의 아라파오아 섬에 있는 페라노 헤드가 마주보고 있다.[1] 맑은 날에는 해협 건너편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양쪽 해안은 대부분 가파른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클라우디 베이, 클리포드 베이, 팔리서 베이의 해변들은 140m까지 완만하게 경사져 있으며, 다소 넓은 해저 고원이 있다. 나머지 해저 지형은 복잡하다. 동쪽에는 가파른 절벽이 동쪽으로 히쿠랑기 해구의 심해저로 내려가는 쿡 해협 해곡이 있다. 북서쪽에는 수심이 300m에서 400m인 내로우즈 분지가 있다. 내로우즈 분지 북쪽 끝에 있는 피셔맨즈 록은 간조 때 수면에서 불과 몇 미터 높이로 솟아 있으며, 거친 날씨에는 파도가 깨지는 곳으로 표시되어 있다. 비교적 얕은 해저 계곡이 말버러 사운즈 북쪽 끝을 가로지른다. 섬, 수중 암초, 사운즈 입구의 존재로 인해 해저 지형은 남섬 해안 주변에서 특히 불규칙하며, 강한 소용돌이를 발생시킨다.[1] 해협의 평균 수심은 128m이다.

브라더스 제도는 아라파오아 섬 동쪽 해안 바깥 쿡 해협에 있는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무리이다. 이 작은 섬들 중 북쪽의 브라더스 섬은 희귀한 브라더스 섬 투아타라의 보호구역이며, 가장 큰 섬에는 브라더스 섬 등대가 있다.

코아마루 곶에서 바라본 브라더스 제도와 서쪽 지평선 너머 웰링턴 서해안

4. 해양학

쿡 해협은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해협 양 끝의 조위는 거의 정반대로 나타나는데, 한쪽이 만조일 때 다른 쪽은 간조이다.[21] 이는 M2 달 조석 성분이 뉴질랜드 주변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며, 해협 양 끝에서 위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요 발생 시간은 하루에 두 번 정도(실제로는 12.42시간)이다.[28] 태평양 쪽에서는 타스만 해 쪽보다 5시간 먼저 만조가 발생한다. 이러한 수위 차이는 쿡 해협에서 초속 2.5미터(5노트)에 달하는 조류를 발생시킨다.[22][36]



강한 해류에도 불구하고 해협 중앙에서는 조위 변화가 거의 없다. 조석 쇄파는 보통 6시간 동안 한 방향으로 흐른 후 6시간 동안 반대 방향으로 흐르지만, 특정 쇄파는 8시간 또는 10시간 지속될 수 있으며 반대 방향의 쇄파는 약해진다. 특히 거친 날씨에는 반대 방향의 쇄파가 상쇄되어 흐름이 세 번 이상의 쇄파 기간 동안 같은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해도에 표시되어 있다.[29] 해안에서 뻗어 나온 수중 해령은 해류와 난류를 복잡하게 만든다.[30] 쿡 해협에서 관찰되는 난류는 지브롤터 해협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세이무어 해협에서 관찰된 난류와 비교되기도 한다.[31]

구전 전통에 따르면, 쿡 해협을 처음으로 헤엄쳐 건넌 여성은 히네 포우푸(Hine Poupou)이다. 그녀는 돌고래의 도움을 받아 카피티 섬에서 뒤르빌 섬까지 헤엄쳤다고 한다.[45] 현대에는 1962년 배리 데번포트가 해협을 헤엄쳐 건넜으며, 1975년 린 콕스가 최초의 여성 횡단자가 되었다.[46]

4. 1. 조력 발전

조류 발전기가 생성하는 전력은 조류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조류 속도가 두 배가 되면, 사리 때는 조금 때보다 8배 더 많은 조력이 생산된다.[36] 쿡 해협은 잠재적으로 우수한 조력 에너지원으로 확인되었다.[36]

2008년 4월, 넵튠 파워는 1000만달러 상당의 실험용 수중 조류발전 터빈 설치에 대한 자원 허가를 받았다. 이 터빈은 1메가와트를 생산할 수 있으며, 영국에서 설계되었고 뉴질랜드에서 건설되어 "카로리 급류"로 알려진 해역, 즉 싱클레어 헤드 남쪽 4.5km 지점, 수심 80m에 설치될 예정이었다. 이 회사는 쿡 해협의 조류 이동량이 뉴질랜드의 현재 수요량의 1.5배가 넘는 12G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3][34][35][36] 하지만 실제로는 이 에너지의 일부만 활용할 수 있다.[37] 2016년 10월 기준으로 이 터빈은 건설되지 않았으며, 넵튠 파워 웹사이트는 추가 발표 없이 임시 페이지로 남아 있다.

해협의 반대편에서는 에너지 파시피카가 토리 채널의 쿡 해협 입구 근처에 최대 1.2MW를 생산할 수 있는 해양 터빈 10개를 설치하기 위한 자원 허가를 신청했다. 이 회사는 토리 채널이 3.6m/s의 조류 속도와 수심 및 전력망 접근성이 가장 잘 결합된 최적의 장소라고 주장했다.[36] 하지만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타당성이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38] 아무런 프로젝트도 진행되지 않았다.

5. 해양 생물

쿡 해협은 다양한 고래류 종들에게 중요한 서식지이다. 큰돌고래, 일반돌고래, 회색돌고래, 범고래, 헥터돌고래 등 다양한 돌고래 종들이 서식한다. 긴수염 pilot whale은 골든 베이에서 종종 집단 좌초된다.[40] 겨울에는 혹등고래, 남방긴수염고래, 흰긴수염고래, 브라이드고래, 향유고래 등 다양한 고래들이 이동해 온다. 뉴질랜드 보존부는 매년 혹등고래 개체 수를 조사하고 있다.[40] 대왕오징어 표본이 쿡 해협 주변 해안에서 발견되기도 한다.[40]

남방바다표범 군집이 웰링턴 남쪽 해안의 파리웨로(레드 록스) 근처에 서식한다.[40] 가다랑어, 황새치, 청상아리, 백상아리 등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여 낚시터로도 유명하다.[41]

6. 교통

키위레일 (인터아일랜더)과 스트레이트NZ (블루브리지)가 웰링턴픽턴 사이를 잇는 정기 페리 서비스를 운영한다. 두 회사 모두 하루에 여러 차례 운항하며, 항해 거리는 70km이고 약 3시간이 소요된다. 쿡 해협은 남극해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과 높은 파도로 인해 페리 운항이 자주 중단되며, 세계에서 가장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한 해역 중 하나로 여겨진다.[42]

1968년에는 웰링턴-리틀턴 페리인 TEV 와히네 호가 웰링턴 항구 입구에서 침몰하여 승객과 승무원 53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006년에는 인터아일랜더 페리 DEV 아라테레 호가 14m 높이의 파도에 50도까지 기울어지는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 4명이 부상당하고, 철도 화차와 트럭 등이 파손되기도 했다.[43][44]

과거 쿡 해협을 운항했던 항공사로는 스트레이츠 에어 프레이트 익스프레스, 에어투데어, 시티젯, 사운즈 에어가 있다.

7. 수영

마오리족 구전 전통에 따르면, 쿡 해협을 처음으로 헤엄쳐 건넌 여성은 히네 포우푸(Hine Poupou)이다. 그녀는 돌고래의 도움을 받아 카피티 섬에서 뒤르빌 섬까지 헤엄쳤다.[45] 다른 마오리족 기록에는 1831년에 해협을 건넌 수영 선수가 적어도 한 명 더 있다고 전해진다. 현대에 들어서는 1962년 배리 데번포트(Barrie Devenport)가 해협을 헤엄쳐 건넜다. 린 콕스(Lynne Cox)는 1975년에 해협을 건넌 최초의 여성이었다.[46] 쿡 해협을 가장 많이 건넌 수영 선수는 필립 러시(Philip Rush)로, 두 번의 왕복 수영을 포함하여 총 여덟 번 건넜다. 아디티아 라우트(Aditya Raut)는 11세로 최연소 수영 선수였고, 케이틀린 오라일리(Caitlin O'Reilly)는 12세로 최연소 여성 수영 선수이자 최연소 뉴질랜드 수영 선수였다. 팸 딕슨(Pam Dickson)은 55세로 최고령 수영 선수였다.[49] 존 코츠(John Coutts)는 해협을 양방향으로 모두 헤엄쳐 건넌 최초의 사람이다.[47] 2010년까지 65명의 개인이 74회의 단일 횡단을, 2명의 개인(필립 러시와 메다 맥켄지(Meda McKenzie))이 3회의 왕복 횡단을 기록했다. 2016년 3월, 마릴린 코르젝와(Marilyn Korzekwa)는 58세의 나이로 쿡 해협을 건넌 최초의 캐나다인이자 최고령 여성이 되었다.[48]

수영 선수들의 횡단 시간은 해협에서 작용하는 강하고 때로는 예측 불가능한 해류에 크게 좌우된다.[49] 1980년 해양학자 론 히스(Ron Heath)는 수영 선수들의 경로를 이용하여 쿡 해협의 해류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해류 측정 기술이 어려웠던 시대의 연구였다.[50]

참조

[1] 웹사이트 Cook Strait http://www.TeAra.gov[...] 2007-09-18
[2] 서적 New Zealand encyclopedia Bateman 1987
[3] 서적 The Reed dictionary of New Zealand place names Reed Books 2002
[4] 웹사이트 TE MOANA-O-RAUKAWA http://www.wcl.govt.[...] 2017-05-27
[5] 웹사이트 Estuary origins https://niwa.co.nz/t[...] National Institute of Water and Atmospheric Research 2021-11-03
[6] 웹사이트 A History of Southern New Zealand from 1830 to 1840 https://nzetc.victor[...] Whitcombe and Tombs Limited 1913
[7] 서적 The Whales' Journey https://archive.org/[...] Allen & Unwin 2001
[8] 웹사이트 Perano Homestead http://www.arapawaho[...]
[9] 뉴스 Telegraph line laid across Cook Strait – 26 August 1866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20-07-09
[10] 서적 Evolving Auckland: The City's Engineering Heritage Wily Publications 2011
[11] 간행물 Disasters and Mishaps – Shipwrecks http://www.teara.gov[...]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2007-09-18
[12] 웹사이트 Steamer 'City of Dunedin' – Mysterious Sinking http://www3.telus.ne[...] 2012-11-14
[13] 웹사이트 Dive Lastingham Wreck http://www.diveplane[...] 2008-10-03
[14] 웹사이트 SS Penguin wrecked in Cook Strait – 12 February 1909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20-10-06
[15] 웹사이트 First flight across Cook Strait 25 August 1920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20-08-24
[16] 웹사이트 Historic strait crossing was balloon enthusiast's last trip https://www.stuff.co[...] 2022-03-06
[17] 웹사이트 Welcome to Airflow Hovercraft http://hovercrafts.c[...] 2022-03-05
[18] 웹사이트 Paraglider first to cross Cook Strait https://www.rnz.co.n[...] 2022-03-06
[19] 뉴스 Electric plane crosses NZ's Cook Strait https://www.canberra[...] 2021-11-01
[20] 뉴스 Electric powered plane makes history in Cook Strait flight https://www.1news.co[...] 2021-11-01
[21] 웹사이트 Lunar Semidiurnal Tide (M2) https://niwa.co.nz/o[...] 2020-11-21
[22] 웹사이트 Ocean currents and tides: Tides http://www.teara.gov[...] 2007-09-21
[23] 웹사이트 Lunar tides in Cook Strait, New Zealand https://web.archive.[...] 2009-02-28
[24] 논문 Circulation and mixing in greater Cook Strait, New Zealand 1983
[25] 논문 Semi‐diurnal tides in Cook Strait 1978
[26] 논문 In which direction is the mean flow through Cook Strait, New Zealand—evidence of 1 to 4 week variability? 1986
[27] 논문 A modelling synthesis of the volume flux through Cook Strait 2021
[28] 웹사이트 Ocean Tides and Magnetic Fields https://svs.gsfc.nas[...] 2016-12-30
[29] 웹사이트 Chart of Cook Strait https://web.archive.[...] 2009-02-28
[30] 논문 Tidal Stream Energy Extraction in a Large Deep Strait: the Karori Rip, Cook Strait 2012
[31] 논문 Turbulent length scales in a fast-flowing, weakly stratified, strait: Cook Strait, New Zealand
[32] 논문 Rapid initial assessment of the number of turbines required for large-scale power generation by tidal currents
[33] 웹사이트 Green light for Cook Strait energy generator trial http://www.nzherald.[...] 2008-04-15
[34] 웹사이트 Tidal Energy: Cook Strait http://renewableener[...]
[35] 간행물 Harnessing the power of the sea http://www.contrafed[...] Energy NZ
[36] 간행물 Benign tides http://www.contrafed[...] Contrafed Publishing 2009-03-01
[37] 라디오 Salty water http://www.radionz.c[...] Radio New Zealand
[38] 논문 Numerical modelling of the effect of turbines on currents in a tidal channel–Tory Channel, New Zealand
[39] 웹사이트 Cook Strait submarine cable protection zone http://www.transpowe[...] Transpower 2008-09-23
[40] 웹사이트 Cook Strait seal colonies http://diaspora.gen.[...]
[41] 웹사이트 The Marlborough Sounds http://www.marlborou[...] 2008-10-03
[42] 뉴스 Recognition 53rd Wahine victim http://www.stuff.co.[...] 2008-04-10
[43] 뉴스 Cook Strait ferry Aratere 'nearly capsized' https://www.nzherald[...] 2006-06-22
[44] 뉴스 New rules for ferries after horror crossing http://www.stuff.co.[...] 2009-01-31
[45] 웹사이트 Polynesian History https://web.archive.[...] 2008-10-14
[46] 웹사이트 First woman swims Cook Strait – 4 February 1975 https://nzhistory.go[...] 2021-03-25
[47] 뉴스 Swimming: Coutts thrived outside comfort zone http://www.nzherald.[...] 2012-04-13
[48] 웹사이트 Canadian psychiatrist becomes oldest female swimmer to cross Cook Strait https://www.stuff.co[...] 2016-03-19
[49] 웹사이트 Cook Strait Swim http://www.cookstrai[...] 2015-12-08
[50] 논문 Current measurements derived from trajectories of Cook Strait swimmers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