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잉머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잉머신은 노를 젓는 동작을 모방하여 실내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구이다. 기원전 4세기부터 군사 훈련에 사용되었으며, 19세기 중반부터 다양한 형태의 로잉머신이 개발되었다. 1980년대에 공기 저항 방식의 로잉머신이 등장하고, Concept2 로잉 머신이 개발되면서 실내 조정 경기가 스포츠로 발전했다. 로잉 머신은 플라이휠을 이용한 저항 방식과 다양한 작동 방식을 가지며, 캐치, 드라이브, 피니시, 리커버리의 4단계 동작으로 사용한다. 로잉 머신은 유산소 운동 효과가 있으며, 스플릿, 칼로리, 와트 등의 단위로 측정된다. 실내 조정 경기는 다양한 종목과 연령대별로 진행되며, 온라인 대회도 활발하게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정 - 조정 (스포츠)
조정은 노를 사용하여 배를 추진하는 스포츠로, 고대 문명에서 시작되어 현대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스컬과 스위프로잉으로 나뉘고,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심혈관계 지구력과 근력 향상에 좋은 전신 운동이다. - 운동 기구 - 샌드백
샌드백은 무술이나 격투 스포츠에서 타격 기술 훈련에 사용되는 곡물, 모래, 헝겊 등으로 채워진 가방 형태의 도구로, 천장에 매달거나 스탠드에 고정하여 사용하며, 스피드백, 스워브 볼, 헤비백, 어퍼컷 백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격투기 훈련 외에 데드리프트나 스쿼트 운동, 일방적인 공격을 받는 상태를 비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 운동 기구 - 공
공은 둥근 물체를 지칭하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지명, 작위, 필명, 단체명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는 명칭이다.
로잉머신 | |
---|---|
개요 | |
종류 | 운동기구 |
주요 목적 | 전신 근력 운동 유산소 운동 |
운동 방식 | 노 젓는 동작 시뮬레이션 |
특징 | 운동 강도 조절 가능 전신 근육 사용 비교적 낮은 충격 |
기술적 특징 | |
저항 방식 | 공기 저항 물 저항 자기 저항 유압 실린더 |
데이터 측정 | 스트로크 횟수 시간 거리 칼로리 소모량 와트 (출력) |
활용 | |
훈련 목적 | 심혈관 건강 향상 근력 및 근지구력 강화 체중 감량 |
스포츠 | 실내 조정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조정 실내 조정 에르고미터 |
2. 역사
로잉머신은 고대 그리스에서 군사 훈련 목적으로 처음 고안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28], 현대적인 형태의 기계는 19세기 중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4][5][29] 초기에는 유압식이나 공압식 저항 방식을 사용했으나[4][5][29], 실제 노젓기를 정밀하게 모방하거나 운동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29]
20세기 중반 이후, 특히 1950년대부터는 운동 능력 측정을 위한 에르고미터(ergometer) 개발이 활발해졌으며, 존 해리슨과 프랭크 코튼, 기싱-닐슨 등에 의해 마찰 저항 방식 등을 활용해 측정 정확도를 높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30][6] 이 시기 개발된 기계들은 실내 훈련과 선수 평가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30]
1980년대에 들어서는 공기 저항 방식이 도입되면서 현대 로잉머신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7][31] 특히 Concept2 사가 개발한 공기 저항 방식 로잉머신과 디지털 성능 모니터는[8][31] 실내 조정이라는 스포츠를 대중화하고 선수 훈련 및 선발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8][4][9][31][32] 이후 실제 보트의 움직임을 모방하려는 동적 로잉머신 등 다양한 형태의 기계들이 개발되었다.[10]
2. 1. 고대
기원전 4세기 아테네의 해군 제독이었던 카브리아스는 보조적인 군사 훈련 기구로서 처음으로 육상용 로잉 머신을 도입했다. 카브리아스는 경험이 부족한 노잡이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초보자들이 배에 타기 전에 육지에서 노젓기 기술과 타이밍을 배울 수 있도록 나무로 만든 틀을 만들었다고 한다.[28]2. 2. 19세기 ~ 20세기 초
초기 형태의 로잉머신은 1800년대 중반부터 존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72년에는 W.B. 커티스가 특정 유압식 댐퍼 설계에 대한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 선형 공압 저항을 사용하는 기계는 1900년경에 보급되었으며, 이 시기 인기 있었던 모델 중 하나는 미국 로드아일랜드주에서 1900년부터 1960년경까지 제조된 Narragansett 유압 로잉머신이었다.[4][5][29]하지만 이 시기의 초기 기계들은 실제 노젓기를 정확하게 재현하거나 운동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29]
2. 3. 1950년대 ~ 1970년대
1950년대와 60년대에 들어 여러 나라의 조정 코치들은 선수들의 운동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에르고미터(ergometer, 운동량 측정 장치)를 훈련에 사용하기 시작했다.[30] 초기 모델 중 하나는 호주 시드니 라이커트 보트 클럽의 존 해리슨이 개발한 것으로, 그는 나중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의 기계 공학 교수가 되었다. 해리슨의 에르고미터는 크고 무거운 철제 바퀴에 기계적인 마찰 브레이크를 적용한 형태였다.[30]해리슨은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 무타 페어(coxless pair) 종목으로 출전했는데, 이 대회에서 현대 운동 생리학의 선구자이자 라이커트 '몰모스'(Leichhardt "Molmos") 팀 코치였던 프랭크 코튼 교수를 만나게 되었다. 코튼 교수 역시 선수들의 잠재력을 측정하기 위해 기본적인 마찰식 에르고미터를 개발한 상태였다.[30] 해리슨은 코튼의 에르고미터에 사용된 비흡수성 브레이크 재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자신의 설계와 결합하여 '해리슨-코튼 에르고미터'를 만들었다. 이 기계는 주변 습도나 온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인간의 노력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으며, 오늘날의 개선된 모델과 비교해도 오차율이 1% 미만에 불과할 정도로 정밀했다.[30]
특히 해리슨-코튼 에르고미터는 노 젓는 힘이 선수의 체중에 비례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체중에 따라 브레이크 마찰력을 조절하여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었다. 하지만 이 체중 조절 기능은 당시 선수들에게는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30] 이후 해리슨 모델을 모방한 여러 기계가 다른 나라에서 생산되었지만, 더 작은 바퀴를 사용하거나 습기에 약한 재료를 쓰는 등의 문제로 정확성이 떨어졌다.[30] 운동선수의 근력 측정 분야에 크게 기여한 존 해리슨은 2012년 2월에 세상을 떠났다.[30]

1970년대에는 노르웨이에서 '기싱-닐슨(Gjessing-Nielsen) 에르고미터'가 개발되었다. 이 기계는 플라이휠(flywheel)의 넓은 테두리에 산업용 스트래핑(strapping) 또는 가죽 스트랩을 감아 마찰을 일으키는 브레이크 방식을 사용했다.[6][30] 스트랩에 추를 매달아 마찰력을 조절했으며, 이를 통해 예측 가능하고 조절 가능한 저항 값을 얻을 수 있었다.[6][30] 또한 핸들에서 나온 줄이 다양한 반경의 나선형 도르래를 통과하도록 설계하여, 스트로크(노를 젓는 동작) 중에 핸들 속도와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었다. 이는 마치 실제 배에서 노의 각도 등을 조절하여 기어를 바꾸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냈다.[30] 기싱-닐슨 에르고미터는 오랫동안 국제 표준 모델로 인정받았다.[30]
2. 4. 1980년대 이후 (현대 로잉머신의 발전)
1980년경 Repco 사는 세계 최초의 공기 저항 방식 로잉 에르고미터를 선보였다.[7][31]1981년, 피터 드라이시가커(Peter Dreissigacker)와 리처드 드라이시가커(Richard Dreissigacker) 형제, 그리고 조나단 윌리엄스(Jonathan Williams)는 "고정식 로잉 장치"에 대한 미국 특허를 공동으로 신청했다.[8] 이들은 Concept2사를 설립하고 첫 상업 모델인 Model A를 출시했다. Model A는 공기 저항을 위해 핀이 달린 자전거 바퀴를 사용했으며, 고정된 프레임 위에서 시트가 앞뒤로 움직이는 슬라이딩 시트 디자인을 채택했다.[8][31]
1986년에 출시된 Concept2 Model B는 로잉머신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 모델은 견고하게 주조된 플라이휠과 세계 최초의 혁신적인 디지털 성능 모니터를 도입했다.[8][31] Model B는 정확한 운동량 측정 기능과 편리한 이동성이 결합되어, 실내 조정이라는 새로운 스포츠 종목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실제 수상 스포츠 선수들의 훈련 방식과 선발 과정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8][4][9][31][32]
Concept2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모델을 개선하여 Model C(1993년)와 Model D(2003년)를 출시했으며, 이 모델들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로잉머신 중 하나가 되었다.[4][9][31][32]
한편, 1995년에는 네덜란드의 엔지니어 캐스퍼 레커스(Casper Rekers)가 기존 로잉머신과 다른 방식의 "동적 균형 로잉 시뮬레이터"(미국 특허 US 5382210A)를 개발하여 특허를 받았다.[10] 이 장치는 플라이휠과 발판이 하나의 캐리지에 고정되어 레일 위를 앞뒤로 움직이고, 시트 역시 별도의 레일 위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가졌다. 이는 실제 보트의 움직임과 유사한 느낌을 주려는 시도였다.[10]
3. 종류
모든 로잉머신은 기본적으로 체인과 손잡이에 연결된 에너지 댐퍼 또는 브레이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는 스트레처(발판)는 에너지 댐퍼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며, 대부분의 모델에는 사용자가 앉아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시트 또는 구조 자체에 레일이 있다. 로잉 머신은 작동 방식이나 저항을 발생시키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각각의 레이아웃과 댐퍼 구조에 따라 장단점을 가진다.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로잉 머신은 사용자의 노 젓는 힘을 스트로크 중 휠의 회전 속도 측정과 리커버리 중 감속 속도 기록을 통해 측정한다. 이 정보와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내장된 컴퓨터는 속도, 노 젓는 힘(출력), 노 젓는 거리, 소모된 에너지 등을 계산하여 보여준다. 일부 모델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PC)와 연결하여 개인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여러 대의 로잉 머신을 직접 또는 인터넷을 통해 PC에 연결하여 가상 레이스나 단체 연습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있다.
3. 1. 작동 방식
현대 실내 로잉머신은 주로 플라이휠을 이용하여 저항을 발생시킨다.[11] 모든 로잉 머신은 기본적으로 체인과 손잡이에 연결된 에너지 댐퍼 또는 브레이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가 발을 놓는 스트레처(발판)는 에너지 댐퍼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모델은 시트 또는 구조 자체에 슬라이딩을 위한 레일을 가지고 있다.로잉머신은 사용자의 로잉 동작에 따라 스트레처(발판)와 시트가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로잉 머신은 사용자의 노 젓는 힘을 스트로크 중 휠의 회전 속도 측정과 리커버리 중 감속 속도 기록을 통해 측정한다. 이 정보와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내장된 컴퓨터는 속도, 노 젓는 힘(출력), 노 젓는 거리, 소모된 에너지 등을 계산하여 보여준다. 일부 모델은 개인용 컴퓨터(PC)와 연결하여 개인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여러 대의 로잉 머신을 직접 또는 인터넷을 통해 PC에 연결하여 가상 레이스나 단체 연습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있다.
더 나아가 실제 수상에서의 로잉을 더욱 유사하게 재현하기 위해, 피벗 기능이 있는 핸들이나 단순한 한 개의 체인이 아닌 여러 개의 핸들을 조합한 로잉머신도 존재한다. 이러한 유형은 "로잉 시뮬레이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3. 2. 저항 방식
로잉머신은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을 생성하며, 각 방식마다 특징과 장단점이 있다.'''피스톤 저항''' 방식은 로잉머신의 손잡이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저항을 발생시킨다.[13]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손잡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노를 젓는 동안의 궤도가 고정되어 있어 실제 노젓기 동작에서 나타나는 스트로크와 리턴 시 손 높이 차이를 정확히 재현하기 어렵다. 또한, 일부 모델은 시트가 고정되어 있어 다리의 추진력을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피스톤의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가 작아 다른 방식에 비해 일반적으로 작고 저렴하다.
'''브레이크 플라이휠 저항''' 방식은 플라이휠에 자석, 공기, 또는 수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모델들을 포함한다.[14] 이 방식들은 손잡이가 로프나 체인 등으로 플라이휠과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며 실제 노젓기와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대부분 슬라이딩 시트를 갖추고 있어 다리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자기 저항''' 방식은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을 이용해 플라이휠에 제동을 걸어 저항을 만든다.[15][16][13] 다른 방식에 비해 작동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저항 강도를 조절하고 소비 에너지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저항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당기는 힘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공기나 수력 저항 방식에 비해 실제 노젓기 감각을 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부 모델은 충분한 저항 강도를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 '''공기 저항''' 방식은 플라이휠에 부착된 팬(날개)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이용한다.[15][13] 플라이휠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저항이 커지며, 통풍구를 조절하여 공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저항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와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공기 저항 방식은 실제 노젓기와 유사한 저항감을 제공하여 선수들의 훈련용(특히 비시즌이나 악천후 시) 및 실내 로잉 대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 '''수력 저항''' 방식은 밀폐된 물통 안에서 패들(노)이 회전하며 물의 저항을 이용한다.[15][13] 이 방식의 지지자들은 물의 저항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들보다 더 현실적인 노젓기 동작과 느낌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33]
'''듀얼 저항''' 방식은 공기 저항(팬)과 자기 저항을 함께 사용하여, 워밍업부터 HIIT와 같은 고강도 운동까지 폭넓은 저항 수준을 제공하는 전문 피트니스 장비이다.
4. 사용법
로잉머신을 사용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물 위에서 조정을 하는 방법과 유사하지만, 기계의 특성상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실제 노가 아닌 핸들을 사용하므로 물 위에서와 같은 기술이 모두 필요하지는 않다.
로잉머신을 이용한 한 번의 완전한 스트로크는 다음 네 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된다.
- 캐치(Catch): 스트로크를 시작하는 단계.
- 드라이브(Drive): 힘을 주어 핸들을 당기는 단계.
- 피니시(Finish): 스트로크를 마무리하는 단계.
- 리커버리(Recovery): 다음 스트로크를 위해 시작 자세로 돌아가는 단계.
이 네 단계를 목표한 운동 시간이나 거리를 채울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4. 1. 캐치 (Catch)
캐치는 로잉 스트로크의 시작 단계이다.[24] 이 자세에서는 무릎을 구부려 정강이가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등은 과도하게 앞으로 숙이지 않고 허벅지와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허리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로크 전 과정에서 등이 중립적이고 평평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팔과 어깨는 앞으로 쭉 뻗어 긴장을 풀고, 팔은 수평 또는 편 상태를 유지한다.[24]4. 2. 드라이브 (Drive)
드라이브는 노를 젓는 사람이 힘을 내는 단계이다. 먼저, 몸은 캐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리를 밀어 펴고 뻗어 드라이브를 시작한다. 다리가 완전히 펴짐에 따라 엉덩이 각도가 열리고, 코어를 사용하여 몸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시작하여 다리의 힘에 더한다. 다리가 완전히 펴지면, 팔을 사용하여 손잡이를 가슴 쪽으로 당기기 시작하며, 손잡이가 몸의 중간쯤에 오고 팔뚝이 땅과 평행이 되면서 스트로크를 완료한다.[23][25] 스트로크의 각 단계에서 허리를 굽혀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등은 중립적이고 평평한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4. 3. 피니시 (Finish)
로잉머신 스트로크의 네 단계 중 하나로, 드라이브 이후 스트로크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한다.[23] 이 단계에서는 다리가 완전히 펴지고 평평한 상태가 된다. 어깨는 골반보다 약간 뒤에 위치하며, 팔은 팔꿈치를 구부려 완전히 수축시킨다. 이때 손은 젖꼭지 아래 가슴 높이까지 당겨온다. 등은 부상 방지를 위해 곧게 편 중립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손목 역시 꺾이지 않고 편평하게 유지한다.[23]수상 조정과는 달리 로잉머신은 노가 아닌 핸들을 사용하므로, 피니시 동작에서 노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는 '탭 다운' 동작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실제 조정을 염두에 두고 훈련하는 선수들은 로잉머신에서도 습관적으로 탭 다운 동작을 하기도 한다.[23] 피니시 이후에는 다음 스트로크를 준비하는 리커버리 단계로 이어진다.
4. 4. 리커버리 (Recovery)
리커버리(Recovery)는 로잉 스트로크의 네 가지 기본 단계(캐치, 드라이브, 피니시, 리커버리) 중 하나로, 피니시 동작 이후 다음 스트로크인 캐치를 준비하며 시작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을 말한다. 이 단계는 비교적 천천히 진행되어, 조정 선수가 이전 스트로크에서 회복할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리커버리 동안의 움직임은 힘을 주는 단계인 드라이브와 반대 순서로 이루어진다.리커버리 동작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1. 팔 뻗기: 피니시 자세에서 몸쪽으로 당겼던 핸들을 앞으로 밀어 팔을 완전히 편다.
2. 상체 기울이기: 팔이 펴지면, 엉덩관절을 중심으로 상체를 앞으로 기울인다. 이때 체중은 자연스럽게 좌석(시트)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3. 다리 구부리기: 핸들이 무릎 위를 지나가면, 무릎을 구부려 발판(스트레처) 쪽으로 다리를 당긴다. 이와 함께 좌석(슬라이드)이 레일을 따라 기계 앞쪽으로 이동한다.
4. 캐치 준비: 정강이가 지면과 거의 수직이 되고, 등(허리)이 허벅지와 평행에 가까워지면 리커버리 동작이 완료된다. 이 자세는 다음 스트로크를 위한 캐치 자세로 바로 이어진다.
스트로크의 모든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리커버리 중에도 등은 곧고 중립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거나 젖히면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로잉머신을 이용한 조정은 실제 수상 조정과 매우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로잉머신은 노(Oar) 대신 핸들을 사용하므로, 물에서 노의 블레이드를 빼내는 동작인 '탭 다운'은 리커버리 시작 시점에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실제 수상 조정 경험이 있는 선수들은 습관적으로 로잉머신에서도 유사한 동작을 취하기도 한다.
5. 측정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로잉 머신은 사용자의 노 젓는 힘을 스트로크 중 휠의 회전 속도 측정과 리커버리 중 감속 속도 기록을 통해 측정한다. 이것과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를 사용하여 내장된 컴퓨터가 속도, 노 젓는 힘, 노 젓는 거리, 소비 에너지 등을 계산하여 보여준다. 일부 모델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PC에 연결하여 개인의 연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대의 로잉 머신을 직접 또는 인터넷을 통해 PC에 연결하여 가상 레이스나 연습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있다.
6. 스포츠 (실내 조정 경기)
최초의 실내 조정 경기는 1982년 2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개최되었으며, "Charles River Association of Sculling Has-Beens" (줄여서 "CRASH-B")라고 자칭하는 96명의 수상 조정 선수들이 참가했다. 현재 세계 조정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경쟁하는 실내 조정 경기의 핵심 종목은 개인 500m, 개인 2000m, 개인 1시간, 3분 팀 경기이다.[27] 다른 실내 조정 경기에서는 마일(약 1.61km) 및 2500미터 경기가 열리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기는 성별, 연령 및 체급을 기준으로 범주화되어 구성된다.[27]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에르고(Erg) 경주 대회가 개최되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매년 2월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열리는 CRASH-B 스프린트(세계 선수권 대회)나 11월 영국 버밍엄에서 열리는 전영국 에르고 선수권 대회가 있다. 이들 대회에서는 주로 컨셉2(Concept2) 로잉머신이 사용된다. 가장 주류인 경주는 개인 2000m 부문이며, 그 외에 1마일 부문(예: 이브샴 대회)이나 2500m 부문(처음에는 CRASH-B 스프린트의 규정 거리였음), 단거리 부문(100m-500m)이나 팀 릴레이 부문 등도 존재한다. 경기 시 로잉머신의 저항 설정은 조정될 수 있지만, 사용되는 기종은 통일된다. 저항 설정은 에너지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저항 레벨에서 기록된 결과도 동등하게 비교할 수 있다.
대부분의 대회는 성별, 연령, 체중, 체급에 따라 분류된다. 최고 기록은 일반적으로 20대에서 40대의 선수에 의해 달성되지만, 10대나 90세 이상의 노인 선수들도 많이 참가한다. 에르고와 실제 수상 조정에서의 경기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경우도 많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 시상대는 종종 전문 수상 조정 선수들이 차지한다. 전 올림픽 싱글 스컬 금메달리스트인 페르티 카르피넨과 롭 와델, 그리고 5번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스티브 레드그레이브 경은 모두 에르고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거나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경기장에서 동시에 경기가 실시되는 대회와 함께, 인터넷을 통해 기록을 사후 제출하거나 컴퓨터 연결을 통해 레이스에 참여하는 온라인 대회도 많이 열린다. 온라인 대회는 컨셉2(Concept2) 등이 제공한다.[34]
참조
[1]
웹사이트
Rowing Australia - About Events
https://rowingaustra[...]
2021
[2]
웹사이트
Indoor Rowing
https://worldrowing.[...]
2021
[3]
서적
'"Lords of the Sea: The Epic Story of the Athenian Navy and the Birth of Democracy"'
[4]
간행물
The Independent Rowing News
https://books.google[...]
2012-02-03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Indoor Rower
https://physicalcult[...]
2016-05-06
[6]
웹사이트
Tim Koch on Land Rowing
https://heartheboats[...]
2011
[7]
웹사이트
SynergyAIR CVT and air displacement dynamics
https://synergyfitne[...]
2018
[8]
웹사이트
Model B Indoor Rower
https://www.concept2[...]
2021
[9]
웹사이트
RowHist-Equipment
https://web.archive.[...]
2017-05-15
[10]
웹사이트
United States Patent US5382210A
https://patentimages[...]
2021-04-08
[11]
웹사이트
The Best Rowing
https://www.business[...]
2021
[12]
학술지
Design and Fabrication of Rowing Human Powered Car
https://ijesc.org/up[...]
2018-08
[13]
웹사이트
Rowing Machine Resistance Types
http://www.rowingmac[...]
2017-08-07
[14]
웹사이트
Exercise Bikes and Their Types of Resistance
https://www.indoortr[...]
2021-09-09
[15]
웹사이트
Types of Rowing Machines -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Resistance Mechanisms
https://www.rowingma[...]
2021-04-10
[16]
웹사이트
Air Vs. Magnetic Rowing Machine
http://www.livestron[...]
2017-08-07
[17]
웹사이트
Rowergs - Slide
https://www.concept2[...]
2021
[18]
학술지
Physiological and Performance Effects of Low- versus Mixed-Intensity Rowing Training
2008-03
[19]
웹사이트
How to Use Your PM3 - Understanding Splits
https://www.concept2[...]
[20]
웹사이트
How to Use Your PM3 - Viewing Calories or Watts
https://www.concept2[...]
[21]
뉴스
The Sport Journal
2012-01-02
[22]
학술지
Strength and Conditioning Practises in Rowing
2011-03
[23]
웹사이트
Indoor Rowing Technique
https://www.britishr[...]
2021-04-08
[24]
웹사이트
The Catch in Rowing Technique
https://www.rowperfe[...]
2018
[25]
웹사이트
Understanding Rowing Technique: Catch, Drive and Finish
https://www.concept2[...]
[26]
웹사이트
How To Use A Rowing Machine - Beginners Guide
https://www.litmetho[...]
2022-09-15
[27]
웹사이트
2021 WORLD ROWING INDOOR CHAMPIONSHIPS, PRESENTED BY CONCEPT2 COMPETITION SCHEDULE
https://worldrowing.[...]
2021-04-08
[28]
서적
"Lords of the Sea: The Epic Story of the Athenian Navy and the Birth of Democracy"
[29]
간행물
The Independent Rowing News
https://books.google[...]
2002-02-22
[30]
URL
https://web.archive.[...]
[31]
URL
http://www.rowinghis[...]
[32]
URL
http://indoorsportse[...]
[33]
URL
http://www.waterrowe[...]
[34]
웹사이트
Online Challenges
http://log.concept2.[...]
Concept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