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쿠조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쿠조 천황은 1165년 니조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생후 8개월의 나이에 즉위하여 일본 역대 최연소 천황이 되었다. 1168년에는 조부 고시라카와 상황의 뜻에 따라 숙부인 다카쿠라 천황에게 양위하여, 일본 역대 최연소 상황이 되었으며, 재위 기간은 2년 8개월이었다. 13세의 어린 나이에 이질로 붕어했으며, 능묘는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에 있는 세이칸지 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4년 출생 - 사미원
사미원은 남송 효종 때 우승상 사호의 아들로, 과거 급제 후 한탁주의 북벌을 반대하고 숙청을 주도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25년간 재상으로 재임하며 남송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 1164년 출생 -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하타케야마 시게타다는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무장으로, 겐페이 전쟁과 막부 창업에 기여했으나 호조 씨와의 갈등으로 몰락하여 처형당했다. - 1176년 사망 - 조위총
고려 의종 때 무신인 조위총은 무신정변 이후 의종의 복수를 명분으로 거병하여 북계 지역의 지지를 얻었으나 진압되었으며, 그의 난은 무신정권에 대한 지방 세력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1176년 사망 - 미할코 유리예비치
미할코 유리예비치는 유리 돌고루키의 아들이자 12세기 루스 지역의 공작으로, 토르체스크와 블라디미르-수즈달 공작을 역임하며 키예프 대공 즉위와 퇴위, 블라디미르 대공 즉위와 내전 등 격동의 시기를 거쳤고 군사적 활동에도 참여하여 훗날 러시아 정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로쿠조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추증 시호 | 로쿠조 천황 (六条院 또는 六条天皇) |
휘 | 순닌 (順仁) |
유칭 | (정보 없음) |
별칭 | (정보 없음) |
출생 | 1164년 12월 28일 |
사망 | 1176년 8월 23일 |
능묘 | 세이칸지노 미사사기 (清閑寺陵) (교토 위치) |
통치 정보 | |
군주 | 일본 천황 |
재위 기간 | 1165년 8월 3일 – 1168년 4월 9일 |
즉위 | 1165년 9월 4일 |
즉위 유형 | 일본 |
이전 군주 | 니조 천황 |
다음 군주 | 다카쿠라 천황 |
시대 | 헤이안 시대 |
연호 | 에이만 닌안 |
가계 | |
왕가 | 일본 황실 |
아버지 | 니조 천황 |
어머니 | 이키노 무네토의 딸 |
기타 | |
대관식 | 1165년 9월 4일 (에이만 원년 7월 27일) |
대장제 | 1166년 12월 9일 (닌안 원년 11월 15일) |
사망 장소 | 히가시야마 저택 |
장례 | 1176년 8월 28일 (안겐 2년 7월 22일) |
중궁 | 후지와라 이쿠시코 (좌대신도쿠다이지 사네요시, 또는 호쇼지 간파쿠후지와라 다다미치의 딸)을 모후로 함 |
2. 약력
로쿠조 천황은 1164년 세는 나이 2세(만 7개월 11일)에 친왕 선하와 태자 책봉을 동시에 받고 당일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이는 일본 역대 최연소 천황 즉위이다.[5][6] 1165년 7월 27일 즉위식을 거행했지만, 의식 도중 울음을 터뜨려 중단되었다. 참의 나카야마 타다치카가 "아기에게는 의식보다 젖이 중요하다"고 하여 유모 쿠니츠나의 딸 나리코가 젖을 먹여 진정시켰다고 한다.[14] 정무는 외백부인 섭정 코노에 모토자네와 쿠니츠나가 공식 석상에서 처리하였다.
로쿠조 천황은 1165년(에이만 원년)에 니조 천황(二条天皇)의 아들로 태어나, 생후 1년도 되기 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5] 같은 해 6월 25일, 니조 천황이 병으로 퇴위하면서 생후 8개월의 나이로 즉위하였다.[6] 즉위 직후인 7월 27일에서 28일 사이, 전임 니조 천황이 2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7]
1168년 재위 2년 8개월 만에 조부 고시라카와 상황의 뜻에 따라 숙부 노리히토 친왕(다카쿠라 천황)에게 양위하여 일본 역대 최연소 상황이 되었다.[8][9] 이는 고시라카와 상황이 로쿠조 천황이 반대파에게 포섭되는 것을 막고 자신의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였다.[15]
아버지 니조 천황은 친정을 시도하다 고시라카와 상황과 대립했고, 노리히토 친왕 옹립을 획책했다는 이유로 타이라노 토키타다를 유배보내고, 타이라노 노리모리, 후지와라노 나리치카, 보몬 노부타카를 해임하여 고시라카와 상황의 인세이를 정지시켰다. 그러나 니조 천황 사후 정치 실권을 빼앗긴 고시라카와 상황이 타이라노 키요모리와 손잡고 조카에서 숙부로의 부자연스러운 황위 계승을 실현시켰다.[17]
1176년 원복도 하지 못한 채 세는 나이 13세(만 11세 8개월)에 이질로 붕어하였다. 후비와 자식은 없었다.[16]
3. 생애
1168년(닌안 3년 2월 19일), 로쿠조 천황은 다이라 씨(平氏)의 압력과 조부 고시라카와 천황(後白河法皇)의 의지에 의해 폐위되었고, 그의 삼촌이자 고시라카와 천황의 일곱 번째 아들이 황위를 계승하였다.[8][9] 같은 해 3월 20일, 고쿠라 천황(高倉天皇)이 정식으로 즉위하였다.[5]
어린 나이에 즉위하고 퇴위한 로쿠조 천황은 1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너무 어린 나이였기에 비빈이나 자녀는 없었다. 정무는 조부인 고시라카와 상황(上皇)이 인세이(院政)를 통해 처리하였다. 로쿠조 천황의 능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京都市東山区)에 있는 세이칸지노 미사사기(清閑寺陵)이다.
3. 1. 즉위 배경
3. 2. 짧은 재위와 퇴위
로쿠조 천황은 생후 1년도 되기 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8개월의 나이에 즉위하였다.[5] 1165년 (에이만 원년) 니조 천황의 어린 아들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5] 같은 해 6월 25일, 니조 천황이 병으로 퇴위하면서 그의 아들이 황위를 계승(践祚)하여 로쿠조 천황으로 즉위하였다.[6] 7월 27일에서 28일 사이, 전임 니조 천황이 2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7]
1168년 (닌안 3년 2월 19일), 로쿠조 천황은 다이라 씨(平氏)의 압력으로 그의 조부에 의해 폐위되었고, 그의 삼촌이자 고시라카와 상황(後白河法皇)의 일곱 번째 아들이 황위를 계승(践祚)하였다.[8] 같은 날, 고쿠라 천황(高倉天皇)이 즉위(即位)하여 천황으로 선포되었다.[9] 3월 20일, 고쿠라 천황이 정식으로 즉위하였다.[5]
로쿠조 천황은 11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비빈이나 자녀는 없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정무는 조부인 고시라카와 상황이 인세(院政)를 통해 처리하였다. 로쿠조 천황의 능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京都市東山区)에 있는 세이칸지노 미사사기(清閑寺陵)이다.
3. 3. 상황 시절과 죽음
로쿠조 천황은 1165년(에이만 원년)에 니조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생후 1년도 되기 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같은 해 6월 25일에 니조 천황이 병으로 퇴위하면서 8개월의 나이에 즉위하였다.[5][6] 같은 해 7월 27일에서 28일 사이에는 전임 니조 천황이 2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7]
1168년(닌안 3년)에는 다이라 씨(平氏)의 압력으로 삼촌에게 양위해야 했다.[8] 그의 삼촌은 고시라카와 천황(後白河法皇)의 아들로, 고쿠라 천황(高倉天皇)으로 즉위하였다.[8][9] 로쿠조 천황은 11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비빈이나 자녀는 없었다. 정무는 그의 조부인 고시라카와 상황(後白河法皇)이 인세(院政)를 통해 처리하였다. 로쿠조 천황의 능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京都市東山区)에 있는 세이칸지노 미사사기(清閑寺陵)이다.
4. 계보
니조 천황의 2황자 (1황자는 대승도 손에이지만, 로쿠조 천황이 1황자라고 보는 경우도 있음)이다.[2][3][4] 어머니는 마츠노오타이샤가의 오오쿠라 다이스케 이키노 무네토의 딸이다. 어머니의 신분이 천했기 때문에, 아버지의 중궁인 후지와라노 무네코를 모후라 공칭하였다. 그는 자녀를 남기지 않았다.
이조 천황의 둘째 황자(첫째 황자는 대승도 존혜이지만, 육조 천황을 첫째 황자로 보는 경우도 있다). 어머니는 마쓰오 대사 사가의 대장대부 이기치원의 딸이다. 어머니의 신분이 미천했기 때문에, 아버지인 중궁 후지와라 이쿠코를 생모로 공칭했다.[24]
colspan="2" | | |
---|---|
{{llang (1103-1156) | {{llang (1116-1143) |
{{llang (1101-1145) | {{llang (1068-1131) |
colspan="2" | | |
오쿠라 다이스케 | |
colspan="2" | |
77 고시라카와 천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니조 천황 | 이니왕 | 80 다카쿠라 천황 | 료시 내친왕 (인부문원) | 식시 내친왕 | 긴시 내친왕 (선양문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로쿠조 천황 | 모왕 (호쿠리쿠구 ) | 81 안토쿠 천황 | 모리사다 친왕 (고다카쿠라인) | 82 고토바 천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고후리가와 천황 | 83 쓰치미카도 천황 | 84 준토쿠 천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시조 천황 | 88 고사가 천황 | 85 추쿄 천황 | 다다나리왕 (이와쿠라구) |
4. 1. 가계도
니조 천황의 2황자 (1황자는 대승도 손에이지만, 로쿠조 천황이 1황자라고 보는 경우도 있음)이다.[2][3][4] 어머니는 마츠노오타이샤가의 오오쿠라 다이스케 이키노 무네토의 딸이다. 어머니의 신분이 천했기 때문에, 아버지의 중궁인 후지와라노 무네코를 모후라 공칭하였다. 그는 자녀를 남기지 않았다.colspan="2" | | |
---|---|
{{llang (1103-1156) | {{llang (1116-1143) |
{{llang (1101-1145) | {{llang (1068-1131) |
colspan="2" | | |
오쿠라 다이스케 | |
colspan="2" | |
77 고시라카와 천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니조 천황 | 이니왕 | 80 다카쿠라 천황 | 료시 내친왕 (인부문원) | 식시 내친왕 | 긴시 내친왕 (선양문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로쿠조 천황 | 모왕 (호쿠리쿠구 ) | 81 안토쿠 천황 | 모리사다 친왕 (고다카쿠라인) | 82 고토바 천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고후리가와 천황 | 83 쓰치미카도 천황 | 84 준토쿠 천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시조 천황 | 88 고사가 천황 | 85 추쿄 천황 | 다다나리왕 (이와쿠라구) |
5. 재위 시기 연호
로쿠조 천황의 재위 기간은 하나 이상의 일본 연호(元号, ''nengō'')로 더 구체적으로 구분된다.[12]
6. 능묘
능(陵)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세이간지 우타노나카야마쵸에 있는 '''세이칸지 능'''(清閑寺陵)에 치정되어 있으며, 궁내청상 형식은 원분이다. 예전에는 다카쿠라 천황릉과 같은 곳에 있었으나, 근세에 이르러 구분되었다.
또한 황거에서는 궁중삼전 중 하나인 황령전에서 다른 역대 천황, 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을 모시고 있다.
7. 평가 및 영향
8. 기타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The Tale of the Heike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8-10-28
[14]
문서
[15]
논문
高倉皇統の所領伝領
[16]
서적
今鏡の周辺
和泉書院
[17]
서적
中世の王家と宮家
臨川書店
[18]
서적
本朝皇胤紹運録
[19]
서적
簾中抄
[20]
서적
平家物語
[21]
서적
百錬抄
[22]
서적
愚管抄
[23]
서적
今鏡(上)
講談社
[24]
서적
尊卑分脉
[25]
서적
後白河院時代歌人伝の研究
笠間書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