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미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미원은 남송 효종 때 우승상을 지낸 사호의 아들로, 1187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한탁주의 북벌을 반대하고 숙청을 주도하여 정권을 장악한 후, 측근들을 요직에 기용하고 주자학 탄압을 완화하는 등 권력을 강화했다. 영종 사후 조윤을 옹립하여 이종으로 즉위시켰으며, 25년간 재상으로 재임하며 남송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집권했다. 그의 집정기는 중세와 회자 남발로 백성들이 고통받고 군사력이 약화되어 남송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의 재상 - 문천상
    남송 말기 문신 문천상은 몽골 침략에 맞서 의용군을 조직하여 항전하다 체포되어 순절했으며, 그의 충절과 정기가는 동아시아 독립운동에 영향을 주었고 민족 저항 정신의 상징으로 추앙받으나 동북공정 관점에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남송의 재상 - 육수부
    육수부는 남송 말기의 충신이자 정치가로, 원나라의 침공에 맞서 남송의 마지막 저항을 이끌었으며, 어린 황제를 옹립하여 국정을 운영하다 야먼 해전에서 패배 후 순절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기려진다.
사미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미원 (《사가조종화상 급 전기》에서)
이름사미원
동숙
출생1164년 2월 23일
출생지양절동로 명주 은현
사망1233년 11월 27일
사망지임안부
부모아버지: 사호
어머니: 주씨
배우자반우송, 여묘충
자녀사택지, 사우지
직업정치인
관직
관직태사, 좌승상
시호위충헌왕
주요 경력
남송 재상 재임 시작1208년 11월 19일
남송 재상 재임 종료1208년 12월 31일
남송 재상 재임 시작1209년 6월 7일
남송 재상 재임 종료1233년 11월 27일
이전 재상한탁주
다음 재상전상조
이전 재상전상조
다음 재상정청지
군주송 영종
군주송 영종
송 이종

2. 생애

효종 때 우승상을 지낸 사호의 셋째 아들로, 1179년(순희 6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승사랑(承事郞)에 임관되었고, 1181년(순희 8년) 선의랑(宣義郞)으로 보임되었다. 1187년(순희 14년)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소희 연간에 대리시 사직(大理寺司直) 및 태상사 주부(太常寺主簿) 등을 역임했다. 1196년(경원 2년) 대리사직으로 전임된 후 궁중 교수를 맡았다. 이후 추밀원 편수관・공부낭관・종정승(宗政丞)・지주 지주(池州知州)・제거절서상평(提擧浙西常平)을 거쳐 1205년(개희 원년) 국사원 편수관・비서소감(秘書少監)・기거랑(起居郞)에 올랐다.

1206년(개희 2년), 당시 평장군국사였던 한탁주(韓侂胄)가 금나라와 맺은 를 파기해 북벌에 나섰지만, 사미원은 출병에 반대했다. 1207년(개희 3년), 예부시랑(문부대신)이 되어 북벌에 실패한 한탁주의 죄상을 탄핵했고, 화평파의 영수로서 영종(寧宗)의 황후 양씨(楊氏)의 뜻을 받아 한탁주를 숙청한 정변을 주도했다. 이때 한탁주의 목을 금나라로 보내 주전파를 제압함으로써 화약을 성립시켰다. 1208년(가정 원년), 논공행상을 통해 지추밀원사로 승진했으며, 같은 해 6월엔 참지정사(부재상)를 겸직했다. 10월에 우승상으로 임명되었으나, 어머니의 장례 문제로 잠시 낙향했다가 이듬해 5월에 복직했고, 한탁주의 숙청에 협력한 와 등을 제거해 단독 재상이 되어 명실공히 조정의 대권을 장악하기에 이른다.[11]

내정면에서는 중서문하성・추밀원・대간의 요직에 '4목 3흉(四木三凶)[12]'이라 일컬어진 자신의 측근 및 관료들을 기용해 행정 실무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정권의 기반을 다졌다. 한편, 경원의 당금 이래 주자학에 대한 탄압을 풀어주었고, 주희조여우 등의 명예를 회복시키거나, 작록(爵祿)을 수여하면서 사대부의 여론을 회유하는데도 부심했다. 1220년(가정 13년), 가 사망하고 대신 황위 계승자로 내정된 과 불화하게 되자, 태조의 차남이었던 연왕(燕王) 조덕소(趙德昭)의 후예인 조윤(趙昀)을 입궁시켰다. 1224년(가정 17년), 영종이 붕어하면서 조횡을 폐출시키고 조윤을 옹립하니, 그가 이종(理宗)이다. 호주(湖州)로 추방된 조횡은 역모에 휘말려 사미원이 파견한 자객에 의해 죽임당했다.[16][17]

1225년(보경 원년) 6월, 태사(太師)・위국공(魏國公)의 작위를 받았으나 태사의 칭호는 고사한 채 받지 않았고, 노국공(魯國公)으로 개봉(改封)되었다. 1230년(소정 3년) 12월, 이종의 조칙으로 10일에 한 번만 입조하여 정무를 볼 수 있는 예우가 허용되었다. 1233년(소정 6년) 10월, 태사・좌승상을 배명받아 회계군왕(會稽郡王)으로 진봉했지만, 곧이어 병사한다. 사후에 중서령(中書令)이 추증되었으며, 위왕(衛王)으로 추봉되어 충헌(忠獻)의 시호를 받았다. '독재 재상'이 등장한 남송시대를 통틀어서도 25년에 걸친 집권은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것이었다. 사미원의 집정기는 중세(重稅)와 회자(會子)의 남발로 인한 압정에 백성들이 시달리고, 문치주의를 중시한 나머지 군사력이 저하되어 남송 멸망의 원인이 배양되어간 시대이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사미원은 양절동로(兩浙東路) 명주(明州) 은현(鄞縣) 출신으로, 효종(孝宗) 때 우승상을 지낸 사호의 셋째 아들이다. 1179년(순희 6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승사랑(承事郞)에 임관되었고, 1181년(순희 8년) 선의랑(宣義郞)으로 보임되었다. 1187년(순희 14년)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소희 연간에 대리시 사직(大理寺司直) 및 태상사 주부(太常寺主簿) 등을 역임했다. 1196년(경원 2년) 대리사직으로 전임된 후 궁중 교수를 맡았다. 이후 추밀원 편수관・공부낭관・종정승(宗政丞)・지주 지주(池州知州)・제거절서상평(提擧浙西常平)을 거쳐 1205년(개희 원년) 국사원 편수관・비서소감(秘書少監)・기거랑(起居郞)에 올랐다.

2. 2. 한탁주 숙청과 정권 장악

사미원은 효종 때 우승상을 지낸 사호의 셋째 아들로, 1179년 음보로 관직에 진출하여 1187년 과거에 급제했다. 1206년, 평장군국사 한탁주금나라와 맺은 건도 화약을 파기하고 개희북벌을 감행했지만, 사미원은 출병에 반대했다. 1207년, 예부시랑이 된 사미원은 북벌에 실패한 한탁주의 죄상을 탄핵했고, 화평파의 영수로서 영종의 황후 양씨의 뜻을 받아 한탁주를 숙청하는 정변을 주도했다. 이후 한탁주의 목을 금나라로 보내 주전파를 제압하고 화약을 성립시켰다.

1208년, 사미원은 지추밀원사로 승진했고, 같은 해 6월 참지정사를 겸직, 10월에는 우승상에 임명되었다.[11] 어머니의 장례 문제로 잠시 낙향했다가 이듬해 5월 복직한 사미원은, 한탁주의 숙청에 협력한 전상조(錢象祖)와 위경(衛涇) 등을 제거하고 단독 재상이 되어 조정의 대권을 장악했다.[11]

내정 면에서는 중서문하성, 추밀원, 대간의 요직에 자신의 측근 및 관료들('4목 3흉(四木三凶)')을 기용하여 행정 실무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정권의 기반을 다졌다.[12] 한편, 경원의 당금 이래 주자학에 대한 탄압을 풀어주고, 주희조여우 등의 명예를 회복시키거나 작록을 수여하면서 사대부의 여론을 회유하는 데 힘썼다.

1220년, 경헌태자가 사망하고 황위 계승자로 내정된 조횡과 불화하게 되자, 태조의 차남이었던 연왕 조덕소의 후예인 조윤을 입궁시켰다. 1224년, 영종이 붕어하자 사미원은 조횡을 폐출시키고 조윤을 옹립하니, 그가 이종이다. 호주로 추방된 조횡은 역모에 휘말려 사미원이 파견한 자객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13][14]

2. 3. 권력 강화와 정책

사미원은 효종 때 우승상을 지낸 사호의 셋째 아들로, 1179년 음보로 관직에 진출했다. 1187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1205년 국사원 편수관 등에 올랐다.[15]

1206년, 평장군국사 한탁주(韓侂胄)의 북벌에 반대했다. 1207년 북벌 실패 후, 영종의 황후 양씨와 함께 한탁주를 숙청하는 정변을 주도하고, 한탁주의 목을 금나라에 보내 화약을 성립시켰다. 1208년 지추밀원사, 참지정사를 거쳐 우승상에 올랐고, 이후 한탁주 숙청에 협력한 인물들을 제거하고 단독 재상이 되어 권력을 장악했다.[11]

내정에서는 측근들을 요직에 기용하여 행정 실무를 통제하고, 주자학 탄압을 완화하고 주희 등 관련 인물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사대부 여론을 회유했다.[12] 1220년 황위 계승 문제로 조횡과 불화하여 조윤(이종)을 옹립했다. 1224년 영종 사후 이종을 즉위시키고, 조횡은 호주로 추방 후 살해했다.[13][14][16][17]

1225년 태사, 위국공 작위를 받았으나 태사 칭호는 받지 않고 노국공으로 개봉되었다. 1230년 10일에 한 번 입조하는 예우를 받았고, 1233년 태사, 좌승상, 회계군왕에 임명되었으나 곧 병사했다. 사후 중서령, 위왕으로 추증되고 충헌(忠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사미원의 25년 집권기는 남송 역사상 가장 긴 독재 재상 집권기였다. 그의 집정기는 중세와 회자 남발로 백성들이 압정에 시달리고, 문치주의로 군사력이 약화되어 남송 멸망의 원인이 된 시대로 평가받는다.

2. 4. 황위 계승 개입과 최후

사미원(史彌遠)은 효종 때 우승상을 지낸 사호(史浩)의 셋째 아들로, 1187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1206년, 평장군국사 한탁주(韓侂胄)의 북벌에 반대하였고, 이듬해 한탁주를 숙청하는 정변을 주도하여 영종의 황후 양씨와 함께 한탁주의 목을 금나라에 보내 화약을 성립시켰다.

1208년 우승상에 올랐으며, 이후 한탁주 숙청에 협력한 세력을 제거하고 자신의 측근들을 요직에 기용하여 권력을 장악하였다.[11] 주자학에 대한 탄압을 완화하고 주희 등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등 사대부의 여론을 회유하는 정책을 펼쳤다.[12]

1224년 영종이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사망하자,[8] 사미원은 황태자 조횡(趙竑)을 폐하고 조윤(趙昀)을 옹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양황후의 지원을 받았는데, 일부 역사 기록에 따르면 사미원이 황태자 곁에 기녀[9]를 심어두었고, 그녀를 통해 황태자가 즉위 후 사미원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알게 되었다고 한다.[9] 양황후는 조윤을 후계자로 임명하는 칙서를 위조했고, 조윤은 이종으로 즉위했다.[10] 폐위된 조횡은 호주로 추방된 후 역모에 휘말려 사미원이 보낸 자객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13][14]

1233년 사미원은 재임 중 사망하였고, 그의 사후 남송은 중세와 회자 남발로 인한 압정에 백성들이 시달리고, 문치주의를 중시한 나머지 군사력이 저하되어 멸망의 원인이 배양되어 갔다.

3. 평가

3. 1. 부정적 평가

3. 2. 긍정적 평가

3. 3. 종합적 평가

참조

[1] 서적 History of Song
[2] 서적 History of Song
[3]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ang Through Ming, 618-1644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4-03-13
[5] 서적 Wu Wenying and the Art of Southern Song Ci Poet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7-14
[6] 서적 A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07-13
[7] 서적 Th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0-08-15
[8] 서적 Technology, Literacy,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Implications of the Work of Jack Good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3-06-17
[9] 웹사이트 宋朝也流行"好声音":第一组为"小唱"选手 http://culture.peopl[...]
[10]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ang Through Ming, 618-1644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4-03-13
[11] 서적
[12] 문서 四木と三凶
[13] 서적 宋史
[14] 문서 霅川の変
[15] 문서 四木と三凶
[16] 서적 송사
[17] 문서 삽천의 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