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카스 노타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카스 노타라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관료로, 15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마지막 시기에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모넴바시아 출신의 그리스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1424년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2세와 요안니스 8세 팔레올로고스 황제 간의 우호 조약을 협상하는 데 참여했다. 노타라스는 콘스탄티노스 11세의 결혼식에도 참석하며 황실 관료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그는 "터키의 터번이 라틴 미트라보다 낫다"는 발언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그의 실제 입장과 다를 수 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당시 해안 성벽을 방어했으나 함락 후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2년 출생 - 장 드 뒤누아 백작
    장 드 뒤누아 백작은 프랑스 국왕 샤를 5세의 사생아로, 백년 전쟁과 프랑스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오를레앙 공방전에서 잔 다르크와 함께 영국군을 물리치고, 프라게리 반란과 공익 동맹에 참여했다가 1468년에 사망했다.
  • 1402년 출생 - 공양장황후
    공양장황후는 명나라 선덕제의 황후였으나, 아들을 낳지 못하고 병약하다는 이유로 폐위되어 도사가 되었다가 천순제 때 황후로 복위되었으며, 당시 여성에게 가해지던 사회적 압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15세기 그리스 사람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15세기 그리스 사람 - 막심 트리볼리스
    러시아로 초빙되어 종교 개혁 운동에 참여한 그리스 출신 학자 막심 트리볼리스는 소르본 대학교와 피렌체 르네상스를 경험하고 아토스 산에서 수도 생활을 했으며 러시아에서 성경 번역 및 교회 개혁 활동을 펼치다 이단으로 몰렸으나 동방 정교회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15세기 동로마인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 15세기 동로마인 - 다비드 (트라페준타)
    다비드 콤네노스는 트라페준타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서 오스만 제국의 압박에 굴복하여 제국을 멸망시킨 후 처형되었으나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루카스 노타라스

2. 생애

루카스 노타라스는 모넴바시아 출신의 그리스인 가문 후손으로, 그의 조상들은 13세기부터 역사 기록에 등장한다. 14세기 중반, 노타라스 가문의 한 분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하여 안드로니코스 4세 팔레올로고스와 그의 아들 요안니스 7세 팔레올로고스를 지지하며 정치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12]

그의 아버지 니콜라스 노타라스는 갈라타의 부유한 상인이었으며,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의 특사로 활동했다.[13] 루카스 노타라스는 1424년 오스만 제국과의 우호 조약을 협상하는 사절단으로 참여했고,[14] 1441년에는 미래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등[15] 황실 관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나는 도시(콘스탄티노폴리스) 한가운데서 라틴 주교관을 보느니 투르크 터번을 보겠다."라는 유명한 문구는[16] 두카스에 의해 그의 말로 기록되었지만, 피렌체 공의회의 교회 연합에 반대하는 이들의 견해를 반영한 것으로, 노타라스의 실제 발언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노타라스는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와 함께 가톨릭의 지원을 얻기 위해 노력하면서도 정교회 신자들의 반발을 무마하려 했던 인물이다.[17]

2. 1. 가문 배경

루카스 노타라스는 모넴바시아에 뿌리를 둔 그리스인 가문 출신이었다. 기록에 나타난 그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1270년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황제를 대신해 베네치아인들로부터 키티라섬을 탈환한 세바스토스 파울로스였다.[1] 이후 수십 년 동안 노타라스 가문의 다른 인물들이 역사에 등장한다. 14세기 중반, 가문의 한 분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하여 안드로니코스 4세 팔레올로고스를 지지하며 정치적, 사회적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안드로니코스 4세 사후에는 그의 아들 요안니스 7세 팔레올로고스를 지지했다.[12]

루카스 노타라스의 아버지는 갈라타의 부유한 상인이었던 니콜라스 노타라스였다. 그는 이탈리아, 프랑스, 잉글랜드에서 황제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의 특사로 활동했으며, 제노바 공화국베네치아 공화국의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어머니의 이름은 에우프레피아였는데, 1412년 이전에 사망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크산토풀론 수도원에 안장되었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루카스에게는 적어도 한 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에피 티스 트라페지스로 근무했던 요안니스였다. 그는 141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성전 중 벌어진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 니콜라스는 아들의 머리를 되찾아 유해와 함께 장례를 치렀다.[13]

2. 2. 초기 생애

루카스 노타라스는 모넴바시아 출신의 그리스인 가문 출신이었다. 현존하는 기록에 따르면, 그의 조상 중 가장 오래된 인물은 1270년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황제를 위해 베네치아인들로부터 키티라섬을 점령한 세바스토스 파울로스이다.[1] 이후 수십 년 동안 노타라스 가문의 다른 구성원들도 역사에 등장했다. 14세기 중반, 가문의 한 분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하여 안드로니코스 4세 팔레올로고스와 그의 아들 요안니스 7세 팔레올로고스를 지지하며 정치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1]

루카스 노타라스의 아버지 니콜라스 노타라스는 갈라타의 부유한 상인이었다. 그는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의 특사로 이탈리아, 프랑스, 잉글랜드 등지에서 활동했으며, 제노바 공화국베네치아 공화국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의 이름은 에우프레피아였는데, 1412년 이전에 사망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크산토풀론 수도원에 묻혔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루카스에게는 에피 티스 트라페지스 벼슬을 지낸 요안니스라는 형제가 있었는데, 141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성전 중 벌어진 전투에서 사로잡혀 처형되었다. 니콜라스는 아들의 머리를 되찾아 유해와 함께 장례를 치렀다.[2]

1424년, 노타라스는 마누일 멜라흐레노스, 예요르요스 스프란체스와 함께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2세와 요안니스 8세 팔레올로고스 황제 간의 우호 조약을 협상하기 위한 세 명의 사절 중 한 명이었다.[3] 1441년 7월 27일, 훗날 황제가 되는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와 카테리나 가틸루시오의 결혼식에 참석한 것으로 보아 황실 관료로서 그의 중요성은 계속되었다.[4]

2. 3. 비잔티움 제국의 관료

루카스 노타라스는 모넴바시아 출신의 그리스인 가문 후손이었다. 현존하는 기록에서 그의 조상 중 가장 오래된 인물은 1270년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황제를 위해 베네치아인들로부터 키티라섬을 점령한 ''세바스토스'' 파울로스이다.[1] 이후 수십 년 동안 노타라스 가문의 다른 구성원들이 확인되었다. 14세기 중반, 가문의 한 분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하여 안드로니코스 4세 팔레올로고스를 지지하며 정치적, 사회적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안드로니코스 4세 사후에는 그의 아들 요안니스 7세 팔레올로고스를 지지했다.[1]

루카스 노타라스의 아버지는 갈라타의 부유한 상인이자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에서 황제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의 특사였던 니콜라스 노타라스였다. 그는 제노바 공화국베네치아 공화국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어머니 이름은 에우프레페이아였는데, 1412년 이전에 사망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크산토풀론 수도원에 묻혔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루카스에게는 ''에피 티스 트라페지스''로 일했던 요안니스라는 형제가 있었는데, 141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성전 중 벌어진 교전에서 사로잡혀 참수되었다. 니콜라스는 아들의 머리를 되찾아 유해와 함께 장례를 치렀다.[2]

1424년, 노타라스는 마누일 멜라흐레노스, 예요르요스 스프란체스와 함께 오스만 튀르크의 무라드 2세와 요안니스 8세 황제 사이에 오스만 공위시대를 끝내는 우호 조약을 협상한 세 명의 특사 중 한 명이었다.[3] 1441년 7월 27일, 미래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와 카테리나 가틸루시오의 결혼식에 참석한 것은 황실 관료로서 그의 지속적인 중요성을 보여준다.[4]

"나는 도시(콘스탄티노폴리스) 한가운데서 라틴 주교관을 보느니 투르크 터번을 보겠다." (κρειττότερον ἐστὶν εἰδέναι ἐν μέσῃ τῇ Πόλει φακιόλιον βασιλεῦον Τούρκου, ἢ καλύπτραν λατινικήνel)라는 유명한 문구는 두카스가 그의 말이라고 했지만,[5] 피렌체 공의회에서 확립된 교회 연합에 반대하는 당파의 견해를 나타내는 이 말은 노타라스에게 잘못 귀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노타라스는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와 함께 가톨릭의 지원을 얻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정교회 신자들의 폭동을 피하고자 했다.[6]

2. 4.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최후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성전 동안, 노타라스는 군대를 이끌고 북서쪽 해변 성벽을 방어했다.[18][7] 일부 기록에서는 그가 케르코포르타 탑 위에 오스만 제국의 깃발이 게양된 후 직위를 버렸다고 하지만, 이는 정치적인 모략일 가능성이 있다. 어쨌든 그는 육지 성벽이 파괴되어 그의 노력이 무의미해질 때까지 해변 성벽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노타라스와 그의 아내, 장남은 모두 오스만 제국에 포로로 잡혔으나, 질서 재확립과 노타라스 재산 대부분을 대가로 사면받았다. 그는 자녀들의 지참금 형태로 베네치아에 해외 투자를 할 정도로 현명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들과 사위와 함께 곧 처형되었다. 이는 술탄 메흐메트 2세가 바티칸 및 베네치아와 연줄이 있는 귀족의 생존을 허락하는 것에 대해 재고했기 때문일 수 있다. 다른 설명으로는 메흐메트 2세가 노타라스의 14세 셋째 아들 야코보스를 성적으로 원했고, 노타라스가 이를 거부하자 분노하여 처형을 명령했다는 것이다.[8][9]

마카리오스 멜리세노스는 '가짜 스프란체스'로 알려져 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에 대한 신뢰하기 어려운 기록을 남겼다. 이 기록에 따르면, 메흐메트 2세는 처형 명령 전 노타라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ἀνθρωπόμορφε κύον καὶ ἀπερίτρεπτε, ὁ τὰς κολακείας καὶ ἀπάτας ἐπιστάμενος, ἔχων τοὺς θησαυροὺς τούτους, πῶς τῷ βασιλεῖ καὶ τῇ πατρίδι σου οὐκ ἐπεκούρησας; Καὶ νῦν ἐλπίζεις ταῖς πλοκαῖς καὶ ταῖς ἀπάταις, αἷς ἐκ νεότητός σου ἐμελέτησας, ἐμὲ ἀπατῆσαι καὶ διαφυγεῖν τὸ χρεών σου; Εἰπέ μοι, ὦ μιαρώτατε, τίς ἐμοὶ παρέδωκε τὴν πόλιν ταύτην καὶ τοὺς θησαυρούς σου; [ὁ δὲ ἀπεκρίνατο, ὅτι ὁ Θεός]. Καὶ τίνος ἕνεκεν, ὦ ἀνόητε, φλυαρεῖς καὶ ληρεῖς; Ὁ Θεὸς ἔκρινε σ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ἁπάντων ἐμοὶ δουλεύειν. Πρὸ τοῦ πολέμου τούτου καὶ πρὶν ἢ νικήσω, ἔπρεπέ μοι προσφέρειν τοὺς θησαυρούς σου, ἵνα γένῃ φίλος μου, κἀγὼ τιμήσω σε. Νῦν δὲ ὁ Θεὸς ἔδωκέ μοι τοὺς θησαυρούς σου.|인간 같지 않은 잡종 개, 아첨과 기만에 능숙하구나! 너는 이 모든 재산을 가지고 있으면서 주군인 황제와 너의 고향인 도시에 그것을 제공하지 않았느냐? 그리고 이제 네가 젊었을 때부터 엮어온 모든 음모와 엄청난 배신으로 나를 속이고 네가 마땅히 받아야 할 운명을 피하려 하는구나. 이 사악한 인간아, 누가 이 도시와 너의 보물을 나에게 넘겨주었는지 말해보아라? [노타라스는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셨다고 대답했다.] 하나님께서 너와 다른 모든 사람들을 나에게 노예로 삼는 것이 옳다고 보셨으니, 네가 이곳에서 수다를 떨고 범죄를 저지르면서 무엇을 이루려고 하는 것이냐? 이 전쟁이 시작되기 전이나 내가 승리하기 전에 이 보물을 나에게 바치지 않았느냐? 그랬다면 네가 나의 동맹이 될 수 있었고, 나도 너를 존경했을 것이다. 현재 상황으로 보아 너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너의 보물을 나에게 주신 것이다.grc [10]

3.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연도작품명배역비고
1951년이스탄불의 정복베다트 외르피 벵귀터키 영화
1952년요하네스 앙겔로스미카 발타리의 역사 소설
2012년정복 1453나지 아디구젤터키 영화
2019년자색암과 재역사 소설
2020년제국의 부활: 오스만오스만 소난트역사 픽션 다큐멘터리 시리즈
2024년메흐메트: 정복자 술탄피크레트 쿠쉬칸터키 역사 픽션 드라마


참조

[1] 논문 "The Notaras Family and Its Italian Connections" https://www.jstor.or[...] 1995
[2] 서적
[3] 서적 Chronicon Minus
[4] 서적 Chronicon Minus
[5] 서적
[6] 서적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7] 서적 The Immortal Empe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8] 간행물 1995
[9] 간행물 1978
[10] 서적 Chronicon Maius
[11] 논문 Héléna Notara Gateliousaina d'Ainos et le Sankt Peterburg Bibl.Publ.gr. 243 1998
[12] 논문 "The Notaras Family and Its Italian Connections" https://www.jstor.or[...] 1995
[13] 서적
[14] 서적 Chronicon Minus
[15] 서적 Chronicon Minus
[16] 서적
[17] 서적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18] 서적 The Immortal Empe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