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넴바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넴바시아는 지진으로 본토와 분리된 섬으로, 해발 100m 높이의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레아 모넴바시아 만을 바라보는 위치에 도시가 자리 잡고 있다.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고대에는 미노아 문명의 무역 거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6세기경 스파르타 주민들이 건설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다. 1460년까지 동로마 제국에 속해 있었고, 이후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중 그리스인에게 해방되었고, 1970년대부터 관광지로 번성하기 시작했다. 모넴바시아는 다섯 개의 지방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형성되었으며, 주요 건축물로는 하기아 소피아 교회, 엘코메노스 그리스도 교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펠로폰네소스주의 관광지 - 미케네
    미케네는 아르골리스 지방의 고대 유적지로,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아 에게 문명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아가멤논 왕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고 청동기 시대 붕괴와 함께 쇠퇴했으나 후대 그리스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관광지 - 에피다우로스
    에피다우로스는 아테네에서 남서쪽으로 약 65km 떨어진 사로니코스 만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로,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숭배하는 아스클레피에이온이 있어 의료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고대 극장이 있다.
모넴바시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모넴바시아의 남쪽에서 본 하부 및 상부 도시의 모습
모넴바시아의 남쪽에서 본 하부 및 상부 도시의 모습
일반 정보
이름모넴바시아
현지 이름Μονεμβασιά
유형자치단체
위치펠로폰네소스
라코니아현
고도15m
우편 번호230 70
지역 번호27320
차량 번호판 코드ΑΚ
행정
시장(정보 없음)
소속 정당(정보 없음)
임명 시기(정보 없음)
지리
면적 (municipality)949.3 km²
면적 (municunit)209.0 km²
인구
인구 (municipality, 2021년 기준)21816 명
인구 (municunit, 2021년 기준)4114 명
인구 (community)1626 명
기타
웹사이트모넴바시아 시 웹사이트

2. 지리

모넴바시아는 375년 지진으로 본토와 분리되었다. 섬의 대부분은 해발 100m 높이의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는 바위 남동쪽 기슭에 팔레아 모넴바시아 만을 바라보는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2. 1. 지형

모넴바시아 섬은 375년 지진으로 본토와 분리되었다. 섬 대부분은 해발 100m 높이의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는 바위 남동쪽 기슭에 팔레아 모넴바시아 만을 바라보는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사람이나 당나귀만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좁은 거리가 많다. 북서쪽에는 집 10채 정도 되는 작은 마을이 있다.[1]

2. 2. 도시 구조

모넴바시아 섬은 375년 지진으로 본토와 분리되었다. 섬 대부분은 해발 100m 높이의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는 바위 남동쪽 기슭에 팔레아 모넴바시아 만을 바라보는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많은 거리가 좁아서 보행자와 당나귀만 지나갈 수 있다. 북서쪽에는 10채 정도의 집으로 이루어진 작은 마을이 있다.

2. 3. 기후

모넴바시아는 온화한 겨울과 매우 더운 여름을 보이는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에서 ''Csa'')를 띤다.[17] 역대 최고 기온은 2007년 6월 26일에 45.2°C였고, 최저 기온은 2008년 2월 17일에 1.6°C였다.[18] 아테네 국립 천문대의 세계 기상 기구 관측소는 모넴바시아의 묶여 있는 섬에서 조금 떨어진 그리스 본토에 위치해 있다.[18] 모넴바시아는 식물 내한성 구역 11a에 속하며, 그리스 본토에서 11a 구역에 속하는 유일한 지역이다.[17]

2007년 6월 27일 모넴바시아는 24시간 최저 기온이 35.9°C로, 그리스 본토에서 기록된 가장 높은 최저 기온이었다.[19] 그날 밤 모넴바시아는 36.3°C 아래로 내려가지 않았다.[20] 모넴바시아는 기록된 기상 역사상 1.5°C 미만의 기온을 기록한 적이 없다.[21] 게다가 모넴바시아는 연간 133일의 열대야를 기록하는데, 이는 유럽 본토의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다.[22] 모넴바시아는 지난 80년 동안 눈이 쌓인 적이 없다.[23]

모넴바시아 (2007-202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5°C)15°C15.6°C17.4°C20.7°C25°C29.7°C32.2°C32.1°C28.7°C23.9°C20.3°C16.7°C
평균 기온 (12.7°C)12.7°C13.3°C14.7°C17.6°C21.5°C26°C28.7°C28.8°C25.6°C21.5°C18.1°C14.6°C
평균 최저 기온 (10.5°C)10.5°C10.9°C11.9°C14.5°C18°C22.2°C25.2°C25.6°C22.5°C19.1°C15.9°C12.5°C
역대 최고 기온 (22.4°C)22.4°C25.3°C25.8°C30.5°C35.3°C45.2°C42.7°C39.9°C38.3°C33.2°C31.4°C24.9°C
역대 최저 기온 (2.1°C)2.1°C1.6°C4.2°C9.1°C12.1°C15.8°C18.4°C20.5°C16.7°C12.5°C8.9°C4.7°C
강수량 (mm)107.8mm67.9mm37.2mm19.7mm7.8mm9.7mm2.6mm1.2mm26mm59.7mm95.8mm89.7mm

[24] [25] [26]

3. 역사

모넴바시아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미노아 문명 시대에는 무역 거점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파우사니아스와 스트라본 등의 고대 기록에도 등장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이 지역을 "미노아 곶"을 의미하는 "아크라 미노아"라고 불렀다.[6]

고대 스파르타 주민들은 6세기경 슬라브족의 침입을 피해 모넴바시아로 이주하여 요새를 건설했다. 모넴바시아 연대기에 따르면 587-588년에 스파르타 주민들이 이곳에 요새를 구축했다고 전해지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에 이미 도시가 건설되었을 가능성도 있다.[8]

10세기부터 모넴바시아는 무역과 해상 거점으로 발전했으며, 아랍인, 노르만족의 침입을 견뎌냈다. 1248년에는 기욤 2세 드 빌아르두앵에게 점령되었으나, 1262년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반환되었다.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 모넴바시아는 중요한 해상 요충지로, 서방 통치자들과 해적들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9세기부터 아랍의 공격이 시작되었고, 10세기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관할로 변경되었지만 자치권을 유지하며 경제적으로 성장했다.[8] 11세기와 12세기에는 하기아 소피아 교회와 엑소메노스 크리스토스 교회 등 중요한 건축물이 재건되었다. 13세기에는 라틴 제국의 포위 공격을 받았으나 함락되지 않았고, 빌헬름 드 빌아르두앵에게 점령되었다가 비잔틴에게 반환되었다.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는 모넴바시아에 상속세 및 관세 면제 등 다양한 특권을 부여했다.[8]

비잔틴 시대의 엑소메노스 그리스도 교회가 있는 모넴바시아의 중앙 광장


1460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점령하면서 모넴바시아는 교황에게 귀속되었다가 베네치아 공화국에 함락되었다. 제1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과 제2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을 거치며 영토 일부가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다.[8]

1540년 쉴레이만 2세와의 평화 조약으로 모넴바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항복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메네크셰'(Menekşe, Menekşe|메네크셰tr, '제비꽃'이라는 뜻)로 불렸으며, 모레아 주의 주도로 지정되었다.[8] 크레타 전쟁 동안 베네치아가 점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오스만 제국은 섬의 방어를 강화했다.[8]

제6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중 1690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프란체스코 모로시니의 지휘 아래 모넴바시아를 일시적으로 탈환하고 라코니아 현의 수도로 지정했다.[8] 그러나 1715년 제7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다시 점령했다. 오를로프 반란 (1770) 동안 모넴바시아는 약탈당하고 버려졌다.[8]

F. 데 비트가 1680년에 제작한 지도.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초기, 모넴바시아 요새는 4개월간의 포위 끝에 그리스군에 항복했다.[8] 그러나 전리품 분배와 행정 문제로 혼란이 발생했고, 내전의 희생양이 되었다. 1827년 디미트리스 플라푸타스가 요새 행정을 맡았으나, 콘스탄티노스 마브로미할리스와의 분쟁으로 모넴바시아는 그리스 국가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182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가옥이 파괴된 상태였고, 659명이 거주했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가 새로운 수호자로 임명되어 건물 수리를 도왔다. 1833년 행정 개편으로 에피다우로스 리미라스 주의 소재지가 되었으나, 1864년 몰라오이로 이전되었다. 1970년대까지 인구가 감소했으며, 1971년 본토와 섬을 잇는 다리가 완공되었다.

1920년부터 1971년까지 모넴바시아 인구 변화
연도1920년1928년1940년1951년1961년1971년
인구483명638명638명522명487명445명



1970년대부터 모넴바시아는 관광지로 다시 번성하기 시작했다. 1971년에는 모넴바시아가 서쪽에 있는 다리를 통해 GR-86에 연결되었다. 중세 건물들이 복원되고 호텔로 개조되는 등 관광 산업이 발전했다. 매년 7월 23일에는 독립 기념일 축제가 열린다.[11]

3. 1. 고대

고대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지만, 모넴바시아 마을이 위치한 섬은 미노아 문명의 무역 거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유명한 그리스 여행가이자 지리학자인 파우사니아스는 이 지역을 "아크라 미노아"(''Akra Minoa'')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미노아 곶"으로 번역된다.[6] 스트라본은 한 세기 전에 이곳을 "미노아 요새"라고 언급했다. "미노아"라는 지명은 고대에 항구가 존재했음을 나타내며, 그 흔적이 수중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섬에 상당한 규모의 정착지가 있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8] 고대에는 에피다우로스 리메라의 고대 정착지가 모넴바시아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파우사니아스는 에피다우로스 리메라를 방문하여 도시 맞은편에 "미노스의 끝"이라고 언급한 곶이 있었으며, 이는 모넴바시아로 확인되었다고 말했다.

3. 2. 중세

모넴바시아는 6세기경 고대 스파르타 주민들이 이주하면서 건설되었다. 모넴바시아 연대기에 따르면, 587-588년 슬라브족의 습격 이후 스파르타 주민들이 모넴바시아에 요새를 구축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에 이미 도시가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부 마을 중앙에 있는 엘코메노스 그리스도 대성당의 첫 번째 층은 그 시대의 것이다.[8]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에는 자연재해나 습격 등으로 도시들이 쇠퇴했지만, 주거 재건축을 통해 인구를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키고 도시 이름을 변경하는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코피우스의 《건설에 관하여》에 언급되어 있지만, 펠로폰네소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드물다.[8] 15세기 텍스트인 《총대주교에게 보내는 보고》는 인구 이동이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에 일어났다고 언급한다.[8]

스파르타 당국은 스파르타 인구를 모넴바시아로 이동시키고, 남동부 라코니아의 정착촌을 재편했다. 여기에는 파르논 산맥 고개 정착과 기티온으로부터의 이주가 포함되었다. 《모넴바시아 연대기》는 인구 일부가 시칠리아까지 이주했다고 기록한다.[8] 새로운 위치에서의 재건축, 이동, 인구 정착은 몇 년 후에 완료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두 도시는 얼마 동안 공존했을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과 함께 라케다이모니아 교구의 교좌도 옮겨졌지만, 옛 이름은 유지되었다.[8]

10세기 무렵부터 모넴바시아는 무역과 해상 거점으로 발전했다. 1147년에는 아랍인과 노르만족의 침공을 견뎌냈고, 1248년에는 기욤 2세 드 빌아르두앵이 3년간의 공략 끝에 도시를 점령했다. 그러나 1262년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반환되었다.

1460년 메흐메트 2세코린토스를 거쳐 라코니아로 진군하여 아카이아와 일리아의 요새를 점령했고, 1461년에는 살메니코스가 항복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펠로폰네소스 정복이 완료되었다. 이후 모넴바시아는 베네치아에게 함락되었고, 제1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63-1479)과 제2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99-1503)을 거치며 영토 일부가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다.[8]

1537년 하이레딘 바르바로사가 모넴바시아 점령을 시도했고, 1540년 평화 조약으로 쉴레이만 2세는 모넴바시아를 요구하여 결국 오스만 제국에 항복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모넴바시아는 ''메네크셰''(터키어: Menekşetr, '제비꽃'이라는 뜻)로 알려졌으며, 모레아 에야레트에 포함되었다.[8] 1573-157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04명의 수비대가 있었고 28,665 악체의 세금을 납부했으며, 그 중 6,000 악체는 항구의 상업 활동에서 나왔다.[8] 몰타 기사단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는 모넴바시아 점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8] 1583년에는 비무슬림 가구 320가구와 가족이 없는 주민 191명이 있었다.[8]

크레타 전쟁 (1645-1669) 동안 베네치아는 모넴바시아 점령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섬의 방어를 강화하고 주민들에게 돔이 있는 교회를 지을 기회를 제공했다.[8]

3. 2. 1. 비잔티움 제국 시대

필리포스 바르다네스가 시칠리아에서 주조한 청동 동전이 하부 도시에서 발견되었다. 모넴바시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8세기 3번째 10년에 기록되었으며, 시칠리아 성지에서 모넴바시아를 경유하여 여행한 순례자 빌리발도스가 언급했다. 테오파네스 고백자는 746-747년에 제1차 흑사병이 비잔티움에 도착한 것을 묘사하면서 모넴바시아를 언급했다.[8]

동지중해로 향하는 해상로에서 모넴바시아의 중요한 위치는 서방 통치자들의 약탈과 함께, 이후 세기에 해적들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9세기에 아랍의 공격이 시작되었고, 이후 그들이 크레타에 정착하면서 공격이 빈번해졌다. 10세기에 쓰여진, 아랍어로 번역본만 남아있는 모넴바시아 주교 파블로스의 '심리친화적 이야기'에는 아랍인들이 모넴바시아로 확인된 '부콜로' 요새를 공격했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같은 텍스트의 앞부분에는 바르셀로나의 성자들(발레리우스 주교, 율랄리아, 빈센티우스 등)의 유물이 도시에 밀려왔다는 내용이 있다. 주민들은 그들을 담고 있던 석관을 수집하여 가파른 언덕에 교회를 지었다. 나중에 레오 6세와 알렉산드로스 황제 치세 동안 예배당이 발견되었고, 유해가 아기아 아나스타시아 교회(현재 엑소메노스 그리스도에게 헌정됨) 옆의 아기아 이리니 예배당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10세기 초, 모넴바시아의 교회 관할권은 로마 교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옮겨져 코린토스 교구로 격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넴바시아는 자치권을 포함한 특권을 유지하면서 계속 발전했다.[8]

11세기와 12세기 동안 모넴바시아는 상당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 그 기간 동안 정착촌은 섬 주변으로 확산되었고, 상부 도시의 하기아 소피아 교회(원래 파나기아 호데게트리아에게 헌정)와 엑소메노스 크리스토스 교회와 같은 중요한 기념물이 재건되었다. 이 교회들은 그 시기에 재건되었으며, 아마도 엑소메노스 크리스토스 상을 사원에 배치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코무네노스 복원 시대에 모넴바시아는 에게 해 서쪽 입구의 수호자로 발전했다. 1147년에는 시칠리아 왕 로제르 2세의 배들이 공격했으나 격퇴되어 큰 손실을 입었다. 당시 공격 당시 모넴바시아의 아르콘 테오도로스 마브로소미스는 황실에 정착했고, 미리오케팔론 전투 이후 군대의 좌익을 맡았으며, 중재자 직책을 받았다.[8]

13세기, 라틴 제국은 1222년에 모넴바시아를 포위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 1252년, 3년의 포위 공격 끝에 아카이아의 프랑크 공 빌헬름 드 빌아르두앵이 모넴바시아를 점령했다. 라틴 점령 하에 남고 싶지 않았던 모넴바시아 주민들은 비티니아로 떠났으며, 비티니아는 모넴바시아와 동일한 많은 상업적 특권을 얻었다.[9] 모넴바시아 자체는 선박 유지 의무만을 지닌 채 특권을 유지했으며, 라틴 주교의 자리가 되었다.[8] 이 손실은 니케아의 황제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심각한 타격이었으며, 프랑크족에게 넘어간 영토를 회복하려는 그의 계획을 뒤집었다.

1259년 펠라고니아 전투에서 빌헬름이 비잔틴에게 포로로 잡혔다. 미카엘은 1262년까지 그를 감금했는데, 빌헬름이 석방 대가로 펠로폰네소스의 영토 양도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결국 빌헬름은 모넴바시아, 미스트라스, 그랜드 마그네, 게라키의 요새를 비잔틴에게 넘겨주는 데 동의했다. 모넴바시아는 비잔틴 장군 및 정교회 대주교의 자리가 되었으며, 주민들에게는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1282-1328)에 의해 갱신되고 확대된 중요한 특권(상속세 및 관세 면제 등)이 부여되었다.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는 모넴바시아에 28개의 세금을 면제했다. 도시의 번영은 급속하게 이루어졌으며, 무역과 해운의 발전과 더불어 영적 및 교회 발전의 조건이 조성되어 1460년까지의 기간은 도시의 "황금기"로 간주된다. 이러한 번영은 로제르 드 로리아를 끌어들여 1292년에 하부 도시를 약탈하게 했다. 1302년에는 동쪽으로 향하는 카탈루냐 회사를 환영했다. 1324년, 대주교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 기여한 총 3,108개의 피르 중 800개가 모넴바시아 대교구에서 나왔으며, 이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 많았다. 1347년 또는 1348년에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는 모넴바시아 대교구를 예루살렘 총대주교의 위계로 승격시켰다. 14세기와 15세기 전반기 동안 모넴바시아의 평화로운 삶은 해적 공격과 내부 갈등으로 방해를 받았지만, 모레아 전제군주국 하에서 그 역사의 흐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354년, 마누엘 칸타쿠지노스가 모레아 전제군주국에 대한 통제권을 찬탈하여 1380년까지 권력을 유지했다. 모넴바시아의 행정은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에게 주어졌는데, 그는 마누엘이 죽은 후 테오도르 팔레올로고스가 임명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반란을 일으켰다. 테오도르는 모넴바시아에 접근하려 했으나 쫓겨나 베네치아가 점령한 코로니로 도망가 모넴바시아 영토를 대가로 도움을 요청했지만, 모넴바시아인들은 반란자들을 거부했다. 1394년, 테오도르는 오스만 술탄 바예지드 1세에게 체포되었고, 스스로를 해방시키기 위해 모넴바시아의 항복을 요구했다. 테오도르는 탈출에 성공했고 베네치아의 도움으로 1394년 7월 오스만으로부터 모넴바시아를 탈환했다. 이러한 사건들의 결과로 도시 인구가 감소하고 상업 교통이 사실상 중단되었다.[8]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와 데메트리오스 팔레올로고스 두 전제군주 사이에 전제군주국의 미래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발생하면서 불안이 만연했다. 데메트리오스는 1460년 5월 메흐메트 2세에게 모넴바시아를 항복했지만, 메흐메트 2세는 포위하지 않고 물러났다. 그 후 토마스의 조언에 따라 주민들은 1460년 9월 12일에 교황 비오 2세에게 도시를 제공했고, 교황은 이를 받아들였다.[8]

3. 2. 2.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 시대

1460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점령했지만, 모넴바시아는 교황에게 귀속되었다가 1463년 말 베네치아 공화국에 함락되었다. 제1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63-1479) 이후 모넴바시아 영토 일부가 오스만 제국에 넘어가 농업 생산과 무역에 영향을 미쳤고, 제2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99-1503) 이후에는 베네치아 소유가 더욱 제한되었다.[8]

1540년, 쉴레이만 2세와의 평화 조약으로 모넴바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항복하여 지배를 받았다. 주민 대부분은 코르푸, 크레타 등 베네치아 점령 섬으로 피난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메네크셰'(Menekşe, Menekşe|메네크셰tr, '제비꽃'이라는 뜻)라고 불렸으며, 모레아 주의 주도로 지정되었다. 1573-157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04명의 수비대가 있었고 28,665 악체의 세금을 납부했으며, 그 중 6,000 악체는 항구의 상업 활동에서 나왔다.[8] 1583년에는 비무슬림 가구 320가구와 가족이 없는 주민 191명이 있었다.[8]

크레타 전쟁 (1645-1669) 동안 베네치아는 모넴바시아 점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오스만 제국은 섬의 방어를 강화하고 주민들에게 돔이 있는 교회를 지을 기회를 제공했다.[8]

제6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중 1690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프란체스코 모로시니의 지휘 아래 모넴바시아를 일시적으로 탈환했다. 베네치아는 펠로폰네소스 재정착의 일환으로 모넴바시아를 라코니아 현의 수도로 지정하고 재건 사업을 시작했다. 1700년에는 인구가 1,622명으로 늘었다.[8]

1715년, 제7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714–1718)에서 오스만 제국이 다시 모넴바시아를 점령했다. 일부 주민은 노예로 팔리거나 베네치아 점령 지역으로 도망쳤다. 오스만 제국은 모넴바시아를 카푸단 파샤 관할 하에 두고, 이 지역은 상업 및 경제적 호황을 누렸으며 그리스 학교가 설립되었다. 일부 베네치아인들과 이전 터키 거주자들이 돌아왔다.[8]

오를로프 반란 (1770) 동안, 모넴바시아인들은 오스만 제국에 저항했지만, 큰 피해를 입고 도시는 약탈당했다. 반란 이후, 많은 인구가 떠나면서 이 지역은 버려졌다.[8]

3. 3. 그리스 독립 전쟁과 근대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초기, 모넴바시아 요새는 육지와 바다에서 포위되었다. 4개월간의 포위 끝에 1821년 7월 23일 그리스군에 항복했다.[8] 전리품 분배와 행정을 둘러싼 분쟁으로 혼란이 발생했다.

1822년 3월, 그리스 임시 정부는 요새를 수리하고 경비병을 파견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요새와 모넴바시아 주는 내전의 희생양이 되었다. 마니오트족은 콘스탄티노스 마브로미할리스 지휘 아래 1823년 9월 요새를 포위했다. 1824년 3월까지 주 절반이 마니오트족 소유가 되었고, 중앙 정부는 모넴바시아에서 스페체스로 대포를 이전했다. 프사라 파괴 후 크레타인과 프사라인이 요새에 도착했지만 포위는 계속되었다.

1827년 1월, 디미트리스 플라푸타스가 200명의 군인과 함께 요새에 도착했고, 주민과 통치자들은 1827년 3월 1일 국민 의회 결정에 따라 요새 행정을 그에게 넘겼다. 그러나 마브로미할리스는 요새를 정복하려 했고, 플라푸타스는 철수했으며 결국 마브로미할리스가 요새를 관리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쟁으로 모넴바시아는 그리스 국가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182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모넴바시아에는 659명이 거주했으며, 대부분의 가옥은 파괴되었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가 새로운 수호자로 임명되었다. 기술자 포티스 케소글루와 테오도로스 발리아노스가 마을에 도착하여 건물 수리를 도왔다. 아기오스 니콜라오스 교회에 학교가 운영되었고, 재정적 어려움에도 1937년까지 운영되었다.

모넴바시아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마을로 남았다. 1833년 행정 개편 동안 모넴바시아 도에서 에피다우로스 리미라스 도로 이름이 변경된 주의 소재지였다. 1864년 몰라오이로 소재지가 이전될 때까지 주의 소재지로 남았지만, 1913년 폐지될 때까지 자치구의 소재지였다. 20세기 초에는 사법 법원, 세관, 전신국, 경찰서, 학교 당국이 있었다. 1970년대까지 인구가 감소했다.

1920년부터 1971년까지 모넴바시아 인구 변화
연도1920년1928년1940년1951년1961년1971년
인구483명638명638명522명487명445명



1951년 인구 조사에서, 공동체 주민 522명 중 261명이 게피라에, 178명이 구시가지에, 83명이 아기아 키리아키에 거주했다. 구시가지 인구는 계속 감소하여 1971년에는 32명만 거주했다. 모넴바시아는 1964년까지 물 공급을 위해 저수조에 의존했고, 1972년에 전기가 들어왔다.

1971년 본토와 섬을 잇는 다리가 섬 서부에 완공되어, Ελληνική Εθνική Οδός 86|그리스 국도 86호선el가 섬에 개통되었다. 이후 시가지가 관광지로 인기를 끌어 중세 유적이 복원되었고, 그 중 다수가 숙박 시설로 제공되고 있다. 7월 23일은 독립 기념일로, 그리고라키스(Grigorakis)와 그의 군대에 대한 연설 등이 (그리스어와 영어로) 행해지며, 매년 축제를 위해 만들어진 배에 관객들이 탑승하여 불꽃놀이 등을 관람한다.[30]

3. 4. 현대

1970년대부터 모넴바시아는 관광지로 다시 번성하기 시작했다. 모넴바시아 주민들은 집을 방문객에게 팔았고, 방문객들은 그 집을 복원했다. 알렉산드로스 칼리가와 해리스 칼리가는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1971년에는 모넴바시아가 서쪽에 있는 다리를 통해 GR-86에 연결되어 외부 세계와 연결되었다.

최근에는 중세 건물들이 복원되고, 많은 건물들이 호텔로 개조되는 등 관광 산업이 발전했다. 매년 7월 23일에는 주요 항구에서 독립 기념일 축제가 열린다. 연설이 이루어지고 차네타키스 그리고라키스와 그의 부하들의 이야기가 그리스어와 영어로 묘사된다. 주민과 방문객들은 매년 만들어지는 배에 폭죽을 채워 불태우는 광경을 보기 위해 모인다.[11]

1986년에는 공포 영화 ''바람''(The Wind)이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4. 행정 구역

모넴바시아 시는 2011년 칼리크라티스 계획에 따른 행정 개혁 당시 5개의 이전 지방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형성되었다.[3]

4. 1. 구성

2011년 칼리크라티스 계획에 따른 행정 개혁으로 에피다브로스 리미라 현에 속했던 5개 지방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모넴바시아 지방 자치 단체가 신설되었다.[3] 합병된 자치 단체는 다음과 같다.

모넴바시아 지방 자치 단체의 면적은 949.3km2이며, 지방 자치 구의 면적은 209km2이다.[12]

5. 인구

연도코뮤니티시정 구역지방 자치제시가지자치 단위
1981707--707-
20011,4054,660-1,4054,660
20111,2994,04121,9421,4184,041
20211,6264,11421,816


6. 문화

모넴바시아는 비잔틴, 베네치아, 오스만 양식이 혼합된 다양한 건축 문화를 보여준다.

모넴바시아의 전형적인 베네치아 양식 주택


상부 마을의 통로


아래 마을의 서쪽 벽


모넴바시아의 옛 모스크


모넴바시아 고고학 컬렉션

6. 1. 명칭

이 도시의 이름은 두 개의 그리스어 단어, 즉 μόνη|모니el('단일')와 έμβασις|엠바시스el('접근')가 합쳐져 "단일 접근 또는 입구의 도시"를 의미한다. 이탈리아어 형태인 ''Malvasia''는 말바시아라는 이름의 말바시아 와인에 이름을 부여했다. 모넴바시아는 "동방의 지브롤터"(Γιβραλτάρ της ανατολής|기브랄타르 티스 아나톨리스el)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6. 2. 말바시아 와인

이 도시의 이름은 그리스어 단어 μόνη|모니el(단일)와 έμβασις|엠바시스el(접근)가 합쳐져 "단일 접근 또는 입구의 도시"를 의미한다. 이탈리아어 형태인 ''Malvasia''는 말바시아 와인에 말바시아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모넴바시아의 와인 무역은 역사 전반에 걸쳐 매우 광범위했으며, 특히 베네치아 행정 하에서 그 지역의 이름은 영어로 'Malmsey'라고 불리는 와인 품종인 '말바시아'와 관련하여 유럽 전역에 친숙해졌다. 이 와인은 무역을 통해 모넴바시아와 관련되었지만, 지역에서 재배된 것이 아니라 대부분 펠로폰네소스 지역과 키클라데스 제도, 특히 티노스에서 생산되었다. 대부분의 포도 품종학자들은 이 포도 품종이 크레타에서 유래한 것으로 믿고 있다.[14]

6. 3. 건축



모넴바시아 하부 도시는 다른 비잔틴 성-도시들처럼 밀집되어 있다. 대부분 주택은 좁은 정면을 가지고 지형 경사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3층 구조이다.[14] 아래층은 독립적인 입구와 함께 동물을 위한 마구간, 빗물 저장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모넴바시아에는 자연 수원지가 없어 저수조가 필수적이었다. 위층에는 부엌, 욕실, 벽난로 등이 있었고, 저수조 입구도 있었다. 최상층은 가족의 거주 공간으로 많은 창문이 있었으며, 돌 받침대에 고정된 나무 사다리로 접근했다. 주택 유형은 다양하지만 3층 구조는 공통적이다.

주택은 큰 굴뚝과 굽은 처마 장식, 필라스터, 새겨진 왕관 등으로 장식되었다. 벽은 진흙과 모르타르로 만들어졌고, 외부는 석고로 마감되었다. 문, 굴뚝, 모서리 돌은 정방형 돌로, 바닥은 쿠라사니(κουρασάνι) 또는 슬레이트, 대리석, 타일로 만들어졌다. 나무는 실내 벽, 지붕, 프레임에 사용되었지만 제한적이었다.[14]

성 내 공간 부족으로 경작지와 정원은 없었다. 1829년 프랑스 박물학자 장바티스트 보리 드 생뱅상은 주택에 아몬드 나무 하나가 있는 작은 담장 정원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14]

6. 3. 1. 요새

모넴바시아는 언덕 고원에 위치한 위 마을과 반도 남쪽 해안에 건설된 아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위 마을은 두 번째 베네치아 점령 이후 버려져 더 이상 거주하지 않는다. 위 마을에는 6세기에 건설된 직사각형 요새인 모넴바시아의 아크로폴리스가 있으며, 4개의 탑, 교회, 저수지, 행정 건물, 주택 등이 있었다. 그중 하기아 소피아 교회가 눈에 띈다.[14]

아래 마을은 위 마을의 남쪽 벽 아래에 있으며, 동쪽, 남쪽, 서쪽 세 면이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둑길 위의 다리와 연결된 서쪽 문을 통해 들어갈 수 있다. 비잔틴 시대에 중간 거리(''Μέση Οδός'')로 알려진 아래 마을의 주요 거리는 도시 내부로 이어진다.[14] 이 도로는 위 마을에서 내려와 "포르텔로"(πορτέλλοel)로 알려진 해안 성벽의 문으로 이어지는 도로와 교차한다. 두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대성당, 옛 모스크, 주교궁(주교의 공식 거주지)이 있는 엘레크메노스 크리스토 광장이 있다.[14] 아래 마을의 나머지 거리는 좁은 자갈길이며, 때로는 아치형 구조로 덮여 있고 그 위에 주택 구획이 건설되었다.[14]

모넴바시아 암석의 가장 높은 지점에는 아크로폴리스가 있었다. 이 요새는 각 모서리에 4개의 탑이 있는 울타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요새 내부에는 건물 잔해가 보존되어 있으며, 중앙 근처 건물 중 하나에는 저수조가, 동쪽에는 큰 홀이 있었다.[14]

상부 마을은 언덕의 북쪽과 남쪽에 요새화된 울타리로 보호받고 있으며, 다른 면은 가파르고 자연적으로 요새화되어 있다. 상부 마을의 요새는 Γουλάςel로 알려져 있으며 비잔틴 시대에 건설되었지만, 현재 벽의 대부분은 베네치아와 오스만 시대의 것이다. 하부 마을에서 굽이진 자갈길을 따라 올라가면 상부 마을의 문이 나오며, 중간에 두 개의 문이 있다.

오스만 시대에는 문 근처에 아치형 방이 지어졌으며, 그중 하나는 모스크였다. 상부 마을의 서쪽 벽은 하부 마을의 정문을 감시했으며, 두 개의 탑이 있었다. 이 벽은 오스만인에 의해 강화되었다.[8] 북쪽 벽의 동쪽 가장자리에도 요새가 있었는데, 1540년 카심 파샤에 의해 재건되었지만 베네치아인에 의해 폭격된 후 화약고가 폭발하면서 파괴되었다. 성에는 북쪽 벽에도 문이 있었지만, 제1차 오스만 제국 시대에 봉쇄되었다.[8]

하부 마을은 서쪽, 남쪽, 동쪽에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서쪽에는 다리와 항구로 연결되는 마을의 정문이 있다. 비잔틴 시대에는 탑에 통합되어 추가 탑으로 보호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그중 하나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남서쪽 모서리는 17세기에 대포 탑으로 강화되었고, 문은 재건되었으며 그 위에 보루가 건설되었다. 베네치아가 다시 점령한 후, 강력한 탑이 남서쪽 모서리에 건설되었다. 해안 벽은 두 개의 모서리 탑 너머로 5개의 탑을 연결하는 직선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벽 중앙에는 문이 있었다. 17세기에 경사 벽과 작은 보루가 건설되면서 강화되었다. 동쪽 벽은 탑 사이에 직선 구간이 있는 서쪽 벽과 유사하며, 중앙에 마을 밖으로 이어지는 문이 있다. 오스만인들은 서쪽 벽을 강화하기 위해 벽 밖에 많은 대포를 갖춘 요새를 건설했다.[8]

6. 3. 2. 종교 건축물


  • '''엘코메노스 그리스도 교회'''(Ναός του Χριστού Ελκόμενου)는 모넴바시아의 주요 교회로, 아래 마을 중앙 광장에 있다. 돔이 있는 세 개의 통로가 있는 바실리카 형태이며, 가운데 본당은 솟아 있고 다른 두 곳과는 기둥으로 분리되어 있다. 종탑은 교회와 분리되어 북서쪽에 위치한다. 6세기에 처음 지어졌으며 여러 차례 개조되었다. 중앙 아치는 반원형이며 내부 신트론이 있어 초기 기독교 시대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11~12세기에 두 번째 건설 단계가 있었고, 1538년과 1697년에 추가 공사가 이루어졌다. 교회 내부에는 이삭 2세 안젤로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져온 엘코메노스 성화 등이 보관되어 있었다.[14]

  • '''하기아 소피아 교회'''(Ναός της Αγίας Σοφίας)는 위 마을 절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12세기 비잔틴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십자형 교회이다. 본당은 14m x 14m 크기이며, 의 직경은 7m이고 16개의 창문이 있다. 나르텍스는 2층으로 되어 있고, 풍부한 조각 장식을 갖추고 있었다. 프레스코화 일부가 보존되어 있으며, 베네치아 시대에는 외부 갤러리가 추가되었다. 첫 번째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모스크로 바뀌었다가 1958년 복원 공사를 통해 비잔틴 양식이 복원되었다.[14]

  • '''파나기아 미르티디오티사'''(Παναγία η Μυρτιδιώτισσα) 또는 '''파나기아 크리티키아'''(Παναγία η Κρητικιά)는 베네치아 시대에 크레타인들이 정착한 지역에 지어진 돔이 있는 단일 방 바실리카이다. 이탈리아풍 장식 요소가 특징이다.

  • '''파나기아 크리사피티사'''(Παναγία η Χρυσαφίτισσα)는 바닷가 벽 근처에 위치하며, 큰 돔과 서쪽 정면에 좁은 나르텍스가 있다. 이 사원은 첫 번째 오스만 제국 점령 기간에 지어졌으며 이슬람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 '''아기오스 니콜라오스 교회'''(Ναός του Αγίου Νικολάου)는 1703년에 지어졌으며, 서유럽의 영향을 받은 장식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둥으로 분리된 통로가 있는 돔이 있는 세 개의 통로 바실리카이다.

  • '''아기오스 스피리돈 교회'''(Ναός του Αγίου Σπυρίδωνα)는 두 개의 통로가 있으며, 두 번째 베네치아 시대에 지어졌다. 윗마을 문 아래에 위치해 있다.

  • '''아기오스 안토니오스 교회'''(Ναός του Αγίου Αντωνίου)는 비잔틴 시대에 지어졌지만, 현재 형태는 두 번째 베네치아 시대에 지어졌다. 13세기 말 또는 14세기에 지어진 프레스코화가 일부 보존되어 있다.

  • '''아기아 파라스케비 교회'''(Ναός της Αγίας Παρασκευής)는 엘코메노스 교회의 북서쪽에 있는 작은 예배당이다.

  • '''성 사도 교회'''(Ναός των Αγίων Αποστόλων)는 두 번째 베네치아 시대의 프레스코 흔적이 있는 작은 동굴 교회이다.

  • '''성 데메트리우스와 안토니 교회'''(Ναός των Αγίων Δημητρίου και Αντωνίου)는 두 번째 베네치아 시대의 교회이다.

  • '''하야 안나 더 캐톨릭'''(Άννα η Καθολική)은 아래 마을의 주요 거리에 있는 작은 단일 방 교회이며, 두 번째 베네치아 시대에 지어졌다.

  • '''하야 안나 오브 몰타'''(Αγία Άννα της Μάλτας)는 두 번째 베네치아 시대의 세 개의 통로가 있는 바실리카이다.

  • 그 외에도 ''하야 안나'', ''하기오이 테사라콘토스'', ''하기오스 이오안니스''와 ''파나기아''(프레스코 흔적), ''에반젤리스트리아스'', ''카티코우메논''의 폐허가 된 교회와 1974년 발견된 중세 비잔틴 교회가 보존되어 있다.[14]

  • '''모넴바시아의 모스크'''는 첫 번째 오스만 제국 점령기 동안 엘코메노스 광장에 세워졌다. 1690년 베네치아인들이 모넴바시아를 탈환한 후 카푸친 수도자들의 수도원으로 사용되었고, 1715년 오스만 제국이 재탈환했을 때 다시 모스크가 되었다. 1821년 혁명 이후 감옥으로, 20세기 중반에는 카페로 사용되었다. 1999년부터 모넴바시아 고고학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14]

  • '''모넴바시아 고고학 컬렉션'''은 1999년에 개관했으며, 엘코메노스 광장에 위치한 옛 오스만 사원에 보관되어 있다. 모넴바시아에서 출토된 초기 기독교, 비잔틴, 후기 비잔틴 시대의 건축 조각품과 도자기 물품 등이 전시되어 있다.[14]

6. 3. 3. 주거

모넴바시아의 아래 마을은 다른 비잔틴 성곽 도시들처럼 건물들이 밀집되어 있다. 대부분의 주택은 좁은 정면을 가지고 있으며, 지형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택은 일반적으로 3층 구조이다.[14] 1층은 독립적인 입구가 있으며 동물을 위한 마구간으로 사용되었고, 빗물을 모으는 별도의 공간에 저수조가 있었다. 모넴바시아에는 자연적인 수원지가 없기 때문에 저수조와 물탱크가 필수적이었다.[14] 1층 위에는 부엌, 욕실, 벽난로와 같은 편의 시설이 있다. 이 공간에는 물을 모으는 저수조의 입구도 있었다. 윗층으로의 이동은 돌로 된 받침대에 고정된 작은 나무 사다리를 통해 이루어졌다. 가족은 이 공간에 머물렀고 많은 창문이 있었다. 주택은 유형학적으로 다양할 수 있지만, 3층 구조는 모든 주택에 공통적이다.

주택은 굴뚝이 크고, 저수조로 물을 흘려보내는 지붕 홈통에 의해 형성된 굽은 처마 장식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장식 요소로는 필라스터와 새겨진 왕관이 있다. 주택의 벽은 진흙과 모르타르로 만들어졌으며, 외부에는 날씨에 견딜 수 있도록 석고를 칠했다. 문, 굴뚝, 모서리 돌과 같은 다른 건축 요소는 정방형 돌로 만들어졌다. 바닥은 "벽돌 가루와 천연 포졸라나를 포함하는 고급 석회 모르타르"인 쿠라사니(κουρασάνι) 또는 슬레이트, 대리석, 타일로 만들 수 있으며, 바닥은 나무로 만들어진다. 나무는 실내 벽, 지붕 및 프레임에도 사용되지만, 그 가용성이 제한되어 일반적으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14]

6. 3. 4. 기타

상부 도시에는 공공 저수조와 오스만 제국 시대의 분수가 보존되어 있다.[14] 섬의 동쪽 끝에는 현대식 등대가 있는데, 1896년에 건설되어 1897년에 가동을 시작했다. 초점 높이는 해수면 15m이며, 11해리까지 빛을 낸다. 높이 7m의 등대 타워 옆에는 등대지기의 석조 거주지가 있다. 대리석 계단이 등대 케이지로 이어진다. 등대 복원 작업은 2015년 12월에 완료되었으며, 그리스 등대 네트워크에 대한 작은 전시가 있다.[16]

7. 주요 인물


  • 키예프의 이시도르 (1385년경~1463년), 동방 (그리스) 가톨릭 추기경
  • 루카스 노타라스 (1453년 사망),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메가스 둑스(대공), 노타라스 가문의 일원[32]
  • 얀니스 리초스 (1909년~1990년), 시인
  • 게오르기오스 스프란체스 (1401년~1478년경), 비잔틴 역사가

참조

[1] 웹사이트 Μονεμβασιά https://grvisit.com/[...] 2023-03-10
[2] 웹사이트 The bridge of Monemvasia https://monemvasia.g[...] Monemvasia Municipality 2024-02-04
[3] 웹사이트 ΦΕΚ B 1292/2010, Kallikratis reform municipalities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021-09-09
[4] EB1911 Malvasia
[5] 웹사이트 Monemvasia https://www.thebyzan[...] 2024-09-25
[6] 서적 Discover Monemvasia: A guide to its past and present Lichnos ltd 1990
[7] 웹사이트 "Υπουργείο Πολιτισμού και Αθλητισμού {{!}} Επίδαυρος - Λιμηρά" http://odysseus.cult[...] 2022-07-21
[8] 서적 Μονεμβασία: Μια βυζαντινή πόλις-κράτος Potamos 2010
[9] 학술지 Monemvasia during the Frankish period 1204–1540 https://archive.org/[...]
[10] 서적 Μονεμβασιά. Από την απελευθέρωση μέχρι σήμερα Medousa
[11] 웹사이트 Events in Monemvasia http://www.monemvasi[...] Monemvasiatour.com 2015-02-27
[12]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016-11-16
[1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4] 서적 Monemvasia : antikeimena, perivallon, historia, hē Archaiologikē Syllogē https://www.worldcat[...] Archaiologikōn Porōn kai Apallotriōseōn Dieuthynsē Dēmosieumatōn 2022-08-04
[15] 웹사이트 κουρασάνι in All languages combined https://kaikki.org/d[...] 2022-07-22
[16] 웹사이트 Επίσημη Ιστοσελίδα Υπηρεσίας Φάρων https://yf.hellenicn[...] 2022-07-22
[17] 웹사이트 Μηνιαία μετεωρολογικά δελτία https://www.meteo.gr[...] 2023-03-06
[18]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https://oscar.wmo.in[...] 2023-12-29
[19] 웹사이트 June 2007 climatological summary Monemvasia NOA http://www.meteo.gr/[...] National Observatory of Athens 2024-02-02
[20] 웹사이트 Monemvasia 36.3C night minimum http://meteo.gr/stat[...] National Observatory of Athens 2024-02-11
[21] 웹사이트 Meteo.gr - Προγνώσεις καιρού για όλη την Ελλάδα https://www.meteo.gr[...]
[22] 웹사이트 Meteo search https://meteosearch.[...] National Observatory of Athens 2024-01-27
[23] Bare URL inline https://web.archive.[...] 2024-08
[24] 웹사이트 Meteo.gr - Προγνώσεις καιρού για όλη την Ελλάδα https://www.meteo.gr[...]
[25] 웹사이트 Latest Conditions in Monemvasia https://penteli.mete[...]
[26]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https://oscar.wmo.in[...] 2023-07-14
[27] 문서 Kallikratis law http://www.kedke.gr/[...] Greece Ministry of Interior
[28] 서적 Discover Monemvasia: A guide to its past and present Lichnos ltd 1990
[29] 학술지 Monemvasia during the Frankish period 1204–1540 https://archive.org/[...]
[30] 웹사이트 Events in Monemvasia http://www.monemvasi[...] Monemvasiatour.com 2015-02-27
[31] 웹사이트 クリストスエルコメノス教会 https://kotobank.jp/[...]
[32] 웹사이트 平野智洋(女子美術大学)「歴史家ゲオルギオス・スフランヅィスを取り巻くプロソポグラフィー」 http://byzantine.wor[...] 日本ビザンツ学会 第8回大会報告概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