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심 트리볼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심 트리볼리스는 1475년경 오스만 제국령 아르타에서 태어난 그리스인으로, 본명은 미하일 트리볼리스이다. 이탈리아 유학 후 아토스 산의 바토페디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으며, 1515년 러시아로 초청되어 성경 및 기도서 번역에 참여했다. 그는 러시아에서 종교 개혁 운동을 이끌었으나, 교회 권력과의 갈등으로 유배 생활을 겪었다. 만년에는 지성 삼위 성 세르기우스 대수도원에서 보냈으며, 다양한 저작과 번역 활동을 통해 러시아 기독교 전통 형성에 기여했다. 그는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그리스 사람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15세기 그리스 사람 - 루카스 노타라스
    루카스 노타라스는 동로마 제국의 외교관이자 고위 관리로서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활약했지만 함락 후 처형당했고, 그의 생애와 정책은 제국 몰락의 원인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16세기 그리스 사람 - 엘 그레코
    엘 그레코는 비잔틴 미술을 익히고 베네치아와 로마를 거쳐 스페인 톨레도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확립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이며, 매너리즘의 영향을 받아 인물을 길게 늘이고 강렬한 색채와 빛으로 종교적 감성을 표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등이 있다.
  • 16세기 그리스 사람 - 이그나티 모스크바
막심 트리볼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6세기 또는 17세기 이콘
16세기 또는 17세기 이콘
존경 받는 교회동방 정교회
축일1월 21일
출생지아르타, 루멜리아 에얄레트, 오스만 제국 (현재의 그리스)
사망지성 세르기우스 삼위일체 대수도원, 세르기예프 포사드, 러시아
칭호수도사
시성일1988년 6월 6일
시성 장소성 세르기우스 삼위일체 대수도원
시성 주체러시아 정교회 1988년 지역 공의회 (모스크바 총대주교 피멘 1세)
인물 배경
원래 이름미하일 트리볼리스
별칭막시모스 호 그라이코스 (Μάξιμος ὁ Γραικός, 그리스어)
생애
출생약 1475년, 그리스 아르타
교육플라톤 아카데미 (피렌체)
활동러시아어 성경 번역
신학 논쟁 참여
투옥이단 혐의로 투옥됨
신앙
종교동방 정교회
주요 성지성 세르기우스 삼위일체 대수도원 성모 승천 대성당에 안치된 불후의 성해
참고
관련 인물칼리스토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가족)
바실리 3세 (모스크바 대공)
이반 4세 (러시아 차르)

2. 생애

막심 트리볼리스는 1475년경 당시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그리스 아르타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50][51] 그의 속명은 '''미하일 트리볼리스'''(Μιχαήλ Τριβώλης|미하일 트리볼리스el)[52]였다. 젊은 시절 이탈리아로 건너가 피렌체, 베네치아 등지에서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과 교류하며 학문을 익혔다. 특히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16세기 초, 그는 그리스 아토스 산의 바토페디 수도원에 들어가 수도사가 되었고, 신학 연구에 몰두했다.[50] 1515년,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3세의 요청으로 성경 및 기도서 번역을 위해 러시아로 파견되었다.[50][40][53] 그는 1518년 모스크바에 도착하여 번역 작업에 착수했으며, 이는 러시아 내 종교 개혁 움직임에도 영향을 주었다.[42][43]

막심은 번역 활동 외에도 당시 러시아 사회와 교회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했다. 특히 수도원의 토지 소유에 반대하는 비소유파를 지지하면서[45] 기득권 세력인 소유파 및 모스크바 대주교 다니일, 바실리 3세와 갈등을 빚었다. 또한 바실리 3세의 이혼과 재혼을 비판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어[50], 1525년1531년 두 차례의 소보르(종교회의)에서 이단으로 몰려 유죄 판결을 받고 요셉-볼로콜람스크 수도원과 트베리의 오트로치 수도원에서 오랜 유배 생활을 해야 했다.

수십 년간의 유배와 감시 끝에 1551년경 석방되어[50] 만년을 세르기예프 포사트의 지성 삼위 성 세르기우스 대수도원에서 보냈다. 고령과 고된 수감 생활에도 불구하고 그는 마지막까지 번역과 저술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50] 막심은 1556년 1월 21일(율리우스력) 그곳에서 사망했으며[50][46], 그의 저작들은 러시아 문학과 사상사에서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불후체는 지성 삼위 성 세르기우스 대수도원 내 성모 승천 대성당에 안치되어 있다.[55]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서방 시기)

막심 트리볼리스는 1475년경 당시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아르타에서 태어났다.[50][51] 속명은 '''미하일 트리볼리스'''(Μιχαήλ Τριβώληςel)[52]였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비잔틴 황제와 연관이 있는 고귀한 그리스 가문의 후손이었으며, 스파르타 출신이었다. 그의 부모는 모두 기독교도 그리스인이었고, 아버지 마누엘은 보이보드였다. 막심의 삼촌인 데메트리오스 트리볼리스는 스스로를 "Πελοποννήσιος εκ Σπάρτηςel" (스파르타 출신 펠로폰네시아인)이라고 밝힌 그리스 필사자였다. 데메트리오스는 1461년-1462년 코르푸에서 플라톤의 ''티마이오스''를, 1465년 크레타에서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를 필사했으며, 자신의 출신과 조국 라코니아의 오스만 제국 함락 이후의 상황을 기록으로 남겼다.

막심은 코르푸 섬에서 요한 모스코스와 요한 라스카리스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했다. 젊은 시절 서유럽을 널리 여행했으며[50], 1492년 또는 1493년에 스승 라스카리스와 함께 이탈리아 피렌체로 가서 학업을 이어갔다. 그는 볼로냐, 피렌체, 페라라, 밀라노, 파도바,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여러 도시에서 고대 언어뿐만 아니라 교회 및 철학 작품(특히 신플라톤주의)을 공부했다.

이탈리아에 머무는 동안 그는 르네상스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과 교류했다. 베네치아의 유명한 인쇄업자 알도 마누치와 가까웠으며, 학자 안젤로 폴리치아노, 마르실리오 피치노, 피코 델라 미란돌라 등과도 친분을 맺었다. 특히 그는 도미니코회 사제이자 개혁가였던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설교에 큰 영향을 받았고, 1498년 그의 처형 이후 유해를 수습하기도 했다.

16세기 초, 막심은 이탈리아를 떠나 그리스의 아토스 산에 위치한 바토페디 수도원(Μονή Βατοπεδίου)에 정착하여 수도사가 되었다.[50] 이 시기에 그는 신학 공부에 전념했다.

2. 2. 아토스 산 수도원 시기

1504년(다른 기록에 따르면 1505년 또는 1506년 초[38]), 막심은 이탈리아의 성 마르코 도미니코 수도원을 떠나 그리스의 아토스 산으로 향했다. 1507년, 그는 아토스 산에 위치한 바토페디 수도원에서 수도 서약을 하고 수도사가 되었으며,[39][50] 이 시기에 신학 공부에 전념했다.

1515년, 당시 러시아에서 이단이 늘어나 사상적 혼란이 커지자,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3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아토스 산 측에 성경과 기도서를 그리스어에서 교회 슬라브어로 정확하게 번역할 능력이 있는 뛰어난 그리스인 수도사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40][50][53] 처음에는 수도원의 장로 사바스를 보내달라는 요청이었으나, 수도원 측은 고령의 사바스 대신 젊고 활동적인 막심을 몇몇 수도사와 함께 파견하기로 결정했다.[40][50] 막심은 교회 슬라브어를 전혀 몰랐지만, 다른 수도사들이 그의 능력을 보증하여 모스크바로 가게 되었다.[41]

2. 3. 러시아 초청과 번역 활동

1515년,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3세성경과 기도서를 그리스어에서 교회 슬라브어로 정확하게 번역할 능력을 갖춘 학식 있는 수도사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아토스 산에 요청했다.[50][40][53] 아토스 산의 바토페디 수도원은 원래 요청받은 연로한 사바 대신, 교회 슬라브어에 능통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학식이 뛰어난 막심을 모스크바로 파견하기로 결정했다.[41][50][53]

1518년 모스크바에 도착한 막심은 큰 환영을 받으며[41] 종교 서적 번역 작업에 착수했고, 이는 러시아 내 종교 개혁 움직임에도 영향을 주었다.[42][43] 그는 쿠르브스키 공과 교류했는데, 쿠르브스키는 훗날 자신의 저서에서 막심이 바실리 3세 궁정에 소장된 방대한 그리스 서적들을 보고 놀라워했으며, 그리스 본토에서도 그만큼 많은 책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고 기록했다. 이는 전설적인 '모스크바 차르의 잃어버린 도서관'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진다.[3]

막심의 러시아에서의 첫 번째 주요 작업은 학자 드미트리 게라시모프를 비롯한 러시아 번역가 및 필사자들과 협력하여 시편을 번역하는 것이었다. 이 번역은 러시아 정교회와 대공으로부터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 바실리 3세가 막심의 귀국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자, 그는 모스크바에 남아 번역 작업과 동방 정교회예배 서적 교정 작업을 계속 수행했다.

초대 모스크바 대주교였던 발라암은 막심의 번역 작업을 높이 평가했지만, 그의 후임인 다니일과는 번역 대상 선정 등을 두고 의견 차이를 보이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50]

번역 활동과 더불어 막심은 당시 모스크바 대공국 사회의 여러 문제점과 부조리를 목격하고 이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반 베르센-베클레미셰프, 바시안 파트리케예프 등 비슷한 개혁적 견해를 가진 인물들과 교류했다. 특히 수도원의 토지 소유 문제와 관련하여, 그는 닐 소르스키가 이끌었던 비소유파의 입장을 지지했으며[45], 이는 수도원의 토지 소유 권리를 강력히 옹호했던 요셉 볼로츠키와 소유파(공식 교회)와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막심과 그의 지지자들은 러시아의 국내외 정책의 문제점, 일부 성직자들의 세속적인 생활 방식, 농민들에 대한 착취, 그리고 '코름레니예'(кормление|코름레니예ru, ''kormleniye'')라고 불리는 지방 관리 지원 제도의 폐단 등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2. 4. 교회 권력과의 갈등과 유배

1518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도착한 막심은 종교 개혁 운동을 이끌었다.[42][43] 그는 사원(수도원)의 토지 소유에 반대하는 무소유파와 가까이 지냈는데, 이로 인해 토지 소유를 옹호하는 소유파(공식 교회)와 대립하게 되었다.

모스크바 대주교 발라암(재임: 1511 - 1522)은 막심의 번역을 높이 평가했지만, 후임 모스크바 대주교 다니일(재임: 1522 - 1539)과는 번역 방향을 두고 견해 차이를 보이며 관계가 악화되었다.[50] 또한, 당시 모스크바 대공이었던 바실리 3세가 솔로모니아 사부로바와 불임 문제로 이혼하고 재혼하려는 계획을 막심이 공개적으로 비판하자,[50] 대공 및 교회 권력과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결국 막심은 이단으로 몰려 비난받았다. 1525년 열린 소보르(종교회의)는 막심이 교회 서적 번역 과정에서 오류를 범하고 비순응주의적 태도를 보였다고 비난하며, 요셉-볼로콜람스크 수도원(볼로콜람스크 수도원)에 유폐하기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막심의 불완전한 러시아어 실력이나 당시 필사본 자체의 오류 가능성은 제대로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3] 그는 지하 감옥에 갇혀 성찬을 받거나 외부와 서신을 주고받을 권리조차 박탈당했다.

1531년, 다시 열린 소보르에서는 수도원에서의 불손한 행동, 번역에서 새롭게 발견된 오류, 과거 터키 대사와의 부적절한 관계 의혹 등 새로운 비난들이 제기되었다. 가혹한 수감 생활에 지친 막심은 결국 자신의 번역에 일부 실수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소보르는 그에게 영성체를 금지하고 트베리의 오트로치 수도원으로 추방하는 결정을 내렸다.[50]

막심은 트베리에서 이후 20년 동안 유배 생활을 했다. 다행히 당시 트베리의 주교였던 아카키는 막심을 결백한 수난자로 여겨 정중하게 대우했다.[50]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등 여러 정교회 지도자들이 막심의 석방을 위해 러시아 당국과 교섭했지만 실패했다. 막심 자신도 이반 뇌제와 메트로폴리탄 마카리우스에게 자유를 호소했으나, 모스크바 당국은 막심의 비판적 성향과 영향력을 우려하여 석방을 꺼렸다.

1551년(다른 기록에는 1553년)이 되어서야 일부 보야르들과 라브라헤구멘 아르테미의 요청으로 트로이체-세르기예바 라브라로 이송될 수 있었다. 1554년, 마테이 바슈킨의 이단 문제를 다루기 위한 소보르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막심은 이 사건에 연루되기를 꺼려 거절했다.

2. 5. 석방과 만년

6년 후에 감옥에서 풀려난 막심은 트베리로 이송되어, 그 후 20년 동안 교회의 감시 하에 놓인 생활을 했다.[50] 그러나 현지를 관할했던 주교 아카키는 선량한 인물이었으며, 막심을 결백한 수난자로 여기고 정중하게 대했다.[50] 주교 아카키는 후에 성인으로 시성되었다.[54]

지성 삼위 성 세르기우스 대수도원의 성모 승천 대성당


20년의 감시 생활 끝에 마침내 막심은 석방되었다. 그는 만년을 세르기예프 포사트의 지성 삼위 성 세르기우스 대수도원에서 보냈는데, 이때 이미 70세를 넘긴 상태였다.[50] 오랜 감금과 감시 생활, 그리고 그 와중에도 계속된 방대한 번역 작업은 그의 건강을 심하게 해쳤지만, 막심의 정신력은 쇠퇴하지 않아 마지막까지 번역 사업을 계속 이어갔다.[50]

1556년 1월 21일(율리우스력), 막심은 지성 삼위 성 세르기우스 대수도원에서 영면했다.[50][46] 그의 불후체는 같은 대수도원 내의 성모 승천 대성당에 안치되어 있다.[55]

3. 사상과 활동

막심은 이탈리아에서 고전 언어신플라톤주의를 포함한 교회 및 철학 저작을 깊이 연구했으며, 알두스 마누티우스, 안젤로 폴리치아노, 마르실리오 피치노 등 당대 르네상스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특히 피렌체에서는 개혁적인 도미니코회 사제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설교에 큰 감명을 받았다.

이후 세속 학문을 뒤로하고 1504년경 아토스 산으로 가 바토페디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다.[39] 1515년,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3세의 요청으로 러시아에 파견되어 교회 서적 번역 작업을 시작했다.[40] 막심은 교회 슬라브어에 능통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라틴어와 그리스어 지식을 바탕으로 드미트리 게라시모프 등 러시아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시편을 비롯한 여러 중요 문헌을 번역하고 교정했다.[41]

모스크바에 머무는 동안 막심은 러시아 사회와 교회의 여러 문제점을 목격하고 이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그는 수도원의 토지 소유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서 닐 소르스키가 이끄는 비소유파의 입장을 지지하며, 교회의 세속화와 부의 축적을 비판했다.[45] 또한 농민 착취와 부패한 행정 시스템(кормление|코름레니예ru) 등 사회의 불의를 지적하고 개혁을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비판적인 활동은 이반 베르센-베클레미셰프, 바시안 파트리케예프 등 일부 지식인들의 공감을 얻었으나, 기득권 세력인 요셉 볼로츠키를 중심으로 한 소유파 및 모스크바 당국의 반발을 샀다.

막심은 번역 활동 외에도 삼위일체론, 성육신론, 성모 마리아 등에 관한 이단적 견해를 반박하는 다수의 신학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작들은 당시 러시아의 복잡한 사상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53]

3. 1. 번역과 저술 활동

성 막심 그레크는 방대한 양의 저술과 번역을 남겼다.[53]

그가 번역한 주요 저작으로는 정교회의 기도서인 시편경, 사도경, 삼가경(삼가재경·오순경) 등이 있다. 또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성 바실리오스 대제, 신학자 그리고리와 같은 교부들의 저작과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의 성인전[53], 시편경과 사도경의 주석서[50] 등을 번역하였다.

막심은 직접 저술 활동도 활발히 했는데, 특히 삼위일체론이나 성육신론, 성모 마리아에 대한 이단적 견해를 반박하는 글을 다수 남겼다. 이러한 저작들은 당시 16세기 러시아 사회가 겪고 있던 사상적 혼란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받는다.[53]

당시 러시아 정교회 내에서는 교회와 수도원의 토지 소유 문제를 둘러싸고 소유를 인정하는 '소유파'와 반대하는 '비소유파' 간의 논쟁이 있었다. 막심은 성 닐 소르스키와 함께 비소유파의 입장을 지지했다.

초기 기독교 시대와 마찬가지로, 당시 러시아에서 유행했던 이단 관련 서적들은 정통 교회에 의해 대부분 소실되어 현재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당시 이단의 구체적인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정통 교회의 입장에서 작성된 반박 문헌들을 통해 추론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막심 그레크의 저작은 당시 이단에 대한 풍부한 논박 내용을 담고 있어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일부에서는 막심 그레크를 러시아 기독교 역사상 초기 교회의 이레네오스에 버금가는 인물로 평가하기도 한다.[53]

3. 2. 비소유파 논쟁

막심러시아에 정착한 후, 당시 러시아 정교회 내 주요 쟁점이었던 수도원의 재산 소유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수도원의 토지 소유에 반대하는 비소유파와 교류하며 그들의 입장을 지지했다.[45] 당시 러시아 정교회수도원의 광대한 토지 소유를 둘러싸고 닐 소르스키를 중심으로 한 비소유파와 요셉 볼로츠키를 중심으로 한 소유파(공식 교회)로 나뉘어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 비소유파는 초기 기독교의 청빈 정신을 강조하며 교회의 세속적 부 축적을 비판한 반면, 소유파는 교회의 사회적 역할 수행과 영향력 유지를 위해 재산 소유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막심은 닐 소르스키와 그의 ''스타르치''들이 이끌었던 비소유파 진영의 편을 들었다.[45] 그는 수도원의 토지 소유를 비판했을 뿐만 아니라, 당시 모스크바 대공국 사회의 여러 문제점, 즉 농민에 대한 착취와 지방 관리들이 농민을 수탈하여 자신들의 생계를 유지하는 부패한 시스템(кормление|코름레니예ru, ''kormleniye'') 등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그는 이반 베르센-베클레미셰프, 바시안 파트리케예프 등 비슷한 생각을 가진 인물들과 교류하며 이러한 비판적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막심의 이러한 활동은 기득권 세력이었던 소유파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그는 소유파와의 대립 속에서 이단으로 고발되어 박해를 받았다. 1525년 종교회의에서는 그에게 유죄를 선고하고 볼로콜람스크 수도원에 유폐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며, 1531년 종교회의에서는 추가적인 비난과 함께 더욱 엄격한 감금 조치가 내려져 트로이체-세르기예바 대수도원으로 이송되었다. 그는 이곳에서 여생을 보내다 세상을 떠났다. 막심의 이러한 행보는 부와 권력에 대한 교회의 탐욕과 사회적 불의에 맞선 지식인의 양심적인 저항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3. 3. 이단 논박

러시아 정교회 내 소유파와 비소유파 논쟁에서 막심은 닐 소르스키와 함께 수도원의 토지 소유에 반대하는 비소유파 입장을 지지했다.[53] 이러한 입장은 공식 교회인 소유파와의 대립을 불러왔다. 막심과 바시안 파트리케예프, 이반 베르센-베클레미셰프 등과의 교류, 터키 대사 스킨더와의 관계, 메트로폴리탄 다니엘과의 적대감, 그리고 바실리 3세의 솔로모니아 사부로바와의 이혼에 대한 막심의 반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그의 운명에 영향을 미쳤다.

결국 1525년 종교회의(소보르)는 막심이 교회 서적 번역과 자신의 견해를 통해 비순응주의와 이단을 퍼뜨렸다고 비난했다. 이 과정에서 그의 부족한 러시아어 실력이나 러시아 필사자들이 저지른 명백한 오류는 무시되었으며, 심지어 번역 과정에서의 특정 문법(미완료 시제) 사용이 성령에 대한 그의 믿음이 불확실하다는 증거로 왜곡되기도 했다. 소보르는 그를 요셉-볼로콜람스크 수도원으로 추방하여 지하 감옥에 가두고 성찬과 서신 교환을 금지했다.

1531년의 소보르에서는 수도원에서의 "짜증나는" 행동, 번역에서 새롭게 발견된 오류, 그리고 과거 터키 대사와의 부정한 관계에 대한 의혹 등이 다시 제기되었다. 가혹한 투옥 환경에 지친 막심은 결국 번역상의 사소한 실수와 과도한 음주를 인정했다. 소보르는 그에게 영성체를 금지하고 트베리의 오트로치 수도원으로 추방했으며, 그는 그곳에서 다음 20년을 보냈다.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예루살렘 총대주교 등이 러시아 당국에 막심의 석방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막심 자신도 이반 뇌제와 메트로폴리탄 마카리우스에게 자유를 호소했지만, 모스크바 당국은 막심이 부정행위를 폭로하고 권력자를 비판할 것을 우려하여 석방을 꺼렸다.

1551년(또는 1553년) 막심은 일부 보야르라브라헤구멘 아르테미의 요청으로 트로이체-세르기예바 라브라로 이송되었다. 같은 해, 차르가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으로 순례하는 길에 막심을 방문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때 막심은 카잔 정복에서 전사한 군인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보다 그 가족들을 돌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조언한 것으로 전해진다. 1554년, 막심은 마테이 바슈킨의 이단 문제를 다룰 소보르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사건에 휘말리는 것을 경계하여 거절했다.

막심은 삼위일체론과 성육신론에 관한 이단적 주장을 반박하는 글을 다수 남겼으며, 성모 마리아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비판하는 저작도 남겼다. 이러한 그의 저술 활동은 당시 16세기 러시아 사회가 겪고 있던 상당한 사상적 혼란을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된다.[53] 당시 러시아에서는 초기 기독교 시대와 마찬가지로 정통 교리에 어긋나는 이단 서적들이 대부분 폐기되어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당시 어떤 이단 사상이 유행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정통 교회의 입장에서 작성된 반박 문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막심의 저작들은 당시 이단 사상에 대한 풍부한 논박 내용을 담고 있어 중요한 사료로 여겨지며, 러시아 기독교 역사에서 그의 역할은 초기 교회의 이레네오스에 비견될 정도로 높이 평가받기도 한다.[53]

3. 4. 사회 비판

막심은 러시아에서 시편 번역과 동방 정교회 예배 서적 교정 작업을 하던 중, 모스크바 대공국 사회의 여러 문제점을 목격하게 된다.[45] 그는 자신이 추구하는 기독교적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느끼며, 사회의 "결함"과 불의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다.[45] 막심은 이반 베르센-베클레미셰프, 바시안 파트리케예프 등 비슷한 생각을 가진 인물들과 교류하며 사회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45]

특히 그는 당시 러시아 성직자 사회를 양분했던 수도원 영지 소유 문제에서 닐 소르스키와 비소유파 ''스타르치''의 입장을 지지했다.[45] 이는 수도원의 토지 소유를 옹호했던 요셉 볼로츠키 및 소유파와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45] 막심과 그의 지지자들은 러시아의 국내외 정책의 문제점, 성직자들의 세속적인 생활 방식, 농민에 대한 착취, 그리고 지방 관리를 먹여 살리는 '코름레니예'(кормление|코름레니예ru) 시스템 등을 강하게 비판했다.[45]

막심의 이러한 비판 활동과 더불어, 바실리 3세의 솔로모니아 사부로바와의 이혼에 대한 반대 입장, 모스크바 대주교 다니엘과의 갈등 등은 그를 정치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만들었다. 결국 1525년 소보르(교회 회의)는 막심이 교회 서적 번역 과정에서 오류를 범하고 비순응주의와 이단적 사상을 퍼뜨렸다고 비난하며 그를 요셉-볼로콜람스크 수도원의 지하 감옥에 가두었다. 당시 소보르는 막심의 러시아어 구사 능력 부족이나 필사 과정의 오류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았다.[45]

1531년, 새로운 소보르는 막심의 수도원 내 행동과 추가로 발견된 번역 오류, 심지어 과거 터키 대사와의 관계에 대한 의혹까지 문제 삼아 그를 트베리의 오트로치 수도원으로 이송하고 영성체를 금지하는 등 처벌을 강화했다.[45] 가혹한 투옥 환경에 지친 막심은 자신의 번역에 일부 실수가 있었음을 인정하기도 했다.[45]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예루살렘 총대주교 등 동방 정교회 지도자들이 그의 석방을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막심 자신도 이반 뇌제(재위 1547년~1584년)와 마카리우스 대주교에게 석방을 호소했지만, 모스크바 당국은 그의 비판적 영향력을 우려하여 석방을 꺼렸다.[45]

1551년(또는 다른 기록에 따르면 1553년), 막심은 일부 보야르와 트로이체-세르기예바 라브라의 헤구멘 아르테미의 요청으로 이곳으로 옮겨졌다. 전승에 따르면, 차르 이반 뇌제가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으로 순례를 가던 중 막심을 만나 카잔 정복 전사자들을 위한 기도보다 그 가족들을 돌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조언했다고 한다.[45] 1554년, 마테이 바슈킨의 이단 문제를 다루는 소보르에 초청받았으나, 막심은 사건에 연루되기를 꺼려 거절했다.[45]

4. 평가와 영향

막심은 1556년 트로이체-세르기예바 라브라, 세르기예프 포사트에서 사망했으며,[46] 라브라의 식당 교회에 묻혔다.

성인전적 프레스코화, 러시아 정교회 전통의 성 막심 그리스인(Graikos).


막심은 많은 원고를 남기고 다양한 저작물을 러시아 교회 슬라브어로 번역하여 러시아의 기독교 전통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7] 그는 자신의 무죄함과 정통성을 증명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으며, 고대와 성경 역사, 정교회 관습과 가르침, 그리고 당시 모스크바 공국 외부 세계의 소식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신대륙 발견 소식을 모스크바에 처음으로 알린 인물로 평가받는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를 성인으로 추대했으며, 매년 1월 21일을 그의 축일로 기념한다.

4. 1.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막심 트리볼리스의 출생, 가문 배경, 이탈리아에서의 학업 등 개인적인 생애 초기에 대한 정보만을 다루고 있으므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harvnb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웹사이트 Σημειώματα-Κώδικες http://simeiomata-ko[...] Casetti – Brach, Copisti, σ. 240. Λάμπρου, Λακεδ. βιβλ., σ. 316.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harvnb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웹사이트 IVAN'S TREASURES LURE RUSSIA AGAIN; Archaeologist Says That He Can Find "Golden Library" Hidden Beneath Kremlin. NAPOLEON SOUGHT IN VAIN So Did Peter the Great and Other Rulers, Priceless Volumes Keeping Their 350-Year-Old Secret. https://www.nytimes.[...] 1929-03-06
[45] harvnb
[46] harvnb
[47]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the Bible: Volume 4, From 175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4-13
[48] 문서 転写出典:『正教会暦 2010年』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教団
[49] 웹사이트 現代ギリシャ語読み。古典ギリシャ語再構 (言語学)|再建音では'''マクシモス・ホ・ハギオレーテース'''と転写出来る。 http://orthodoxwiki.[...]
[50] 웹사이트 The Monk Maxim the Greek http://www.holytrini[...]
[51] 문서 媒体によっては1470年頃とするものがある。
[52] 웹사이트 現代ギリシャ語転写。古典ギリシャ語再建音ではミカエール・トリボレース。 http://www.artainfo.[...]
[53] 서적 ロシア宗教思想史 成文社 2003-03
[54] 웹사이트 1. Святитель Акакий, епископ Тверской и Кашинский http://lib.eparhia-s[...]
[55] 웹사이트 Рака с мощами Максима Грека Успенский Собор Троице Сергиева Лавра http://fotki.yande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