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순 감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순 감옥은 1902년 러시아가 건설하고 1907년 일본이 확장한 감옥으로,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 위치해 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 제국에 의해 만주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거점으로 사용되었으며, 안중근, 신채호, 이회영 등 많은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어 고초를 겪거나 순국했다. 1945년 소련군 주둔 이후 사용이 중지되었고, 1971년 박물관으로 복원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현재는 '뤼순 일아(日俄)감옥 구지(舊地) 박물관'으로 불리며, 2009년에는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기리는 '국제항일열사전시관'이 개관하여 한중 우호의 상징적인 장소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롄시의 건축물 - 다롄 인민 경기장
다롄 인민 경기장은 1928년 다롄 운동장에서 시작되어 다롄 스더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9년 철거 후 2016년 쇼핑몰로 재건축되었다. - 다롄시의 건축물 - 다롄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다롄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은 다롄시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2011년 완공되어 전국운동회, 콘서트, 축구 경기 등에 사용되었으며 한때 FIFA 클럽 월드컵 개최를 위한 개조 계획이 있었다. - 교도소 박물관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교도소 박물관 - 로벤섬
로벤섬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근처에 위치한 섬으로, 정치범 수용소로 사용되다가 1997년부터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형무소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일제강점기의 형무소 - 공주교도소
공주교도소는 1908년 공주감옥으로 개설되어 공주형무소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1978년 금흥동으로 이전했고, 한국 전쟁 중 학살 사건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뤼순 감옥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여순형무소 (뤼순감옥) |
로마자 표기 | Lüsunchaixingwusuo (Lyusungamok) |
중국어 | 旅顺监狱 (Lǚshùn Jiānyù) |
러시아어 | Люйшуньская тюрьма |
일본어 | 旅順刑務所 (Ryojun keimusho) |
유형 |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소재지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뤼순 시 뤼순커우 구 |
시대 | 1898년 ~ 1945년 |
면적 | 226,000m² |
감방 수 | 275개 호실 |
수용 인원 | 약 2,000명 |
수감자 수 | 약 20,000명 |
공식 웹사이트 | 뤼순 감옥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건설 시기 | 1898년 (러시아 제국) |
확장 시기 | 1907년 (일본 제국) |
폐쇄 시기 | 1945년 (일본 패망) |
이미지 | |
![]() |
2. 역사
뤼순 감옥은 1902년 러시아가 동북3성에 항의하는 중국인들을 제압하기 위해 건축하였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뤼순을 점령하면서 중국, 한국, 러시아인들을 더 수감하기 위해 1907년까지 증축하였다.
1906~1936년동안 수감자는 11개국의 항일운동가 약 2만여 명에 달하였고 한국인, 중국인, 러시아인 등이 수감되었다. 한국인으로는 독립운동가 안중근, 신채호, 이회영, 박희광 등이 수감생활을 했었다.[5][6]
1941년 한국인, 중국인 독립운동가 및 사상범 수용[8]
1942~1945년 약 700명의 수감자가 처형 당함[8]
1945년 8월 소련군 주둔(사용중지)[8]
1971년 7월 박물관으로 복원 후 공개[8]
1988년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주요문화유물보호 시설로 지정[8]
뤼순감옥을 중국 정부는 '뤼순 일아(日俄)감옥 구지(舊地) 박물관'으로 명명하여, 항일운동의 주요 국가 문화재로 지정해 관리해왔지만 군사기밀 보호 등을 이유로 외국인의 방문을 불허해오다 2009년~2010년에 걸쳐 외국인에게 개방하였다.
2009년 중국 정부는 일본에 대응하는 대한민국정부와의 공조와 상호신뢰를 위해 전시실 우측에 600m2 규모의 '국제항일열사전시관'이라는 별도의 전시관을 만들었다. 이곳에는 안중근 의사의 흉상을 세우고 그의 항일운동 사료와 기사들을 정리한 전시물들을 전시하여 사실상 우리 독립운동가들의 전시관을 만들었다. 단재 신채호 선생과 우당 이회영 선생, 한인애국단에서 활동했던 유상근, 최흥식 선생 등 독립운동가들의 흉상과 사료들을 소개하는 총 4개의 소규모 전시실로 나뉘어 전시하고 있다.[7]
2009년 8월 하얼빈 의거 100주년 맞아 뤼순 감옥에서 숨진 항일 독립운동가들을 기리는 추모관과 전시관 개관[8]
2. 1. 일본 제국에 의한 확장
일본 제국은 뤼순 점령 이후 1907년 감옥을 확장하여 수용 규모를 늘리고, 만주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주요 거점으로 활용하였다.[1] 1939년에는 "뤼순 감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이 감옥에는 주로 한국 독립운동 활동가, 소련, 이집트, 일본의 반전 인사들이 수감되었다.[1]2. 2. 항일운동가 투옥과 탄압
2. 3. 해방과 박물관으로의 전환
1945년 8월, 소련군이 뤼순에 진입하면서 뤼순 감옥은 폐쇄되었다.[1] 1971년 7월, "구 일본 뤼순 감옥"이라는 기념 시설로 복원되어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현재는 "뤼순 러일 감옥 구지 박물관"으로 불린다.[4] 198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제3차)로 지정되었다.[1]2. 4. 국제항일열사전시관 개관
3. 건축물 및 규모
뤼순 감옥은 러시아가 처음 지은 건물에 일본이 증축하면서 큰 대(大)자 형태로 확장한 건물이다. 이는 일본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로 추정된다. 2천여 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었으며, 수색실, 동쪽 감방, 암방, 3개의 교수형장, 고문실이 있었다. 담장 밖에는 노역을 위한 밭과 과수원, 벽돌 공장 등 15개의 공장과 밭이 있었다.
3. 1. 주요 시설
뤼순 감옥에는 2천여 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감방과 수색실, 동쪽 감방, 암방, 3개의 교수형장, 고문실 등이 있었다. 담장 밖에는 노역을 할 수 있는 밭과 과수원, 벽돌공장 등 15개의 공장과 밭이 있었다.3. 2. 외부 시설
담장 밖에는 노역을 위한 밭과 과수원, 벽돌공장 등 15개의 공장과 밭이 있었다.4. 안중근 의사 유해 수색
1909년 10월 26일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는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고 이듬해 3월 26일 이곳에서 사망했다.[9] 당시 그는 조선의 국권이 회복된 뒤 조국에 운구하여 매장해 줄 것을 유언으로 남겼으나, 일제는 안중근의 묘지가 한국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 생각해 그를 매장한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지 않았고 이에 해방 후의 대한민국은 그의 가묘만을 만들었다.[9]이후의 한국정부는 여전히 안중근 의사의 시신을 찾기를 바랐기에 2006년 6월 공동조사를 진행했고 뤼순 감옥 뒤편 근처 죄수 공동묘지에 유해가 묻혀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추측했지만, 사안이 3국에 걸쳐 있고 규모가 너무 커 발굴작업을 실행하지 못했다.[9] 또한 2008년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다롄(大連)의 뤼순 감옥 북쪽 야산 어딘가에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묻었다는 일제 당시 간수들의 증언에 따라 발굴을 진행했지만 유해뿐 아니라 매장 위치마저 찾지 못하는 등 묘지에 관한 엄밀한 증거가 부족해 발굴이 어려웠다.[9] 안태근 회장은 정부가 발굴을 벌였던 지점과는 반대 방향인 감옥에서 동쪽으로 500여m 떨어진 뤼순 감옥 구지 묘지(旅順監獄舊址墓地)에 안중근 의사의 유해가 묻혀 있을수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현장에는 이미 아파트가 들어서 있기에 유해 발굴이 어려운 전망을 보였다.[9] 가장 가능성 높은 발굴 위치를 수색하지 못함으로 인해 안중근 의사의 유해 발굴은 여전히 속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4. 1. 유언과 가묘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고 이듬해 3월 26일 뤼순 감옥에서 사망했다.[9] 그는 국권 회복 후 조국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으나,[9] 일제는 그의 묘지가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될 것을 우려하여 매장 위치를 숨겼다.[9] 해방 후 대한민국은 안중근 의사의 가묘를 만들었다.[9]이후 한국 정부는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2006년 6월 공동조사를 진행하여 뤼순 감옥 뒤편 죄수 공동묘지에 유해가 묻혀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했지만, 3국에 걸친 문제이고 규모가 커 발굴 작업을 실행하지 못했다.[9] 2008년에는 일제 당시 간수들의 증언에 따라 뤼순 감옥 북쪽 야산 발굴을 진행했으나, 유해와 매장 위치를 찾지 못했다.[9] 안태근 회장은 감옥 동쪽 500여m 떨어진 뤼순 감옥 구지 묘지에 안중근 의사의 유해가 묻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현장에 아파트가 들어서 있어 유해 발굴이 어려운 상황이다.[9]
4. 2. 유해 발굴 노력과 어려움
대한민국 정부는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9] 2006년에는 중국 정부와 공동 조사를 진행하여 뤼순 감옥 뒤편 죄수 공동묘지가 유력한 매장지로 추정되었으나,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지 못했다.[9]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는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고 1910년 3월 26일 뤼순 감옥에서 사망했다. 안중근 의사는 국권 회복 후 조국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일제는 묘지가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될 것을 우려하여 매장 위치를 알리지 않았다.[9]
2008년에는 뤼순 감옥 북쪽 야산에 안중근 의사의 유해가 묻혔다는 당시 간수들의 증언을 토대로 발굴을 진행했으나, 유해와 매장 위치를 모두 찾지 못했다.[9] 안태근 회장은 감옥 동쪽으로 500여m 떨어진 뤼순 감옥 구지 묘지에 유해가 묻혀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현장에 아파트가 들어서 있어 발굴이 어려운 상황이다.[9]
이처럼 여러 증언과 정황에도 불구하고 현장 훼손, 3국에 걸친 문제의 복잡성, 증거 부족 등으로 인해 안중근 의사의 유해 발굴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5. 수감되었던 한국의 독립운동가
뤼순 감옥에는 많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어 고초를 겪거나 순국하였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 저격 후 뤼순 감옥에서 순국했다. 신채호는 1928년부터 1936년까지 수감 중 옥사했다. 박희광은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으나, 일본 천황 즉위와 황태자 출생 등으로 두 차례 감형받아 1924년부터 1943년까지 18년간 복역 후 출소하여 뤼순 감옥 최장기 복역수로 알려져 있다. 이회영은 1932년 수감되어 고문으로 인한 옥사설과 교수형설이 있다. 그 외에도 황덕환은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수감되었고, 감옥에서 일본인 간수를 살해하여 교수형으로 순국했다. 최흥식은 일제 고위관료 암살 시도 후 체포되어 수감 중 사형을 당했다고 알려졌다. 유상근(류상근)은 일제 고위관료 암살 시도 후 감옥에서 13년 동안 옥고를 치르다 광복을 하루 앞두고 옥사하였다. 손기업은 1933년부터 1943년까지 수감되었고, 박민항은 일본 경찰에게 체포 후 옥고를 치르다 1933년 사망하였다. 우덕순은 1910년부터 1915년까지, 조도선은 1910년부터 1911년까지, 유동하는 1910년부터 1911년까지 안중근과 함께 이토 히로부미 저격에 참가한 이유로 수감되었다. 김광추와 김병현(金炳賢, 1926년 7월 21일 감옥에서 순국(사형))도 뤼순 감옥에 수감되었다.
5. 1. 주요 독립운동가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 저격 후 뤼순 감옥에서 순국했다. 신채호는 1928년부터 1936년까지 수감 중 옥사했다. 박희광은 20년간 복역 후 출소하여 뤼순 감옥 최장기 복역수로 알려져 있다. 이회영은 고문으로 인한 옥사설과 교수형설이 있다. 그 외에도 황덕환, 최흥식, 유상근(류상근), 손기업, 박민항, 우덕순, 조도선, 유동하, 김광추, 김병현(金炳賢) 등이 뤼순 감옥에 수감되었다.6. 현재
현재는 "뤼순 일아(日俄)감옥 구지(舊地) 박물관"으로 불리며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4]
구내의 "진열관" 건물에는 일본 점령 시대에 세워진 석비의 대부분이 수납되어 있다.
뤼순 감옥은 2009년 개관한 '국제항일열사전시관'을 통해 한국 독립운동가들의 흉상과 사료를 전시하고 있다. 이는 한중 양국의 역사적 연대와 우호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6. 1. 한중 우호의 상징
뤼순 감옥은 2009년 개관한 '국제항일열사전시관'을 통해 한국 독립운동가들의 흉상과 사료를 전시하고 있다. 이는 한중 양국의 역사적 연대와 우호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Lushun Japan-Russia Prison Site Museum
https://govt.chinada[...]
China Services Info
2018
[2]
뉴스
新闻资料:旅顺日俄监狱旧址
http://news.xinhuane[...]
新华网
2005-07-09
[3]
웹사이트
第三批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旅顺监狱旧址(古建筑及历史纪念建筑物)
http://www.godpp.gov[...]
中国文明网
2008-01-22
[4]
웹사이트
旅順日露監獄旧跡地博物館(トラベルコ)
https://www.tour.ne.[...]
[5]
뉴스
뤼순 감옥의 ‘독립운동가 유물’ 첫 한국 나들이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6]
뉴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여순 감옥 특별 기획전시 '고난과 항쟁'
http://www.newscj.co[...]
천지일보
[7]
뉴스
뤼순감옥서 부활한 안중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8]
뉴스
뤼순감옥서 부활한 안중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9]
간행물
안중근의사 유해발굴 추진사업
https://www.archives[...]
국가기록원
2006-12-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장탄일성 선조일본'…경기도, 안중근 의사 유묵 귀환 성공
“일본 멸망을 미리 조문한다”…안중근 의사 유묵, 영원히 돌아왔다
“일본의 멸망을 미리 조문한다”…안중근 유묵 115년만에 고국으로
안중근 '녹죽', 광복 80주년 맞아 첫 공개
"창문 다 깨지고 폐허"…사라지는 독립운동의 흔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