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카의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카의 정리는 임의의 음이 아닌 정수 m과 n, 소수 p에 대해 이항 계수의 합동식을 나타내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이항 계수를 소수 p에 대한 p진 전개를 이용하여 표현하며, 조합적 증명과 생성 함수를 이용한 증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될 수 있다. 뤼카의 정리는 이항 계수가 소수 p로 나누어 떨어지는 조건을 제시하며, 쿠머 정리와 q-루카스 정리와 같은 다른 정리와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뤼카의 정리 | |
---|---|
개요 | |
종류 | 수론 |
분야 | 정수론 |
이름의 유래 | 에두아르 뤼카 |
내용 | |
공식 명칭 | 이항 계수의 합동 |
공식 | 만약 p가 소수라면, 모든 음이 아닌 정수 m과 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 |n }} .}} |
일반화 | 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p + mp + ⋅⋅⋅ + mp + m}}이고 p + np + ⋅⋅⋅ + np + n}}일 때, ≡ Πsup|k}} |n}} .}} |
설명 | 이항 계수를 소수 로 나눈 나머지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큰 이항 계수를 다룰 때 특히 유용하다. 뤼카의 정리는 이항 계수를 더 작은 이항 계수의 곱으로 분해하여 계산을 단순화한다. |
활용 | |
예시 | 예를 들어, }}를 계산한다고 가정해보자. 5는 소수이므로 뤼카의 정리를 적용할 수 있다. 먼저 12345와 123을 5진법으로 나타낸다. }}이고 }}이다. 따라서, ≡ }}이다. = 0}}이므로, ≡ 0 }}이다. |
역사적 배경 | |
창시자 | 에두아르 뤼카 |
발표 년도 | 1878년 |
발표 |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에 게재된 "Théorie des Fonctions Numériques Simplement Périodiques" 논문에서 발표됨. |
2. 공식화
임의의 음이 아닌 정수 m과 n, 소수 p에 대하여 뤼카의 정리는 다음과 같이 합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8]
뤼카의 정리를 증명하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초등적인 이론만을 이용하는 증명을 소개한다. 앞에서와 같이 m, n, p를 택하고, m과 n의 p-진 전개를 위와 같이 쓸 때, 이항 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x는 정수)
:
여기서 m과 n을 소수 p에 대해 p진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
:
한쪽의 전개가 k에서 끝나지 않더라도 더 이상 전개하지 않고 정리를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m'' < ''n''인 경우 이다.
뤼카의 정리는 임의의 자연수 q에 대해 법 p의 q제곱 형태로 일반화할 수 있다.[8]
3. 증명
:
이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전개하여,
:
다시 이항 정리를 써서 안쪽의 식을 풀어내면,
:
이 된다. 법 p에 대한 형식적 멱급수 전개에서 모든 차수마다의 계수는 같으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루카스 정리(Lucas's theorem)를 증명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조합적 증명'''
''M''을 ''m''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이라고 하고, 다양한 ''i'' 값에 대해 길이를 ''pi''로 하는 ''mi''개의 순환(사이클)으로 나눈다. 그러면 이러한 각 순환은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순환군(cyclic group) ''Cpi''의 데카르트 곱인 군 ''G''가 ''M''에 작용한다. 따라서 크기가 ''n''인 부분 집합 ''N''에도 작용한다. ''G''의 원소 개수는 ''p''의 거듭제곱이므로, 그 궤도(orbit)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을 모듈로(modulo) ''p''로 계산하려면 이 군 작용의 고정점(fixed point)만 고려하면 된다. 고정점은 몇몇 순환의 합집합인 부분 집합 ''N''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k''-''i''에 대한 귀납법에 의해, ''N''은 크기가 ''pi''인 정확히 ''ni''개의 순환을 가져야 함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N''에 대한 선택의 수는 정확히 이다.
'''생성 함수를 이용한 증명'''
뤼카의 정리를 증명하는 방법 중 하나는 생성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증명은 네이선 파인(Nathan Fine)에 의한 것이다.
먼저, ''p''가 소수이고 ''n''이 1 ≤ ''n'' ≤ ''p'' − 1인 정수일 때, 이항 계수 의 분자는 ''p''로 나누어지지만 분모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p''는 을 나눈다. 이는 일반 생성 함수(ordinary generating functions)의 관점에서 보면, 임을 의미한다. 귀납법을 통해, 모든 음이 아닌 정수 ''i''에 대해 가 성립한다.
이제 ''m''을 음이 아닌 정수, ''p''를 소수라고 하고, ''m''을 ''p''진법으로 와 같이 표현한다. 여기서 ''k''와 ''m''''i''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0 ≤ ''m''''i'' ≤ ''p''-1이다. 그러면,
:
가 성립한다. 여기서 ''n''을 ''p''진법으로 나타내는 것은 유일하며, 최종 곱에서 ''n''''i''는 ''n''의 ''p''진법 표현에서 ''i''번째 숫자이다. 따라서 뤼카의 정리가 증명된다.
3. 1. 조합적 증명
''M''을 ''m''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이라고 하고, 다양한 ''i'' 값에 대해 길이를 ''pi''로 하는 ''mi''개의 순환(사이클)으로 나눈다. 그러면 이러한 각 순환은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순환군(cyclic group) ''Cpi''의 데카르트 곱인 군 ''G''가 ''M''에 작용한다. 따라서 크기가 ''n''인 부분 집합 ''N''에도 작용한다. ''G''의 원소 개수는 ''p''의 거듭제곱이므로, 그 궤도(orbit)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을 모듈로(modulo) ''p''로 계산하려면 이 군 작용의 고정점(fixed point)만 고려하면 된다. 고정점은 몇몇 순환의 합집합인 부분 집합 ''N''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k''-''i''에 대한 귀납법에 의해, ''N''은 크기가 ''pi''인 정확히 ''ni''개의 순환을 가져야 함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N''에 대한 선택의 수는 정확히 이다.
3. 2. 생성 함수를 이용한 증명
뤼카의 정리를 증명하는 방법 중 하나는 생성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증명은 네이선 파인(Nathan Fine)에 의한 것이다.[2]
먼저, ''p''가 소수이고 ''n''이 1 ≤ ''n'' ≤ ''p'' − 1인 정수일 때, 이항 계수 의 분자는 ''p''로 나누어지지만 분모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p''는 을 나눈다. 이는 일반 생성 함수(ordinary generating functions)의 관점에서 보면, 임을 의미한다. 귀납법을 통해, 모든 음이 아닌 정수 ''i''에 대해 가 성립한다.
이제 ''m''을 음이 아닌 정수, ''p''를 소수라고 하고, ''m''을 ''p''진법으로 와 같이 표현한다. 여기서 ''k''와 ''m''''i''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0 ≤ ''m''''i'' ≤ ''p''-1이다. 그러면,
:
가 성립한다. 여기서 ''n''을 ''p''진법으로 나타내는 것은 유일하며, 최종 곱에서 ''n''''i''는 ''n''의 ''p''진법 표현에서 ''i''번째 숫자이다. 따라서 뤼카의 정리가 증명된다.
4. 결과
이항 계수 은 ''n''의 p진수 자리수 중 적어도 하나가 ''m''의 해당 자리수보다 클 경우에만 소수 ''p''로 나누어 떨어진다. 특히, 은 ''n''의 이진법 전개에서 이진수 (비트)가 ''m''의 비트의 부분 집합일 경우에만 홀수이다.
5. 일반화
뤼카의 정리는 을 소수 거듭제곱 ''p''''k''으로 나눈 나머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하지만 공식은 더 복잡해진다.
만약 모듈로가 소수 ''p''의 제곱이라면, 모든 0 ≤ ''s'' ≤ ''r'' ≤ ''p'' − 1, ''a'' ≥ 0, 그리고 ''b'' ≥ 0에 대해 다음 합동 관계가 성립한다.
:
여기서 은 ''n''번째 조화수이다.[3]
더 높은 소수 거듭제곱 ''p''''k''에 대한 뤼카 정리의 일반화는 데이비스와 웹(1990)[4]와 그랜빌(1997)[5]에 의해서도 제시되었다.
쿠머 정리는 소수 ''p''''k''가 이항 계수 를 나누는 가장 큰 정수 ''k''(즉, 소수 ''p''에 대한 이항 계수의 p 진수 값)는 ''n''과 ''m'' − ''n''을 위치 기수법 ''p''를 사용하여 더할 때 발생하는 올림의 수와 같다고 주장한다.
''q''-루카스 정리는 J. 데자르메니앙에 의해 처음 증명된, ''q''-이항 계수에 대한 일반화이다.[6]
5. 1. 소수가 아닌 법
뤼카의 정리는 을 소수 거듭제곱 ''p''''k''으로 나눈 나머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하지만 공식은 더 복잡해진다.만약 모듈로가 소수 ''p''의 제곱이라면, 모든 0 ≤ ''s'' ≤ ''r'' ≤ ''p'' − 1, ''a'' ≥ 0, 그리고 ''b'' ≥ 0에 대해 다음 합동 관계가 성립한다.
:
여기서 은 ''n''번째 조화수이다.[3]
더 높은 소수 거듭제곱 ''p''''k''에 대한 뤼카 정리의 일반화는 데이비스와 웹(1990)[4]와 그랜빌(1997)[5]에 의해서도 제시되었다.
5. 1. 1. 법 p2 합동 관계
뤼카의 정리는 을 소수 거듭제곱 ''p''''k''으로 나눈 나머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하지만 공식은 더 복잡해진다.만약 모듈로가 소수 ''p''의 제곱이라면, 모든 0 ≤ ''s'' ≤ ''r'' ≤ ''p'' − 1, ''a'' ≥ 0, 그리고 ''b'' ≥ 0에 대해 다음 합동 관계가 성립한다.
:
여기서 은 ''n''번째 조화수이다.[3]
더 높은 소수 거듭제곱 ''p''''k''에 대한 뤼카 정리의 일반화는 데이비스와 웹(1990)[4]와 그랜빌(1997)[5]에 의해서도 제시되었다.
5. 1. 2. 더 높은 소수 거듭제곱
뤼카의 정리는 을 소수 거듭제곱 ''p''''k''으로 나눈 나머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하지만 공식은 더 복잡해진다.만약 모듈로가 소수 ''p''의 제곱이라면, 모든 0 ≤ ''s'' ≤ ''r'' ≤ ''p'' − 1, ''a'' ≥ 0, 그리고 ''b'' ≥ 0에 대해 다음 합동 관계가 성립한다.
:
여기서 은 ''n''번째 조화수이다.[3]
더 높은 소수 거듭제곱 ''p''''k''에 대한 뤼카 정리의 일반화는 데이비스와 웹(1990)[4]와 그랜빌(1997)[5]에 의해서도 제시되었다.
6. 다른 정리와의 관계
쿠머 정리는 소수 ''p''''k''가 이항 계수 를 나누는 가장 큰 정수 ''k''(즉, 소수 ''p''에 대한 이항 계수의 p 진수 값)는 ''n''과 ''m'' − ''n''을 위치 기수법 ''p''를 사용하여 더할 때 발생하는 올림의 수와 같다고 주장한다.[6]
''q''-루카스 정리는 J. 데자르메니앙에 의해 처음 증명된, ''q''-이항 계수에 대한 일반화이다.[6]
참조
[1]
논문
Théorie des Fonctions Numériques Simplement Périodiques
[2]
논문
Binomial coefficients modulo a prime
[3]
arXiv
Lucas' theorem modulo p2
2020-06-21
[4]
논문
Lucas' Theorem for Prime Powers
[5]
논문
Arithmetic Properties of Binomial Coefficients I: Binomial coefficients modulo prime powers
http://www.dms.umont[...]
[6]
논문
Un Analogue des Congruences de Kummer pour les q-nombres d'Euler
1982-03
[7]
논문
Théorie des Fonctions Numériques Simplement Périodiques
[8]
논문
Arithmetic Properties of Binomial Coefficients I: Binomial coefficients modulo prime powers
http://www.dms.umont[...]
2016-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