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화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화수는 자연수 n에 대해 정의되는 수열로, 각 항은 1부터 n까지의 자연수의 역수의 합으로 표현된다. 조화수는 다음과 같은 정의와 점화식을 가지며, 부호 교대 조화수도 정의된다. 조화수는 점화 관계, 급수 항등식, 산술적 성질 등 다양한 수학적 성질을 가지며, 특히 Hₙ이 정수가 되는 것은 n=1일 때뿐이다. 조화수는 π와 관련된 무한 합을 포함하며, 적분 표현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조화수는 자연 로그와 연관되어 있으며,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를 포함하는 점근 전개를 갖는다. 또한, 조화수는 생성 함수와 실수 및 복소수 값에 대한 확장을 통해 다루어진다. 조화수는 일반화 조화수, 초조화수, 로만 조화수 등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디감마 함수 계산, 리만 가설과의 관계, 비국소 문제의 고유값 계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 상수 - 허수 단위
    허수 단위 i는 i² = −1을 만족하는 수로, 실수 체계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음수의 제곱근을 나타내며 복소수 체계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복소평면에서 90° 회전하는 효과를 가지며 1, i, -1, -i를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수학 상수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조화수
정의
정의조화수는 처음 n개의 자연수의 역수의 합이다.
수식
수식표준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 ∑ 1/k''}}.
첫 번째 값처음 몇 개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성질
증가조화수는 로그 함수처럼 증가하지만, 더 느리게 증가한다. 조화수는 무한대로 발산한다.
점근적 행동일 때, = ln n + γ + ε}}, 여기서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고, → 0}}이다.
일반화일 때, 합 1/k}}은 리만 제타 함수의 값 으로 수렴한다.
응용조화수는 알고리즘의 분석에 나타난다 (예: 퀵 정렬).
네트워크 값
네트워크 값 이론가상 네트워크의 이론에서 앤드루 오들리츠코(Andrew Odlyzko)는 네트워크 값을 정의했는데, 이는 네트워크의 각 사람이 네트워크에 합류함에 따라 얻는 이점의 합이며, 메트칼프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은 네트워크의 사람 수이다.

2. 조화수의 정의 및 연산

조화수(H_n)는 자연수 n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_n = \sum_{k = 1}^n \frac{1}{k}

부호 교대 조화수는 다음과 같다.

:H_n^' = \sum_{k = 1}^n \frac{k}

:H_{2n}^{'} = \sum_{k = 1}^{2n} \frac{k}

정의에 따라, 조화수는 다음의 점화 관계를 만족한다.

: H_{n + 1} = H_{n} + \frac{1}{n + 1}.

3. 조화수의 성질

조화수는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성질들을 가지고 있다.


  • 점화 관계 및 항등식:
  • 조화수는 다음 점화 관계를 만족한다.[1]


:H_{n + 1} = H_{n} + \frac{1}{n + 1}.

  • 제1종 스털링 수와 다음 관계를 갖는다.[1]


:H_n = \frac{1}{n!}\left[{n+1 \atop 2}\right].

  • 다음 급수 항등식을 만족한다.[1]


:\sum_{k=1}^n H_k = (n+1) H_{n} - n

:\sum_{k=1}^n H_k^2 = (n+1)H_{n}^2 - (2 n +1) H_n + 2 n.

  • 산술적 성질:
  • Hₙ영어이 정수가 되는 필요충분조건은 n=1영어일 때 뿐이다.[5]
  • Wolstenholme's theorem에 따르면, 모든 소수 p ≥ 5영어에 대해 Hₚ₋₁영어의 분자는 p²영어으로 나누어진다.

  • π 항등식:
  • π의 거듭제곱을 포함하는 몇 가지 무한 합은 다음과 같다.[3]


:\begin{align}

\sum_{n=1}^\infty \frac{H_n}{n\cdot 2^n} &= \frac{\pi^2}{12} \\

\sum_{n=1}^\infty \frac{H_n^2}{n^2} &= \frac{17}{360}\pi^4 \\

\sum_{n=1}^\infty \frac{H_n^2}{(n+1)^2} &= \frac{11}{360}\pi^4 \\

\sum_{n=1}^\infty \frac{H_n}{n^3} &= \frac{\pi^4}{72}

\end{align}

3. 1. 점화 관계 및 항등식

정의에 따라, 조화수는 다음의 점화 관계를 만족한다.[1]

:H_{n + 1} = H_{n} + \frac{1}{n + 1}.

조화수는 다음 관계를 통해 제1종 스털링 수와 연결된다.[1]

:H_n = \frac{1}{n!}\left[{n+1 \atop 2}\right].

조화수는 다음의 급수 항등식을 만족한다.[1]

:\sum_{k=1}^n H_k = (n+1) H_{n} - n

그리고

:\sum_{k=1}^n H_k^2 = (n+1)H_{n}^2 - (2 n +1) H_n + 2 n.

이 두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해당 적분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1]

:\int_0^x \log y \ d y = x \log x - x

그리고

:\int_0^x (\log y)^2\ d y = x (\log x)^2 - 2 x \log x + 2 x.

3. 2. 산술적 성질

조화수는 몇 가지 흥미로운 산술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Hₙ영어이 정수가 되는 필요충분조건은 n=1영어일 때 뿐이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종종 테이징거(Taeisinger)의 결과로 여겨진다.[5] 실제로, 2진법 평가를 사용하면, n ≥ 2영어에 대해 Hₙ영어의 분자가 홀수이고, Hₙ영어의 분모가 짝수임을 증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보다 정확하게는 다음과 같다.

:Hₙ영어 = (1/2⌊log₂(n)⌋영어)(aₙ/bₙ영어)

여기서 aₙ영어과 bₙ영어은 홀수인 정수이다.

Wolstenholme's theorem에 따르면, 모든 소수 p ≥ 5영어에 대해 Hₚ₋₁영어의 분자는 p²영어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아이젠슈타인(Eisenstein)[6]은 모든 홀수 소수 p영어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했다.

:H(ₚ₋₁)/₂ ≡ -2qₚ(2) (mod p)영어

여기서 qₚ(2) = (2p-1 -1)/p영어는 Fermat quotient이며, p영어가 H(ₚ₋₁)/₂영어의 분자를 나누는 것은 p영어가 Wieferich 소수일 때와 필요충분 조건이다.

1991년, 에스와라타산(Eswarathasan)과 레빈(Levine)[7]은 Jₚ영어를 Hₙ영어의 분자가 소수 p영어로 나누어지는 모든 양의 정수 n영어의 집합으로 정의했다. 그들은 모든 소수 p ≥ 5영어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했다.

:

또한, Jₚ영어가 정확히 3개의 원소를 가지는 소수 p영어를 ''조화 소수''로 정의했다.

에스와라타산과 레빈은 모든 소수 p영어에 대해 Jₚ영어유한 집합이며, 조화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을 추측했다. 보이드(Boyd)[8]는 83, 127, 397을 제외하고 p = 547영어까지 모든 소수에 대해 Jₚ영어가 유한함을 확인했고, 모든 소수 집합에서 조화 소수의 밀도가 1/e영어가 되어야 한다는 휴리스틱을 제시했다. 산나(Sanna)[9]는 Jₚ영어가 점근 밀도가 0임을 보였고, 삥-링 우(Bing-Ling Wu)와 용-가오 첸(Yong-Gao Chen)[10]은 x영어를 넘지 않는 Jₚ영어의 원소의 개수가 모든 x ≥ 1영어에 대해 최대 3x⅔+1/25log p영어임을 증명했다.

3. 3. π 항등식

조화수와 π의 거듭제곱을 포함하는 몇 가지 무한 합은 다음과 같다:[3]

:\begin{align}

\sum_{n=1}^\infty \frac{H_n}{n\cdot 2^n} &= \frac{\pi^2}{12} \\

\sum_{n=1}^\infty \frac{H_n^2}{n^2} &= \frac{17}{360}\pi^4 \\

\sum_{n=1}^\infty \frac{H_n^2}{(n+1)^2} &= \frac{11}{360}\pi^4 \\

\sum_{n=1}^\infty \frac{H_n}{n^3} &= \frac{\pi^4}{72}

\end{align}

4. 조화수의 계산

오일러는 조화수를 적분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했고,[4] 이를 통해 조화수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조화수는 자연 로그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를 이용하여 점근적으로 전개할 수 있다.


4. 1. 적분 표현

오일러가 제시한 적분 표현은 다음과 같다.[4]

H_n = \int_0^1 \frac{1 - x^n}{1 - x}\,dx.

위의 등식은 간단한 대수적 항등식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frac{1-x^n}{1-x}=1+x+\cdots +x^{n-1}.

x = 1 - u를 대입하면, H_n의 또 다른 표현을 얻을 수 있다.

\begin{align}

H_n &= \int_0^1 \frac{1 - x^n}{1 - x}\,dx = \int_0^1\frac{1-(1-u)^n}{u}\,du \\[6pt]

&= \int_0^1\left[\sum_{k=1}^n \binom nk (-u)^{k-1}\right]\,du

= \sum_{k=1}^n \binom nk \int_0^1 (-u)^{k-1}\,du \\[6pt]

&= \sum_{k=1}^n \binom nk \frac{(-1)^{k-1}}{k}.

\end{align}


4. 2. 점근 전개

번째 조화수는 의 자연 로그(ln ''n'')와 거의 같다. 그 이유는 조화수의 합이 다음 적분으로 근사되기 때문이다.

:\int_1^n \frac{1}{x}\, dx = \ln n

수열 은 단조 감소하며, 극한은 다음과 같다.

: \lim_{n \to \infty} \left(H_n - \ln n\right) = \gamma

여기서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의 점근 전개는 다음과 같다.

:\begin{align}

H_n &\sim \ln{n}+\gamma+\frac{1}{2n}-\sum_{k=1}^\infty \frac{B_{2k}}{2k n^{2k}}\\

&=\ln{n}+\gamma+\frac{1}{2n}-\frac{1}{12n^2}+\frac{1}{120n^4}-\cdots,

\end{align}

여기서 는 베르누이 수이다.

5. 생성 함수

조화수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1}^\infty z^n H_n = \frac {-\ln(1-z)}{1-z}

여기서 ln(''z'')는 자연 로그이다. 지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1}^\infty \frac {z^n}{n!} H_n = e^z \sum_{k=1}^\infty \frac{(-1)^{k-1}}{k} \frac {z^k}{k!} = e^z \operatorname{Ein}(z)

여기서 Ein(''z'')는 완전 지수 적분이다. 지수 적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operatorname{Ein}(z) = \mathrm{E}_1(z) + \gamma + \ln z = \Gamma (0,z) + \gamma + \ln z

여기서 Γ(0, ''z'')는 불완전 감마 함수이다.

6. 실수 및 복소수 값에 대한 조화수

조화수는 해석적 연속을 통해 음의 정수를 제외한 복소 평면으로 정의를 확장할 수 있으며, 디감마 함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실제로 디감마 함수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4]

:H_x = \psi(x+1)+\gamma.

복소수 x에 대한 조화수의 무한 급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H_x = x \sum_{k=1}^{\infty} \frac{1}{k(x+k)}.

이 급수는 음의 정수를 제외한 모든 복소수 x에 대해 수렴한다.

복소수 n에 대한 조화수의 점근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H_n &\sim \ln{n}+\gamma+\frac{1}{2n}-\sum_{k=1}^\infty \frac{B_{2k}}{2k n^{2k}}\\

&=\ln{n}+\gamma+\frac{1}{2n}-\frac{1}{12n^2}+\frac{1}{120n^4}-\cdots,

\end{align}

여기서 B_k베르누이 수이다.

조화수의 테일러 급수는 다음과 같다.

:H_x=\sum_{k=2}^\infty (-1)^{k}\zeta (k)\;x^{k-1}\quad\text{ for } |x| < 1

여기서 \zeta리만 제타 함수이다.

7. 일반화

''n''번째 ''m''차 '''일반화 조화수'''(generalized harmonic number영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H_{n,m}=\sum_{k=1}^n \frac{1}{k^m}

''n''을 무한대로 보냈을 때 극한이 존재하는 것은 ''m'' > 1일 때뿐이다. 일반화 조화수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다음이 사용되기도 한다.

:H_{n,m}= H_n^{(m)} = H_m(n).

''m'' = 1인 경우는 통상적인 조화수이며, 아래첨자 ''m''을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H_n= \sum_{k=1}^n \frac{1}{k}

''n'' → ∞의 극한에서 일반화 조화수는 리만 제타 함수로 수렴한다.

:\lim_{n\to \infty} H_{n,m} = \zeta(m)

일반화 조화수는 베르누이 수스털링 수를 조사할 때 나타난다. 일반화 조화수의 모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1}^\infty z^n H_{n,m} =

\frac {\mbox{Li}_m(z)}{1-z}

여기서 Li''m''(''z'')는 다중로그 함수이며, |''z''| < 1이다. 이 식에서 ''m'' = 1로 한 것은, 앞서 언급한 조화 수열의 모함수와 일치한다.

7. 1. 일반화 조화수

''m''차 '''일반화 조화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_{n,m}=\sum_{k=1}^n \frac{1}{k^m}.

(일부 자료에서는 이를 H_n^{(m)} 또는 H_m(n)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특수한 경우인 ''m'' = 0일 때 H_{n,0}= n 이다. ''m'' = 1일 때는 일반적인 조화수로 축약된다.

H_{n, 1} = H_n = \sum_{k=1}^n \frac{1}{k}.

n \rightarrow \infty 일 때 H_{n, m}의 극한은 m > 1일 경우 유한하며, 일반화 조화수는 리만 제타 함수에 의해 제한되고 수렴한다.

\lim_{n\rightarrow \infty} H_{n,m} = \zeta(m).

일반화 조화수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1}^\infty z^n H_{n,m} = \frac {\operatorname{Li}_m(z)}{1-z},

여기서 \operatorname{Li}_m(z)는 폴리로그 함수이며 |z| < 1이다. m = 1에 대한 위의 생성 함수는 이 공식의 특수한 경우이다.

7. 2. 초조화수 (Hyperharmonic numbers)

1995년 J. H. 콘웨이와 R. K. 가이가 저술한 책 ''The Book of Numbers''에서 ''r''차(''r>0'')의 n번째 고조화수는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15]

: H_n^{(r)} = \sum_{k=1}^n H_k^{(r-1)}

:H_n^{(0)} = \frac1n

특히, H_n^{(1)}은 일반적인 조화수 H_n이다.

7. 3. 로만 조화수 (Roman Harmonic numbers)

스티븐 로만(Steven Roman)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로만 조화수(Roman Harmonic numbers)는[13] 다니엘 E. 롭(Daniel E. Loeb)과 잔-카를로 로타(Gian-Carlo Rota)에 의해 로그를 사용한 엄브랄 미적분의 일반화 맥락에서 도입되었다.[14]

다양한 정의가 가능하지만, n,k \geq 0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c_n^{(0)} = 1,

: c_n^{(k+1)} = \sum_{i=1}^n\frac{c_i^{(k)}}{i}.

따라서, c_n^{(1)} = H_n 이다.

만약 n \neq 0 이면 다음을 만족한다.

: c_n^{(k+1)} - \frac{c_n^{(k)}}{n} = c_{n-1}^{(k+1)}.

닫힌 형태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c_n^{(k)} = n! (-1)^k s(-n,k),

여기서 s(-n,k)는 음의 첫 번째 인수로 일반화된 제1종 스털링 수이며, 다음 공식도 성립한다.

: c_n^{(k)} = \sum_{j=1}^n \binom{n}{j} \frac{(-1)^{j-1}}{j^k},

이 공식은 도널드 커누스(Donald Knuth)가 발견했다.

이 숫자들은 로만 숫자와 음수 n을 포함하는 로만 계승을 사용하여 더 일반적인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화는 조화 로그를 정의하기 위한 연구에 유용하다.

8. 응용

조화수는 디감마 함수digamma function영어와 같은 여러 특수 함수 계산에 사용된다.[11]

:\psi(n) = H_{n-1} - \gamma

이 관계는 조화수를 정수가 아닌 ''n''으로 확장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조화수는 극한을 사용하여 \gamma를 정의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gamma = \lim_{n \rightarrow \infty}{\left(H_n - \ln(n)\right)}

하지만

:\gamma = \lim_{n \to \infty}{\left(H_n - \ln\left(n+\frac{1}{2}\right)\right)}

가 더 빠르게 수렴한다.

2002년, 제프리 라가리아스는 리만 가설이 다음 명제와 동치임을 증명했다.[12]

:\sigma(n) \le H_n + (\log H_n)e^{H_n}

여기서 \sigma(n)n약수의 합을 나타내며, n > 1이면 엄격한 부등호로, 모든 정수 n \ge 1에 대해 참이다.

참조

[1]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Addison-Wesley
[2] 서적 Concrete Mathematics Addison-Wesley
[3] 웹사이트 Harmonic Number https://mathworld.wo[...] 2024-09-30
[4] 서적 How Euler Did It https://books.googl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5] 서적 CRC Concis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Chapman & Hall/CRC
[6] 간행물 Eine neue Gattung zahlentheoretischer Funktionen, welche von zwei Elementen ahhängen und durch gewisse lineare Funktional-Gleichungen definirt werden
[7] 간행물 p-integral harmonic sums
[8] 간행물 A p-adic study of the partial sums of the harmonic series http://projecteuclid[...]
[9] 간행물 On the p-adic valuation of harmonic numbers https://iris.unito.i[...]
[10] 간행물 On certain properties of harmonic numbers
[11] 간행물 An Elementary Problem Equivalent to the Riemann Hypothesis
[12] 간행물 Some methods for flows past blunt slender bodies
[13] 간행물 The Roman harmonic numbers revisited http://dx.doi.org/10[...] 2017
[14] 간행물 Formal power series of logarithmic type http://dx.doi.org/10[...] 1989
[15] 서적 The book of numbers Copernic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