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리크 2세 로스티슬라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리크 2세 로스티슬라비치는 로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여러 차례 키예프 대공위를 두고 다투며 6번이나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1170년부터 1171년까지 노브고로드 공작을, 1173년부터 1194년까지 벨고로드키옙스키 공작을 지냈다. 1180년부터 1194년까지는 스뱌토슬라프 3세와 공동 통치 체제를 유지했다. 1194년 스뱌토슬라프 3세 사후 단독으로 키예프 대공이 되었으나 로만 므스티슬라비치에게 폐위되었다. 이후 쿠만족 군대를 이끌고 키예프를 공격하여 대공위를 차지하기도 했지만, 사촌인 프세볼로트 4세와의 경쟁 끝에 체르니히우 감옥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15년 사망 - 호조 도키마사
호조 도키마사는 가마쿠라 막부 시대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장인이자 막부 성립에 기여했으며, 딸 호조 마사코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으나, 말년에 실각하여 유배되었다.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므스티슬라프 3세
므스티슬라프 3세 로마노비치는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1212년 ~ 1223년)으로, 키예프 대공이 되기 전 여러 공작을 역임하며 정치적 경험을 쌓았으나, 1223년 칼카 강 전투에서 몽골 제국 군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처형당했다.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블라디미르 4세
블라디미르 4세는 13세기 초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으로, 1223년 므스티슬라프 3세 사후 대공이 되어 갈리치 공국 분쟁에 관여하다 1239년 몽골 제국 침공 때 사망했다. - 키예프 대공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키예프 대공 - 야로폴크 2세
야로폴크 2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132년부터 113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으나, 모노마흐 가문 내부 갈등과 스뱌토슬라프 가문의 도전, 그리고 폴로츠크 공국의 부흥으로 인해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며 키예프 대공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류리크 2세 로스티슬라비치 | |
---|---|
기본 정보 | |
![]() | |
군주호 | 키예프 대공 |
이름 | 류리크 2세 |
러시아어 및 우크라이나어 표기 | Рюрик Ростиславич |
통치 기간 | |
재위 | 1173년, 1181년, 1194년 - 1201년, 1203년 - 1204년, 1205년 - 1206년, 1207년, 1210년 |
개인 정보 | |
사망 | 1210년대 |
왕가 | 류리크 가 |
왕조 | 류리크 왕조 |
아버지 | 로스티슬라프 1세 |
배우자 정보 | |
배우자 1 | 포로베츠 족장 베르크의 딸 |
배우자 2 | 안나 유리예브나 |
자녀 | |
자녀 목록 | 아나스타시야 프레드슬라바 야로슬라바 프세슬라바 로스티슬라프 2세 블라디미르 4세 |
2. 생애
로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기 전, 여러 차례의 대공위 계승 분쟁을 경험했으며 6차례에 걸쳐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2] 노브고로드 공화국 공작(1170년 ~ 1171년), 벨고로드키옙스키 공작(1173년 ~ 1194년), 체르니히우 공국 공작(1210년 ~ 1214년)을 역임했다.[2]
키예프 연대기에 따르면, 1182년 류리크는 스뱌토슬라프 3세와 공동 통치, 즉 두움비라테 체제를 이루어 1194년 스뱌토슬라프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2] 그러나 노브고로드 4차 연대기와 소피아 1차 연대기에는 1180년과 1185년에 스뱌토슬라프가 단독 통치했으며, 류리크가 공동 통치자였다는 언급은 없다.
체르니히우에서 성 파라스케바 교회를 건설한 후,[4] 친족들과 쿠만족 군대를 이끌고 1203년에 키예프를 공격하여 약탈했다.[4] 1204년에는 수도원에 갇혔지만, 서약을 어기고 다시 왕좌에 복귀했다.
사촌 세볼로트 4세는 류리크의 이전 수도원 서약이 그의 권위를 무효화한다고 여겨 1206년, 1207년, 1211년에 키예프를 공격하여 잠시 점령했다. 세볼로트는 류리크를 사로잡았고, 류리크는 체르니히우 감옥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권력 투쟁
로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기 전, 여러 차례의 대공위 계승 분쟁을 경험했다.[2] 1167년, 아버지 로스티슬라프 1세가 사망한 후, 키예프 대공위는 사촌인 므스티슬라프 2세가 차지했고, 류리크는 오브루치를 영지로 받았다.[2]1169년, 블라디미르 대공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가 키예프를 함락시키고 므스티슬라프 2세를 폐위시킨 후, 안드레이의 동생 글레프 (키예프 대공)를 키예프 대공위에 앉혔다. 1170년, 안드레이가 노브고로드로 출병하자, 노브고로드 사람들은 로만 므스티슬라비치를 추방하고 류리크를 노브고로드 공화국 공작으로 초청했다. (1170년 ~ 1171년) 1171년, 류리크의 형제 로만 로스티슬라비치가 키예프 대공으로 옹립되었을 때, 류리크는 안드레이로부터 벨고로드를 받았다.
그러나 1171년 이후, 류리크는 형제들과 함께 반(反) 안드레이 세력에 가담했다. 1173년, 안드레이가 그의 동생 미하일 1세 (키예프 대공)을 키예프 대공으로 세우자, 류리크는 동생 다비드 로스티슬라비치와 함께 키예프 근방을 방어했고, 안드레이가 파견한 세볼로트 3세, 야로폴크 로스티슬라비치를 포로로 잡았으며, 류리크는 키예프 대공위를 일시적으로 장악했다. 안드레이가 군사를 이끌고 오자, 류리크는 키예프를 버리고 벨고로드에 웅거했다. 1174년, 안드레이가 사망하자 류리크의 형제 로만이 다시 키예프 대공위에 올랐다.
1176년, 로스트베츠 전투에서 폴로베츠족에게 패했다.
블라디미르 대공국에서는 안드레이 사후 계승권을 둘러싼 투쟁이 일어났다. 체르니고프의 스뱌토슬라프는 프세볼로트 3세와 대립하면서, 프세볼로트의 동맹자였던 류리크의 동생 로만이 통치하는 스몰렌스크에 파병했다. 류리크는 할리치 공작 야로슬라프 오스모미슬과 동맹을 맺고 키예프를 제압한 후, 동생 다비드를 원군으로 스몰렌스크에 보냈다. 그해 로만이 사망했지만, 다비드는 스몰렌스크 방어군을 지휘하며 공격을 막아내고 스몰렌스크 공위를 이었다. 류리크는 콘차크 등이 이끄는 폴로베츠족과 함께 키예프 지역을 공격했지만 격파 당했다. 결국 키예프와 키예프 대공위는 스뱌토슬라프의 것이 되었지만,[3] 키예프 영역의 다른 지역은 류리크의 것이 되었다. 1180년부터 1194년까지 류리크와 스뱌토슬라프의 이두 지배 체제가 확립되었다. 류리크와 스뱌토슬라프는 1184년의 오렐 강 전투, 호롤 강 전투에서 폴로베츠족에게 잇따라 승리했다.
2. 2. 키예프 대공위 쟁탈전
류리크는 로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1173년부터 1210년 사이에 6차례나 키예프 루스의 대공 자리를 놓고 분쟁을 벌였다.키예프 연대기에 따르면, 1182년 류리크는 스뱌토슬라프 3세와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이 두움비라테 체제는 스뱌토슬라프가 1194년에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2] 그러나 노브고로드 4차 연대기와 소피아 1차 연대기에는 1180년과 1185년에 스뱌토슬라프가 단독으로 통치했으며, 류리크가 공동 통치자였다는 언급은 없다.
1194년 스뱌토슬라프가 사망하자, 류리크는 키예프 대공위를 얻었다. 그러나 로만 므스티슬라비치가 그의 통치에 도전하여 류리크를 폐위시켰다.
체르니히우에서 성 파라스케바 교회를 건설한 후, 류리크는 친족들과 쿠만족 군대를 이끌고 1203년에 키예프를 공격하여 약탈하고, 다시 대공위를 차지했다.[4] 하지만 1204년에 수도원에 갇혔다가 서약을 어기고 다시 권좌에 복귀했다.
그의 사촌 세볼로트 4세는 류리크의 이전 수도원 서약이 그의 권위를 무효화한다고 여겨 1206년, 1207년, 1211년에 키예프를 공격하여 잠시 점령했다.
1210년, 류리크는 키예프를 체르니고프 공작 프세볼로트에게 양도하고 자신은 체르니고프를 차지했다. 이후 류리크는 체르니히우 공국의 공작(1210년 ~ 1214년)을 역임하기도 했다.
2. 3. 결혼과 자녀
류리크는 투로프 공작 유리의 딸 안나와 결혼했다.[7] 류리크와 안나 사이에는 로스티슬라프 2세를 포함한 여러 자녀가 있었다. 류리크의 딸 프레드슬라바는 볼히니아 공작 로만 므스티슬라비치와 결혼했으나, 이후 이혼했다.배우자
자녀
이름 | 배우자 | 비고 |
---|---|---|
아나스타샤 | 체르니고프 공작 글레프 | 1182년 결혼 |
프레드슬라바 | 볼린 공작 로만 | 1181년 결혼, 이후 이혼 |
야로슬라바 | 볼린 공작 스뱌토슬라프 | 1187년 결혼 |
프세슬라바 | 랴잔 공작 야로슬라프 | 1199년 결혼 |
로스티슬라프 2세 | ||
블라디미르 4세 |
2. 4. 최후
세볼로트 4세는 류리크의 이전 수도원 서약이 그의 권위를 무효화한다고 여겨 1206년, 1207년, 1211년에 키예프를 공격하여 잠시 점령했다. 세볼로트는 류리크를 사로잡는 데 성공했고, 류리크는 체르니히우의 감옥에서 사망했다.참조
[1]
서적
Хронология русского летописания
http://www.gumer.inf[...]
М. 1963
[2]
문서
Рюрик-Василий Ростиславич
"https://ru.wikisour[...]
1896 - 1918
[3]
문서
Святослав Всеволодович
"https://ru.wikisour[...]
[4]
서적
От взятия Киева войсками Боголюбского до смерти Мстислава Торопецкого(1169-1228)
http://militera.lib.[...]
История Росси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5]
웹사이트
Всеволод Святославич по прозванию Чермный
http://dic.academic.[...]
[6]
웹사이트
ВСЕВОЛОД СВЯТОСЛАВИЧ
http://dic.academic.[...]
[7]
문서
Анна (имя жен и дочерей русских князей и государей)
"https://ru.wikisour[...]
СПб., 1907—1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