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두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두정치는 최고 권력자의 수와 권력 배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정치 체제이다. 이는 과두제의 일종으로, 군주제나 민주주의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2명의 최고 권력자가 동등한 권한을 갖거나, 한쪽이 우월한 권력을 행사하는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로마 공화국의 집정관, 스파르타의 두 왕, 산마리노의 두 집정관, 프랑스의 대통령과 총리 등이 이두정치의 역사적, 제도적 사례로 제시된다. 또한, 종교 지도자와 군 지도자가 권력을 분담하거나, 퇴위한 군주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 그리고 창작물 속에서도 이두정치 형태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두제 - 과두제의 철칙
    과두제의 철칙은 로베르트 미헬스가 제시한 사회학 이론으로, 조직이 민주주의를 표방하더라도 규모가 커지면 소수의 지도자에 의해 지배되는 과두제 현상이 나타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과두제 - 가나상가
    가나상가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부족을 의미하며 고대 인도의 부족 공화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라자와 의회, 총회를 통해 국정을 운영했고 불교 교단의 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 명수 2 - 두 개의 중국
    국공 내전 이후 중국 공산당이 중국 대륙에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 국민당이 타이완에 정부를 세우면서 중국이 분단되어 각자 정통성을 주장하고 국제 사회의 승인 경쟁과 타이완 독립 운동의 부상 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동아시아 외교 및 안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명수 2 - 이원론
    이원론은 상호 독립적인 두 개의 근본 원리가 대립, 투쟁, 승리를 특징으로 가지는 철학적 관점이며, 종교와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 정치 제도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정치 제도 - 정치 체제
    정치 체제는 사회적 가치의 배분 과정과 그에 관여하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포괄하며, 데이비드 이스턴의 정치 시스템 이론은 입력, 출력, 피드백의 순환 과정을 통해 설명되고, 비중앙집권적, 중앙집권적 체제로 분류되며, 서구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민주주의, 권위주의, 전체주의, 군주제 및 혼합 체제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는 특정 사회 계급의 "독재"로 이해된다.
이두정치
개요
정의두 명의 개인이 지도자로 통치하는 정부 형태
어원그리스어 `di-` (둘) + `-αρχία` (지배)
관련 용어공동 통치, 이원 권력
특징
설명"두 명의 통치자" 또는 "공동 통치"를 의미하는 단어
형태다양한 형태로 존재 가능
역사적 사례
로마로마 공화정 말기의 삼두 정치 (엄밀히 말하면 3인 정치)
원수정 초기의 황제와 공동 통치자
스파르타고대 스파르타의 두 명의 왕
기타고대 카르타고의 수페테스
잉카 제국의 사파 잉카 (전통적으로 두 명이 통치)
현대적 사용
기업공동 최고 경영자 체제
정부권력을 공유하는 두 명의 지도자 체제
관련 개념
코레겐시 (Coregency)군주국에서 일시적인 공동 통치
듀얼 파워 (Dual Power)좌파 정치 이론
참고
오해'duovirate'는 잘못된 형태임.
푸틴-메드베데프 체제'tandemocracy'라는 용어는 러시아어 "tandemokratiya" (탄데모크라티야)에서 유래한 번역차용어 (특히 푸틴 - 메드베데프 이두 정치 체제를 지칭)

2. 이두정치의 유형

이두정치는 삼두정치와 함께 과두제의 한 형태로, 최고 권력자의 수에 따라 구분되며 군주제뿐만 아니라 민주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두정치는 최고 권력자 간의 권력 배분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1]


  • 2명의 최고 권력자가 동등한 권한을 갖는 체제
  • 한 명의 최고 권력자가 더 우월한 권한을 갖는 체제
  • 최고 권력자 간에 최종 결정권을 갖는 직무 범위가 다른 체제
  • 의례적인 최고 권력자와 실무적인 최고 권력자가 존재하는 체제


권한과 직무 범위가 완전히 동등한 최고 권력자가 2명 존재하는 체제는 로마 등 몇몇 사례가 있다.[1] 그러나 이러한 이두정치는 두 최고 권력자 사이에 의견 대립이 발생할 경우 해결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랑스처럼 대통령이 총리를 임명할 수 있거나, 이란처럼 최고 지도자대통령보다 높은 권력을 갖는 등, 어느 한쪽이 더 높은 권력을 갖도록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1]

입헌군주제 하의 군주와 총리, 의례 대통령제 하의 대통령과 총리처럼, 의례적인 최고 권력자인 군주나 대통령(원수)과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인 총리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전후 일본은 천황이 국사 행위 등 의례적인 면에서 국가를 대표하지만, 실제 국정 운영은 총리가 담당하는 이두정치 형태를 취하고 있다.[1] 이탈리아 또한 대통령이 상징적 최고 지배자이지만, 실제 정치는 총리가 이끄는 이두정치 체제이다.[1]

2. 1. 권력 배분 방식에 따른 유형

이두정치는 최고 권력자의 수에 따라 구분되는 과두제의 한 형태로, 군주제뿐만 아니라 민주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최고 권력자 간의 권력 배분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

  • 2명의 최고 권력자가 동등한 권한을 갖는 체제
  • 한 명의 최고 권력자가 더 우월한 권한을 갖는 체제
  • 최고 권력자 간에 최종 결정권을 갖는 직무 범위가 다른 체제
  • 의례적인 최고 권력자와 실무적인 최고 권력자가 존재하는 체제


권한과 직무 범위가 완전히 동등한 최고 권력자가 2명 존재하는 체제는 로마 등 몇몇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두정치는 두 최고 권력자 사이에 의견 대립이 발생할 경우 해결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랑스처럼 대통령이 총리를 임명할 수 있거나, 이란처럼 최고 지도자대통령보다 높은 권력을 갖는 등, 어느 한쪽이 더 높은 권력을 갖도록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입헌군주제 하의 군주와 총리, 의례 대통령제 하의 대통령과 총리처럼, 의례적인 최고 권력자인 군주나 대통령과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인 총리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는 상징적 최고 지배자인 대통령이 있지만, 실제 정치는 총리가 이끈다.

일본 무로마치 시대 초기 아시카가 타카우지·아시카가 타다요시 형제처럼 최고 권력자의 담당 범위를 나누어 충돌을 피하는 사례도 있었으나, 결국 충돌을 피하지 못하고 내란으로 이어졌다.

2. 2. 완전 동등형 이두정치의 문제점

완전 동등형 이두정치는 두 최고 권력자 사이에 의견 대립이 발생할 경우, 의사 결정이 마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1]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이두정치 체제에서는 권력의 우위를 설정하거나, 직무를 분담하는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1]

예를 들어 프랑스대통령이 총리를 임명할 수 있도록 하여 대통령에게 더 높은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며,[1] 이란최고 지도자대통령보다 높은 권력을 가지도록 규정하고 있다.[1]

일본무로마치 시대 초기 아시카가 타카우지·아시카가 타다요시 형제처럼 최고 권력자의 담당 범위를 나누어 충돌을 피하려는 사례도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결국 내란으로 이어졌다.[1]

3. 제도상의 이두정치

역사적으로나 현대적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이두정치를 채택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로마 공화국집정관이나 스파르타의 두 왕과 같이 역사적인 사례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스파르타의 경우에는 정치적 실권은 에포로스가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엄밀하게 이두정치라고 보기는 어렵다.[16]

2010년 기준으로, 산마리노는 두 명의 섭정관(Capitani Reggenti|카피타니 레젠티it)이 공동 국가원수로 봉사하는 이두집정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15] 프랑스대통령총리가 동등한 권력을 부여받는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어 이두정치와 유사한 체제로 볼 수 있다. 안도라는 제도상 국가원수가 2명 (프랑스 대통령과 스페인의 우르헬 주교)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총리가 정치를 주도하기 때문에 이두정치로 보기 어렵다.[10][11]

부탄은 드룩 걀포("국왕")와 제 켄포가 이끄는 불교 종교 당국 간의 권력 분담을 명시하고 있지만,[12][13] 실제로는 종교 지도자들이 국왕의 고문 역할을 수행하며, 의회와 총리의 권한이 더 크다. 북아일랜드는 제1차 장관과 부제1차 장관이 공동으로 정부를 이끌지만, 이들은 국가 원수는 아니다.[14]

3. 1. 역사적 사례

로마 공화국집정관은 대표적인 이두정치의 예시이다. 집정관은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서로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1년의 임기 동안 통치했다.[16]

스파르타에는 두 왕조(아기스 가문과 에우리폰 가문) 출신의 두 명의 왕이 있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5명의 에포로스에게 있었다. 에포로스는 스파르타 정규 시민 중에서 스파르타 민회의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으며, 임기는 1년이었다. 따라서 스파르타는 엄밀한 의미의 이두정치는 아니었다.

카르틀리에서는 여러 왕들의 시대에 이두정치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다. 예를 들어 바르톰 2세와 카르탐, 파르스만 1세와 카오스, 아조르크와 아르마젤, 아마자스프 1세와 데로크, 파르스만 2세와 미르다트 1세 시대에 이두정치가 존재했다.[16] 370년부터 378년까지는 사우로마케스 2세와 미르다트 3세가 공동 통치했다.

헝가리인은 종교적 권위를 가진 켄데와 군사적 권위를 가진 귈러(gyulahu)가 다스리는 이두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켄데 쿠르산이 살해된 후, 귈러였던 아르파드가 켄데의 역할을 찬탈하면서 헝가리 군주국이 수립되었다.

고르 왕조에서는 기야스 웃딘 무함마드와 고르의 무함마드 사이에 이두정치가 확립되어 1173년부터 1203년까지 지속되었다.[17][18] 기야스 웃딘이 사망하면서 무함마드가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파레아주(Paréage) 조약을 통해 두 주권자가 동등한 지위를 인정하는 경우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1278년 조약으로 세워진 안도라가 있다.

티베트에서는 1642년부터 1751년까지 달라이 라마와 데시 사이에 권력이 분할되는 이두정치가 이루어졌다.

잉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아일랜드 왕국윌리엄 3세메리 2세의 공동 통치 기간 동안 사실상의 이두정치를 경험했다.

캐나다 주는 1841년부터 1867년까지 영어권과 프랑스어권 출신의 두 총리가 공동으로 통치하는 체제를 유지했다.

인도에서는 1919년 인도 통치법에 따라 총독과 장관들이 권력을 분담하는 '이두정치'가 수립되었다.

볼리비아에서는 1964년 쿠데타 이후 르네 바리엔토스와 알프레도 오반도 칸디아가 공동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이스라엘에서는 2019~2021년 정치 위기 이후 두 총리 제도가 확립되었으나, 2022년에 폐지되었다.

3. 2. 현대의 이두정치

산마리노는 두 명의 섭정관(Capitani Reggenti|카피타니 레젠티it)이 6개월마다 대평의회에서 선출되어 공동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대립하는 정당에서 선출된다.[15]

안도라는 제도상 국가원수가 2명(프랑스 대통령과 스페인 우르헬 주교) 존재하는 미니 국가(공동원수)이지만, 두 원수는 거의 안도라를 방문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총리에 의해 정치가 행해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두정치가 아니다.[10][11]

부탄은 2008년 헌법에서 드룩 걀포("국왕")와 제 켄포가 이끄는 불교 종교 당국 간에 권력을 분담하는 전통적인 이중 정부에 대한 헌신을 확인한다.[12][13] 하지만 실제로는 종교 지도자들이 공동 통치자라기보다는 국왕의 고문 역할을 더 많이 수행하며, 의회와 총리보다 중요성이 떨어진다.

북아일랜드에서는 1998년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제1장관과 부제1장관이 공동으로 북아일랜드 행정부를 이끈다.[14] 두 직위는 동일한 행정 권한을 행사하지만, 국가 원수는 아니다.

에스와티니는 국왕(응웬야마)이 전통적인 통치자로서 어머니인 여왕 모후(은들로부카티)와 함께 통치하는 이두 정치 체제이다. 그러나 헌법상 국왕이 유일한 국가 원수이다.

4. 비제도적 이두정치

제도상의 이두정치는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권력자가 2명 있는 상태를 "이두정치" 또는 "이중 권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속칭에 가까우며, 구체적으로 무엇을 "이두정치"라고 부르는지는 입장에 따라 다양하다.

4. 1. 영향력 있는 외부인의 개입

군주는 때때로 고문, 가족, 연인 또는 친구가 정부에 너무 깊이 관여한 것으로 보일 때 권력 남용에 대한 비난을 받는다. 중국 역사 속의 여불위와 프랑스의 프랑수아 르클레르 뒤 트렘블레는 자국의 정책을 상당 부분 통제한 에미낭스 그리즈의 유명한 사례이다. 영국 역사에서 조지 6세의 통치는 그의 어머니 메리 여왕과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 여왕의 영향력으로 인해 "바지 속의 분할된 모권제"로 조롱받았다.[20]

4. 2. 비공식적 권력 공유

유교 사상으로 인해 중국과 일본의 황제는 때때로 '퇴위'했지만 국가 정책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수카르노와 그의 부통령 모하마드 하타가 이두정치(Dwitunggalid)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수카르노는 정부 정책을 수립하고 지지를 결집했으며, 하타는 일상적인 행정을 관리했다. 더 최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그의 후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에게 미치는 큰 영향력이 이두정치[21] 또는 탠덤크라시(메드베데프-푸틴 탠덤크라시 참조)[21]로 여겨졌으나, 푸틴이 대통령직을 다시 맡으면서 그가 더 큰 인물로 자리 잡았다.[21]

근대 이전의 군주 정치에서는 군주가 영향력을 남기고 퇴위했을 경우 전 군주 (태상천황, 태상황, 태상왕, 오고쇼)와 현 군주 (천황, 황제, 국왕, 정e이대장군)의 이두정치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전 군주가 정치의 실권을 쥐고 있을 경우 "원정"이라고 불린다.

1603년(게이초 8년)에 슨푸로 옮겨간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다음 대 장군 히데타다가 선대(이에야스)의 뜻을 받들어 집정하고 있어, 사실상의 이두정치였다고 여겨진다.[22]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전반에 걸친 일본 정부에서, 총리 대신(자유민주당 총재)과 공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강한 영향력을 유지한 다나카 가쿠에이다케시타 노보루 등. "원정"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

4. 3. 종교 지도자의 영향력

2008년 부탄 헌법은 부탄이 전통적인 이중 정부에 대한 헌신을 확인하며, 드룩 걀포("국왕")와 제 켄포가 이끄는 불교 종교 당국 간에 권력을 분담한다고 밝혔다.[12][13] 하지만 실제로는 종교 지도자들이 공동 통치자라기보다는 국왕의 고문 역할을 더 많이 수행한다.

1642년부터 1751년까지, 티베트의 정치 권력은 5대 달라이 라마, 6대 달라이 라마, 7대 달라이 라마와 데시로 알려진 다양한 세속 통치자들 사이에서 공유되었다. 데시의 권력이 커지면서 7대 달라이 라마는 이 자리를 폐지하고 카샤그로 알려진 위원회로 대체하여 왕국에 대한 자신의 권위를 강화했다. 비슷한 시스템이 부탄에서도 생겨났지만, 부탄에서는 왕축 가문의 종사 펜롭이 1907년에 드룩 데시와 드룩 걀포가 되었고, 권력을 통합하여 현재 부탄의 왕으로 통치하고 있다.

티베트부탄처럼 종교 지도자와 군 지도자 간의 실제적인 정치 권력 분담 외에도, 가톨릭교회의 교황과 같은 종교 지도자가 독실한 국가에 행사하는 막대한 소프트 파워는 때때로 이두정치 또는 공동 통치의 형태로 묘사될 수 있다.

4. 4. 일본의 사례

1603년(게이초 8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슨푸로 거처를 옮겼으나, 이후 히데타다가 쇼군직을 계승한 뒤에도 이에야스의 뜻에 따라 정치를 행하여 사실상의 이두정치가 이루어졌다.[22] 미타니 히로시에도 시대의 막번 체제를 "쌍두·연방 국가"였다고 평가한다.[22]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전반까지 일본에서는 총리 대신(자유민주당 총재)과, 공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강력한 영향력을 유지했던 다나카 가쿠에이, 다케시타 노보루 등의 관계를 '원정'으로 부르며 이두정치와 유사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

5. 현대 사회와 이두정치

현대 관료제에서 권력을 나누는 방식은 "이두정치" 또는 "두 명제"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호주 국방 조직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사령관과 오스트레일리아 국방부 차관이 공동으로 권한을 갖는다.[21]

선거로 뽑는 정치에서도 정부, 연립 정부, 정당 등에서 때때로 두 명의 거의 동등한 지도자가 나타날 수 있다.


  • 1972년 12월 5일부터 12월 19일까지 임시로 구성된 제1차 휘트램 내각은 고프 휘트램과 랜스 바나드로 구성되었으며, "이두정치"라는 별명을 얻었다.
  • 뉴질랜드 녹색당의 공동 지도자인 마라마 데이비슨과 제임스 쇼.

6. 창작물 속의 이두정치

이두정치는 다양한 소설, 영화, 만화 등에서 흥미로운 정치 체제로 묘사되기도 한다.

6. 1. 예시


  • 길버트 앤 설리번의 작품 ''곤돌리에''에서, 가상의 나라 바라타리아는 한동안 두 명의 왕, 즉 곤돌리에들이 공동으로 통치한다.
  • J. R. R. 톨킨의 작품 속 움바르는 2인 통치 체제로 통치되었다. 초창기 곤도르 또한 엘렌딜의 두 아들인 두 명의 왕이 공동으로 통치했다. 엘렌딜은 곤도르의 자매 왕국 아르노르의 왕이었으며, 두 왕국 모두의 대왕 역할을 했다.
  • 영화 ''아바타''의 중심에 있는 나비 부족인 오마티카야는 전통적으로 결혼한 두 명의 부족장이 이끈다. 남편 중 한 명은 정치 및 군사 문제를 감독하고, 다른 한 명인 아내는 정신적, 의례적 업무를 담당한다.
  • 조 할데만의 ''Worlds'' 3부작에서 궤도 식민지 뉴 뉴욕은 선출된 정책 조정관과 엔지니어링 조정관이 공동으로 통치한다.
  • 해리 터틀도브의 ''A Different Flesh''에 등장하는 아메리카 연방은 로마 공화국을 모델로 하며, 두 명의 최고 행정관이 감찰관(그러나 이 직책은 집정관의 직위와 더 유사하다)으로 불리며 통치된다. 서로의 행동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여, 정치적으로 반대되는 두 명의 감찰관을 선출하는 것은 행정 권력에 대한 견제를 의도한 것이다. 감찰관은 5년 임기를 단임으로 수행하며 (연방 주지사와 함께) 퇴임 후 종신 상원 의원이 된다.
  • ''애비뉴 5''에서는 미국 대통령의 직책이 인간과 인공 지능(가상 비서를 연상시킨다)으로 구성된 2인 통치 체제가 되었다고 암시한다.
  • ''마이 리틀 포니: 우정은 마법''에서 시리즈 대부분이 진행되는 이퀘스트리아는 2인 통치 체제로 묘사된다. 언니인 셀레스티아 공주가 시리즈 첫 번째 시즌에서 혼자 통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나중에는 여동생 루나 공주가 공동 통치자로 합류한다.
  • ''코라의 전설''의 마지막에는 북부 물의 부족이 타이틀 캐릭터의 사촌인 데스나와 에스카 쌍둥이가 통치하는 2인 통치 체제가 된다.

참조

[1] 간행물 OED
[2] 간행물 OED
[3] 문서 Encyclopaedia Britannica article on the colonial British institution
[4]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https://global.brita[...]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DUARCHY http://merriam-webst[...]
[6] 간행물 OED
[7] 간행물 OED
[8] 간행물 OED
[9] 서적 Le Grand Inca Pachacútec Inca Yupanqui Tallandier
[1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Principality of Andorra http://www.andorrama[...]
[11] 웹사이트 Why is the President of France Co-Prince of Andorra? https://royalcentral[...] Royal Central 2019-10-07
[1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Bhutan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Bhutan 2008-07-18
[13] 서적 Nepal and Bhutan: Country Studies https://archive.org/[...] Federal Research Division,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14] 웹사이트 Northern Ireland Act 1998 http://www.legislati[...]
[15] 웹사이트 Captains Regent — Repubblica di San Marino, portale ufficiale http://www.sanmarino[...]
[16] 논문 Chronology of the Early Kings of Iberia
[17]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The Slave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 11Th-13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18] 서적 India in the Persianate Age: 1000-1765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9-07-25
[19] 학술지 The Régime of Filaret 1619-1633 https://www.jstor.or[...]
[20] 웹사이트 The Telegraph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Open Democracy
[22] 서적 序論日本史から普遍を求めて 東京大学出版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