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세볼로트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세볼로트 3세는 키예프 대공국의 유리 돌고루키의 아들로, 1173년 잠시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으나 곧 물러났다. 1176년 블라디미르 대공이 된 후 블라디미르 대공국을 발전시켰으며, 볼가 불가르를 약탈하고, 노브고로드에 꼭두각시 군주를 앉히는 등 강력한 통치를 펼쳤다. 그는 자신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들에게는 가혹했으며, 수도 블라디미르 건설에 집중했다. 1212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아들들 간의 상속 분쟁이 발생했다. 그는 "큰 둥지"라는 별칭으로 불릴 만큼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이고르 원정기에서 칭송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54년 출생 - 미나모토노 요시나카
미나모토노 요시나카는 헤이안 시대 말기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한 가와치 겐지의 무장으로, 아사히 쇼군이라 불렸으나 고시라카와 법황,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의 대립 끝에 전사했다. - 1154년 출생 - 경대승
경대승은 1154년에 태어나 1183년에 사망한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정중부 일파를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도방을 설치했으나, 무신들의 반발과 잦은 숙청으로 정권 기반이 불안정했다. - 1212년 사망 - 임유
임유는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른 문신으로, 16년간 제고를 맡아 문장과 저술로 이름을 알렸으며 조충, 이규보 등 인재를 발탁했고 사후 희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양숙이다. - 1212년 사망 - 프세볼로트 4세
프세볼로트 4세 스뱌토슬라비치는 12세기 말 올고비치 가문에서 태어나 폴란드 공작의 딸과 결혼하여 폴란드의 지원을 얻고자 키예프 대공위를 놓고 경쟁했으며, 두 차례 키예프를 점령했으나 류리크 로스티슬라비치에게 빼앗기는 등 키예프 대공위를 둘러싼 권력 투쟁 속에서 생애를 보냈다. - 블라디미르 대공 - 이반 1세
이반 1세는 모스크바 공작으로 즉위하여 블라디미르 대공의 지위를 얻어 모스크바 대공국을 러시아의 중심지로 만들고, 킵차크 칸국과의 외교, 재정적 수단, 트베리 공국과의 갈등 승리, 러시아 정교회 중심지 이전 등을 통해 모스크바 대공국의 성장과 러시아 국가 형성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 블라디미르 대공 - 유리 2세
유리 2세는 프세볼로트 3세의 아들로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이었으며, 공작위 분쟁과 몽골의 침공 등 혼란스러운 시대를 통치하다 시트 강 전투에서 전사했다.
프세볼로트 3세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154년 10월 19일 |
출생지 | 드미트로프 |
사망일 | 1212년 4월 15일 (57세) |
사망지 | 블라디미르 |
칭호 | 키예프 대공 (1171년 ~ 1173년), 블라디미르 대공 |
왕가 | 유리예비치 가문 |
아버지 | 유리 돌고루키 |
어머니 | 엘레나 |
배우자 | 마리야 슈바르노브나, 류보프 바실코브나 |
자녀 | 콘스탄틴 로스토프, 유리 2세 , 야로슬라프 2세, 스뱌토슬라프 3세, 프세슬라바, 베르프슬라바, 기타 |
이름 | |
러시아어 | Все́волод III Ю́рьевич Большо́е Гнездо́ |
로마자 표기 | Vsevolod III Yur'yevich Bol'shoye Gnezdó |
통치 | |
키예프 대공 재위 | 1171년 – 1173년 |
블라디미르 대공 재위 | 1176년 - 1212년 |
2. 생애
유리 돌고루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1173년 스몰렌스크 공국의 공작에 의해 키예프 대공으로 잠시 즉위했다. 1176년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미할코 유리예비치 대공이 사망하면서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하여 블라디미르 대공국을 크게 발전시켰다. 슬하에 최소 14명의 자녀를 두었다.
1182년경부터 볼가 불가르에 시선을 돌리기 시작하여, 1186년에는 고로데츠에서 원정군을 보냈다.
1212년, 키예프를 포함한 전 루스의 대다수 제후들로부터 "아버지"로 존경받던 프세볼로트가 사망했다. 그는 연장자 권에 대립했던 장남 콘스탄틴이 아닌 차남 유리에게 대공위를 양도했다.
2. 1. 초기 생애
유리 돌고루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173년 스몰렌스크 공국의 공작에 의해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 1176년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미할코 유리예비치 대공이 사망하면서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 블라디미르 대공국을 크게 발전시켰다. 슬하에 최소 14명의 자녀를 두었다.드미트로프는 유리 돌고루키(1099년경 – 1157년)가 그의 출생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도시였다. 니콜라이 카람진(1766 – 1826)은 그의 어머니 헬레네를 그리스 공주로 추정했는데, 이는 그녀가 남편 사후 그를 데리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갔기 때문이다.
젊은 시절 콤네노스 왕조의 궁정에서 보냈으며, 1170년 비잔틴 제국에서 루스로 돌아온 그는 트빌리시를 방문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조지아 국왕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온 조카를 접대하고 그의 친척인 오세티야 공주와 결혼시켰다는 기록이 현지 연대기에 남아 있다.
1169년, 블라디미르 대공이었던 형 안드레이 1세의 명령에 따라 조카 므스티슬라프(ru)와 함께 키예프를 함락시켰다. 1173년, 키예프에서 사촌인 다비드, 므스티슬라프에게 체포되었다.
1174년 안드레이 1세가 죽은 후, 블라디미르 대공국에서는 그와 그의 형 미하일의 삼촌 대 므스티슬라프·야로폴크의 조카 사이에 내분이 발생했다. 이 다툼은 블라디미르시의 지지를 받은 삼촌 진영이 로스토프시 및 수즈달시의 지지를 받은 조카 진영에 승리하는 결과로 끝났다. 이로 인해 미하일이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었고, 그는 페레야슬라블 공작이 되었다. 1176년, 미하일이 죽은 후 므스티슬라프를 다시 물리치고, 블라디미르 시민들에 의해 공작으로 추대되었다.
2. 2. 키예프 대공 즉위 (1173년)
유리 돌고루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1173년 키예프에서 스몰렌스크 공국의 공작에 의해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2. 3. 블라디미르 대공 즉위와 통치 (1176년 ~ 1212년)
1176년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미할코 유리예비치 대공이 사망하면서 프세볼로트 3세는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했다. 즉위 이후 블라디미르 대공국을 크게 발전시켰으며, 슬하에 최소 14명의 자녀를 두어 "큰 둥지"라는 별명을 얻었다. 통치 후반기에는 키예프 문제보다 자신의 수도인 블라디미르 건설에 집중했다. 1212년, 전 루스의 대다수 제후들로부터 "아버지"로 존경받으며 키예프를 포함한 전토에 막대한 힘을 떨쳤던 프세볼로트가 사망하면서, 연장자 권에 대립했던 장남 콘스탄틴이 아닌 차남 유리에게 대공위를 양도했다.2. 3. 1. 대외 관계
1173년 두 명의 스몰렌스크 공작이 키예프를 점령하고 프세볼로트를 체포하여 잠시 왕위에 앉혔다. 1년 후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난 프세볼로트는 강력한 보야르 세력에 맞서 싸우는 형 미할코를 지원했다. 미할코가 1176년에 사망하자 프세볼로트는 그를 이어 블라디미르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즉시 보야르들을 굴복시키고 볼가 불가리아를 비롯한 볼가 강 유역 민족들을 체계적으로 약탈했다. 그는 노브고로드의 왕좌에 꼭두각시 군주를 앉히고, 자신의 딸들을 체르니히우와 키예프의 공작들과 결혼시켰다.
프세볼로트는 그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들에게는 관용을 베풀지 않았다. 1180년과 1187년에는 랴잔의 공작들을 그들의 영토에서 몰아냄으로써 처벌했다. 1207년에는 랴잔과 벨고로드를 불태웠다. 그의 군사적 명성은 빠르게 퍼져나갔다. 프세볼로트 통치 기간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이고르 원정기는 그를 다음과 같이 칭송한다. "위대한 공작 프세볼로트여! 멀리서 이곳으로 날아와 키예프의 아버지의 황금 왕좌를 지킬 생각을 하지 않으십니까? 당신은 노를 저어 볼가를 물방울로 흩뜨리고, 헬멧으로 돈 강을 퍼서 말릴 수 있습니다."
1182년경부터 볼가 불가르에 시선을 돌리기 시작하여, 1186년에는 불가르에 고로데츠에서 원정군을 보냈다.
2. 3. 2. 내치
1173년 두 명의 스몰렌스크 공작이 키예프를 점령하고 프세볼로트를 체포하여 잠시 왕위에 앉혔다. 1년 후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난 프세볼로트는 강력한 보야르 세력에 맞서 싸우는 형 미할코를 지원했다. 미할코가 1176년에 사망하자 프세볼로트는 그를 이어 블라디미르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즉시 보야르들을 굴복시키고 볼가 불가리아를 비롯한 볼가 강 유역 민족들을 체계적으로 약탈했다. 그는 노브고로드의 왕좌에 꼭두각시 군주를 앉히고, 자신의 딸들을 체르니히우와 키예프의 공작들과 결혼시켰다.프세볼로트는 그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들에게는 관용을 베풀지 않았다. 1180년과 1187년에는 랴잔의 공작들을 그들의 영토에서 몰아냄으로써 처벌했다. 1207년에는 랴잔과 벨고로드를 불태웠다. 그의 군사적 명성은 빠르게 퍼져나갔다.
그는 자신의 수도인 블라디미르를 건설하는 데 집중했다. 그의 오세트 출신 아내인 마리아 슈바르노브나는 경건한 일에 헌신하고 여러 수도원을 세웠으며,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칭송받았다. 그녀와의 사이에서 프세볼로트는 14명이나 되는 자녀를 두었고, 이로 인해 "큰 둥지"라는 별칭을 얻었다.
1169년, 블라디미르 대공이었던 형 안드레이 1세의 명령에 따라 조카인 므스티슬라프와 함께 키예프를 함락시켰다. 1173년, 키예프에서 사촌인 다비드, 므스티슬라프에게 체포되었다.
1174년 안드레이 1세가 죽은 후, 블라디미르 대공국에서는 프세볼로트와 그의 형 미하일의 삼촌 대 므스티슬라프·야로폴크의 조카 사이에 내분이 발생했다. 이 다툼은 블라디미르시의 지지를 받은 삼촌 진영이 로스토프시 및 수즈달시의 지지를 받은 조카 진영에 승리하는 결과로 끝났다. 이로 인해 미하일이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었고, 프세볼로트는 페레야슬라블 공작이 되었다. 1176년, 미하일이 죽은 후 므스티슬라프를 다시 물리치고, 블라디미르 시민들에 의해 공작으로 추대되었다.
1182년경부터 볼가 불가르에 시선을 돌리기 시작하여, 1186년에는 불가르에 고로데츠에서 원정군을 보냈다.
2. 4. 사망과 후계
프세볼로트는 1212년 4월 12일에 사망했으며, 블라디미르 성모 승천 대성당에 묻혔다.[1] 그는 사망하기 전 자신의 영토를 아들들에게 분배했는데, 차남인 유리 2세가 가장 많은 부분을 받았다.[1] 그의 뒤를 이어 콘스탄틴, 유리 2세, 야로슬라프 2세, 스뱌토슬라프 3세가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었다.프세볼로트 사후, 그의 아들들 사이에서는 상속 분쟁으로 인한 블라디미르-수즈달 계승 전쟁 (1212년~1216년)이 발발하여 각자 더 많은 유산을 차지하려 했다.[1] 키예프를 포함한 전 루스의 대다수 제후들로부터 "아버지"로 존경받았던 프세볼로트는 연장자 권에 대립했던 장남 콘스탄틴이 아닌 차남 유리에게 대공 자리를 양도했다.
3. 가족 관계
프세볼로트 3세는 키예프 대공국의 유리 돌고루키 대공의 아들이었다. 슬하에 최소 14명의 자녀를 두었다.
프세볼로트는 처음에 출신이 논란이 있는 마리아와 결혼했다. 그녀는 오세티아인, 알란인, 모라바인으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마리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스비아토슬라바(펠라기야) 프세볼로도브나 | 1178년 10월 26일 | ||
브세슬라바 프세볼로도브나 | 스노프스크의 공작 로스티슬라프 야로슬라비치와 결혼 | ||
베르호슬라바 프세볼로도브나 | 키예프의 로스티슬라프 2세와 결혼 | ||
로스토프의 콘스탄틴 | 1186년 5월 18일 | 1218년 2월 2일 | |
보리스 브세볼로도비치 | 1187년경 | 1238년 | |
글레브 브세볼로도비치 | 1189년 9월 29일 | ||
블라디미르의 유리 2세 | 1189년 | 1238년 3월 4일 | |
블라디미르의 야로슬라프 2세 | 1191년 2월 8일 | 1246년 9월 30일 | |
옐레나 브세볼로도브나 | 1204년 | ||
유리예프폴스키의 공작 블라디미르 브세볼로도비치 | 1192년 10월 25일 | 1227년 1월 6일 | |
블라디미르의 스뱌토슬라프 3세 | 1196년 3월 27일 | 1252년 2월 3일 | |
스타로두브온더클랴지마의 공작 이오안 브세볼로도비치 | 1197년 11월 28일 | 1247년 이후 | |
안나 브세볼로도브나 | 벨고로드 키옙스키의 공작 블라디미르와 결혼 (1239년 사망) |
마리아는 1205년 또는 1206년에 사망했다. 프세볼로트는 1209년에 비테프스크의 공작 바실코 브랴체슬라비치의 딸인 류보프 바실코브나와 결혼했으나, 둘 사이에 알려진 자녀는 없었다.
4. 평가
프세볼로트 3세는 군사적 명성이 높았던 것으로 평가된다. 이고르 원정기에는 그의 군사적 능력을 칭송하는 구절이 있다.
4. 1. 이고르 원정기
프세볼로트의 군사적 명성은 빠르게 퍼져나갔다. 프세볼로트 통치 기간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이고르 원정기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위대한 공작 프세볼로트여! 멀리서 이곳으로 날아와 키예프의 아버지의 황금 왕좌를 지킬 생각을 하지 않으십니까? 당신은 노를 저어 볼가를 물방울로 흩뜨리고, 헬멧으로 돈 강을 퍼서 말릴 수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