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만 로스티슬라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만 로스티슬라비치는 로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1160년부터 1172년, 1177년부터 1180년까지 스몰렌스크 공국의 공작을, 1178년부터 1179년까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공작을 역임했다. 그는 미할코 유리예비치, 프세볼로트 3세 등과 키예프 대공 자리를 두고 경쟁했으며, 1171년부터 1173년, 1175년부터 1177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지냈다. 노브고로드-세베르스키 공작 스뱌토슬라프 올고비치의 딸과 결혼하여 야로폴크, 므스티슬라프를 자녀로 두었으며, 딸은 폴로츠크 공작 브세슬라프 바실코비치와 결혼했다. 로만 로스티슬라비치의 통치 시기는 키예프 루스의 분열과 쇠퇴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므스티슬라프 3세
므스티슬라프 3세 로마노비치는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1212년 ~ 1223년)으로, 키예프 대공이 되기 전 여러 공작을 역임하며 정치적 경험을 쌓았으나, 1223년 칼카 강 전투에서 몽골 제국 군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처형당했다.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블라디미르 4세
블라디미르 4세는 13세기 초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으로, 1223년 므스티슬라프 3세 사후 대공이 되어 갈리치 공국 분쟁에 관여하다 1239년 몽골 제국 침공 때 사망했다. - 1180년 사망 - 마누일 1세 콤니노스
마누일 1세 콤니노스는 12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즉위 초 권력 다툼을 겪었으나 제위를 굳건히 하고, 십자군, 이탈리아 원정, 셀주크 투르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외교 관계를 맺으며 제국의 번영과 취약성을 동시에 드러냈다. - 1180년 사망 - 루이 7세
루이 7세는 1137년부터 1180년까지 프랑스를 다스린 카페 왕조의 국왕으로, 아키텐 여공작 엘레오노르와의 결혼과 이혼, 그리고 앙주 제국의 위협에 직면했다. - 키예프 대공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키예프 대공 - 야로폴크 2세
야로폴크 2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132년부터 113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으나, 모노마흐 가문 내부 갈등과 스뱌토슬라프 가문의 도전, 그리고 폴로츠크 공국의 부흥으로 인해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며 키예프 대공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로만 로스티슬라비치 | |
---|---|
기본 정보 | |
군주호 | 키예프 대공 |
이름 | 로만 1세 |
다른 이름 | 로만 로스티슬라비치 |
![]() | |
출생일 | 1132년/1135년 |
사망일 | 1180년 |
왕조 | 류리크 왕조 |
아버지 | 로스티슬라프 1세 |
배우자 | 노브고로드-세베르스키 공 스뱌토슬라프의 딸 |
자녀 | 야로폴크 므스티슬라프 3세 딸 (폴로츠크 공 프세볼로트의 아내) |
통치 기간 | |
재위 기간 | 1171년 - 1173년, 1175년 - 1177년 |
2. 생애
로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1160년부터 1172년까지, 그리고 1177년부터 1180년까지 스몰렌스크 공국 공작을 역임했다. 1178년부터 1179년까지 노브고로드 공화국 공작을 역임했다.
Роман Ростиславич|로만 로스티슬라비치ru의 아내는 노브고로드-세베르스키 공작 스뱌토슬라프 올고비치의 딸이다. 1159년에 결혼했다. 자녀는 다음과 같다.
로만 로스티슬라비치는 미하일 1세(1171년 ~ 1173년)와 야로슬라프 2세(1175년 ~ 1177년)의 뒤를 이어 두 차례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1171년부터 1173년까지, 그리고 1175년부터 1177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키예프 대공 자리를 두고 미할코 유리예비치, 프세볼로트 3세,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 스뱌토슬라프 3세 (키예프 대공) 등과 경쟁했다.
3. 가족 관계
이름 비고 야로폴크 므스티슬라프 딸 폴로츠크 공작 브세슬라프와 결혼
4. 키예프 대공위 계승
4. 1. 첫 번째 키예프 대공 재위 (1171년 ~ 1173년)
미할코 유리예비치의 뒤를 이어 1171년부터 1173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이후 프세볼로트 3세에게 대공 자리를 넘겨주었다.
4. 2. 두 번째 키예프 대공 재위 (1175년 ~ 1177년)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의 뒤를 이어 키예프 대공이 되었다. 1175년부터 1177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으며, 이후 스뱌토슬라프 3세에게 대공 자리를 넘겨주었다.
5. 평가
로만 로스티슬라비치는 로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잦은 권력 다툼 속에서 키예프 대공 자리를 차지하려 했으나, 키예프 루스의 정치적 안정을 이루지 못했다. 그의 통치 기간(1171년~1173년, 1175년~1177년)은 키예프 루스의 분열과 쇠퇴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는 스몰렌스크 공국 공작(1160년~1172년, 1177년~1180년), 노브고로드 공화국 공작(1178년~1179년)을 역임하기도 했다. 현대 우크라이나 사학계에서는 몽골 침입 이전 키예프 루스가 여러 공국으로 분열되어 혼란스러웠다는 점을 강조하며, 로만 로스티슬라비치의 통치 시기도 이러한 맥락에서 다루어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