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가-루가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가-루가지선은 리가에서 발가를 거쳐 상트페테르부르크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의 일부로, 1886년에 착공하여 1889년에 완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에 의해 표준궤로 개궤되었으나, 라트비아의 독립 이후 광궤로 복귀되었다.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국경 분할로 인해 노선 관리가 나뉘었으며, 2차 세계대전 중에는 독일군의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0년대에는 일부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전철화 계획은 취소되었다. 2001년에는 발가-리가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2008년에 다시 에스토니아 발가까지 운행을 재개했다. 이 노선은 리가, 발테제르스, 가르칼네, 인추칼른스, 시굴다, 리가트네, 아마타, 체시스, 프리에쿨리, 루이예나, 베베리나, 스트렌치, 발카 등의 도시를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철도 노선 - 글루다-렌제선
글루다-렌제선은 1873년 옐가바에서 리투아니아의 마제이캬이까지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소련 시기 광궤로 개궤되어 리가-마제이캬이 등 노선에 기여했으나, 라트비아 재독립 이후 렌제까지 운행 구간이 단축되고 2010년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다. - 라트비아의 철도 노선 -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
리가에서 벤츠필스까지 이어지는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은 1876년 리가-투쿰스 구간 개통 후 1912년 벤츠필스까지 연장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피해 복구 후 1950년대 유르말라 지역 관광 개발로 승객이 증가하여 라트비아 최초로 전철화가 이루어진 철도 노선이다. - 188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산선
도산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총 연장 198.7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가가와현 다도쓰역에서 고치현 구보카와역까지 이어지며 일부 구간만 전철화되었고 험준한 산지를 횡단하는 긴 터널들이 존재하며 1889년 개통 이후 확장과 개량을 거쳐 195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188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부 사노선
도부 사노선은 군마현 관린시와 도치기현 사노시를 잇는 도부 철도 노선으로, 석회석 및 목재 운송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철도로 전환 후 도부 철도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단선 철로에서 특급열차와 보통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리가-루가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리가-루가지 선 |
원어명 | lv |
노선 종류 | 철도 노선 |
노선 개요 | |
기점 | 리가 중앙역 |
종점 | 루가지 역 |
역 수 | 26개 |
개통 | 1889년 |
운영 기관 | 라트비아 철도 |
노선 길이 | 166km |
기술 정보 | |
선로 구성 | 리가-크리에부페: 복선 반가지-시굴다: 복선 체시스-얀무이자: 복선 그 외: 단선 |
전철화 | 직류 3000V (리가-유글라 구간) |
노선도 | |
![]() |
2. 역사
리가-루가지선은 1889년 리가와 러시아 제국의 주요 도시를 잇는 철도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독립,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궤간 변경, 국경 설정, 군사적 이용 등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소련 시기에는 복선화와 전철화가 일부 진행되었으나, 전철화 계획은 소련 붕괴 후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다. 1997년 열차 사고로 전철 운행 구간이 축소되기도 했으며, 2000년대 들어 라트비아 국내선으로 운행되다가 다시 에스토니아 발카까지 국제선 운행이 재개되었다.[5]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세기 말 ~ 제1차 세계 대전)
이 노선은 리가-발카-프스코프-상트페테르부르크를 잇는 더 큰 철도망의 일부로 계획되어 건설되었다. 공사는 1886년에 시작되었으며, 1889년 7월 22일에 완공되어 개통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8년, 당시 이 지역을 점령했던 독일군은 군사적 목적을 위해 리가에서 이에리치(Ieriķi)까지의 구간을 표준궤로 변경하였다. 하지만 전쟁이 종결된 후 1919년 라트비아가 독립하면서 주권을 회복하였고, 이 구간의 궤간은 다시 원래의 1524mm 광궤로 되돌려졌다.
2. 2.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독립 이후 (1920년대 ~ 제2차 세계 대전)
1920년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가 독립하면서 발카에 국경선이 설정되어 철도 노선의 관리권이 나뉘었다. 당시 라트비아 국경에서 가장 가까운 역은 국경선에서 14km 떨어져 있었다.라트비아 영토 내에서 차량 회차를 원활하게 하고 새로운 국경 통과 지점을 건설하기 위해서,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는 국경에서 서로 만나는 지선을 개별적으로 건설하였다. (리가-루이에나-패르누 선) 이 지선을 통할 경우 국경을 넘기까지 거리가 2km 더 길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 측의 동부 전선 북부 집단군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2. 3. 소련 시대 (1940년대 ~ 199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 측의 동부 전선 북부 집단군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1980년 리가-시굴다 간(크리에부페-반가지 제외) 노선이 복선화되었고, 체시스-얀무이자 간에도 복선이 설치되었다. 소련 시기에는 리가-시굴다 간 전철화 계획이 진행되었으나 소련 붕괴 이후 경제 위기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1984년 마지막으로 건설된 전철 노선은 리가-가르칼네 역까지이며, 소련 붕괴 이전까지는 ER2 전동차가 운행하였다.
2. 4. 독립 회복 이후 (1991년 ~ 현재)
소련 시기에 진행되었던 리가-시굴다 간 전철화 계획은 소련 붕괴 이후 겪게 된 경제 위기로 인해 취소되었다. 1984년에 마지막으로 건설된 전철 노선은 리가-가르칼네 역까지였으며, 소련 붕괴 이전까지는 ER2 전동차가 이 구간을 운행했다.1997년에는 유글라-발테제르스 역 사이에서 화물 열차 간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전차선 지지주 일부가 붕괴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의 여파로 전철화 운행 구간은 유글라 역까지로 단축되었다.
2001년부터 발가-리가 노선은 라트비아 국내에서만 운행하게 되면서 루가지 역을 종점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2008년 4월 25일부터는 다시 에스토니아의 발카까지 운행이 재개되었다.[5]
3. 역 목록
역 이름 | 리가 기점 거리 (km) |
---|---|
리가 | 0km |
제미타니 | 4km |
치에쿠르칼른스 | 6km |
슈메를리스 | - |
유글라 | 10km |
바틀레제르 (구) | 17km |
가르칼네 | 23km |
크리에루페 | 29km |
방가지 | 34km |
인추칼른스 | 40km |
에글루페 | 43km |
실치엠스 (구) | 47km |
시굴다 | 53km |
리가트네 | 64km |
예리에키 | 74km |
멜투리 | 78km |
아라이시 | 84km |
체시스 | 93km |
야니무이자 | 98km |
로데 | 105km |
발레 (구) | 114km |
발미에라 | 123km |
브렌굴리 (구) | 131km |
스트렌치 | 143km |
세다 (구) | 146km |
사울레 (구) | 157km |
루가지 | 166km |
라트비아-에스토니아 국경 | 168km |
3. 1. 리가 시
역 이름 | 거리 (km) |
---|---|
리가 | 0 |
제미타니 | 4 |
치에쿠르칼른스 | 6 |
슈메를리스 | - |
유글라 | 10 |
3. 2. 가르칼네 시
wikitext역 이름 |
---|
바틀레제르 (구) |
가르칼네 |
크리에루페 |
3. 3. 인추칼른스 시
wikitext역 이름 | 리가 중앙역 기준 거리 |
---|---|
방가지 | 34km |
인추칼른스 | 40km |
3. 4. 시굴다 시
wikitext역 | 위치 |
---|---|
에글루페 | 시굴다 시 |
실치엠스 (구) | 시굴다 시 |
시굴다 | 시굴다 시 |
3. 5. 리가트네 시
리가-루가지선의 역인 리가트네는 리가에서 64km 지점에 위치하며, 행정 구역상 리가트네 시에 속한다.3. 6. 아마타 시
역 | 위치 |
---|---|
예리에키 | 아마타 시 |
멜투리 | |
아라이시 |
3. 7. 체시스 시
역 | 위치 (리가 기점 거리) | 행정 구역 |
---|---|---|
체시스 | 93km | 체시스 시 |
3. 8. 프리에쿨리 시
야니무이자 역은 프리에쿨리 시에 위치하며, 리가 중앙역에서 98km 지점에 있다.3. 9. 루이예나 시
리가-루가지선 상의 역 중 루이예나 시에 위치한 역은 다음과 같다.- 로데 역
3. 10. 베베리나 시
베베리나 시에는 리가-루가지선의 다음 역들이 위치한다.역 이름 | 리가 기점 거리 |
---|---|
발레 (구) | 114km |
브렌굴리 (구) | 131km |
두 역 모두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구(舊) 역이다.
3. 11. 스트렌치 시
리가-루가지선 철도 노선이 통과하는 스트렌치 시에는 다음 역들이 포함된다.- 스트렌치 역: 리가 기점 143km 지점에 위치한다.
- 세다 역: 리가 기점 146km 지점에 위치하며, 현재는 폐역 상태이다.
3. 12. 발카 시
리가-루가지선 상에 있으며 라트비아의 발카 시에 위치한 역은 다음과 같다.
3. 13. 에스토니아
리가-루가지선은 라트비아 국경을 넘어 에스토니아 영토까지 이어진다. 에스토니아 내에서는 국경 도시인 발가 역에 정차하며, 이 역은 라트비아의 발카 시와 인접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Publiskās lietošanas dzelzceļa infrastruktūras pārskats 2011
http://www.ldz.lv/te[...]
Latvian Railways
2010-06-05
[2]
웹사이트
Latvijas dzelzceļu līnijas
http://www.railwaymu[...]
Latvian Railway History Museum
2010-10-09
[3]
웹인용
Publiskās lietošanas dzelzceļa infrastruktūras pārskats 2012; VAS Latvijas dzelzceļš
http://ldz.lv/texts_[...]
2012-11-17
[4]
웹인용
Latvijas dzelzceļa vēstures muzejs
http://www.railwaymu[...]
2010-10-10
[5]
웹인용
"Līnijai Rīga-Valka 120 gadi" Latvijas Dzelzceļš
http://www.ldz.lv/?o[...]
2012-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