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놉테라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놉테라속은 대서양과 인도-태평양의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가오리류의 한 속이다. 짧고 뭉툭한 머리와 단단한 치판을 가지고 있으며, 이매패류와 같은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무척추동물을 부숴 먹는다. 가슴지느러미를 퍼덕여 헤엄치며, 꼬리에는 독가시가 있다. 현재 8종의 현존하는 종이 있으며, 과거에는 매가오리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여겨졌으나, 분류 개정을 통해 독자적인 분류군으로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한 콘라트 판 하설트가 명명한 분류군 - 날도마뱀붙이속
날도마뱀붙이속은 도마뱀붙이과에 속하며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는 여러 종의 날도마뱀붙이를 포함하고, 호르스필드, 중간, 쿨의 날도마뱀붙이 등이 대표적이다. - 요한 콘라트 판 하설트가 명명한 분류군 - 시아미스 알지이터
시아미즈 알지이터는 수족관 내 조류 제거에 효과적인 물고기로, 검은색 가로 줄무늬가 있는 가늘고 긴 몸을 가지며 붉은 이끼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고, 적절한 수질 환경에서 다른 물고기들과 함께 기를 수 있다. - 매가오리목 - 매가오리아목
매가오리아목은 전기 가오리로부터 분화되어 백악기에 다양한 과로 나뉘었으며, 배쪽 입, 경설골형 턱 지지 방식, 변형된 판비늘 이빨, 분수공 호흡 등의 특징을 갖고, 식용, 공예 재료, 수족관 전시 등으로 사용된다. - 매가오리목 - 목탁가오리
몸이 평평하고 부채 모양인 목탁가오리는 서태평양 해역 얕은 바다에 살며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를 먹는 야행성 가오리 종류이지만, 혼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된다.
리놉테라속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hinoptera |
명명자 | van Hasselt, 1824 |
속 | 우시바나토비에이속 |
과 | 우시바나토비에이과 (Rhinopteridae) |
과 명명자 | D. S. Jordan & Evermann, 1896 |
속 모식종 | Myliobatis marginata |
모식종 명명자 | Geoffroy St. Hilaire, 1817 |
분포 | 타네티아절부터 홀로세까지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아문 | 척추동물아문 (Vertebrata) |
강 | 연골어강 (Chondrichthyes) |
아강 | 판새아강 (Elasmobranchii) |
목 | 토비에이목 (Myliobatiformes) |
일반 정보 | |
영명 | cownose rays |
2. 상세
대서양과 인도-태평양의 아열대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먼 거리를 이동하는 원양 어류 집단이다. 서식지를 옮길 때에는 여러 마리의 개체가 함께 모여 집단 이동을 하는데, 일반 소코가오리(''Rhinoptera bonasus'')의 경우 수 만 마리 이상이 모이기도 한다.[7][8]
2014년 이전까지 리놉테라과는 조셉 넬슨(Joseph S. Nelson)에 의해 매가오리과의 하위 분류군인 '''리놉테라아과'''(Rhinopterinae)로 취급되었다.[11] 그러나 2014년 이후, 윌리엄 화이트(William T. White)의 분류 개정으로 리놉테라아과는 매가오리과에서 분리되어 독자적인 분류군이 되었다.[12] 현재까지 알려진 속 분류군은 리놉테라속이 유일하다.
머리는 짧고 뭉툭하게 생겼으며, 치판이 매우 단단하다. 이 치판으로 이매패류처럼 단단한 껍데기를 지닌 무척추동물을 부숴 먹을 수 있다.[9] 가슴지느러미는 삼각형 모양이며 이것을 퍼덕이면서 헤엄을 칠 수 있다. 기다란 꼬리에는 독가시가 있으며, 리놉테라류의 독은 생명에 지장을 주는 수준은 아니지만 꿀벌의 독침처럼 상대방에 짧은 통증과 쇠약함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10] 모든 종이 난태생으로 번식을 한다.[6]
열대 및 온대 해역의 대륙붕에 서식하며, 조개 등을 빨아들여 먹고, 튼튼한 턱과 일곱 줄로 배열된 이빨로 씹어 부순다. 몸은 마름모꼴이며, 꼬리는 실 모양으로 가늘다. 꼬리 부분에는 등지느러미에 가늘고 뾰족한 독침이 하나 있다. 주둥이는 울퉁불퉁하게 움푹 들어간다.[4]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3. 분류
리놉테라속에는 2023년 현재 8종이 속해 있으며[5], 모든 종은 형태가 매우 유사하여 구별하기 어렵다.
3. 1. 종 목록
리놉테라속에는 현생종 외에도 화석 기록으로만 알려진 멸종된 종들이 있다.
학명 | 명명자 및 연도 |
---|---|
†리놉테라 프리스카 | 우드워드, 1907 |
†리놉테라 라실리스 | 뵘, 1926 |
†리놉테라 라에버니 | 화이트, 1934 |
†리놉테라 슐츠 | 히든, 1995 |
†리놉테라 셔본니 | 화이트, 1926 |
†리놉테라 스미티 | 조던 & 빌, 1913 |
†리놉테라 스투데리 | 아가시, 1843 |
†리놉테라 우드워디 | 아가시, 1843 |
3. 1. 1. 현생종
현재 리놉테라속에는 8종의 현생종이 속해 있다.[2] 모든 종은 형태가 매우 유사하여 구별하기 어렵다.[5]그림 | 학명 | 우리말 이름 | 분포 |
---|---|---|---|
리놉테라 아드스페르사 (J. P. 뮐러 & 헨레, 1841) | 거친소코가오리 | 인도-서태평양, 인도, 말레이시아, 동인도 부근 | |
![]() | 리놉테라 보나수스 (미칠, 1815) | 소코가오리 | 서대서양과 카리브해, 뉴잉글랜드에서 남부 브라질까지 |
![]() | 리놉테라 브라질리엔시스 J. P. 뮐러, 1836 | 브라질소코가오리 | 브라질 남단에서 플로리다 서부까지 |
![]() | 리놉테라 자바니카 J. P. 뮐러 & 헨레, 1841 | 납작코가오리 |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일본, 마다가스카르, 말레이시아, 모잠비크, 파키스탄, 필리핀, 세이셸,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스리랑카, 대만, 탄자니아, 태국, 베트남 및 호주 부근의 인도-태평양 |
![]() | 리놉테라 자야카리 불렌저, 1895 | 오만소코가오리 | 남아프리카에서 필리핀까지; 북쪽으로는 류큐 열도, 남쪽으로는 동부 인도네시아까지 |
![]() | 리놉테라 마르지나타 (É. 제프루아 생틸레르, 1817) | 루시타니아소코가오리 | |
![]() | 리놉테라 넥렉타 J. D. 오길비, 1912 | 오스트레일리아소코가오리 | 호주 퀸즐랜드에서 뉴사우스웨일스까지의 서태평양 |
![]() | 리놉테라 스테인다크네리 에버만 & O. P. 젠킨스, 1891 | 황금소코가오리 또는 태평양소코가오리 |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 파나마, 페루 해안을 따라 동태평양 |
3. 1. 2. 멸종된 종
- †리놉테라 프리스카 우드워드, 1907
- †리놉테라 라실리스 뵘, 1926
- †리놉테라 라에버니 화이트, 1934
- †리놉테라 슐츠 히든, 1995
- †리놉테라 셔본니 화이트, 1926
- †리놉테라 스미티 조던 & 빌, 1913
- †리놉테라 스투데리 아가시, 1843
- †리놉테라 우드워디 아가시, 1843
4. 생태
대서양과 인도-태평양의 아열대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먼 거리를 이동하는 원양 어류 집단이다. 서식지를 옮길 때에는 여러 마리의 개체가 함께 모여 집단 이동을 하는데, 일반 소코가오리(''Rhinoptera bonasus'')의 경우 수 만 마리 이상이 모이기도 한다.[7][8]
머리는 짧고 뭉툭하게 생겼으며, 치판이 매우 단단하다. 이 치판으로 이매패류처럼 단단한 껍데기를 지닌 무척추동물을 부숴 먹을 수 있다.[9] 가슴지느러미는 삼각형 모양이며 이것을 퍼덕이면서 헤엄을 칠 수 있다. 기다란 꼬리에는 독가시가 있으며, 리놉테라류의 독은 생명에 지장을 주는 수준은 아니지만 꿀벌의 독침처럼 상대방에 짧은 통증과 쇠약함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10] 모든 종이 난태생으로 번식을 한다.[6]
열대 및 온대 해역의 대륙붕에 서식하며, 조개 등을 빨아들여 먹고, 튼튼한 턱과 일곱 줄로 배열된 이빨로 씹어 부순다. 몸은 마름모꼴이며, 꼬리는 실 모양으로 가늘다. 꼬리 부분에는 등지느러미에 가늘고 뾰족한 독침이 하나 있다. 주둥이는 울퉁불퉁하게 움푹 들어간다[4].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5. 인간과의 관계
참조
[1]
논문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Chondrichthyes entry)
http://strata.ummp.l[...]
2002
[2]
FishBase
[3]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Rhinoptera Cuvier, 1829
https://www.marinesp[...]
2023-07-01
[4]
서적
Tropical marine fishes: of teh Caribbean, the Gulf of Mexiko, florida, the Bahamas, and Bermuda
Alfred A. Knopf
1997
[5]
웹사이트
Fish Identification
https://fishbase.mnh[...]
2023-07-01
[6]
웹인용
Species of Rhinoptera
http://www.fishbase.[...]
2017-08-13
[7]
저널
MASS MIGRATORY CONGREGATIONS AND MOVEMENTS OF SEVERAL SPECIES OF COWNOSE RAYS, GENUS ''Rhinoptera'': A WORLD-WIDE REVIEW
North Carolina Academy of Sciences, Inc.
1990
[8]
웹인용
Biological profiles: ''Rhinoptera bonasus''
https://www.floridam[...]
2017-08-13
[9]
웹인용
Cownose Ray
http://oceana.org/ma[...]
2017-08-13
[10]
웹인용
Can a Cownose Ray Hurt Me?
http://infinitespide[...]
2016-06-07
[11]
서적
Fishes of the World (네 번째 개정판)
2006
[12]
저널
A revised generic arrangement for the eagle ray family Myliobatidae, with definitions for the valid genera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