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더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더성은 1916년 허난성에서 태어나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홍군에 입대하여 소대장, 사단장을 거쳐 1955년 소장으로 진급했으며, 한국 전쟁에 제35사단장으로 참전했다. 문화 대혁명 기간에는 안후이성 혁명위원회 주석과 당위원회 제1서기를 역임했으며,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 베이징 군구 사령원, 선양 군구 사령원을 거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정치국 상무위원 등을 지냈다. 1985년 중앙 군사위원회 확대회의에서 해임되었으며, 1990년 퇴직 후 2011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훙쉐즈
    훙쉐즈는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 초기부터 홍군,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이후 중국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왕자루이
    왕자루이는 지린성 창춘시 우체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등을 역임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1916년 출생 - 송지영
    송지영은 남경중앙대학 출신으로 조선일보 논설위원을 거쳐 한국번역가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등을 역임하며 언론 및 문화계에서 활동했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국토통일원 고문,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11대 국회의원, 한국방송공사 이사장 등을 지냈다.
  • 1916년 출생 - 김철주 (군인)
    김철주는 김형직과 강반석의 아들이자 김일성의 동생으로, 일제강점기 항일유격대에서 항일운동을 하다 1935년 전사한 항일운동가이다.
리더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리더성
리더성
이름리더성
원어 이름李德生
출생과 사망
출생일1916년 5월 4일
출생지허난성광산현
사망일2011년 5월 8일
사망 장소베이징
경력
직책중국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
임기 시작1969년
임기 종료1975년
전임자샤오화 (장군)
후임자장춘차오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리더성은 1916년 허난성에서 태어나 1930년 홍군에 입대했고, 193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통신소대장, 부대장, 대장, 사단장을 거쳐 야전군에서 빠르게 승진하여 1955년 소장 계급을 받았다.[13]

1957년 난징고등군사학원에 입학했고, 1968년 9월 난징 군구 부사령원과 안후이성 당위원회 제1서기를 겸임했다. 1969년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 1971년 베이징 군구 사령원, 1973년 선양 군구 사령원을 역임했다.

1985년 11월, 국방대학정치위원이 되었으며, 1988년 중장을 거치지 않고 상장 계급을 받았다. 1990년 퇴직 후 휴양 생활을 했다.

2011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저서로는 《리더성 회고록》이 있다.

2. 1. 초기 생애

1916년 허난성에서 태어났다.[13] 1930년 홍군에 들어갔으며,[13] 193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13]

2. 2. 홍군 및 초기 군 경력

1930년 중국공농홍군에 입대했으며, 193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13] 통신소대장, 부대장, 대장 등을 역임했다.

2. 3. 중일 전쟁 및 국공 내전

리더성은 중일 전쟁국공 내전에 참전했다. 1937년 소대장, 1938년 중대장, 1939년부터 1943년까지 대대장,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연대장으로 빠르게 승진했는데, 모두 제129사단의 류보청덩샤오핑의 지휘를 받았다.[2]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제17여단장으로 화이하이 전역에 참여했고, 중원 야전군에서 복무했다.[4]

2. 4. 한국 전쟁 참전

1951년부터 1953년까지 한국 전쟁에 인민해방군 제35사단장으로 참전했다.[4] 이 참전은 그의 군 경력에서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이후 소장(2성 장군)으로 진급하는 계기가 되었다.

2. 5. 한국 전쟁 이후

리더성은 한국 전쟁 이후 난징 군구 부사령관, 장쑤성 주둔 제12집단군 사령관을 역임했다.[2] 1968년에는 난징 군구 부사령관으로 승진했다.[4]

3. 문화 대혁명과 정치 활동

1968년 중국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중국 인민해방군이 홍위병을 진압하고 정부 기관을 재건하려 하자, 리더성은 안후이성 혁명위원회 주석직을 맡았으며, 이 직책을 7년 넘게 공식적으로 수행했다.[5] 같은 해 10월, 그는 류사오치가 당에서 공식적으로 제명된 중국 공산당 제8기 중앙위원회 제12차 전체회의에 참여했다.

1969년 제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후보위원,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5] 1970년 중국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으로 임명되었고,[7] 1971년 베이징 군구 사령관으로 임명되어[8] 린뱌오의 쿠데타 시도와 사망 사건 당시 베이징 방어를 책임졌다. 린뱌오 사건 이후, 그의 정치적 영향력은 더욱 강화되었다.[6]

1973년 8월 30일, 제10기 제1차 회의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임되었다.[14] 1973년 선양 군구 사령관으로 전임되었다. 1975년 1월 마오쩌둥에게 부주석 사임을 신청했고, 같은 해 1월 제10기 당 중앙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사임이 승인되었다.[15]

1977년 8월 19일, 제11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회의와 1982년 9월 12일, 제12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재선출되었다.[16] 그러나 1983년의 제12기 2중 전회에서 사인방 인맥의 철저한 배제가 결정되자, 1985년 5월의 중앙 군사위원회 확대회의에서 해임되었다.[18] 같은 해, 차기 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의 불재임을 요청, 9월 16일의 12기 4중 전회에서 승인되었다.[19]

3. 1. 문화 대혁명 초기

1968년 4월, 중국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중국 인민해방군이 홍위병을 진압하고 정부 기관을 재건하려 하자, 리더성은 안후이성 혁명위원회 주석직을 맡았으며, 이 직책을 7년 넘게 공식적으로 수행했다.[5] 같은 해 10월, 그는 류사오치가 당에서 공식적으로 제명된 중국 공산당 제8기 중앙위원회 제12차 전체회의에 참여했다.

3. 2. 린뱌오 사건과 권력 투쟁

1969년 제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후보위원,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5] 1970년 중국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으로 임명되었고,[7] 1971년 베이징 군구 사령관으로 임명되어[8] 린뱌오의 쿠데타 시도와 사망 사건 당시 베이징 방어를 책임졌다. 린뱌오 사건 이후, 그의 정치적 영향력은 더욱 강화되었다.[6]

3. 3. 당 최고위직 역임

1973년 8월 30일, 제10기 제1차 회의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임되었다.[14] 1973년 선양 군구 사령관으로 전임되었다. 1975년 1월 마오쩌둥에게 부주석 사임을 신청했고, 같은 해 1월 제10기 당 중앙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사임이 승인되었다.[15]

4. 문화 대혁명 이후

1977년 8월 19일, 제11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복귀했다.[16] 1982년 9월 12일, 제12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다시 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7] 1985년 중국 인민해방군 국방대학 정치위원이 되었으며,[20] 1988년에는 중장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상장(대장) 계급을 받았다.[20] 1990년 ‘이직휴양’(離職休養, 離休 리슈)했다.[20]

4. 1. 덩샤오핑 시대의 활동

사인방과의 권력 투쟁에서 덩샤오핑을 지지했다.[18] 1987년 11월 2일, 제13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당 중앙고문위원회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21] 1990년에 퇴직하여 휴양했다.

5. 사망

李德生|리더성중국어은 2011년 5월 8일 베이징에서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바바오산 혁명공묘에서 화장되었다.[22]

6. 저서

1916년 허난성에서 태어나 2011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중국공농홍군과 중국 공산당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한 리더성은 회고록을 남겼다. 그의 저서는 『리더성 회고록(李德生回憶錄)』이다.[22]

참조

[1] 웹사이트 The Museum of Revolutionary Base http://en.hnta.cn/Ht[...]
[2] 서적 Who's Who in China: Current Leaders Foreign Language Press
[3] 뉴스 Li Desheng Died http://video.sina.co[...] 2011-05-08
[4] 서적 Who's Who
[5] 간행물 Press Communique of the First Plenary Session of the Ninth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1969-04-28
[6] 뉴스 人物风流:李德生将军担任中共中央副主席前后 http://news.china.co[...]
[7] 서적 The Chinese High Command: A History of Military Politics, 1927-71 Praeger
[8] 간행물 Struggle to Smash the Lin-Ch'en Anti-Party Clique's Counterrevolutionary Coup CCP Central Committee 1972-01
[9] 간행물 Press Communique of the First Plenary Session of the Tenth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1973-08-30
[10] 뉴스 人物风流:李德生将军担任中共中央副主席前后 http://news.china.co[...]
[11] 웹사이트 http://rand.org/pubs[...]
[12] 서적 International Who's Who
[13]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九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14]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15]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次全国代表大会簡介 http://cpc.people.co[...]
[16]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一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新聞公報 http://cpc.people.co[...]
[17] 웹사이트 第十二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第一号) http://cpc.people.co[...]
[18] 논문 中国人民解放軍の再編 : 1978年~84年 https://soka.repo.ni[...] 創価大学社会学会 1994-06
[19] 웹사이트 関于同意一部分老同志不再担任中央三个委員会成員的請求 http://cpc.people.co[...]
[20] 서적 一段落した若返り人事 : 1985年の中国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21] 웹사이트 第十三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22] 뉴스 李徳生同志遺体在京火化 http://www.npc.gov.c[...] 2011-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