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군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조직을 가졌던 중국 공산당의 군대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중국 공산당은 1927년 장제스의 국민당에 대항하여 무장 투쟁을 시작했고, 홍군은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결성된 군대로서 중국 공산당의 각 군 또는 군단의 별칭으로 사용되었다. 홍군은 남창 봉기 이후 철군, 중국공농혁명군, 홍군 제1방면군, 팔로군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중국 국민당과의 국공 내전과 중일 전쟁, 인민해방군으로의 개편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초기에 국민당군으로부터 노획한 무기를 사용했으며,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며 대중을 동원하는 데 주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 정치지도원
정치지도원은 공산주의 국가 군대에서 정치 교육, 사상 통제, 지휘관 감시를 수행하여 군의 정치적 안정과 사상적 통일을 목표로 하지만, 비효율성 문제로 폐지되거나 기능이 축소되기도 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 8대 원로
8대 원로는 문화대혁명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중국공산당 원로 정치인들을 지칭하며, 중앙고문위원회를 통해 당의 주요 정책 결정에 관여하여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천안문 사건 강경 진압 결정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 중소 분쟁
중소 분쟁은 1858년과 1860년 조약에서 비롯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 지정학, 경제적 갈등으로, 소련의 탈스탈린화, 중국의 대약진 운동 실패, 타이완 해협 위기, 인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소련의 중립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이념적 차이와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은 국경 분쟁과 외교적 단절, 제3세계 대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중미 관계 개선 후 완화되었으나 소련 붕괴까지 이념적 대립이 지속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은 1931년 중국 공산당이 장시성에 수립한 국가로,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다가 국공 합작으로 중화민국에 흡수되었으며, 중국 공산당은 이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의 토대로 평가한다.
홍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기간 | 1928년–1937년 |
해산 | 1937년 |
국가 | 중국 |
소속 | 중국 공산당 |
군종 | 중앙군사위원회 |
유형 | 육군 |
역할 | 지상전 |
본부 | 징강산 (1928-1929) 루이진, 장시 소비에트 (1929-1934) 옌안, 옌안 소비에트 (1935-1937) |
전투 | 중국 내전 |
주요 지휘관 | 마오쩌둥 펑더화이 주더 |
명칭 | |
한자 (번체) | 中國工農紅軍 |
한자 (간체) | 中国工农红军 |
병음 | Zhōngguó Gōngnóng Hóngjūn |
로마자 표기 (국어) | Jongguk Gongnong Honggun |
로마자 표기 (통용) | Jhongguó Gong-nóng Hóng-jyun |
웨이드-자일스 | Chung¹-kuo² Kung¹-nung² Hung²-chün¹ |
예일 | Jūnggwok Gūngnùhng Hùhnggwān |
광동어 | zung1 gwok3 gung1 nung4 hung4 gwan1 |
주음부호 | ㄓㄨㄥ ㄍㄨㄛˊ ㄍㄨㄥ ㄋㄨㄥˊ ㄏㄨㄥˊ ㄐㄩㄣ |
백화자 | Tiong-kok Kong-lâng Âng-kun |
객가어 | Tiong-kok Kûng-nùng Fùng-kiûn |
다른 명칭 (한자 번체) | 中國人民紅軍 |
다른 명칭 (한자 간체) | 中国人民红军 |
다른 명칭 (병음) | Zhōngguó Rénmín Hóngjūn |
다른 명칭 (로마자 표기 국어) | Jonggwo Renmin Hongjiun |
다른 명칭 (로마자 표기 통용) | Jhongguó Rén-mín Hóng-jyun |
다른 명칭 (웨이드-자일스) | Chung¹-kuo² Jen²-min² Hung²-chün¹ |
다른 명칭 (예일) | Jūnggwok Yàhnmàhn Hùhnggwān |
다른 명칭 (광동어) | zung1 gwok3 jan4 man4 hung4 gwan1 |
다른 명칭 (주음부호) | ㄓㄨㄥ ㄍㄨㄛˊ ㄖㄣˊ ㄇㄧㄣˊ ㄏㄨㄥˊ ㄐㄩㄣ |
다른 명칭 (백화자) | Tiong-kok Ngìn-mìn Âng-kun |
다른 명칭 (객가어) | Tiong-kok Jîn-bîn Fùng-kiûn |
약칭 (한자 번체) | 紅軍 |
약칭 (한자 간체) | 红军 |
약칭 (병음) | Hóngjūn |
약칭 (로마자 표기 국어) | Hongjiun |
약칭 (로마자 표기 통용) | Hóng-jyun |
약칭 (웨이드-자일스) | Hung²-chün¹ |
약칭 (예일) | Hùhnggwān |
약칭 (광동어) | hung4 gwan1 |
약칭 (주음부호) | ㄏㄨㄥˊ ㄐㄩㄣ |
약칭 (백화자) | Âng-kun |
약칭 (객가어) | Fùng-kiûn |
관련 정보 | |
관련 명칭 (영어) | Chinese Workers' and Peasants' Red Army, Chinese Workers' and Peasants' Revolutionary Army |
관련 명칭 (영어) | Chinese Red Army, Red Army |
일본어 | 모택동선집 일본어판에서는 ‘홍군’(중국어: 红军)은 ‘적군’, ‘공농홍군’(중국어: 工农红军)은 ‘노농적군’이라는 번역어가 사용됨 |
교전 정보 | |
교전 | 중일 전쟁 국공 내전 |
이념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 사상 혁명적 사회주의 |
지도자 | 마오쩌둥 린뱌오 저우언라이 주더 |
본부 | 장시성 (1927년 ~ 1936년) 산시성 옌안시 (1936년 ~ 1947) |
활동 지역 | 중국 전역 |
병력 규모 | 약 30,000명 (1931년) 약 130,000명 (1933년) 약 86,000명 (1934년) 약 7,000명 (1935년) 약 98,000명 (1937년) 약 120만명 (1945년) |
상위 단체 | 중국 공산당 |
이후 단체 | 인민해방군 |
동맹 단체 | 붉은 군대 몽골 인민군 |
동맹 국가 | 알바니아 인민공화국 |
적대 단체 | 미군 중국 국민당 국민혁명군 일본 제국 육군 |
적대 국가 | 미국 |
2. 명칭 및 조직
홍군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을 가졌다. 비슷한 명칭이 동시대 또는 다른 시대, 동일 지역 또는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당시에는 지역명 등으로 구분하여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이데올로기로 결합된 군대였으며, 어떤 군대의 별칭도 모두 "홍군"이라고 불렀다.
다음은 시기별로 홍군의 주요 명칭을 나열한 것이다.
명칭 | 시기 | 내용 |
---|---|---|
철군(鐵軍) | 1927년 ~ 1928년 | 남창 봉기 이후, 1928년까지 공산당에 의해 불린, 징강산에 진입한 군대의 명칭. 지휘관 주더. |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中國工農革命軍第四軍) | 1928년 4월 ~ 1930년 | 철군이 마오쩌둥 지휘하의 징강산에서 합류한 후 개편된 명칭. |
중국공농홍군 제1방면군(中國工農紅軍第一方面軍) | 1930년 ~ |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을 개편. |
홍군 제1방면군(紅軍第一方面軍) | 1934년 ~ | 장정부터 운용 개시. |
섬감홍군(陝甘紅軍) | 옌안을 근거지로 한 북방 홍군. 후에 중앙홍군에 흡수. | |
홍군 제2방면군(紅軍第二方面軍) | 쓰촨성(중화민국)에서 활동했던 공산당 군대. | |
중앙홍군(中央紅軍) | 1935년 ~ | 홍군 제1방면군, 섬감홍군, 홍군 제2방면군이 옌안에서 개편됨. |
홍군 제4군(紅軍第四軍) | 제1방면군과 섬감홍군에서 부대를 추출, 신장 방면으로. | |
중국국민혁명군 제8로군(中國國民革命軍第八路軍) | 1937년 ~ | 옌안을 중심으로 중앙홍군이 홍군 제4군을 흡수, 개편. 통칭 팔로군. |
국민혁명군 신편 제4군(國民革命軍新編第四軍) | 1937년 10월 ~ | 별명 육군 신편 제4군, 통칭 신사군. 강남 지역. |
2. 1. 명칭
홍군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비슷한 명칭이 동시대 또는 다른 시대에, 동일 지역 또는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당시에는 지역명 등으로 구분하여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데올로기로 결합된 군대이며, 어떤 군대의 별칭도 모두 "홍군"이다.2. 2. 조직
홍군은 일반적으로 3개 또는 2개의 보병사단으로 구성된 군 또는 군단을 기본 단위로 하였다. 각 사단은 3개의 보병연대와 1개의 박격포 중대로 구성되었다. 시기에 따라 사단의 병력 수는 달랐으며, 초기에는 1,000~2,000명, 1933~1936년에는 5,000~6,000명 수준이었다. 각급 부대에는 사령관, 정치위원, 참모장, 정치부 주임 등 4명의 지휘관이 있었으며, 정치위원이 가장 큰 권한을 가졌다.[1]3. 역사
1923년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제1차 국공합작을 결성하여 협력했다. 그러나 1925년 쑨원 사망 후 장제스가 중국 국민당 당수가 되면서 중국 공산당 탄압이 심해졌다. 1927년 4월 12일 장제스는 상하이에서 삼합회 조직폭력배들과 국민당군, 경찰들을 동원하여 중국 공산당을 학살했다. (상하이 쿠데타)
1927년 8월 1일, 중국 공산당은 난창 봉기를 통해 '''중국공농홍군'''을 창설했다.
1927년 9월 7일 - 추수 봉기
1927년 8월 1일 새벽 2시 난창 봉기가 일어났다. 잠시 난창을 점령하였지만, 8월 3일 이어진 포위 공격으로 주더는 이들을 이끌고 징강산으로 도망하여 마오쩌둥과 합류하였다. 마오쩌둥은 이들을 제4군으로 개편하고 추수 봉기를 일으켰다. 이들이 이후 이름을 바꾼 군대를 홍군이라고 하였다.
마오쩌둥은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수립하고 게릴라 전술을 활용하여 국민당 군대에 맞섰다.[2][7] 1928년 주더가 이끄는 부대가 징강산에서 마오쩌둥과 합류하여 홍군의 세력이 강화되었다.
홍군은 '삼대기율팔항주의'(三大紀律八項注意)라는 엄격한 규율을 통해 모범적인 군대로 인식되었고, 농지를 들를 때마다 지역 공동체의 농민들과 합세하여 지주를 처형하고, 토지개혁을 실시해주었다. 이러한 적극적인 민심도모를 통해 농민과 노동자에게 큰 지지를 받았다. 이 당시 마오쩌둥은 홍군을 지휘하면서 중국 사회에서 농민 중심의 혁명 전개가 얼마나 중요한 지 느끼게 되었고, 그 결과가 체계화 된 사상으로써 나온 것이 바로 마오쩌둥주의이다.[21]
홍군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비슷한 명칭이 동시대 또는 다른 시대에, 동일 지역 또는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당시에는 지역명 등으로 구분하여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데올로기로 결합된 군대이며, 어떤 군대의 별칭도 모두 “홍군”이다.
명칭 | 설명 | 시기 | 지휘관 |
---|---|---|---|
철군(鐵軍) | 1927년 난창 봉기 이후, 1928년까지 공산당에 의해 불린, 징강산에 진입한 군대의 명칭 | 1928년까지 | 주더 |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中國工農革命軍第四軍) | 철군이 마오쩌둥 지휘하의 징강산에서 합류한 후 개편되어 명명된 명칭 | 1928년 4월부터 1930년까지 | 마오쩌둥 |
중국공농홍군 제1방면군(中國工農紅軍第一方面軍) |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을 개편 | 1930년부터 |
1920년대 후반부터 중국 공산당은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키며 세력을 확장했다. 마오쩌둥과 주더는 징강산을 근거지로 삼아 게릴라 전술을 활용, 초기에는 자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점차 병력을 늘려갔다.[2][7]
1930년 여름, 중국 홍군은 10만 명이 넘는 병력으로 성장하여 장시성 남부와 북부, 후베이성 서부, 후난성 동부 등지에 근거지를 확보했다. 펑더화이 등이 이끄는 부대는 창사를 점령하기도 했다. 1930년 8월, 주더와 마오쩌둥을 지휘관으로 하는 '''중국공농홍군 제1방면군'''이 정식으로 편성되었다.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은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을 해체하기 위해 여러 차례 토벌 작전(토공전)을 펼쳤다.
명칭 | 시기 | 홍군 병력 및 지휘관 | 국민당군 병력 및 지휘관 | 결과 |
---|---|---|---|---|
1차 토공전 | 1930년 ~ 1931년 | 약 4만 명 마오쩌둥, 주더 | 약 15만 명 장제스 | 홍군 승리 |
2차 토공전 | 1931년 5월 31일 | 약 3만 명 마오쩌둥, 주더 | 약 20만 명 장제스 | 홍군 승리 |
4차 토공전 | 1932년 ~ 1933년 | 약 7만 명 저우언라이, 주더 | 약 55만 명 장제스 | 홍군 승리 |
홍군은 게릴라 전술과 민중의 지지를 바탕으로 1930년부터 1933년까지 국민당군의 1, 2, 4차 토공전을 모두 격퇴했다.[25] 그러나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진행된 5차 토공전에서는 국민당군의 우세한 병력과 새로운 전술에 밀려 패배했다.
1934년 10월, 국민당군의 5차 토공전 압박으로 장시 소비에트가 붕괴 직전에 놓이자, 공산당 지도부는 대장정을 시작했다.[29]
국민당군은 100만 명이 넘는 병력을 동원하여 강서 소비에트를 포위 공격했고, 독일 군사고문 한스 폰 젝트의 조언에 따라 지구전 전술을 채택했다. 반면, 당시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권력을 장악한 친소련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오토 브라운 군사고문의 조언에 따라 마오쩌둥의 게릴라 전술을 버리고 정규전을 채택했다. 결국 홍군은 큰 피해를 입고 1935년 1월 쭌이 회의를 통해 마오쩌둥 중심으로 다시 노선을 변경했다.
대장정 기간 동안 홍군은 국민당군의 추격, 험난한 자연환경, 식량 부족 등 극심한 어려움을 겪었다. 1935년 가을, 제1군은 8만 명 이상의 병력을 잃고 6,000명만이 산시 북부에 도착했다. 제4군은 쓰촨 북부에서 청두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4만 명 이상의 병력을 잃었다.
1936년 여름, 제2군단, 제6군단, 제32군이 제2홍군으로 편성되었고, 허룽이 사령관을 맡았다. 제2홍군과 제4홍군은 1936년 가을 섬서성 북부에 도착했다. 한편, 제4홍군 병력 약 2만 1천 명은 소비에트 연방으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 간서성을 공격했으나 마부팡 장군에게 패배하여 6천 명 이상이 포로로 잡혔다.
1936년 10월, 여러 갈래로 흩어져 진군하던 홍군 부대들이 옌안에서 합류하면서 대장정은 마무리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중국 공산당은 중국 국민당과 연합하여 항일 전쟁에 참여했다.[22] 마오쩌둥과 공산주의자들은 독자적인 군대의 필요성을 느껴 난창 봉기를 통해 '중국공농홍군'을 결성했는데, 중일전쟁 발발 이후 홍군은 국민혁명군에 편입되어 팔로군과 신사군으로 재편되었다.[22]
- 팔로군: 중앙홍군이 홍군 제4군을 흡수, 개편하여 만들어졌다. 1937년부터 옌안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 신사군: 강남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1937년 10월부터 '육군 신편 제4군'으로 불렸다.
홍군은 제2차 국공합작을 통해 국민당 군대와 연합하여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제1홍군은 국민당군 제115사단, 제2홍군은 제120사단, 제4홍군은 제129사단에 통합되었으며, 이 세 사단은 총 4만 5천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7] 중국 남부에서는 신사군 1만 명이 게릴라 부대로 활동했다. 중일전쟁 당시 홍군은 백만 명의 무장 병력을 보유했으며, 적진 후방에서 대규모 동원 캠페인을 통해 전쟁 중 급속도로 성장했다.[7]
1945년 중일전쟁이 끝난 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다시 내전에 돌입했다. 1947년, 홍군은 인민해방군으로 재편되어[7] 농민의 지원을 받는 게릴라 군대로 활동했다.[7]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당시, 인민해방군은 550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7]
3. 1. 초기 형성 (1927년 ~ 1930년)
1923년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제1차 국공합작을 결성하여 협력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1925년 쑨원 사망 후 장제스가 중국 국민당의 당수가 되면서, 중국 국민당의 중국 공산당 탄압은 매우 심해졌다. 1927년 4월 12일 장제스는 상하이에서 삼합회 조직폭력배들과 국민당군, 경찰들을 동원하여 중국 공산당을 학살했다. (상하이 쿠데타)1927년 8월 1일, 중국 공산당은 난창 봉기를 통해 '''중국공농홍군'''을 창설했다.
1927년 9월 7일 - 추수 봉기
1927년 8월 1일 새벽 2시를 기해 난창 봉기이 일어났다. 잠시 난창을 점령하였지만, 8월 3일 이어진 포위 공격으로 주더는 이들을 이끌고 징강산으로 도망하여 마오쩌둥과 합류를 하였다. 마오쩌둥은 이들을 제4군으로 개편하고 추수 봉기를 일으켰다. 이들이 이후 이름을 바꾼 군대를 홍군이라고 하였다.
마오쩌둥은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수립하고 게릴라 전술을 활용하여 국민당 군대에 맞섰다.[2][7] 1928년 주더가 이끄는 부대가 징강산에서 마오쩌둥과 합류하여 홍군의 세력이 강화되었다.
홍군은 '삼대기율팔항주의'(三大紀律八項注意)라는 엄격한 규율을 통해 모범적인 군대로 인식되었고, 농지를 들를 때마다 지역 공동체의 농민들과 합세하여 지주를 처형하고, 토지개혁을 실시해주었다. 이러한 적극적인 민심도모를 통해 농민과 노동자에게 큰 지지를 받았다. 이 당시 마오쩌둥은 홍군을 지휘하면서 중국 사회에서 농민 중심의 혁명 전개가 얼마나 중요한 지 느끼게 되었고, 그 결과가 체계화 된 사상으로써 나온 것이 바로 흔히 알려진 마오쩌둥주의이다.[21]
홍군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비슷한 명칭이 동시대 또는 다른 시대에, 동일 지역 또는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당시에는 지역명 등으로 구분하여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데올로기로 결합된 군대이며, 어떤 군대의 별칭도 모두 “홍군”이다.
명칭 | 설명 | 시기 | 지휘관 |
---|---|---|---|
철군(鐵軍) | 1927년 난창 봉기 이후, 1928년까지 공산당에 의해 불린, 징강산에 진입한 군대의 명칭 | 1928년까지 | 주더 |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中國工農革命軍第四軍) | 철군이 마오쩌둥 지휘하의 징강산에서 합류한 후 개편되어 명명된 명칭 | 1928년 4월부터 1930년까지 | 마오쩌둥 |
중국공농홍군 제1방면군(中國工農紅軍第一方面軍) |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을 개편 | 1930년부터 |
3. 2. 성장과 발전 (1930년 ~ 1934년)
1920년대 후반부터 중국 공산당은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키며 세력을 확장했다. 마오쩌둥과 주더는 징강산을 근거지로 삼아 게릴라 전술을 활용, 초기에는 자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점차 병력을 늘려갔다.[2][7]1930년 여름, 중국 홍군은 10만 명이 넘는 병력으로 성장하여 장시성 남부와 북부, 후베이성 서부, 후난성 동부 등지에 근거지를 확보했다. 펑더화이 등이 이끄는 부대는 창사를 점령하기도 했다. 1930년 8월, 주더와 마오쩌둥을 지휘관으로 하는 '''중국공농홍군 제1방면군'''이 정식으로 편성되었다.
중국 공산당 공농홍군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은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을 해체하기 위해 여러 차례 토벌 작전(토공전)을 펼쳤다.
명칭 | 시기 | 홍군 병력 및 지휘관 | 국민당군 병력 및 지휘관 | 결과 |
---|---|---|---|---|
1차 토공전 | 1930년 ~ 1931년 | 약 4만 명 마오쩌둥, 주더 | 약 15만 명 장제스 | 홍군 승리 |
2차 토공전 | 1931년 5월 31일 | 약 3만 명 마오쩌둥, 주더 | 약 20만 명 장제스 | 홍군 승리 |
4차 토공전 | 1932년 ~ 1933년 | 약 7만 명 저우언라이, 주더 | 약 55만 명 장제스 | 홍군 승리 |
홍군은 게릴라 전술과 민중의 지지를 바탕으로 1930년부터 1933년까지 국민당군의 1, 2, 4차 토공전을 모두 격퇴했다.[25] 이 과정에서 홍군의 전투력과 조직력은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진행된 5차 토공전에서는 국민당군의 우세한 병력과 새로운 전술에 밀려 패배했다.
3. 3. 대장정 (1934년 ~ 1936년)
1934년 10월, 국민당군의 5차 토공전 압박으로 장시 소비에트가 붕괴 직전에 놓이자, 공산당 지도부는 생존과 새로운 근거지 확보를 위해 탈출을 결정했다. 이로써 마오쩌둥의 지휘 아래 약 8만 6천 명의 공산당 홍군 병력이 옌안을 향해 대장정을 시작하게 되었다.[29]국민당군은 100만 명이 넘는 병력을 동원하여 강서 소비에트를 포위 공격했고, 독일 군사고문 한스 폰 젝트의 조언에 따라 지구전 전술을 채택했다. 이는 거점을 점령한 후 요새화하여 천천히 진격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당시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권력을 장악한 친소련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오토 브라운 군사고문의 조언에 따라 마오쩌둥의 게릴라 전술을 버리고 정규전을 채택했다. 그러나 이는 국민당군에 비해 병력과 물자가 부족한 홍군에게 불리한 전략이었다. 결국 홍군은 큰 피해를 입고 1935년 1월 쭌이 회의를 통해 마오쩌둥 중심으로 다시 노선을 변경했다.
대장정 기간 동안 홍군은 국민당군의 추격, 험난한 자연환경, 식량 부족 등 극심한 어려움을 겪었다. 1935년 가을, 제1군은 8만 명 이상의 병력을 잃고 6,000명만이 산시 북부에 도착했다. 제4군은 쓰촨 북부에서 청두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4만 명 이상의 병력을 잃었다.
1936년 여름, 제2군단, 제6군단, 제32군이 제2홍군으로 편성되었고, 허룽이 사령관을 맡았다. 제2홍군과 제4홍군은 1936년 가을 섬서성 북부에 도착했다. 한편, 제4홍군 병력 약 2만 1천 명은 소비에트 연방으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 간서성을 공격했으나 마부팡 장군에게 패배하여 6천 명 이상이 포로로 잡혔다. 이 실패로 제4홍군 총사령관 장궈타오는 군사권을 박탈당했다.
1936년 10월, 여러 갈래로 흩어져 진군하던 홍군 부대들이 옌안에서 합류하면서 대장정은 마무리되었다.
3. 4.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 (1937년 ~ 1949년)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중국 공산당은 오랜 내전을 잠시 중단하고 중국 국민당과 연합하여 항일 전쟁에 참여했다.[22] 마오쩌둥과 공산주의자들은 독자적인 군대의 필요성을 느껴 난창 봉기를 통해 '중국공농홍군'을 결성했는데, 중일전쟁 발발 이후 홍군은 국민혁명군에 편입되어 팔로군과 신사군으로 재편되었다.[22]- 팔로군: 중앙홍군이 홍군 제4군을 흡수, 개편하여 만들어졌다. 1937년부터 옌안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 신사군: 강남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1937년 10월부터 '육군 신편 제4군'으로 불렸다.
홍군은 제2차 국공합작을 통해 국민당 군대와 연합하여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제1홍군은 국민당군 제115사단, 제2홍군은 제120사단, 제4홍군은 제129사단에 통합되었으며, 이 세 사단은 총 4만 5천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7] 중국 남부에서는 신사군 1만 명이 게릴라 부대로 활동했다. 중일전쟁 당시 홍군은 백만 명의 무장 병력을 보유했으며, 적진 후방에서 대규모 동원 캠페인을 통해 전쟁 중 급속도로 성장했다.[7]
1945년 중일전쟁이 끝난 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다시 내전에 돌입했다. 1947년, 홍군은 인민해방군으로 재편되어[7] 농민의 지원을 받는 게릴라 군대로 활동했다.[7]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당시, 인민해방군은 550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7]
4. 주요 전투 및 사건
발생년도 | 사건 |
---|---|
1927년 8월 1일 | 난창 봉기 |
1927년 | 추수 봉기 |
1927년 | 광저우 봉기 |
1930년~1931년 | 장시 소비에트에 대한 제1차 포위 공격[4] |
1931년 | 장시 소비에트에 대한 제2차 포위 공격[4] |
1931년 7월 | 장시 소비에트에 대한 제3차 포위 공격[4] |
1932년~1933년 | 장시 소비에트에 대한 제4차 포위 공격[4] |
1933년~1934년 | 장시 소비에트에 대한 제5차 포위 공격[4] |
1934년~1936년 | 장정[4][5] |
5. 주요 지휘관
다음은 홍군의 주요 지휘관 목록이다.
군 직책 | 1기 (1933년 5월 ~ 1936년 12월) | 2기 (1936년 12월 ~ 1937년 7월) | 3기 |
---|---|---|---|
군사위원회 주석 | 주더 | 마오쩌둥 | |
총사령관 | 주더 | ||
정치위원 | 주은래 (1933년 5월 ~ 1935년 6월) | 장궈타오 (1935년 6월 ~ 1937년 7월) | |
총참모장 | 류보청 | ||
총참모장 부장 | 장윈이 (1933년 5월 ~ 1934년 10월) | 예젠잉 (1934년 10월 ~ 1937년 7월) | |
총정치부 주임 | 왕자샹 (1933년 5월 ~ 1935년 6월) | 천창하오 (1935년 6월 ~ 1936년 12월) | 왕자샹 (1936년 12월 ~ 1937년 7월) |
총정치부 부주임 | 허창 (1933년 5월 ~ 1934년 10월) | 위안궈핑 (1934년 10월 ~ 1936년 12월) | 양상쿤 (1936년 12월 ~ 1937년 7월) |
보안부 부장 | 리커눙 (1933년 5월 ~ 1935년 12월) | 뤄루이칭 (1935년 12월 ~ 1937년 7월) | |
군수부장 | 예지좡 | ||
군의부장 | 펑룽보 (1933년 5월 ~ 1933년 12월) | 허청 (1933년 12월 ~ 1937년 7월) | |
군수창 부장 | 양리싼 (1933년 5월 ~ 1937년 7월) |
군 | 군사 직책 | 1기 | 2기 | 3기 |
---|---|---|---|---|
제1방면군 | 사령관 | 주더 (1930년 8월 ~ 1935년 10월) | 펑더화이 (1935년 10월 ~ 1937년 8월) | |
정치위원 | 마오쩌둥 (1930년 8월 ~ 1933년 5월) | 주은래 (1933년 5월 ~ 1935년 10월) | 마오쩌둥 (1935년 10월 ~ 1937년 8월) | |
참모장 | 주윈칭 (1930년 8월 ~ 1931년 6월) | 예젠잉 (1931년 6월 ~ 1937년 8월) | ||
정치부 주임 | 양웨빈 (1930년 8월 ~ 1932년 6월) | 양상쿤 (1932년 6월 ~ 1935년 10월) | 왕자샹 (1935년 10월 ~ 1937년 8월) | |
제2방면군 | 사령관 | 허룽 (1936년 7월 ~ 1937년 8월) | ||
정치위원 | 런비스 (1936년 7월 ~ 1936년 10월) | 관샹잉 (1936년 10월 ~ 1937년 8월) | ||
참모장 | 리다 (1936년 7월 ~ 1936년 10월) | 저우스디 (1936년 10월 ~ 1937년 8월) | ||
정치부 주임 | 간쓰치 (1936년 7월 ~ 1936년 10월) | 저우루이 (1936년 10월 ~ 1937년 8월) | ||
제4방면군 | 사령관 | 쉬샹첸 (1931년 11월 ~ 1937년 8월) | ||
정치위원 | 천창하오 (1931년 11월 ~ 1937년 8월) | |||
참모장 | 쩡중성 (1931년 11월 ~ 1933년 10월) | 니즈량 (1933년 10월 ~ 1936년 4월) | 리터 (1936년 4월 ~ 1937년 8월) | |
정치부 주임 | 류스치 (1931년 11월 ~ 1932년 11월) | 천창하오 (1932년 11월 ~ 1936년 4월) | 리주란 (1936년 4월 ~ 1937년 8월) |
근거지 | 기간 | 주요 지도부 | 비고 |
---|---|---|---|
장시성 | 1929년 - 1934년 | 마오쩌둥 | |
주더 | |||
보구 | |||
주은래 | |||
장시성 북부 | 1929년 - 1934년 | 쿵허충 | 1934년 배신 |
푸구타오 | |||
팡부저우 | 1937년 배신 | ||
장시성 동부 | 1929년 - 1935년 | 팡즈민 | 1935년 사망 |
저우젠핑 | |||
샤오스핑 | |||
복건성 북부 | 1929년 - 1934년 | 황다오 | |
황리구이 | 1937년 사망 | ||
우셴시 | 1937년 사망 | ||
장시성 서부 및 호남성 동부 | 1930년 - 1934년 | 런비스 | |
왕전 | |||
샤오커 | |||
차이후이원 | 1936년 사망 | ||
안휘성 서부, 호북성 동부 및 허난성 남부 | 1930년 - 1932년 | 장궈타오 | |
쉬지선 | 1931년 사망 | ||
쉬샹첸 | |||
천창하오 | |||
선쩌민 | 1933년 사망 | ||
호북성 서부 | 1930년 - 1932년 | 허룽 | |
저우이췬 | 1931년 사망 | ||
관샹잉 | |||
샤시 | 1936년 사망 | ||
사천성 북부 | 1933년 - 1935년 | 장궈타오 | |
쉬샹첸 | |||
천창하오 | |||
왕웨이저우 | |||
산서성 북부 | 1932년 - 1937년 | 류즈단 | 1936년 사망 |
사자창 | 1935년 사망 | ||
가오강 | |||
광동성 동부 | 1930년 - 1931년 | 구다춘 | |
광시[9] | 1930년 - 1932년 | 덩샤오핑 | |
장윈이 | |||
리밍루이 | 1931년 사망 | ||
위쭤위 | 1930년 사망 | ||
웨이바췬 | 1932년 사망 | ||
하이난성 | 1930년 - 1932년 | 왕원밍 | 1930년 사망 |
펑바이쥐 |
6. 정치 및 이념적 역할
마오쩌둥은 "홍군은 단순히 싸우기 위한 존재가 아니다. 그 주요 임무(또는 기능)는 대중을 동원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군사적 역할 외에 중국 공산당의 이동식 구현체와 같은 기능을 수행했다.[6] 홍군은 교육, 조직, 대중 동원을 통해 민중이 "국가의 주인"으로 성장하는 정치적 과정을 수행했다.[6]
1929년 구천회의를 통해 군대 내 당의 지도와 정치 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7] 1930년 6월 제4군 각급에 대한 강령과 1930년 겨울 중국 노동자 농민군 정치 사업 잠정 규정(초안)은 군의 당 지도를 공식적으로 확립했다.[8]
중일전쟁 기간 동안 마오쩌둥은 '군대 내 민주 운동'이라는 글에서 "중앙 집중적 지도 아래 민주(democratic) 운동을 통해 우리는 높은 수준의 정치적 통일을 달성하고, 삶을 개선하며, 군사 기술과 전술을 향상시켰는데, 이것이 우리의 세 가지 주요 목표이다."라고 말했다.[8] 군대 내 민주주의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민주집중제를 강조하고, 당이 "극단적인 민주주의[,] 또는 무정부주의"로 간주하는 것을 피하는 것을 강조했다.[8]
7. 장비
초기 홍군은 주로 국민당군으로부터 노획한 무기를 사용했다.[11] 1934년 겨울, 제1홍군은 7만 2300명의 병사와 2만 5300정의 소총을 보유했다. 제4홍군은 제1홍군보다 더 많은 소총을 보유했지만, 지역 부대는 소총이 부족했다.[12] 1934년 여름, 쉰후아이저우(寻淮洲)의 제7군단은 6000명의 병사가 있었지만 소총은 1200정에 불과하여 푸저우 공격에 실패했다.[13]
각 홍군 연대는 일반적으로 기관총 중대 하나를 보유했으며, 각 중대는 6정 이상의 기관총을 보유했다. 홍군의 기관총 보급률은 국민당군 정예부대 수준이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기관총은 MG08, ZB vz. 26, M1918 브라우닝 자동소총, 핫치키스 M1914 기관총이었다.
소총 부족으로 중국 공산당군은 도검, 창, 칼 등의 백병전 무기를 사용했다.[15] 1930년 가을, 증종생(曾中生)은 백병전 무기를 장비한 3만 명의 적위대를 지휘했지만, 소총으로 무장한 1,000명의 적군에게 패배했다.
중국 공산당군은 톰슨 기관단총(Thompson SMG)에서 MP18까지 다양한 종류의 기관단총을 사용했다.[16][17] 이들은 국민당군으로부터 노획한 것이었다.
중국 공산당 홍군은 적군으로부터 노획한 포병을 사용했다.[18] 대부분의 경우 홍군은 박격포만 보유하고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각 군은 3~5문의 박격포를 가지고 있었다. 1930년 여름, 팽덕회의 제5군은 웨저우에서 75mm 산포 4문을 노획했지만, 탄약이 부족했다.[19]
1931년 봄, 제4홍군은 후베이성 동부에서 국민당군의 정찰기를 격추했다. 조종사였던 롱원광(Long Wenguang)은 홍군에 합류했다. 제1홍군도 1932년에 정찰기 두 대를 격추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LA History
https://www.globalse[...]
[2]
서적
China's World View: Demystifying China to Prevent Global Conflict
W. W. Norton & Company
2024
[3]
서적
The Chinese Red Army, 1927–1963: An Annotated Bibliograph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64
[4]
서적
湘江血泪:中央红军长征突破四道封锁线纪实
长征出版社
2012-11-01
[5]
간행물
중국국민당사
중국국민당사
[6]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2016
[7]
서적
China under Xi Jinping: A New Assessment
Leiden University Press
[8]
서적
An Ideological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Royal Collins
2020
[9]
서적
Red God: Wei Baqun and His Peasant Revolution in Southern Chin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4
[10]
서적
People's Wars in China, Malaya, and Vietnam
http://www.oapen.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0
[11]
서적
Memoirs of a Chinese Marshal: The Autobiographical Notes of Peng Dehuai (1898-1974)
Foreign Languages Press Beijing
[12]
서적
China's Wars. Rousing the Dragon 1894–1949
Schiffer
2013
[13]
서적
寻淮洲将军传 (Biography of General Huaizhou)
https://books.google[...]
解放军出版社 (People's Liberation Army Publishing House)
[14]
사진
Shaanxi, Chinese Red Army soldiers with machine guns
https://collections.[...]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15]
웹사이트
From peasant guerrillas to high-tech troops: 80 years of the PLA
http://gr.china-emba[...]
China Features.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Hellenic Republic.
[16]
사진
Shaanxi, Chinese Red Army soldiers holding submachine guns
https://collections.[...]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Libraries
[17]
사진
The Long March. Chinese Red Army troopers with German Bergmann sub-machine guns.
https://collections.[...]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Libraries
[18]
사진
Shaanxi, Chinese Red Army soldiers in the field with cannon
https://collections.[...]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Libraries
[19]
서적
Memoirs of a Chinese Marshal: The Autobiographical Notes of Peng Dehuai (1898-1974)
Foreign Languages Press Beijing
[20]
서적
毛沢東選集 (Mao Zedong Selected Works)
外文出版社 (Foreign Languages Press)
[21]
뉴스
중국 홍군에 대한 정보
https://news.naver.c[...]
[22]
간행물
중국혁명론
[23]
웹인용
3차전 정보1
http://www.rocidea.c[...]
2014-05-14
[24]
웹인용
3차전 정보2
http://www.unitedcn.[...]
2014-05-14
[25]
간행물
중국근대사
[26]
간행물
Liberation War History
[27]
간행물
지구전론
[28]
간행물
Records of the Libration War: The Decisive Battle of Two Kinds of Fates
[29]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