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조두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조두스는 턱 앞쪽에 22cm 크기의 송곳니 두 개가 특징인 멸종된 육기어류이다. 담수, 강, 늪지에 서식하며 몸길이가 최대 7m에 달하는 거대한 포식자였으며, 이빨로 먹이를 찢어 중소형 양서류 등을 잡아먹었다. 다른 육기어류와 달리 먹이를 통째로 삼키지 않았고, 피라루쿠와 유사한 판 모양의 비늘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고기 - 어개류
어개류는 갑각류, 조개류, 두족류 등 다양한 수생 동물을 포괄하는 용어로, 식용으로 사용되는 해산물을 의미하며,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오염 위험도 존재한다. - 184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콸로돈
스콸로돈은 멸종된 이빨고래의 속으로, 조상 고래와 현대 이빨고래의 특징을 모두 가지며, 원시적인 치열과 반향정위의 기원을 보이는 특징을 나타낸다. - 184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텔러바다소
스텔러바다소는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에 의해 1741년 발견된 몸길이 8~9m의 멸종된 해우류로, 남획으로 인해 발견 후 27년 만에 멸종되었으며, 현존하는 듀공과 가장 가까운 종으로 멸종 복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영국의 화석 - 아르트로플레우라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석탄기와 페름기에 번성했던 멸종된 다지류로, 넓은 등판과 3개의 엽을 가진 외형을 특징으로 하며, 육상에서 생활하며 초식 또는 부식성 식성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영국의 화석 - 다코사우루스
다코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부터 백악기 초기에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의 바다에서 서식한 몸길이 4~5m의 해양 악어 속으로, "깨무는 도마뱀"이라는 뜻을 가지며 톱니 모양 이빨과 유선형 몸체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다.
리조두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hizodus |
명명자 | Owen, 1840 |
속 | 리조두스속 |
속의 종 | R. hibberti R. serpukhovensis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경골어강 |
아강 | 육기어강 |
목 | 리조돈트목 |
과 | 리조두스과 |
화석 기록 | |
시대 | 비제안 - 세르푸호비안 |
2. 특징
리조두스는 담수호, 강, 늪지에 서식했던 거대한 최상위 포식자였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턱 앞쪽에 위치한 한 쌍의 거대한 송곳니로, 그 크기는 22cm에 달했다.[10] 다른 육기어류와 달리 먹이를 통째로 삼키기보다는 이빨을 사용하여 먹이를 죽이고 소화 가능한 크기로 잘라 먹었다.[12] 피부 화석을 통해 현생 피라루쿠와 유사한 크고 판 모양의 비늘을 가졌다는 것이 밝혀졌다.[13]
2. 1. 신체 구조
리조두스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앞쪽에 위치한 두 개의 22cm 크기의 송곳니이다.[17] 리조두스는 담수, 강, 대규모 늪지에 서식하는 거대한 정점 포식자였으며, 몸길이는 7m이다.[18] 주로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대신 이빨을 사용하여 먹이를 죽이고 소화할 수 있는 크기로 찢어서 중소형 양서류를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
다른 거대 리조돈트인 바라메다와 비교했을 때 ''리조두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턱 앞쪽에 위치한 22cm 크기의 송곳니 2개[3]와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다른 이빨들이었다. ''R. 히베르티''는 길이가 5.14m에서 5.63m에 달했고,[4] 무게는 1ton에서 1.5ton에 달했다.[5] 소형에서 중형 양서류를 잡아먹었으며, 다른 작고 뾰족한 이빨을 가진 육기어류와 달리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대신 이빨을 사용하여 먹이를 죽이고 소화 가능한 크기로 찢어 먹었다.[6]
화석 피부 자국은 ''리조두스''가 현대의 피라루쿠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크고 판 모양의 비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7]
2. 2. 먹이
리조두스는 담수, 강, 대규모 늪지에 서식하는 거대한 정점 포식자였으며, 몸길이는 7m였다.[18] 주로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대신 이빨을 사용하여 먹이를 죽이고 소화할 수 있는 크기로 찢어서 중소형 양서류를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리조두스''의 식단은 중형 크기의 물고기와 사족보행류를 포함했다. 현대의 악어처럼 ''리조두스''가 육상 및 해안가에 있는 먹이를 덮쳤을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7] 리조두스는 중형 어류나 사지동물을 포식했다. 현생 악어가 그러하듯이, 리조두스도 둑가에 있는 육상 동물에게 돌진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3]
참조
[1]
논문
A new species of rhizodontiform sarcopterygian fish (Sarcopterygii: Rhizodontiformes) from the Lower Carboniferous of the Moscow Region
https://www.elibrary[...]
2022
[2]
논문
Cranial morphology of the Carboniferous rhizodontid ''Screbinodus ornatus'' (Osteichthyes: Sarcopterygii)
2012
[3]
웹사이트
Rhizodus hibberti
https://www.european[...]
[4]
학위논문
The Morphology and Phylogeny of the European members of Order Rhizodontida (Pisces: Sarcopterygii)
St. Edmund's College
[5]
논문
A Devonian Fish Tale: A New Method of Body Length Estimation Suggests Much Smaller Sizes for ''Dunkleosteus terrelli'' (Placodermi: Arthrodira)
[6]
웹사이트
http://www.twmuseums.org.uk/geofinder/search/item.php?record=NEWHM:2004.H206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3.4 Rhizodus
https://www.ucl.ac.u[...]
2019-04-29
[8]
논문
A new species of rhizodontiform sarcopterygian fish (Sarcopterygii: Rhizodontiformes) from the Lower Carboniferous of the Moscow Region
https://www.elibrary[...]
2022
[9]
논문
Cranial morphology of the Carboniferous rhizodontid ''Screbinodus ornatus'' (Osteichthyes: Sarcopterygii)
2012
[10]
웹사이트
Rhizodus hibberti
https://www.european[...]
2014-09-17
[11]
논문
Mandibles of rhizodontids: anatomy, function andevolution within the tetrapod stem-group
https://www.research[...]
[12]
웹사이트
http://www.twmuseums.org.uk/geofinder/search/item.php?record=NEWHM:2004.H206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3.4 Rhizodus
https://www.ucl.ac.u[...]
2019-04-29
[14]
논문
A new species of rhizodontiform sarcopterygian fish (Sarcopterygii: Rhizodontiformes) from the Lower Carboniferous of the Moscow Region
https://www.elibrary[...]
2022
[15]
논문
Cranial morphology of the Carboniferous rhizodontid ''Screbinodus ornatus'' (Osteichthyes: Sarcopterygii)
2012
[16]
웹인용
Rhizodus hibberti
https://www.european[...]
[17]
학위논문
The Morphology and Phylogeny of the European members of Order Rhizodontida (Pisces: Sarcopterygii)
St. Edmund's College
[18]
웹인용
http://www.twmuseums.org.uk/geofinder/search/item.php?record=NEWHM:2004.H206
http://www.twmuseums[...]
2024-06-04
[19]
웹인용
3.4 Rhizodus
https://www.ucl.ac.u[...]
2019-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