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피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피얀은 코소보 공화국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다르다니아의 울피아나에서 유래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다르다니아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불가리아 제국과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코소보 전쟁 당시 전쟁 범죄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는 70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의 도시 - 프리슈티나
    프리슈티나는 코소보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발칸 반도의 역사적 중요성과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은 곳으로, 교육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 행사 개최지이며, 교통의 요충지이다.
  • 코소보의 도시 - 프리즈렌
    프리즈렌은 코소보 남부 샤르 산맥 기슭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시로, 로마 시대 테란다에서 기원하여 세르비아 제국 수도, 오스만 제국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민족 공동체가 거주하는 코소보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이다.
리피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리피얀 시가지 풍경
리피얀 시가지 풍경
리피얀
리피얀
슈티예픈 졔초비 박물관
슈티예픈 졔초비 박물관
지명의 유래울피아나
국가코소보
행정 구역프리슈티나구
시장임리 아흐메티
시장 소속 정당LDK
면적 (지방 자치체)338 km2
인구 (2024년)54,974명
인구 순위코소보 15위
시간대CET (+1)
서머 타임CEST (+2)
우편 번호14000
지역 번호+383 38
차량 등록 번호01
웹사이트리피얀 공식 웹사이트
지리

2. 명칭

리피얀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있었던 로마 제국 시대의 정착지이자 다르다니아의 도시였던 Ulpianala에서 유래했다.[2][3] 이는 로마 지명에서 나타나는 'Ul-'이 'Li-'로 변화한 결과일 수 있다.[4] 학자 셀라미 풀라하는 Ulpianala에서 현재의 알바니아어 명칭인 Lipjansq으로의 변화가 초기 알바니아어의 음운 규칙을 따르며, 이는 해당 지역에 알바니아인이 거주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5] 리피얀(Lypenionla)이라는 명칭 자체는 슬라브족의 발칸 반도 이동 시기보다 앞선 것으로 여겨진다.[6]

로마 도시 Ulpianala는 리피얀 근처에 위치했으며,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Marcus Ulpius Nerva Traianusla)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 중세 초기에 이 도시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였고, 불가리아 정교회 총대주교청의 교구이기도 했다. 도시의 새로운 라틴어 형태인 Lypenionla은 1018년 비잔틴 문헌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같은 해 불가리아에 대한 비잔틴 정복 이후 이 도시가 불가리아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주교좌로 확인되었다는 내용이다.[7]

3. 역사

리피얀 지역의 역사는 고대 일리리아인다르다니인의 중요 도시였던 울피아나에서 시작된다. 울피아나는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번성했으나, 이후 쇠퇴와 재건을 겪었다.[9][10] 중세에는 알바니아 귀족 레케 두카지니가 이곳에서 태어나는 등 알바니아 역사와도 관련이 깊다.[11][12][13] 근현대에 들어서는 코소보 전쟁 당시 전쟁 범죄가 발생한 비극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다.[14]

3. 1. 고대

리피얀의 고대 선조 도시는 울피아나로, 일리리아인다르다니인의 영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서기 2세기에는 다르다니아 주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로서 번성했다.[9] 울피아나는 고대 나이수스리수스 사이를 잇는 도로인 비아 데 젠타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서기 517년 이민족의 침략과 다르다니아 지역 대부분을 강타한 대지진으로 인해 도시는 큰 피해를 입었다. 비잔틴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제국 복원에 나섰을 때 울피아나는 이미 황폐한 상태였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이 도시를 재건하고 '유스티니아나 세쿤다'라는 새로운 이름을 부여했다.

울피아나는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서기 347년 세르디카 공의회와 서기 553년 세계 공의회에 울피아나의 주교가 참석한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플로루스와 라우루스 성인이 이곳에 정착했다는 전승이 있다. 리피얀의 오래된 비잔틴 교회는 이 지역이 과거에 가졌던 종교적 중요성을 상기시킨다. 이 지역은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지만, 이후 비잔틴 제국에 의해 재점령된 후에도 주교좌를 유지했다.[10]

3. 2. 중세

리피얀은 1410년에 이곳에서 태어난 알바니아 귀족 레케 두카지니의 출생지이다.[11] 그는 알바니아 군 사령관이자 통치자인 게르지 카스트리오티 스칸데르베그의 가까운 친구였으며, 알바니아 레자 동맹의 일원이었다. 그는 북부 알바니아에서 현대 코소보에 이르는 공국을 소유했던 두카지니 가문의 일원이었다.[12][13]

3. 3. 코소보 전쟁

리피얀은 코소보 전쟁 당시 전쟁 범죄가 자행된 지역이었다. 1999년 4월 20일, 세르비아군은 알바니아계 주민들을 이 지역에서 강제로 추방했다. 또한, 알바니아인들이 거주하던 집들은 세르비아군에 의해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세르비아 준군사조직은 인근 3개 마을에서 50명 이상의 민간인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14]

4. 지리

리피얀은 코소보 공화국 중앙부에 위치하며, 이 지역의 주요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프리슈티나에서 남쪽으로 약 17km 떨어진 거리에 있다. 리피얀 시의 면적은 422km2이며, 70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드레나스, 코소보 폴레, 프리슈티나 시와 경계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말리셰바, 동쪽으로는 노보 브르도와 길란, 남쪽으로는 페리자이, 수바 레카, 슈티메 시와 접한다.[8]

5. 인구

아래는 리피얀 지방 자치 단체의 역사적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지방 자치 단체의 역사적 인구'''
연도19481953196119711981199120112024
인구29,70033,13238,57347,52657,70569,45157,60554,974
변화율 (%)11.6%16.4%23.2%21.4%20.4%-17.1%-4.6%



출처: https://askapi.rks-gov.net/Custom/1d268e37-5934-4bd5-bbd1-34a9965cff92.pdf 코소보 통계청 인구 자료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리피얀 지방 자치 단체에는 약 57,605명이 거주한다. 이 중 약 6,870명은 리피얀 시에 거주하며, 나머지는 주변 농촌 지역(마을)에 살고 있다.[15]

인구의 대다수인 89%는 알바니아인이며, 그 외 세르비아인 (6%), 크로아티아인 (1%), 로마인 (1%) 등이 거주하고, 기타 민족이 2.9%를 차지한다. 인구 구조는 비교적 젊은 편으로, 0세에서 14세 사이 인구가 약 40%, 15세에서 65세 사이 인구가 45%, 65세 이상 인구가 15%를 구성한다. 평균 가구 구성원 수는 5명이다.[15]

6. 행정 구역

알바니아어 명칭세르비아어 명칭
아클라프오클라프
바부쉬 이 무하제르브무하제르 바부쉬
바이체반지카
바눌레반둘리치
브레그 이 지크르니 브레그
브루스브루스
부얀부얀체
부코비체부코비차
디블라케디블자카
도브라예 e 마데벨리카 도브라냐
도브라예 e 보겔말라 도브라냐
가디메 e 에페르메고르네 가딜례
가디메 e 울레트도네 가딜례
글라니체글라니차
글라비체글라비차
글로고츠글로고브체
그라크 e 베테르스타로 그라츠코
그라크 e 보겔말로 그라츠코
구므나셀레구브노 셀로
할라치 이 마드벨리키 알라쉬
할라치 이 보겔말리 알라쉬
한로츠안드로바츠
야니예보야니에브
클레츠케클레츠카
코이스케콘스코
코뉴흐코뉴흐
크라이슈테크라이슈테
크로이미르크라임르보체
레레티크라레티치
리포비차리포비차
리바제리바제
루가크지루가드지야
루게루그
마구라마구라
마레츠마레브체
메드베츠메드베체
미레네미레나
오코스니체오코스니차
플리트코비크플리트코비치
포투로츠포투로브체
첼라펙첼로펙
퀴퀴라게추출라가
레시노츠루시노브체
리바르 이 마드벨리코 리바레
리바르 이 보겔말로 리바레
루보츠라보브체
루프츠 이 리노보 루이체
루프츠 이 베테르스타로 루이체
샬레세들라레
시샤르케시샤르카
슬로비슬로빈예
스몰루셰스몰루샤
테체테차
토플리차네토플리차네
토리나토리네
트르보체테르부츠
바리고츠바리고브체
베르세츠브르셰브체
보가치체보가치차
브렐로브렐로
브렐 e 골레시트골레슈코 브렐로
즈로쿠차네즈로쿠차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sovo preliminary results - July 2024 https://askapi.rks-g[...] 2024-07-21
[2] 서적 Ethnic Continuity in the Carpatho-Danubian Area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1988
[3] 서적 The Early History of the Rumanian Language https://books.google[...] Jupiter Press 1977
[4] 간행물 Toponymes latino-romans sur le territoire de l'albanais 1976
[5]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ës gjatë shek: studime dhe dokumente. XV-XVI https://books.google[...] 8 Nëntori 1984
[6] 서적 Origins: Serbs, Albanians and Vlachs Macmillan, London 1998
[7] 서적 Greek Sources about Bulgarian History (GIBI), volume VI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11-15
[9] 서적 Kosovo: The Bradt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0
[10] 논문 Antiquarian Researches in Illyricum https://books.google[...]
[11] 서적 Moedas De Kosovo https://books.google[...] Clube de Autores 2018-03-31
[12] 서적 The Rule of Law in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2010-07-23
[13] 서적 Kosovo https://books.google[...]
[14] 서적 Erasing History: Ethnic Cleansing in Kosovo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State 1999
[15] 웹사이트 Plani Zhvillimor Komunal i Lipjanit 2013-2023+ https://kk.rks-gov.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