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바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니아는 동남유럽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알바니아"라는 이름은 중세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알바니아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고대에는 일리리아인들이 살았고,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여러 공국들이 형성되었고, 1444년에는 스칸데르베그의 지휘 아래 오스만 제국에 대항했다. 1912년 독립을 선언한 후 군주제, 공산주의 체제를 거쳐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했다. 현재 알바니아는 12개의 주로 나뉘며, 수도는 티라나이다. 알바니아는 NATO와 EU 가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수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 다종교 국가이다.

2. 어원

"알바니아"라는 이름은 중세 라틴어에서 비롯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서기 150년 지도를 제작할 당시 두러스의 북동쪽에 위치한 알바노폴리스라는 도시를 명시하면서 알바니 ''(Albanët)''라는 일리리아 부족을 언급한 것에서 유래했다는 추측이 유력하다.[418][419] 이 명칭은 중세의 아르바논 공국으로 이어졌다고 하나, 두 명칭이 같은 장소를 가리키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420]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가였던 미하일 아탈리아티스는 1079년에서 1080년에 집필한 저서에서 104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항한 사람들로 알바노이를 처음 기술하였으며, 디라키움 공작이 다스리는 사람들을 아르바니타이라고 기술하였다.[421] 중세 동안, 알바니아인들은 자신의 나라를 "아르버리" 또는 "아르버니"라고 불렀으며 자신들을 "아르베레쉐" 혹은 "아르베네쉐"라고 불렀다.[422][423]

오늘날 알바니아인들은 자신의 나라를 "슈치퍼리" 혹은 "슈치퍼리아"라고 부른다. 17세기부터 지명 ''슈치퍼리아''와 민족 데모님 ''슈치파레''가 ''아르베리아''와 ''아르베레쉬''를 대체하였다. 이 두 단어는 "독수리들의 땅" 혹은 "독수리들의 아이들"로 종종 해석된다.[424][425]

3. 역사

고대에는 일리리아라고 불렸으며, 기원전 1000년경부터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일리리아인들이 살았다. 이들은 남쪽 고대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여러 그리스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기원전 2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되면서 동로마 제국에 속하게 되었다.

티라나 인근의 펠룸바스 동굴에서는 석기 시대에 사람이 거주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사란더 근처의 사레라는 마을과 티라나 인근의 다이딧 산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중석기 시대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426] 알바니아 중부와 남부 지방에서 발굴된 봉분 유적의 청동기 시대 유물들은 마케도니아 남서부와 그리스 레프카다 유적의 것들과 유사하여, 기원전 3000년 정도에 고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인도-유럽 어족들이 정착하기 시작하였다고 추정된다. 이들 중 일부는 기원전 1600년 정도에 미케네로 이주하여 미케네 문명을 일구었다.[427][428][429]

코르처 주의 카메니차 고분 유적


고대 알바니아 지역에는 일리리아 사람들이 주로 거주했으며, 이들은 아드리아해 동부 지역과 아우레스강 어구까지 이르는 일리리아라고 불리는 지역에 살았다.[432][433] 당시 남부 지역에는 그리스 카오니아인들이[435] 포이니케를 수도로 삼고, 기원전 7세기부터 아폴로니아, 에피담누스, 아만티아 등 해안 지역에 다양한 정착지를 개척했다.

아폴로니아는 그리스 식민지로 일리리아 해안을 따라 아드리아해에 위치했으며, 로마와 콘스탄티노플을 연결하는 비아 에그나티아 길의 서쪽 끝 지점 중 하나였다.


알바니아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었던 부족 중 하나는 아르디에이였다. 아르디에이 왕국은 플레우라투스 2세의 아들 그론의 지휘 아래 가장 큰 영역을 차지했으며, 그론의 영향력은 이웃 부족에까지 미쳤다.[436] 기원전 230년 그론이 사망한 후, 그의 아내 테우타가 왕국을 물려받아 다스렸다. 테우타 휘하의 군대는 남쪽으로 이오니아해까지 진출하였다.[437] 기원전 229년, 로마는 일리리아가 로마 선박을 약탈한 것을 이유로 전쟁을 선포하였다.[438] 전쟁은 기원전 227년 일리리아의 패배로 끝났고, 기원전 181년 겐티우스가 테우타의 왕위를 계승하였다.[439] 겐티우스는 기원전 168년 로마와 충돌하며 제3차 일리리아 전쟁을 시작하였다. 이 전쟁은 기원전 167년 로마의 승리로 끝났고, 일리리아의 독립도 막을 내렸다.[440]

기원전 4세기에 건설된 스코드라(스코드라) 도시는 일리리아 왕국의 아르디아이와 라베아타이의 수도였다.


중세 시대 알바니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7세기부터 슬라브족들이 알바니아 지역 곳곳에 이주해오기 시작하였다.[441] 9세기에는 불가리아 제1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13세기에 비잔티움 제국과 불가리아 제2제국의 국력이 약해지자, 알바니아의 일부가 세르비아 대공국에 침략당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 정복자들은 알바니아 내 로마 또는 비잔티움 문명의 흔적을 파괴하거나 약화시켰다.[442]

크루여는 중세 시기 알바니아 지역의 주도 역할을 하였다.


알바니아의 독립은 중세 시기부터 아르바논 공국, 중세 알바니아 왕국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1190년 크루여아르콘이었던 프로곤이 세운 아르바논 공국은 중세 최초의 알바니아인 독립 국가였다. 아르바논 공국은 1255년 해체되었으며,[446][447][448] "알바니아인의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고 평가받는다.[449]

중세 알바니아 왕국은 카를로 1세가 알바니아 지역에 설립하였다. 1271년 카를로 1세가 에페이로스 전제공국에서 정복한 지역으로, 이듬해 2월 그는 알바니아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왕국은 두러스부터 부트린트 해안까지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다. 알바니아 왕국 탄생 이후, 가톨릭 중심의 정치 구조가 세워져 발칸 지역 내 가톨릭교 확산에 기여하였다. 당시 정치 개혁은 북부 알바니아를 다스리던 카를로 1세의 사촌 옐레나 안주이스카의 지지를 받았다. 그녀가 북부 알바니아와 세르비아를 다스리던 동안 해당 지역에 30개 이상의 가톨릭 교회와 예배당이 세워졌다.[450] 1331년부터 1335년까지 세르비아 제국이 알바니아를 지배하였다. 세르비아 제국 분열 이후, 여러 알바니아 공국들이 분리되었는데, 이들 중 발샤, 토피아, 카스트리오티, 무자카, 아리아니티 공국이 비교적 강력하였다. 14세기 초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 지역 대부분을 정복하였다. 1444년 알바니아 공국들은 스칸데르베그의 지휘 아래 단결하였고, 스칸데르베그는 현재까지 알바니아 중세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오스만 제국 초기 동남유럽 지역은 작은 공국들로 나뉘어 있었다. 오스만 군대는 1415년 남부 알바니아에 주둔지를 마련하고 1431년에는 알바니아 대부분을 점령하였다.[451] 그러나 1443년 알바니아의 국민 영웅 스칸데르베그가 주도한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은 1479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무라트 2세메흐메트 2세가 이끌던 주요 오스만 군대를 물리쳤다. 스칸데르베그는 알바니아 군주들을 통합하고 중앙 권력 체계를 도입하여 ''알바니아의 군주''가 되었다. 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범유럽 연합을 구성하려 시도했다. 당시 그의 오스만 제국과의 싸움은 유럽에서 큰 존경을 받았으며, 나폴리, 베네치아, 라구사, 교황으로부터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452]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에 진출하며 이슬람교가 유입되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기독교 유럽 국가, 특히 이탈리아로 이주했다.[453] 이슬람교로 개종한 알바니아인들은 보스니아인과 함께 오스만 제국 내에서 높은 지위를 얻고 발칸 지역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454]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은 대재상을 포함한 고위 행정직을 맡았다. [455]

15세기 오스만 제국은 알바니아에 강력한 행정권을 행사했고, 알바니아는 4개의 군(郡)으로 나뉘었다. 지역 정부는 스페인에서 박해를 피해 온 유대인 정착지를 마련하며 무역을 촉진했다. 블로러유럽에 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했다.[455]

알바니아인들은 오스만 제국 내 이라크, 이집트, 알제리, 마그레브 지역에서 군직과 행정직을 맡았다.[448] 이는 오스만 제국의 데브쉬르메 제도의 영향이었다. 이슬람화는 14세기 오스만 제국 진출부터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초기 오스만 제국 동남유럽 진출 당시 지역 영주들은 이슬람교를 믿지 않았고, 반오스만 성향을 띠기도 했다. 스칸데르베그는 19세기 알바니아 민족 주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인물로 추앙된다. 알바니아인들에게 가장 큰 사회적 변화는 점진적인 이슬람화였으나, 17세기부터 널리 퍼졌다.[454]

17세기에는 로마 가톨릭 교도들이, 18세기에는 동방정교 교도들이 주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초기 엘바산, 슈코더르 등 주요 도시에만 있던 교세가 교외로 확장되었다. 대규모 개종 이유는 다양하며, 학계에서도 자료 부족으로 일축하기 힘들다.[454] 알바니아는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루멜리아 주의 일부였다.

프리즈렌에 위치한 프리즈렌 동맹 건물의 전경.


1845년 출판된 나움 베키냐르치의 알파벳 ''(Alfabeti i Vithkuqit).''


알바니아 민족 부흥 ''(Rilindja Kombëtare)''의 움직임은 18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12년 알바니아 독립 선포 직전까지 지속되었다. 프리즈렌 동맹(알바니아 국가의 권리 수호를 위한 동맹) ''(Lidhja e Prizrenit)''은 1878년 6월 코소보 빌라예트의 프리즈렌이라는 구시가에서 결성되었다. 설립 초반 오스만 관리들은 동맹이 무슬림 영주들과 오스만 제국 행정부에 연관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하여 지지하였다. 오스만 관리들은 이슬람의 연대를 지지, 보호하였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을 포함하는 여러 이슬람 영향권 지역들의 수호를 촉구하였다. 이것이 동맹을 '진정한 무슬림의 위원회' ''(Komiteti i Myslimanëve të Vërtetë)''라고 이름붙인 이유였다.[456] 프리즈렌 동맹은 일명 카라르나메라는 법령을 발표하였는데, 법령 내에는 북부 알바니아, 에페이로스 그리고 보스니아의 국민들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 보전'을 수호하기 위해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 그리고 몬테네그로 왕국에 대항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동원하겠다는 선언을 포함하고 있다. 이 법령은 1878년 6월 18일 47명의 무슬림 대표들이 조인한 것이다.[457]

압둘 프라셔리의 새로운 지도 아래, 프리즈렌 동맹은 알바니아 지역의 자치와 코소보, 스쿠타리, 마나스티르 그리고 야니아의 네 곳의 주를 알바니아 주 하나로의 통합을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당시 오스만 제국은 프리즈렌 동맹의 지지를 철회하였다. 프리즈렌 동맹은 베를린 회의에 의해 몬테네그로에 할당되었던 플라브, 구시네 등의 지역이 합병되려는 시도를 군대를 동원하여 막아내었다. 프리즈렌 동맹의 군대는 노브시체 전투에서 몬테네그로 군대와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승리하였으나, 강대국의 압력에 따라, 프리즈렌 동맹은 플라브, 구시네에서 군대를 철수시켰으며, 이후 술탄이 보내온 오스만 군대에 의해 패배하였다.[459] 이후 1912년 알바니아인들이 다시 봉기하였고, 오스만 제국은 발칸 전쟁에서 패배하고, 잇따라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그리고 그리스 군대들이 알바니아를 향해 진군하였다. 그리고 1912년 11월 28일, 이스마일 체말리블로러 남부에서 알바니아의 독립을 선포하였다.

알바니아 르네상스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 이어진 시기로, 알바니아인들이 독립 국가 내에서 독립적인 문화 및 정치 생활을 위한 정신적, 지적 힘을 모았던 시기이다. 현대 알바니아 문화가 특히 알바니아 문학과 예술에서 번영하였고, 종종 낭만주의계몽주의 사상의 영향과 관련이 있었다.[64]

제1차 발칸 전쟁 중이던 1912년에 이스마일 케말 등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1914년에는 독일 제국귀족 빌헬름 츠 빌트를 공작으로 맞이하여 알바니아 공국이 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공작이 해외로 망명한 채 귀국하지 않아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

알바니아 공국 (1914-1925)은 알바니아 공화국 (1925-1928)으로 대체되었다. 1925년 4명의 섭정체제가 끝나고 조구 1세가 새롭게 설립된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티라나가 알바니아의 영구적인 수도로 공식 인준되었다.[471] 조구는 권위주의적이며 보수적인 정권을 이끌었고, 그 목적은 국가 안정과 질서 확립에 있었다. 조구는 강제적으로 이탈리아에 협력하는 정책을 채택해야 하였다. 1925년 1월 20일 알바니아와 이탈리아 양국간 교역 거래에서 독점권을 얻는 조약이 맺어졌다.[471]

1928년 알바니아 공화국은 군주제로 다시 대체되었다. 조구는 국가 전체에 대한 자신의 직권을 확대하기 위해 도로 건설에 많은 집중을 쏟았다. 당시 16세를 넘은 모든 알바니아 남성은 국가에 매년 10시간의 노동 시간을 바쳐야 할 의무가 부여되었다.[471] 국왕이 된 조구는 보수적인 성향을 유지하였으나, 여러 개혁을 실행하기도 하였다. 당시 군대는 이탈리아 장교들에 의해 훈련되었다. 조구는 균형을 위해 이탈리아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국가 헌병대에 영국 사무관들을 계속 유지하였다. 알바니아 왕정은 당시 파시스트 이탈리아 정부의 지지를 받고 있었으며 두 국가는 1939년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직전까지 가까운 외교관계를 유지하였다.

1944년 11월 29일 티라나에서 행진하는 알바니아 게릴라군의 모습.


이탈리아에 의해 군사적으로 점령된 후, 알바니아 왕국은 1939년부터 1943년까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이끄는 이탈리아의 보호국이자 속령이었다. 1941년 4월 추축국이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한 후, 코소보 대부분,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중부 세르비아의 투틴, 동부 몬테네그로 일부를 포함한 유고슬라비아 지역이 알바니아에 합병되었다. 이는 이 지역에 상당한 알바니아인 인구가 있었기 때문이다.[473] 1941년 11월, 소규모 알바니아 공산주의자들은 티라나에서 130명을 모아 알바니아 공산주의 정당을 창당하고, 엔베르 호자를 지도자로, 11명으로 구성된 중앙 위원회를 설립하였다.

1943년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나치 독일이 알바니아를 점령하였다. 당시 이탈리아에 적대적이었던 민족주의 단체 발리 콤페타르는 티라나에 "중립" 정부를 출범시키고, 독일군과 함께 공산주의 성향의 국가해방운동 단체를 배척하였다.[474] 당시 알바니아는 유럽에서 가장 황폐화된 국가 중 하나였다. 60,000가구 이상의 주택이 파괴되었고 전체 인구의 10%가 노숙자가 되었다. 공산 게릴라군은 재결성되어 1944년 1월에는 남부 알바니아 대부분을 통제했지만, 독일군의 공격 대상이 되어 일부 지역에서 철수해야 했다. 국가해방전선은 펄멧 회의에서 국가 해방 반파시스트 위원회를 구성하여 알바니아의 행정 및 입법기관으로 역할하도록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알바니아는 공산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이 갈등하는 내전 상태였다. 그러나 1944년 늦여름, 공산 게릴라군은 남부 알바니아에서 발리 콤페타르 군대를 몰아내었다. 11월 말, 독일 군대는 티라나에서 철수하였고, 공산 게릴라군이 티라나를 점령하였다. 게릴라군은 1944년 11월 29일을 기점으로 알바니아 전체를 독일 지배에서 해방시켰다. 공산주의자들은 10월 베라트에서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엔베르 호자를 총리로 임명하여 알바니아를 통치하기 시작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공산당은 알바니아의 주요 군사 및 정치 세력으로 부상하여 북부 알바니아로 군대를 보내 잔존 민족주의 세력을 제거하려 했다. 공산당 군대는 니카이-메르투르, 두카진 산악 지대, 켈멘디 지역에서 프레 사히가 이끄는 게릴라군의 거센 저항에 직면했다.[475] 1945년 1월 15일, 타마라 교량에서 공산당 제1여단과 민족주의 세력 간 충돌이 발생, 민족주의 세력이 패배했다. 약 150명의 켈멘디 주민이 살해되거나 고문당했다.[476] 이 사건은 엔베르 호자 독재 정권의 여러 문제의 시작점으로, 당시 계급투쟁이 격화되고 자유와 인권이 철저히 무시되었다.[477]

나치 독일 지배에서 해방된 후,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엔베르 호자알바니아 노동당이 국가를 이끌었다.[478] 왕정은 해체되고 인민공화국이 세워져 알바니아의 사회주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1947년, 알바니아 첫 철도가 완성되고, 몇 달 후 두 번째 철도 노선이 완공되었다. 새 토지 개혁법으로 토지 소유권이 실제 경작 농민과 노동자에게 할당되었다. 농업은 노동자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되었고, 농업 생산량도 증가하여 알바니아는 농업 자급자족 상태가 되었다. 1955년, 알바니아 성인 인구 중 문맹이 없어졌다.[479]



이 시기 알바니아는 산업화와 급격한 경제 성장을 겪었고, 교육과 의료 보급에서 진전을 보였다.[477] 알바니아의 평균 연례 국가 총소득 증가율은 세계 평균보다 29%, 유럽 평균보다 56% 높았다.[481] 알바니아는 1948년 유고슬라비아, 1961년까지 소련, 1950년대 중반부터 중화인민공화국과 채무 관계를 맺었다.[482] 공산주의 헌법은 개인에게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으나, 협동조합이나 단체에 세금을 부과하여 비슷한 징수 효과를 냈다.[483] 공산 정권 시기 종교의 자유는 축소되었고, 모든 숭배는 불법이었다. 1945년 8월, ''농업개혁법''으로 종교단체(대부분 이슬람 와크프) 소유 재산이 국유화되고, 수도원과 교구 토지도 몰수되었다. 울라마사제 등 많은 성직자들이 체포되거나 사형당했다. 1949년, 종교 단체 법령으로 모든 종교활동은 중앙정부 제재를 받게 되었다.[484]

수백 개 모스크와 수십 개 이슬람 서재가 파괴되고, 소장된 귀중 문서도 소각되었다. 1967년 엔베르 호자는 알바니아를 "세계 최초 무신론 국가"로 선포했다.[485][486] 교회 건물은 청년 문화 센터로 바뀌었다. 1967년 법률은 "파시스트, 종교, 전쟁주의, 반공산주의 활동과 프로파간다"를 금지했다. 설교는 3~10년 징역형이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비밀리에 종교활동을 계속했다. 호자 독재정권 반종교 정책은 10여 년 뒤 극단적 형태를 띠었다. "국가는 어떤 종교도 인정하지 않는다"고 1976년 헌법에 기술되었고, "인민의 과학적 물질 세계관 확립을 위해 무신론을 지지한다"고 했다.[486] 엔베르 호자의 정치 후계자 라미즈 알리아는 1980년대 후반 동구권 붕괴 시기 "호자주의" 정권 분열을 감독했다.

엔베르 호자. 40년 이상 통치, 권위주의와 고립주의 정권 수립.


엔베르 호자의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수립은 현대 알바니아 역사에서 중요한 시대였다.[96] 호자 정권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받아들이고 종교 행위 금지, 여행 제한, 사유 재산권 폐지 등 권위주의 정책을 시행했다.[97]

호자 시대 알바니아 외교 역사는 갈등으로 특징지어진다.[86] 초기 유고슬라비아 위성국으로 동맹을 맺었지만, 유고슬라비아가 알바니아를 자국 영토에 편입하려 하자 관계가 악화되었다.[86] 이후 알바니아는 소련과 관계를 맺고 동유럽 국가들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지만, 소련 정책 의견 차이로 1961년 외교가 분리되었다.[86] 알바니아가 자유 선거를 거부하고 서방이 반공산주의 봉기를 지원했다는 주장으로 서방과 긴장이 고조되었다. 알바니아의 파트너는 중국이었으며, 중소 분쟁 중 베이징을 지지하여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소련과 관계를 단절하고 바르샤바 조약에서 탈퇴했다. 1970년 관계가 정체되고, 양측은 서로에 대한 헌신을 재평가, 알바니아는 중국 의존도를 줄였다.[86]

호자 정권 하 알바니아는 종교 지도자 대상 광범위한 운동을 겪었으며, 무슬림,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신자 대상 공개 박해와 처형이 이루어졌다.[86] 1946년 종교 재산 국유화, 종교 기관 폐쇄 또는 다른 목적으로 전환되었다.[86] 1976년 알바니아는 세계 최초 헌법적 무신론 국가가 되었다.[103]

1944년 11월 29일, 알바니아 파르티잔과 소련군에 의한 전국 해방, 알바니아 노동당 중심 사회주의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1946년 1월 11일 왕정 폐지, 알바니아 인민공화국 수립 선포[384], 엔베르 호자 수반 공산주의 정권 성립. 1948년, 알바니아 노동당알바니아 노동당으로 개명.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코민포름 탈퇴로 유고슬라비아와 단교.

섬네일

호자 정권은 1961년 이후 스탈린 비판 소련을 “수정주의”라고 비난, 소련은 니키타 흐루쇼프가 제22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알바니아 비판, 중화인민공화국 저우언라이는 알바니아 옹호, 중소 대립.

섬네일과 엔베르 호자]]

소련과 대립하던 중화인민공화국에 접근, 대규모 원조. 이 시기 알바니아군은 중국 인민해방군 65식 군복 유사 군복 착용, 중국제 56식 자동소총과 복제품 ASh-78 제식 소총 채택, 59식 전차, J-6(항공기) 전투기 등 배치. 바르샤바 조약기구군 구성 주변국과 비교해도 이례적 군대. 1968년 바르샤바 조약기구 탈퇴, 소련 가상 적국 군사 정책. 영토 문제 이웃나라 유고슬라비아와도 요시프 브로즈 티토 “티토주의자” 규정, 대립. 국민 대부분 총기 보유 국민총병 정책은 현재 치안에 어두운 그림자. 1967년 중국 문화대혁명 자극 “무신 국가” 선언, 종교 활동 금지. 1976년 국내 전역 콘크리트제 토치카(석회석은 국내 자급 광산 자원) 대량 건설, 국내 무장 체제 강화. 호자 재임 중 50만 개 이상 토치카 건설, 현재도 일부 잔존. 1970년대 핵전쟁 상정 티라나 동쪽 산복에 방 106개, 면적 2685m2 대형 핵 대피소 건설.[385] 농업과 교육 중시, 문자 해독률 5%에서 98% 개선, 식량 자급 달성.[386] 같은 해, 국호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개칭.

1976년 마오쩌둥 사망, 중국 문화대혁명 종식, 1978년 덩샤오핑 개혁개방 노선 전환, 호자 중국 비판(중알 대립). 중국 원조 중단, 1980년대 유럽 최빈국 전락

3. 1. 선사 시대

티라나 인근의 펠룸바스 동굴. 석기 시대에 사람이 거주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바니아에 인간이 처음 정착한 시기는 중석기 시대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를 뒷받침할 사료가 사란더 근처의 사레라는 마을과 티라나 인근의 다이딧 산에서 발견되었다.[426] 사레 근처의 한 동굴에서 부싯돌과 벽옥(碧玉) 그리고 동물의 뼈 등이 발견되었고, 다이딧 산에서는 뼈와 오리냐크 문화에 유사한 석기 도구들이 발견되었다. 알바니아에서 발굴된 석기시대의 유적들은 동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몬테네그로의 세르베나 스띠에아 유적과 그리스 북서부에서 발굴된 것과 유사한 형태를 띈다.[426]

알바니아 중부와 남부 지방에서 발굴된 봉분 유적의 청동기 시대 유물들은 마케도니아 남서부와 그리스 레프카다 유적의 것들과 유사하다. 고고학자들은 이를 보고 해당 지역들에는 기원전 3000년 정도에 고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인도-유럽 어족들이 정착하기 시작하였다고 결론지었다. 이들의 일부가 기원전 1600년 정도에 미케네로 이주하여 미케네 문명을 일구었다.[427][428][429] 또 다른 인구 집단이었던 일리리아인들은 당시에 그들의 영역으로선 가장 최남단 지역인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국경 지역에 살면서 그리스 민족들과 이웃하고 있었다고 추정된다.[430][431]

알바니아의 중석기 시대 유적은 당시 아드리아 해안선 근처에 있었던 여러 야외 유적과 동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자레 근처 동굴에서 발견된 중석기 시대 유물에는 흑요석과 자스퍼 유물과 함께 화석화된 동물 뼈가 포함되어 있으며, 다이트 산에서 발견된 유물은 오리냐크 문화와 유사한 뼈와 돌 도구들로 구성되어 있다.[19] 알바니아의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7000년경에 시작되었으며, 양과 염소의 가축화와 소규모 농업을 나타내는 발견물들이 이를 증명한다. 신석기 시대 인구의 일부는 코니스폴 동굴에서처럼 중석기 시대 지층이 압토기 신석기 시대 유적과 공존하는 남부 발칸 반도의 중석기 시대 인구와 같았을 수 있다. 카르디움 토기 문화는 기원전 6500년 이후 아드리아 해를 건너 알바니아 해안에 나타나며, 내륙 정착지는 스타르체보 문화를 형성하는 과정에 참여했다.[20] 알바니아의 역청 광산인 셀레니체는 기원전 5000년부터 시작된 알바니아 후기 신석기 시대에 지역 공동체가 도자기 장식의 안료, 방수, 그리고 깨진 그릇 수리용 접착제로 사용한 유럽에서의 역청 채굴의 초기 증거를 제공한다. 셀레니체의 역청은 기원전 5천년기 초부터 알바니아 동부로 유통되었다. 해외 무역 수출의 첫 번째 증거는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남부 이탈리아에서 나온다. 셀레니체의 고품질 역청은 후기 신석기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모든 역사 시대를 통해 채굴되어 왔다.[21]

인도유럽화의 맥락에서 알바니아의 인도유럽화는 기원전 2800년 이후에 시작되었다. 후대의 아폴로니아 근처에 있는 초기 청동기 시대 고분의 존재는 기원전 2679±174 calBC (2852-2505 calBC)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러한 매장 봉분은 후대의 체티나 문화와 관련된 아드리아-류블랴나 문화의 남부 표현으로, 발칸 북부에서 아드리아 해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했다. 같은 공동체가 몬테네그로(Rakića Kuće)와 알바니아 북부(Shtoj)에 유사한 봉분을 건설했다.[22] 알바니아의 인도유럽화와 관련된 최초의 고고 유전학적 발견은 기원전 2663~2472 calBC로 거슬러 올라가는 알바니아 북동부의 고분에 묻힌 주로 야므나계 조상을 가진 남성과 관련이 있다.[23] 중기 청동기 시대에 체티나 문화 유적과 발견물이 알바니아에서 나타난다. 체티나 문화는 달마티아의 체티나 계곡에서 아드리아 해를 건너 남쪽으로 이동했다. 알바니아에서는 체티나 유적이 슈코더 호수 남부 주변에 집중되어 있으며, 슈크렐과 슈토이와 같은 고분 묘지와 가이탄(슈코더)과 같은 산성, 그리고 블라즈, 네지르, 케푸타(알바니아 중부)와 같은 동굴 유적과 소브얀(알바니아 남동부)과 같은 호수 분지 유적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24]

3. 2. 고대

고대 당시 현대의 알바니아 지역에는 일리리아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은 아드리아해 동부 지역과 아우레스강 어구까지 이르는 일리리아라고 불리는 지역에 살았다.[432][433] 일리리아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4세기 중반 고대 그리스 문헌 ''흑해 주항기''에 처음 등장한다.[434] 당시 남부 지역에는 그리스 카오니아인들이[435] 포이니케를 수도로 삼고, 기원전 7세기부터 아폴로니아, 에피담누스, 아만티아 등 해안 지역에 다양한 정착지를 개척했다.

알바니아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었던 부족 중 하나는 아르디에이였다. 아르디에이 왕국은 플레우라투스 2세의 아들 그론의 지휘 아래 가장 큰 영역을 차지했으며, 그론의 영향력은 이웃 부족에까지 미쳤다.[436] 기원전 230년 그론이 사망한 후, 그의 아내 테우타가 왕국을 물려받아 다스렸다. 테우타 휘하의 군대는 남쪽으로 이오니아해까지 진출하였다.[437] 기원전 229년, 로마는 일리리아가 로마 선박을 약탈한 것을 이유로 전쟁을 선포하였다.[438] 전쟁은 기원전 227년 일리리아의 패배로 끝났고, 기원전 181년 겐티우스가 테우타의 왕위를 계승하였다.[439] 겐티우스는 기원전 168년 로마와 충돌하며 제3차 일리리아 전쟁을 시작하였다. 이 전쟁은 기원전 167년 로마의 승리로 끝났고, 일리리아의 독립도 막을 내렸다. 전쟁에서 패배한 후, 로마는 일리리아를 세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었다.[440]

3. 3. 중세



중세 시대 알바니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7세기부터 슬라브족들이 알바니아 지역 곳곳에 이주해오기 시작하였다.[441] 9세기에는 불가리아 제1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13세기에 비잔티움 제국과 불가리아 제2제국의 국력이 약해지자, 알바니아의 일부가 세르비아 대공국에 침략당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 정복자들은 알바니아 내 로마 또는 비잔티움 문명의 흔적을 파괴하거나 약화시켰다.[442]

알바니아의 독립은 중세 시기부터 아르바논 공국, 중세 알바니아 왕국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1190년 크루여아르콘이었던 프로곤이 세운 아르바논 공국은 중세 최초의 알바니아인 독립 국가였다. 프로곤의 권좌는 그의 아들 지인과 드미트리가 승계하였다. 드미트리 사후, 아르바논 공국그리스인 그레고리 카모나스,[443][444] 크루여 공작,[445] 골렘 등이 다스렸다. 아르바논 공국은 1255년 해체되었다.[446][447][448] 아르바논 공국은 "알바니아인의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제국 서쪽 끝자락의 이점을 활용하여 준자치 행정구역의 지위를 얻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449]

중세 알바니아 왕국은 카를로 1세가 알바니아 지역에 설립하였다. 1271년 카를로 1세가 에페이로스 전제공국에서 정복한 지역으로, 이듬해 2월 그는 알바니아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왕국은 두러스부터 부트린트 해안까지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다. 알바니아 왕국 탄생 이후, 가톨릭 중심의 정치 구조가 세워져 발칸 지역 내 가톨릭교 확산에 기여하였다. 당시 정치 개혁은 북부 알바니아를 다스리던 카를로 1세의 사촌 옐레나 안주이스카의 지지를 받았다. 그녀가 북부 알바니아와 세르비아를 다스리던 동안 해당 지역에 30개 이상의 가톨릭 교회와 예배당이 세워졌다.[450] 1331년부터 1335년까지 세르비아 제국이 알바니아를 지배하였다. 세르비아 제국 분열 이후, 여러 알바니아 공국들이 분리되었는데, 이들 중 발샤, 토피아, 카스트리오티, 무자카, 아리아니티 공국이 비교적 강력하였다. 14세기 초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 지역 대부분을 정복하였다. 1444년 알바니아 공국들은 스칸데르베그의 지휘 아래 단결하였고, 스칸데르베그는 현재까지 알바니아 중세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3. 4.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초기 동남유럽 지역은 작은 공국들로 나뉘어 있었다. 오스만 군대는 1415년 남부 알바니아에 주둔지를 마련하고 1431년에는 알바니아 대부분을 점령하였다.[451] 그러나 1443년 알바니아의 국민 영웅 스칸데르베그가 주도한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은 1479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무라트 2세메흐메트 2세가 이끌던 주요 오스만 군대를 물리쳤다. 스칸데르베그는 알바니아 군주들을 통합하고 중앙 권력 체계를 도입하여 ''알바니아의 군주''가 되었다. 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범유럽 연합을 구성하려 시도했다. 터키인들은 이탈리아서유럽 지역 정복을 위해 알바니아를 발판으로 삼으려 했으나, 스칸데르베그에 의해 저지되었다. 당시 그의 오스만 제국과의 싸움은 유럽에서 큰 존경을 받았으며, 나폴리, 베네치아, 라구사, 교황으로부터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452]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에 진출하며 이슬람교가 유입되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기독교 유럽 국가, 특히 이탈리아로 이주했다.[453] 이슬람교로 개종한 알바니아인들은 보스니아인과 함께 오스만 제국 내에서 높은 지위를 얻고 발칸 지역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454]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은 대재상을 포함한 고위 행정직을 맡았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쾨프륄루 메흐메드 파샤, 쾨프륄자드 파질 아흐메드 파샤, 무함마드 알리 파샤 등이 있다.[455]

15세기 오스만 제국은 알바니아에 강력한 행정권을 행사했고, 알바니아는 4개의 군(郡)으로 나뉘었다. 지역 정부는 스페인에서 박해를 피해 온 유대인 정착지를 마련하며 무역을 촉진했다. 블로러부르사, 콘스탄티노폴리스, 유럽에서 벨벳, 면제품, 모헤어, 양탄자, 향신료, 가죽 등을 수입했다. 블로러 시민들은 유럽에 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했다.[455]

알바니아인들은 오스만 제국 내 이라크, 이집트, 알제리, 마그레브 지역에서 군직과 행정직을 맡았다.[448] 이는 오스만 제국의 데브쉬르메 제도의 영향이었다. 이슬람화는 14세기 오스만 제국 진출부터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초기 오스만 제국 동남유럽 진출 당시 지역 영주들은 이슬람교를 믿지 않았고, 반오스만 성향을 띠기도 했다. 스칸데르베그는 19세기 알바니아 민족 주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인물로 추앙된다. 알바니아인들에게 가장 큰 사회적 변화는 점진적인 이슬람화였으나, 17세기부터 널리 퍼졌다.[454]

17세기에는 로마 가톨릭 교도들이, 18세기에는 동방정교 교도들이 주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초기 엘바산, 슈코더르 등 주요 도시에만 있던 교세가 교외로 확장되었다. 대규모 개종 이유는 다양하며, 학계에서도 자료 부족으로 일축하기 힘들다.[454] 알바니아는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루멜리아 주의 일부였다.

3. 5. 알바니아 민족 계몽기



알바니아 민족 부흥 ''(Rilindja Kombëtare)''의 움직임은 18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12년 알바니아 독립 선포 직전까지 지속되었다. 프리즈렌 동맹(알바니아 국가의 권리 수호를 위한 동맹) ''(Lidhja e Prizrenit)''은 1878년 6월 코소보 빌라예트의 프리즈렌이라는 구시가에서 결성되었다. 설립 초반 오스만 관리들은 동맹이 무슬림 영주들과 오스만 제국 행정부에 연관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하여 지지하였다. 오스만 관리들은 이슬람의 연대를 지지, 보호하였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을 포함하는 여러 이슬람 영향권 지역들의 수호를 촉구하였다. 이것이 동맹을 '진정한 무슬림의 위원회' ''(Komiteti i Myslimanëve të Vërtetë)''라고 이름붙인 이유였다.[456] 프리즈렌 동맹은 일명 카라르나메라는 법령을 발표하였는데, 법령 내에는 북부 알바니아, 에페이로스 그리고 보스니아의 국민들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 보전'을 수호하기 위해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 그리고 몬테네그로 왕국에 대항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동원하겠다는 선언을 포함하고 있다. 이 법령은 1878년 6월 18일 47명의 무슬림 대표들이 조인한 것이다.[457] 당시 회의에는 300명 정도의 대표들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에는 보스니아 지역과 프리즈렌 군에서 중앙 정부의 대표로 참여한 이들도 포함되어 있었다.[458]

압둘 프라셔리의 새로운 지도 아래, 프리즈렌 동맹은 알바니아 지역의 자치와 코소보, 스쿠타리, 마나스티르 그리고 야니아의 네 곳의 주를 알바니아 주 하나로의 통합을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당시 오스만 제국은 프리즈렌 동맹의 지지를 철회하였다. 프리즈렌 동맹은 베를린 회의에 의해 몬테네그로에 할당되었던 플라브, 구시네 등의 지역이 합병되려는 시도를 군대를 동원하여 막아내었다. 프리즈렌 동맹의 군대는 노브시체 전투에서 몬테네그로 군대와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승리하였으나, 강대국의 압력에 따라, 프리즈렌 동맹은 플라브, 구시네에서 군대를 철수시켰으며, 이후 술탄이 보내온 오스만 군대에 의해 패배하였다.[459] 이후 1912년 알바니아인들이 다시 봉기하였고, 오스만 제국은 발칸 전쟁에서 패배하고, 잇따라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그리고 그리스 군대들이 알바니아를 향해 진군하였다. 그리고 1912년 11월 28일, 이스마일 체말리블로러 남부에서 알바니아의 독립을 선포하였다.

알바니아 르네상스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 이어진 시기로, 알바니아인들이 독립 국가 내에서 독립적인 문화 및 정치 생활을 위한 정신적, 지적 힘을 모았던 시기이다. 현대 알바니아 문화가 특히 알바니아 문학과 예술에서 번영하였고, 종종 낭만주의계몽주의 사상의 영향과 관련이 있었다.[64] 민족주의의 부상 이전에, 오스만 당국은 알바니아인들의 국가 통합이나 양심 표현을 억압했다.

러시아-오스만 전쟁 이후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에 승리함에 따라 산스테파노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이 조약은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땅을 슬라브계 및 그리스계 이웃 국가에 할당했다. 그러나 영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이 조약을 막고 베를린 조약을 체결했다. 이 시점부터 알바니아인들은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땅을 통일된 국가로 보호하고 통합하기 위해 스스로 조직하기 시작하여 프리즈렌 동맹을 결성하게 되었다. 이 동맹은 처음에는 오스만 당국의 지원을 받았는데, 그들의 입장은 무슬림 인구와 오스만 행정부와 연결된 지주들의 종교적 연대에 기반을 두었다. 그들은 무슬림 연대를 지지하고 무슬림 땅의 방어를 촉구했으며, 동시에 이 동맹을 진정한 무슬림 위원회라고 명명한 이유가 되었다.[65]

보스니아 출신 대표들, 중앙 당국 대표로서 프리즈렌 산자크의 행정관, 그리고 스쿠타리 비라예트 출신 대표는 없이 약 300명의 무슬림이 이 회의에 참여했다.[66] 47명의 무슬림 대표만 서명한 이 동맹은 카라르나메를 발표했는데, 이는 북부 알바니아, 에피루스 및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람들이 영토 보전을 위해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군대에 맞서 모든 가능한 수단으로 오스만 제국을 방어할 의향이 있음을 선언한 것이었다.[67]

압딜 프라셰리 주도하에 이 동맹이 알바니아 자치를 위한 노력에 집중하고 코소보, 슈코더, 모나스티르 및 요아니나를 포함한 4개의 비라예트를 통합된 알바니아 빌라예트로 합병할 것을 요청하자 오스만 당국은 지원을 중단했다. 이 동맹은 몬테네그로에 할당된 플라브와 구신예 지역의 합병을 막기 위해 군사력을 사용했다. 노브시체 전투와 같은 몬테네그로 군대와의 여러 차례 성공적인 전투 후, 이 동맹은 분쟁 지역에서 후퇴해야 했다. 이후 술탄이 파견한 오스만 군대에 의해 패배했다.[68]

3. 6. 독립

1912년 11월 28일 남부 블로러에서 열린 알바니아 만민 회의에서 블로러 의회가 결성되었다.[460][461] 의회에 모인 83명의 지도자들은 알바니아를 독립 국가로 선포하고 임시 정부를 구성하였다. 임시 정부는 1912년 12월 4일 열린 의회의 두 번째 회의에서 설립되었다. 임시정부는 이스마엘 체말리가 이끄는 10명의 지도자들로 구성되어, 1914년 1월 22일 그의 사임까지 지속되었다.[462] 또한 의회는 18명을 뽑아 상원 ''(Pleqësi)''을 구성하게 하여 정부의 자문 역할을 하게 하였다.[463]

1913년 7월 29일 런던 회의에서 알바니아의 독립이 인정되었다. 당시 새롭게 세워진 알바니아 공국의 분계선은 당시의 인구 통계학적 현실을 무시하고 있었다. 1913년 10월 15일 국제 통제 위원회가 설립되어 알바니아의 정치제도가 자리 잡기 전까지 알바니아의 국가행정을 담당하였다.[464] 국제 통제 위원회는 블로러에 본부를 두었다.[465] 국제 헌병대가 알바니아 공국의 첫 법집행기관으로 설립되었다. 11월에는 첫 헌병대원들이 알바니아에 도착하였다. 알바니아의 군주였던 빌헬름 비디 ''(Princ Vilhelm Vidi)''가 공국의 첫 군주로 선택되었다.[466] 1914년 3월 7일, 빌헬름 비디는 당시 임시 수도였던 두러스에 도착하여 정부를 구성하기 시작하였고, 투판 페르메티를 임명하여 첫 알바니아 내각을 구성하라 지시하였다.

1913년 11월, 알바니아의 친오스만 제국 세력들은 알바니아 출신의 오스만 제국의 전쟁장관이었던 이제트 파샤에게 알바니아의 군주 자리를 제안하였다.[467] 당시 친오스만 성향의 알바니아 국민들은 새로운 알바니아 공국의 출범은 그저 6개의 기독교 국가들과 국가 대부분의 농경지를 차지하고 있었던 지주들의 꼭두각시라 여겼다.[465]

1914년 2월, 지로카스터르에 거주하던 그리스인들은 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의 설립을 선포하며 알바니아와의 통합을 거부하였다. 이 정부는 오래가지 않아 이후 1921년, 남부 지역들은 알바니아 공국에 통합되었다.[468][469] 한편, 새로운 알바니아 정부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던 알바니아 농민들이 봉기를 일으키며, 당시 알바니아와 이슬람의 구원자라 자칭하던 에사드 파샤 톱타니와 이슬람 성직자들을 중심으로 반란을 확산시켜나갔다.[470][471] 군주 비디는 알바니아 북부 미르디터현의 가톨릭 신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당시 그들의 지도자였던 프렝크 비베 도다를 알바니아 공국의 외무장관으로 임명하였다. 1914년 5월과 6월, 이사 볼레티니와 코소보에서 온 그의 수하들이 국제 헌병대에 동참하였으나, 이들은 1914년 8월 중부 알바니아 대부분을 정복하고 있었던 반군에 패배당하였다.[467] 군주 비디의 정부는 몰락하였고 그는 1914년 9월 3일 알바니아를 떠났다.[472]

제1차 발칸 전쟁 중이던 1912년에 이스마일 케말 등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열강에 의해 독립은 인정되었으나, 국경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독립 세력이 “국토”라고 생각했던 지역의 절반 이상이 삭감되었다( “대알바니아” 참조). 1914년에는 독일 제국귀족 빌헬름 츠 빌트를 공작으로 맞이하여 알바니아 공국이 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공작이 해외로 망명한 채 귀국하지 않아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

3. 7. 공화국과 왕정 시대

알바니아 공국 (1914-1925)은 알바니아 공화국 (1925-1928)으로 대체되었다. 1925년 4명의 섭정체제가 끝나고 조구 1세가 새롭게 설립된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티라나가 알바니아의 영구적인 수도로 공식 인준되었다.[471] 조구는 권위주의적이며 보수적인 정권을 이끌었고, 그 목적은 국가 안정과 질서 확립에 있었다. 조구는 강제적으로 이탈리아에 협력하는 정책을 채택해야 하였다. 1925년 1월 20일 알바니아와 이탈리아 양국간 교역 거래에서 독점권을 얻는 조약이 맺어졌다.[471]

1928년 알바니아 공화국은 군주제로 다시 대체되었다. 조구는 국가 전체에 대한 자신의 직권을 확대하기 위해 도로 건설에 많은 집중을 쏟았다. 당시 16세를 넘은 모든 알바니아 남성은 국가에 매년 10시간의 노동 시간을 바쳐야 할 의무가 부여되었다.[471] 국왕이 된 조구는 보수적인 성향을 유지하였으나, 여러 개혁을 실행하기도 하였다. 그 일례로, 사회의 현대화를 위해 자신의 이름에 출신 지역의 이름이 들어가는 전통을 폐지하였다. 또한 조구는 국제 기구에 토지를 기부하여 학교와 병원을 짓게 하였다. 당시 군대는 이탈리아 장교들에 의해 훈련되었다. 조구는 균형을 위해 이탈리아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국가 헌병대에 영국 사무관들을 계속 유지하였다. 알바니아 왕정은 당시 파시스트 이탈리아 정부의 지지를 받고 있었으며 두 국가는 1939년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직전까지 가까운 외교관계를 유지하였다.

3. 8.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에 의해 군사적으로 점령된 후, 알바니아 왕국은 1939년부터 1943년까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이끄는 이탈리아의 보호국이자 속령이었다. 1941년 4월 추축국이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한 후, 코소보 대부분,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중부 세르비아의 투틴, 동부 몬테네그로 일부를 포함한 유고슬라비아 지역이 알바니아에 합병되었다. 이는 이 지역에 상당한 알바니아인 인구가 있었기 때문이다.[473] 1941년 11월, 소규모 알바니아 공산주의자들은 티라나에서 130명을 모아 알바니아 공산주의 정당을 창당하고, 엔베르 호자를 지도자로, 11명으로 구성된 중앙 위원회를 설립하였다.

1943년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나치 독일이 알바니아를 점령하였다. 당시 이탈리아에 적대적이었던 민족주의 단체 발리 콤페타르는 티라나에 "중립" 정부를 출범시키고, 독일군과 함께 공산주의 성향의 국가해방운동 단체를 배척하였다.[474] 당시 알바니아는 유럽에서 가장 황폐화된 국가 중 하나였다. 60,000가구 이상의 주택이 파괴되었고 전체 인구의 10%가 노숙자가 되었다. 공산 게릴라군은 재결성되어 1944년 1월에는 남부 알바니아 대부분을 통제했지만, 독일군의 공격 대상이 되어 일부 지역에서 철수해야 했다. 국가해방전선은 펄멧 회의에서 국가 해방 반파시스트 위원회를 구성하여 알바니아의 행정 및 입법기관으로 역할하도록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알바니아는 공산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이 갈등하는 내전 상태였다. 그러나 1944년 늦여름, 공산 게릴라군은 남부 알바니아에서 발리 콤페타르 군대를 몰아내었다. 11월 말, 독일 군대는 티라나에서 철수하였고, 공산 게릴라군이 티라나를 점령하였다. 게릴라군은 1944년 11월 29일을 기점으로 알바니아 전체를 독일 지배에서 해방시켰다. 공산주의자들은 10월 베라트에서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엔베르 호자를 총리로 임명하여 알바니아를 통치하기 시작하였다.

3. 9. 공산 정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공산당은 알바니아의 주요 군사 및 정치 세력으로 부상하여 북부 알바니아로 군대를 보내 잔존 민족주의 세력을 제거하려 했다. 공산당 군대는 니카이-메르투르, 두카진 산악 지대, 켈멘디 지역에서 프레 사히가 이끄는 게릴라군의 거센 저항에 직면했다.[475] 1945년 1월 15일, 타마라 교량에서 공산당 제1여단과 민족주의 세력 간 충돌이 발생, 민족주의 세력이 패배했다. 약 150명의 켈멘디 주민이 살해되거나 고문당했다.[476] 이 사건은 엔베르 호자 독재 정권의 여러 문제의 시작점으로, 당시 계급투쟁이 격화되고 자유와 인권이 철저히 무시되었다.[477] 켈멘디 지역은 이후 20년간 국경 고립, 도로 부족 등으로 고립되었고, 농업협동조합 시행 후 경제도 쇠퇴했다. 많은 켈멘디 주민들이 지역을 떠났고, 일부는 국경을 넘다 사형당했다.[477]

나치 독일 지배에서 해방된 후,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엔베르 호자알바니아 노동당이 국가를 이끌었다.[478] 왕정은 해체되고 인민공화국이 세워져 알바니아의 사회주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1947년, 알바니아 첫 철도가 완성되고, 몇 달 후 두 번째 철도 노선이 완공되었다. 새 토지 개혁법으로 토지 소유권이 실제 경작 농민과 노동자에게 할당되었다. 농업은 노동자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되었고, 농업 생산량도 증가하여 알바니아는 농업 자급자족 상태가 되었다. 1955년, 알바니아 성인 인구 중 문맹이 없어졌다.[479]

이 시기 알바니아는 산업화와 급격한 경제 성장을 겪었고, 교육과 의료 보급에서 진전을 보였다.[477] 알바니아의 평균 연례 국가 총소득 증가율은 세계 평균보다 29%, 유럽 평균보다 56% 높았다.[481] 알바니아는 1948년 유고슬라비아, 1961년까지 소련, 1950년대 중반부터 중화인민공화국과 채무 관계를 맺었다.[482] 공산주의 헌법은 개인에게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으나, 협동조합이나 단체에 세금을 부과하여 비슷한 징수 효과를 냈다.[483] 공산 정권 시기 종교의 자유는 축소되었고, 모든 숭배는 불법이었다. 1945년 8월, ''농업개혁법''으로 종교단체(대부분 이슬람 와크프) 소유 재산이 국유화되고, 수도원과 교구 토지도 몰수되었다. 울라마사제 등 많은 성직자들이 체포되거나 사형당했다. 1949년, 종교 단체 법령으로 모든 종교활동은 중앙정부 제재를 받게 되었다.[484]

수백 개 모스크와 수십 개 이슬람 서재가 파괴되고, 소장된 귀중 문서도 소각되었다. 1967년 엔베르 호자는 알바니아를 "세계 최초 무신론 국가"로 선포했다.[485][486] 교회 건물은 청년 문화 센터로 바뀌었다. 1967년 법률은 "파시스트, 종교, 전쟁주의, 반공산주의 활동과 프로파간다"를 금지했다. 설교는 3~10년 징역형이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비밀리에 종교활동을 계속했다. 호자 독재정권 반종교 정책은 10여 년 뒤 극단적 형태를 띠었다. "국가는 어떤 종교도 인정하지 않는다"고 1976년 헌법에 기술되었고, "인민의 과학적 물질 세계관 확립을 위해 무신론을 지지한다"고 했다.[486] 엔베르 호자의 정치 후계자 라미즈 알리아는 1980년대 후반 동구권 붕괴 시기 "호자주의" 정권 분열을 감독했다.

엔베르 호자의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수립은 현대 알바니아 역사에서 중요한 시대였다.[96] 호자 정권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받아들이고 종교 행위 금지, 여행 제한, 사유 재산권 폐지 등 권위주의 정책을 시행했다.[97] 지속적 숙청, 광범위한 탄압, 배신, 외부 영향 적대감으로 특징지어졌다.[97] 통치에 대한 반대나 저항은 내부 유배, 장기 투옥, 처형 등 가혹한 결과를 초래했다.[97] 정권은 빈곤, 문맹, 건강 위기, 성 불평등 등 어려움에 직면했다.[95] 호자는 경제, 사회 해방과 알바니아 산업 사회 변모를 목표로 근대화 계획을 시작했다.[95] 소련식 산업화를 통한 경제 다변화, 철도 시스템 도입 등 인프라 개발, 교육 및 의료 서비스 확장, 성인 문맹 퇴치, 여성 권익 신장 등 목표 달성에 우선순위를 두었다.[98][99][100][101]

호자 시대 알바니아 외교 역사는 갈등으로 특징지어진다.[86] 초기 유고슬라비아 위성국으로 동맹을 맺었지만, 유고슬라비아가 알바니아를 자국 영토에 편입하려 하자 관계가 악화되었다.[86] 이후 알바니아는 소련과 관계를 맺고 동유럽 국가들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지만, 소련 정책 의견 차이로 1961년 외교가 분리되었다.[86] 알바니아가 자유 선거를 거부하고 서방이 반공산주의 봉기를 지원했다는 주장으로 서방과 긴장이 고조되었다. 알바니아의 파트너는 중국이었으며, 중소 분쟁 중 베이징을 지지하여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소련과 관계를 단절하고 바르샤바 조약에서 탈퇴했다. 1970년 관계가 정체되고, 양측은 서로에 대한 헌신을 재평가, 알바니아는 중국 의존도를 줄였다.[86]

호자 정권 하 알바니아는 종교 지도자 대상 광범위한 운동을 겪었으며, 무슬림,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신자 대상 공개 박해와 처형이 이루어졌다.[86] 1946년 종교 재산 국유화, 종교 기관 폐쇄 또는 다른 목적으로 전환되었다.[86] 1976년 알바니아는 세계 최초 헌법적 무신론 국가가 되었다.[103] 정권 하 시민들은 종교 신념 포기, 세속적 삶 채택,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여야 했다.[86][103]

1944년 11월 29일, 알바니아 파르티잔과 소련군에 의한 전국 해방, 알바니아 노동당 중심 사회주의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1946년 1월 11일 왕정 폐지, 알바니아 인민공화국 수립 선포[384], 엔베르 호자 수반 공산주의 정권 성립. 1948년, 알바니아 노동당알바니아 노동당으로 개명.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코민포름 탈퇴로 유고슬라비아와 단교.

섬네일

호자 정권은 1961년 이후 스탈린 비판 소련을 “수정주의”라고 비난, 소련은 니키타 흐루쇼프가 제22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알바니아 비판, 중화인민공화국 저우언라이는 알바니아 옹호, 중소 대립(중소 노선 차이 명확).

섬네일과 엔베르 호자]]

소련과 대립하던 중화인민공화국에 접근, 대규모 원조. 이 시기 알바니아군은 중국 인민해방군 65식 군복 유사 군복 착용, 중국제 56식 자동소총과 복제품 ASh-78 제식 소총 채택, 59식 전차, J-6(항공기) 전투기 등 배치. 바르샤바 조약기구군 구성 주변국과 비교해도 이례적 군대. 1968년 바르샤바 조약기구 탈퇴, 소련 가상 적국 군사 정책. 영토 문제 이웃나라 유고슬라비아와도 요시프 브로즈 티토 “티토주의자” 규정, 대립. 국민 대부분 총기 보유 국민총병 정책은 현재 치안에 어두운 그림자. 1967년 중국 문화대혁명 자극 “무신 국가” 선언, 종교 활동 금지. 1976년 국내 전역 콘크리트제 토치카(석회석은 국내 자급 광산 자원) 대량 건설, 국내 무장 체제 강화. 호자 재임 중 50만 개 이상 토치카 건설, 현재도 일부 잔존. 1970년대 핵전쟁 상정 티라나 동쪽 산복에 방 106개, 면적 2685m2 대형 핵 대피소 건설.[385] 농업과 교육 중시, 문자 해독률 5%에서 98% 개선, 식량 자급 달성.[386] 같은 해, 국호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개칭.

1976년 마오쩌둥 사망, 중국 문화대혁명 종식, 1978년 덩샤오핑 개혁개방 노선 전환, 호자 중국 비판(중알 대립). 중국 원조 중단, 1980년대 유럽 최빈국 전락. 서유럽 좌파 정당 유로코뮤니즘 노선, 유고슬라비아 티토주의, 루마니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87] 비판, 호자 “알바니아는 세계 유일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선언[388][389], 알바니아 쇄국 상황[390] 초래. 체제 강화 목적 정부 고관 숙청, 호자 다음 2인자 메흐메트 셰후(Mehmet Shehu) 수상 1981년 자살.

국제적 고립 심화, “호자주의” 독자 이론, 알바니아 노동당 지지자들은 제3세계 좌파 마오쩌둥주의자 이데올로기적 승리. 일본공산당 (좌파), 브라질 공산당, 콜롬비아 인민해방군 등 호자 사상 공명, 마오쩌둥주의 전향 세력 등장.

1989년 전국 반정부 시위, 엔베르 호자 후계자 라미즈 알리아 1990년 개방 노선 전환. “소련의 붕괴”, “동유럽 혁명”, “유고슬라비아 분쟁” 참조.

이 기간 동안, 외교 관계 없던 일본과 1981년 국교 수립.

3. 10. 공산주의 붕괴 이후

1989년부터 시위가 일어났고, 1990년에 공산 정부는 자체 개혁을 도입했다. 1992년에는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이 해체되고 현재의 알바니아가 세워졌다. 1991년 총선에서 공산주의자들은 계속 지지를 받아 국회 다수석을 확보했다. 1992년 3월, 새롭게 펼쳐진 자유화 정책은 경제 붕괴와 사회 불안정으로 이어졌고, 새롭게 창당된 알바니아 민주당이 권력을 잡았다. 이후 여러 해 동안 알바니아 내 대부분의 부는 당시 정부가 지지했던 피라미드 형태의 폰지 사기에 투자되었다. 이 제도는 당시 알바니아 인구의 1/6에서 최대 1/3까지 확대되었다.[487][488] 1996년 말 국제 통화 기금의 경고에도 당시 알바니아 대통령 살리 베리샤는 은행 제도를 거대 투자회사로 옹호하며 더 많은 국민들이 집과 가축을 팔아 은행 계획에 저축하도록 했다.[489]

은행 계획은 1996년 말 붕괴하기 시작했고, 많은 투자자들이 투자금 환수를 위해 평화시위를 벌였다. 시위는 1997년 2월 정부군이 발포로 대응하면서 폭력적으로 변질되었다. 같은 해 3월, 경찰과 수비대원들이 무기고를 개방해 둔 채 철수했고, 무기고는 시민군과 범죄 단체들의 차지가 되었다. 이 국가 위기로 외국 국민들과 피난민들이 알바니아를 떠났다.[490]

당시 알렉산더 멕시 총리는 국가 위기로 1997년 3월 11일 사임했고, 6월에 열린 보통 선거 이후 7월에는 살리 베리샤 대통령이 사임했다. 1997년 4월, 이탈리아가 이끄는 UN 평화유지군이 알바 작전을 실행하여 알바니아에 진입했다. 이 작전은 국외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와 국제 기구의 기반 유지를 위한 것이었다. 서유럽 연합 국가들이 주도하여 알바니아 정부와 함께 사법제도와 알바니아 경찰을 재정비했다. 알바니아 사회당은 1997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알바니아에 정치적 안정 상태를 가져왔다. 1999년, 알바니아는 코소보 전쟁의 영향을 받아 많은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피난해 왔다.

1991년에 국호를 "알바니아 공화국"으로 바꾸었다. 라미즈 아리아는 경제 개방과 함께 정당 결성을 허용했지만, 국내 혼란을 억제하지 못하고 1992년 총선거를 통해 전후 최초의 비공산 정권이 탄생했다. 민주화 이후의 살리 베리샤 정권은 공산주의 시대 잔재 청산, 시장경제 도입, 외국 원조 도입 등을 정책화하여 국제 사회 복귀를 가속화했다. 그러나 시장경제 이행 후인 1990년대에 다단계 사기가 유행하여 1997년 다단계 사기 파탄으로 국민 3분의 1이 전 재산을 잃었고, 취약했던 알바니아 경제는 순식간에 파탄에 이르렀다(알바니아의 다단계 사기). 많은 시민들이 항의를 위해 거리로 나섰고, 사기로부터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폭도화되어 정권이 전복되고 무질서 상태가 되는 폭동이 발생했다(1997년 알바니아 폭동).

폭동 발생으로 인해 폭동 진압을 위한 타협안으로 같은 해에 총선거가 실시되어 알바니아 노동당을 전신으로 하는 알바니아 사회당이 여당이 되어 일단 진정되었지만, 아직까지 그 여파가 남아 있다고도 한다. 2005년 9월 총선거에서 민주당이 56석을 확보하여 제1당이 되었고, 18석을 확보한 국민전선, 4석의 환경농민당, 2석의 인권당 연합과 연정을 구성하여 민주당의 살리 베리샤를 다시 정권에 복귀시켰다. 사회당은 42석을 획득하여 최대 야당이 되었다.

2007년 대통령 선출은 입후보자가 없어 5차례나 기한이 연장되었다. 살리 베리샤는 대통령 선거를 직접 선거제로 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2007년 대통령 선거에는 적용되지 못했다. 사회당 당수인 에디 라마는 총선거를 실시하여 국민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여론은 이를 지지하지 않았다.

결국 민주당 부의장인 바밀 토피와 사회당 전 당수인 파토스 나노가 입후보를 표명했지만, 사회당은 나노를 지지하지 않고 불참 전술을 사용했다. 토피가 어느 선거에서든 승리했지만, 득표수가 정족수에 미치지 못해 취임할 수 없었다. 또한 제3차 선거에는 민주연합당의 네리탄 세카가 출마하여 돌파구에 대한 기대에서인지 표를 얻었지만, 제4차 선거에서는 의회 공전을 종결시키기 위해 입후보를 취소하고 토피를 지지했다. 그 결과, 출석 90명, 득표 85표로 바밀 토피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파토스 나노는 사회당을 탈당하고 연대행동당을 결성했다.

2009년 4월 28일, 베리샤 수상은 프라하를 방문하여 유럽 연합(EU) 의장국 체코의 미렉 토포라네크 수상에게 EU 가입을 신청했다. 2014년 6월부터 EU 가입 후보국이다.

알바니아 노동당(1991년 사회당으로 당명 변경)이 냉전 시대 내내 일당 독재를 하는 공산주의 체제였으나, 1990년부터 동유럽 민주화의 영향을 받아 대외 개방과 다당제 도입 등 민주화를 시작했다. 1991년 첫 총선거에서 사회당이 연립으로 정권을 유지했으나, 이듬해 1992년 3월 총선거에서 알바니아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세력이 대승을 거두었다. 이에 따라, 제1서기에서 대통령이 된 람 아지아는 그 직을 사임했다. 민주당의 살리 베리샤가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6년 재선. -- 1997년 1월 국민 대부분이 가입했던 다단계 회사의 파산을 원인으로 알바니아 폭동이 발생했다. 6월 의회 선거 결과를 받아 7월 살리 베리샤는 사임했다. 사회당의 Rexhep Meidani|레제프 메이다니영어를 대통령으로 하여 사회당 정권이 수립되었다. 2001년 총선거에서 사회당은 73석을 획득하여 6할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통령에는 민주당의 알프레드 모이시우가 취임했으나, 여전히 사회당 내각이 계속되었다.

현재, 알바니아에는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민주당, 녹색당, 사회민주당, 인권당 연합 등 10여 개의 정당이 있다.

2012년에는 그리스의 극우 정당 황금새벽당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며, 코소보와의 연합 국가 형성을 주장하는 극우 정당 적흑연합이 결성되었다. 2013년 6월 총선거에서 동당은 투표 총수의 0.59%에 해당하는 1만 196표를 얻었지만, 의석 획득은 하지 못했다.

3. 11. 오늘날

1989년 혁명 이후, 알바니아는 서구화를 향해 적극적으로 나아가며 서유럽 국가들과 긴밀한 외교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110] 유럽 연합(EU)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을 목표로 삼았다.[110] 2008년 부쿠레슈티 정상 회담에서 NATO 가입 초청을 받았으며, 2009년 NATO에 가입하여 동남유럽 국가 중 선구적인 성과를 거두었다.[111][112] 2014년 4월에는 NATO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알바니아는 동남유럽 국가 중 평화 프로그램 파트너십을 체결한 첫 국가 중 하나였다.

알바니아는 2010년 브뤼셀에서 열린 NATO 본부 정상회의에 참가하였다.


2009년 4월 28일 EU 가입을 공식 신청했고,[113] 2014년 6월 정식 후보국 지위를 얻었다.[114] 그러나 유럽 연합은 알바니아의 정회원국 가입 신청을 두 번 거절했다.[491] 2017년 초 유럽 의회는 알바니아 정부 지도자들에게 2017년 총선이 자유롭고 공평하게 치러져야 EU 가입을 긍정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492]

에디 라마가 이끄는 사회당은 2013년과 2017년 총선에서 승리했다. 총리로서 그는 경제 근대화와 사법부, 법 집행 등 국가 기관 민주화에 중점을 둔 개혁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실업률이 꾸준히 감소하여 알바니아는 발칸 지역에서 4번째로 낮은 실업률을 기록했다.[115] 라마 총리는 젠더 평등을 주요 의제로 삼아, 2017년 이후 장관의 거의 50%가 여성이 되었는데, 이는 알바니아 역사상 가장 많은 여성 장관 수이다.[116] 2021년 총선에서 라마가 이끄는 사회당은 3연속 승리하며 거의 절반의 득표율과 단독 정부 구성에 충분한 의석을 확보했다.[117][118]

2019년 11월 26일, 규모 6.4의 지진이 마무라스 마을 남서쪽 약 16km 지점을 진앙으로 하여 알바니아를 강타했다.[119] 이 지진은 티라나, 이탈리아 타란토, 세르비아 벨그라드 등에서도 감지되었으며, 해안 도시 두르러스와 코더르-투마네 마을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120] 알바니아 디아스포라와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상당한 인도적 지원이 이루어졌다.[121]



2020년 3월 9일, 코로나19 확산이 확인되었다.[122][123] 2020년 3월부터 6월까지 정부는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24][125][126] 백신 접종은 2021년 1월 11일에 시작되었지만, 2021년 8월 11일 기준 접종된 백신 총량은 1,280,239회분이었다.[127][128]

2024년 9월 21일, 라마 총리가 티라나 내에 베크타시 수피교단을 위한 주권 소국인 베크타시 교단의 주권 국가를 창설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왔다.[129]

4. 자연환경

알바니아는 동남유럽에 위치하며, 면적은 28748km2이다.[130] 몬테네그로,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그리스와 국경을 접하고, 아드리아해이오니아해에 면해 있으며 해안선 길이는 476km이다.[493]

국토의 70%가 산악 지대로, 코라브 산(해발 2764m)이 최고봉이다. 알바니아 알프스, 코랍 산맥, 핀두스 산맥, 케라우니아 산맥, 스칸데르베그 산맥 등 광대한 산맥이 뻗어 있다.

해안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 내륙은 고도에 따라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1500m 이상 고지대는 춥고 눈이 자주 내린다. 발칸반도에서 가장 크고 깊은 슈코더르호, 오흐리드호, 부트린트 호 등 3곳의 구조호와 드린강, 브요사 강 등이 있다.

2020년 기준 산림 면적은 국토의 약 29%(788,900ha)이며, 자연 재생된 숲 중 11%는 원시림이다.[134][135]

아드리아해이오니아해에 인접한 해안 지역과 발칸산맥 고원 지대 등은 알바니아의 다양한 기후에 영향을 준다. 해안 저지대는 지중해성 기후, 고원 지대는 지중해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저지대는 온화한 겨울과 더운 여름이 특징이며, 남부 저지대는 연중 더 따뜻하다. 내륙은 고도에 따라 기온이 달라지며, 산악지대는 겨울이 춥고 여름은 일교차가 크다. 연중 강수량은 높은 편이다.

알바니아의 기후는 위도, 경도, 고도에 따라 다양하며,[136][137] 뚜렷한 사계절을 가진 지중해성 기후대륙성 기후가 나타난다.[138] 서쪽은 지중해성 기후와 습윤 아열대 기후, 동쪽은 해양성 기후, 습윤 대륙성 기후, 아한대 기후 등 다양한 기후 유형을 보인다.[139] 연평균 기온은 -1°C~21.8°C이며, 겨울철 강수량이 많고 여름철에는 적다.[137]

알바니아는 작은 국토에도 풍부한 생태자원을 보유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조건으로 3250종 이상의 식물이 서식한다. 이는 유럽 전체 식물 자원의 약 30%에 해당한다. 국토의 30% 이상이 숲이며, 약 3,000여 종의 식물이 자란다. 해안과 저지대는 지중해 마키 관목, 고지대는 참나무 숲, 1800m 이상 고산 지대는 초원이 나타난다.[495]

일리리아 낙엽수림, 핀두스산맥 혼합림, 디나르알프스산맥 등 3개의 생태 지역으로 나뉘며, 회색늑대, 곰, 멧돼지, 알프스산양, 스라소니속, 들고양이 등 다양한 포유류와 희귀종이 서식한다. 760여 종의 척추 동물(350종 이상의 조류, 330종 이상의 어류, 80종 이상의 포유류)과 91종의 국제 멸종 위기종이 발견되었다.

지중해 중심부에 위치한 알바니아는 기후, 지질, 수문 조건의 다양성으로 생물다양성이 뛰어나다.[144][145] 산과 언덕에는 유럽산들고양이(Balkan lynx), 갈색곰, 야생고양이, 회색늑대, 붉은여우, 황금자칼, 이집트독수리, 황금독수리 등이 서식한다.[146][147][148][149]

하구, 습지, 호수는 큰홍학, 왜가리, 달마티아펠리컨에게 중요하며,[150] 지중해흰수염물범, 붉은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해안에서 번식한다.

약 3,500종의 식물이 발견되며, 주로 지중해와 유라시아 특징을 보인다. 최소 300종의 식물이 허브와 약재 제조에 사용되며,[153] 숲은 전나무, 참나무, 너도밤나무, 소나무가 주를 이룬다.

4. 1. 지리

미국 항공우주국 테라 위성이 촬영한 우주에서 바라본 알바니아의 모습.


남부 알바니아에 위치한 카라부룬 반도, 이 지점에서 아드리아 해와 이오니아 해가 만난다.


알바니아 알프스 산맥은 디나르 알프스 산맥의 연장이자 동시에 가장 높은 부분이다.


알바니아 지도


알바니아는 동남유럽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8748km2이다.[130] 북서쪽으로는 몬테네그로, 북동쪽으로는 코소보, 동쪽으로는 북마케도니아, 남쪽으로는 그리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서쪽으로는 아드리아해, 남서쪽으로는 이오니아해와 접하며, 해안선의 길이는 476km이다.[493] 북위 42°~북위 39°와 동경 21°~동경 19° 사이에 위치한다. 가장 북쪽 지점은 베르모시(Vërmosh, 북위 42° 35' 34"), 가장 남쪽 지점은 코니스폴(Konispol, 북위 39° 40' 0"), 가장 서쪽 지점은 사잔섬(Sazan Island, 동경 19° 16' 50"), 가장 동쪽 지점은 베르니크(Vërnik, 동경 21° 1' 26")이다.[131]

알바니아 국토의 70%는 산악 지대로, 해발 2764m의 코라브 산이 최고봉이다. 동서 길이는 148km, 남북 길이는 약 340km이다. 북쪽의 알바니아 알프스, 동쪽의 코랍 산맥, 남동쪽의 핀두스 산맥, 남서쪽의 케라우니아 산맥, 중앙의 스칸데르베그 산맥 등 광대한 산맥이 뻗어 있다.

해안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내륙 지역은 고도에 따라 다른 기후 분포를 보인다. 1500m 이상의 고지대는 매우 춥고 겨울에는 눈이 자주 내린다.

알바니아에는 발칸반도에서 가장 크고 깊은 3곳의 구조호가 있다. 북서부에 위치한 슈코더르호는 면적의 1/3이 알바니아에 속하며, 호수선의 길이는 57km이다. 남동부에 위치한 오흐리드호유네스코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살아있는 화석"과 많은 고유종 등 풍부한 생태자원이 있다. 이외에 부트린트 호 등의 작은 구조호가 있으며, 부트린트 호는 부트린트 국립공원에 위치한다. 알바니아는 13개의 섬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매우 작다.

강들은 대부분 동쪽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와 이오니아해로 흘러든다. 알바니아에서 가장 긴 강은 드린강이며, 특히 브요사 강은 유럽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온전한 대규모 강 시스템 중 하나로 중요하다.

2020년 기준 알바니아의 산림 면적은 전체 토지 면적의 약 29%인 788,900 헥타르(ha)이며, 자연적으로 재생된 숲 중 11%는 원시림으로 보고되었다.[134][135]

4. 2.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알바니아 기후도.


크사밀은 지중해성 기후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아드리아해이오니아해에 맞닿아 있는 해안 지역, 발칸산맥에 자리잡고 있는 고원 지대, 그리고 위치한 위도 등의 요인으로 알바니아는 다양한 기후구와 기후 분포를 보인다. 해안 저지대는 대부분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고원 지대는 지중해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저지대와 내륙 지대 모두 남북으로 다양한 날씨 분포를 보인다. 저지대는 겨울에 온화하여 평균 기온이 7°C 정도이며, 여름에는 평균 24°C 정도이다. 남부 저지대는 연중 평균 기온이 5°C 정도 더 높다. 기온 차이는 여름에 5°C 이상일 수 있으며, 겨울에는 이보다 적을 수 있다.

내륙 지방의 기온은 위도보다 고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산악지대의 겨울 기온이 낮은 것은 남동유럽 날씨를 지배하는 대륙성 기단의 작용 때문이다. 북풍 또는 북동풍이 때때로 분다. 여름 평균 기온은 해안 지역이 낮고 고지대일수록 더 낮으나, 일교차가 심하다. 내륙 지방의 유역과 강기슭은 낮 온도가 매우 높지만, 밤에는 대체로 시원하다. 연중 강수량은 높은 편인데, 이는 지중해에서 올라오는 기류와 대륙성 기단이 합쳐진 결과이다.

프로클레티예산맥아극 기후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기류와 기단이 주로 상승하는 지역에서 만나기 때문에 중부 고지대에 큰비가 자주 내린다. 지중해 대기가 융기할 때 수직 기류가 발생하여 잦은 뇌우(雷雨)를 볼 수 있다. 대부분 뇌우는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다. 대륙성 기단이 약해지면 지중해 바람이 내륙에 수증기를 몰고 오고, 강할 때는 차가운 대기가 저지대에 깔리는데, 겨울에 종종 발생한다. 낮은 기온은 올리브와 감귤류 경작에 손상을 주므로, 겨울 기온이 높은 곳에서도 과수원은 서향 또는 남향의 하우스 재배가 권장된다. 저지대의 연 강수량은 1000mm에서 1500mm 정도이며, 북부가 더 높다. 연 강수량의 95% 정도가 겨울에 내린다.

고지대 산맥에는 큰비가 내린다. 정확한 현황은 기록되지 않았으나, 연 강수량은 대략 1800mm에서 최대 2550mm로 추정된다. 서부 프로클레티예산맥 (보가 계곡)은 유럽에서 가장 습윤한 지역 중 하나로, 연 강수량이 3100mm이다.[494] 계절 변화는 연안 지대만큼 크지 않다. 더 높은 내륙 산악 지대는 중간 고지대보다 강수량이 적다. 지형 차이가 다양한 지역 기후 분포를 형성하나, 계절적 분포는 가장 균일하다. 2009년 콜로라도 대학교 탐험대는 북부 알바니아의 ''저주받은'' 산맥에서 4개의 작은 빙하를 발견했다. 빙하는 2000m 고도로, 남쪽 위도에서는 드문 일이다.

알바니아의 기후는 위도, 경도, 고도 차이로 인해 매우 다양하고 변화무쌍하다.[136][137] 알바니아는 뚜렷한 사계절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대륙성 기후를 경험한다.[138]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르면, 서쪽 절반은 지중해성 기후와 습윤 아열대 기후, 동쪽 절반은 해양성 기후, 습윤 대륙성 기후, 아한대 기후 등 다섯 가지 주요 기후 유형을 포함한다.[139] 아드리아해와 이오니아해 연안은 가장 따뜻하며, 알바니아 알프스와 코랍 산맥을 포함하는 북부와 동부 지역은 가장 춥다.[142] 연평균 월별 기온은 겨울철 -1°C에서 여름철 21.8°C까지 다양하다. 1973년 7월 18일 쿠초버(Kuçovë)에서 최고 기온 43.9°C가, 2017년 1월 9일 리브라즈드(Librazhd) 슈틸레(Shtyllë)에서 최저 기온 -29°C가 기록되었다.[140][141]

알바니아는 겨울철에 강수량 대부분을 받고, 여름철에는 적다.[137] 평균 강수량은 약 1485mm이다.[142] 연평균 강수량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600mm에서 3000mm 범위이다.[138] 북서부와 남동부 고지대는 강수량이 많고, 북동부와 남서부 고지대 및 서부 저지대는 적다.[142] 북쪽 끝 알바니아 알프스는 유럽에서 가장 습한 지역 중 하나로, 연간 최소 3100mm 강우량을 기록한다.[142] 이 산맥에는 2000m의 낮은 고도에서 네 개의 빙하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남쪽 위도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다.[143]

4. 3. 동식물

작은 국토에도 불구하고, 알바니아는 풍부한 생태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알바니아의 다양한 지형, 기후 조건은 다양한 생태계의 조성을 가능케 하였다. 알바니아에 존재하는 식물은 3250종 이상으로, 유럽 전체의 식물 자원의 약 30%에 해당한다.

알바니아 국토의 30% 이상에 해당하는 10000km2 면적이 숲으로 뒤덮여 있으며 풍부한 식물군이 그 안에 분포되어 있다. 알바니아에는 약 3,000여 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이 중 많은 식물이 약용으로 쓰이고 있다. 알바니아는 식물지리학적으로 아한대(亞寒帶) 자연계, 지중해 분지, 북반구고위도 지역의 일리리아 지방에 속한다. 해안 지역과 저지대에는 전형적인 지중해 마키 관목들이 자라고 있으며 고지대에서는 참나무 초목과 숲을 볼 수 있다. 고산 (高山) 지대에는 유럽곰솔, 너도밤나무 그리고 전나무속으로 뒤덮인 광대한 숲이 자라고 있으며 1800m 이상의 고지대에서는 고산 초원이 자리잡고 있다.[495]

세계 자연 기금과 유럽 환경청이 발행한 유럽 환경 디지털 지도에 따르면, 알바니아는 일리리아 낙엽수림, 핀두스산맥 혼합림 그리고 디나르알프스산맥의 3개의 생태 지역으로 나뉜다. 수림 내에는 회색늑대, 곰, 멧돼지 그리고 알프스산양 등의 다양한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다. 스라소니속, 들고양이, 유럽소나무담비 그리고 긴털족제비 등의 희귀종도 알바니아의 일부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알바니아에는 현재까지 760여 종의 척추 동물이 발견되었다. 그 중 350종 이상의 조류, 330종 이상의 어류, 80종 이상의 포유류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다새, 난쟁이가마우지, 유럽 바다철갑상어를 포함하는 91종의 국제 멸종 위기종이 알바니아에서 발견되었다. 알바니아 남부의 해안 바위 지대는 멸종 위기의 지중해몽크물범에게 좋은 서식지가 되어주고 있다. 알바니아의 상징이기도 한 검독수리, 그리고 콘도르, 웨스턴캐퍼케일리, 다양한 기러기목을 포함한 중요한 조류종들이 알바니아에 서식하고 있다.[496] 알바니아의 수림은 큰곰, 회색늑대, 알프스산양 그리고 멧돼지의 포유류가 밀집되어 있다.[495] 알바니아의 북부와 동부 지역에는 스라소니 중에서도 굉장히 희귀하여 마지막 남은 발칸 스라소니가 서식하고 있다.[497]

생물다양성 핫스팟인 알바니아는 지중해 중심부에 위치하고 기후, 지질, 수문 조건의 다양성이 뛰어나 매우 풍부하고 대조적인 생물다양성을 지니고 있다.[144][145] 오지인 알바니아의 산과 언덕에는 다양한 동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숲, 나무, 풀이 자라고 있으며, 그중에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두 종인 유럽산들고양이(Balkan lynx)(링크스)와 갈색곰을 비롯하여 야생고양이, 회색늑대, 붉은여우, 황금자칼, 이집트독수리, 그리고 알바니아의 국조인 황금독수리가 서식한다.[146][147][148][149]

하구, 습지, 호수는 큰홍학, 왜가리, 그리고 알바니아에서 매우 희귀하고 상징적인 새인 달마티아펠리컨에게 매우 중요하다.[150] 특히 지중해흰수염물범, 붉은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알바니아 해안과 해변에서 번식한다.

식물지리학적으로 알바니아는 북극권에 속하며, 구체적으로는 순환북극지역과 지중해 분지일리리아 지역에 걸쳐 있다. 알바니아의 영토는 구북구의 일리리아 낙엽수림, 발칸 혼합림, 핀두스 산맥 혼합림, 디나르 알프스 혼합림의 4개의 육상 생태계 지역으로 세분될 수 있다.[151][152]

알바니아에서는 약 3,500종의 식물이 발견되는데, 이는 주로 지중해와 유라시아의 특징을 나타낸다. 알바니아는 활기찬 허브와 약초 사용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소 300종의 현지 식물이 허브와 약재 제조에 사용된다.[153] 숲의 나무는 주로 전나무, 참나무, 너도밤나무, 소나무이다.

5. 사회

2016년 티라나 LGBT+ 프라이드


알바니아 농촌 지역 여성의 약 60%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폭력을 당하고 있으며, 약 8%는 성폭력 피해자이다.[377] 보호 명령이 자주 위반되는 상황이며, 2014년 알바니아 헬싱키 위원회(AHC)는 여성 살인 피해자 수가 여전히 높다고 보고했다.[377] 차별 금지 위원은 여성을 차별하는 가족 등록법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는데, 이는 대부분 남성인 가정의 가장이 배우자의 허락 없이 가족 거주지를 변경할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377]

2015년, ILGA-유럽(ILGA-Europe)은 알바니아의 LGBT 권리 순위를 조사 대상 유럽 국가 49개국 중 19위로 평가했다.[378] 그러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진전 부족으로 알바니아는 유럽 49개국 중 28위를 기록했다.[379]

5. 1. 인구

지난 60년간 알바니아 인구 변화


2023년 알바니아 통계청(INSTAT)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알바니아 인구는 2,402,113명으로, 2011년 조사(2,821,977명)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이러한 인구 감소는 알바니아 공산 정권 붕괴 이후 정치, 경제, 사회 구조의 변화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주요 원인은 출산율 감소와 이민 증가이다.[498][499][503][293] 향후 최소 10년 동안 인구 감소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알바니아의 인구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83.6명이며, 지역별 편차가 크다.[294] 티라나와 두르러스에 인구가 집중되어 전체 인구의 약 41%(티라나 32%, 두르러스 9%)를 차지하는 반면, 지로카스터와 쿠케스는 인구 밀도가 낮아 각각 전체 인구의 3%에 불과하다.

역사적으로 알바니아인들은 남유럽 여러 지역에 공동체를 이루었다. 알바니아 디아스포라는 중세 후기 사회, 정치적 어려움이나 오스만 제국의 알바니아 정복을 피해 형성되었다.[295] 공산주의 붕괴 후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스위스, 영국, 미국 등으로 이주했다. 알바니아 소수 민족은 북마케도니아 서부, 몬테네그로 남동부, 코소보 전역, 세르비아 남부 등 이웃 지역에 거주한다. 해외 거주 알바니아계 주민 수는 알바니아 내 인구보다 많으며, 알바니아는 인구 대비 해외 이주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296][297] 2022년 출산율은 2021년보다 20% 낮았는데, 이는 주로 출산 연령 여성의 이민 때문이다.[298]

알바니아의 공식 인정 국가 및 문화적 소수 민족은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마케도니아인, 몬테네그로인, 세르비아인, 로마인, 이집트인, 보스니아인, 불가리아인, 고라니족, 유대인이다.[325][326] 2023년 인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족인구비율(%)
알바니아인2,186,91791.04
그리스인23,4850.98
마케도니아인2,2810.09
몬테네그로인5110.02
아르메니아인2,4590.1
로마인9,8130.4
발칸 이집트인12,3750.5
보스니아인2,9630.12
세르비아인5840.02
불가리아인7,0570.29
혼혈7700.03
기타3,7980.15
인종 미상134,4515.60
총계2,402,113100



소수 민족들은 공식 통계에 이의를 제기하며 더 높은 비율을 주장한다. 그리스 정부는 약 30만 명의 그리스계 주민이 있다고 주장했고,[327][328][329][330][331] CIA 월드 팩트북은 그리스 소수 민족이 0.9%,[332] 미국 국무부는 그리스인 1.17%, 기타 소수 민족 0.23%로 추산한다.[333] 2011년 인구 조사는 보이콧의 영향으로 그리스 소수 민족 자료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334]

알바니아는 국토 북부와 남부에서 언어와 풍습에 차이를 보인다. 남부에는 그리스인, 국경 근처에는 마케도니아인과 몬테네그로인도 있다.

5. 2. 도시 환경

알바니아 전체 인구의 53.4%는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알바니아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3곳의 도시 인구가 알바니아 전체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티라나두러스에 거주하며, 두 곳은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도시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518] 알바니아의 수도 티라나발칸반도에서 7번째로 큰 도시이며 약 800,000여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519] 알바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는 항구 도시인 두러스로, 201,110명 정도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외에 알바니아 남부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인 블로러에 약 141,513명의 거주자가 있다.

알바니아 도시 인구 순위 (알바니아 통계국 2011년 기준)[520]

순위도시인구
1티라나418,495
2두러스113,249
3블로러79,513
4슈코더르78,703
5엘바산77,075
6피에르55,845
7코르처51,152
8베라트32,606
9루슈녀31,105
10포그라데츠20,848
11카바여20,192
12지로카스터르19,836
13사란더17,233
14라치17,086
15쿠커스16,719
16파토스15,937
17레저15,510
18페슈코피13,251
19쿠초버12,654
20크루여11,721


5. 3. 언어

알바니아어는 알바니아의 공용어이다.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의 영향을 받아 표준 언어와 문법을 구성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토스크 방언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슈쿰빈강을 경계로 게그 방언과 토스크 방언을 쓰는 지역이 나뉜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그리스 방언을 알바니아 내 그리스인 거주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알바니아 내 소수민족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로는 아로마니아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 보스니아어, 불가리아어, 고라 방언, 롬어 등이 있다.[521] 마케도니아어는 푸스테크 행정구역의 공용어이다.

남부 알바니아의 알바니아어 (상단), 그리스어 (하단) 양국 언어로 표시된 도로 표지판.


알바니아인들은 여러 언어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민과 식민 지배의 역사로 인해,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은 2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최근 해외 거주자의 귀환과 알바니아 내 그리스인, 이탈리아인 공동체의 영향으로 영어, 이탈리아어, 그리스어 등이 알바니아에서 널리 쓰이는 외국어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 그리스어는 알바니아에서 두 번째로 자주 쓰이는 언어로, 알바니아 전체 가구의 2/3이 가정 내에 그리스어 능통자를 보유하고 있다.[522][523] 국제프랑코포니기구는 알바니아에 320,000명 정도의 프랑스어 능통자가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 외에도 세르비아어, 루마니아어, 독일어, 터키어, 아로마니아어 등이 알바니아 내에서 쓰이고 있다. 코소보와 마케도니아 등지에 살고 있는 알바니아인들도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 터키어, 슬라브 마케도니아어, 유고슬라비아 언어 등에 능통하다. 이탈리아에는 토스크 방언(알바니아 남부에서 주로 쓰임)에 기반한 아르베레쉬라는 언어가 존재하며, 칼라브리아주, 몰리세주, 풀리아주, 바실리카타주, 캄파니아주, 아브루초주, 시칠리아 등 이탈리아 남부 지역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아르베레쉬 언어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으나 서로 이해하기 쉽지 않은 점이 있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2,765,610명(알바니아 전체 인구의 98.767%)이 자신의 모어를 알바니아어로 밝혔다.[520]

5. 4. 종교

샤를리 에브도 테러 추모 시위 당시 알바니아 주요 4대 종파 지도자들 (왼쪽부터 이슬람 수니파, 동방 정교회, 벡타시교, 가톨릭 대표)의 모습.


알바니아는 세속 국가이며, 헌법에 종교, 신앙, 양심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다.[335] 2023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수니파 이슬람 신자가 45.86%(1,101,718명),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가 8.38%(201,530명), 동방 정교회 신자가 7.22%(173,645명), 베크타시파 신자가 4.81%(115,644명), 복음주의 신자가 0.4%(9,658명), 기타 종교 신자가 0.15%(3,670명)이다. 교파 없이 신앙을 가진 사람은 13.82%(332,155명), 무신론자는 3.55%(85,311명), 무응답자는 15.76%(378,782명)였다.

알바니아는 세계에서 가장 종교적이지 않은 국가 중 하나로, 인구의 39%만이 종교가 삶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336][337]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56%는 자신을 종교적, 30%는 비종교적, 9%는 확신하는 무신론자라고 답했으며, 80%는 신을 믿는다고 했다.[348]

알바니아의 이슬람 신자들은 전국에 분포하며, 알바니아의 정교회와 베크타시파 신자들은 주로 남부에, 알바니아의 가톨릭 신자들은 주로 북부에 거주한다.[339] 2008년에는 알바니아에 가톨릭 교회 694개, 동방 정교회 교회 425개, 모스크 568개, 베크타시파 테키예 70개가 있었다.[340][341]

근현대사 동안 알바니아는 공화국, 군주국, 공산 정권을 거치며 종교를 공식 기능과 문화 생활에서 분리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알바니아는 공화국이나 왕국으로서 공식 종교를 가진 적이 없다. 20세기에는 모든 종교 성직자들이 군주제 하에서 약화되었고,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국가 정책에 따라 모든 조직적인 종교가 근절되었다. 알바니아의 공산주의 정권은 종교를 반종교적으로 금지하고 무신론 국가를 선포했으나, 알바니아 공산주의 붕괴 이후 종교의 자유가 회복되었다.

이슬람은 공산주의 시대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현대 알바니아에서 실천되는 종교로 재등장했다.[342] 복음주의세대주의를 포함한 여러 프로테스탄트 공동체,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등도 알바니아에 존재한다.[343][344][345][346] 알바니아 최초의 기록된 프로테스탄트는 사이트 톱타니로, 유럽 여행 후 1853년 티라나로 돌아와 프로테스탄티즘을 전파했다. 최초의 복음주의 프로테스탄트는 19세기에 나타났고, 복음주의 연합은 1892년에 설립되었다. 현재는 서로 다른 프로테스탄트 교파의 160개 회원 교회가 있다. 공산주의 붕괴 후 이스라엘로 대규모 이민이 이루어진 후, 알바니아에는 알바니아의 유대교 신자 200명만 남았다.[347][348]

티라나(Tirana)의 에트헴 베이 모스크(Xhamia e Et'hem Beut)


1967년 알바니아 공산당 정부는 “무신 국가”를 선포했다.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에서는 모스크바(Moskva)의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 폭파(1931년)나 문화대혁명 등 종교 탄압이 있었지만, 이들 국가에서도 종교 단체와 종교 활동은 제한적으로 허용되었다.

그러나 알바니아는 1967년 국내외에 “세속 국가”를 선포하며 모든 종교를 금지했다. 이는 엔베르 호자(Enver Hoxha)의 스탈린주의 성향, 작은 국토 면적과 인구, 1970년대 폐쇄 국가 체제 돌입 등의 요인 때문이었다. 1970년대 이후 알바니아의 종교 상황은 불명확해졌다.

1990년 종교의 자유가 인정된 후, 현재는 많은 사람들이 온건하고 세속적인 무슬림[382], 정교도, 가톨릭 신자이며, 다른 종교 신자 간의 결혼도 제약이 없다. 최근에는 특별히 믿는 종교가 없다는 사람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5. 5. 교육

알바니아의 공산정부 붕괴 이후, 1990년 알바니아 정부는 의무 교육 기간을 8년에서 10년으로 확대하는 조직 개편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듬해, 알바니아에 경제, 정치 위기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공공 질서가 와해되고 학교 제도는 혼란에 빠졌다. 당시 만연했던 기물 파손과 교육 자재 부족은 학교 운영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쳤고, 이탈리아와 주변 국가의 물자 지원을 받아야만 했었다.[539] 1990년대 후반, 많은 학교들이 재건축되며 교육 환경이 점차 개선되었다. 대부분의 환경 개선은 티라나, 두러스, 슈코더르 등의 대도시에서 이루어졌다.

티라나 대학교는 알바니아 최고의 대학기관이다.


알바니아 예술대학교(University of Arts)는 예술 연구에 전념하는 가장 큰 고등 교육 기관이다.


알바니아의 초등교육 (''arsimi fillorë''), 중등교육 (''arsimi i mesëm''), 고등교육 (''arsimi universitarë'')은 정부 지원으로 운영된다. 학년 제도는 미국과 비슷하게 2학기제이며, 한 학년은 9월 혹은 10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6월이나 7월에 끝난다. 모든 공립 학교에서는 알바니아어로 수업을 진행한다.[539] 교육 제도는 초등 교육, 중등 교육, 예비 대학 과정의 세 단계로 나뉜다. 초등 교육은 1학년부터 9학년까지 의무 교육이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중등 교육까지 진학한다. 학생들은 9학년 학기말에 치르는 졸업 시험에 통과해야 교육을 계속할 수 있으며, 중등 학교 졸업 시험에 합격해야 졸업증을 받고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알바니아 정부는 2007년 ''고등교육법''에 따라 볼로냐 프로세스를 준수하며, 이를 준수한 고등 교육기관들은 공립 혹은 사립으로, 기관 사정에 따라 1단계, 2단계 혹은 3단계의 고등 교육을 제공한다.[539]

알바니아의 ''교육 기대 수명'' (초등부터 고등 교육까지)은 16년으로, 167개 국가 중 25위이다.[540] 2015년 기준 알바니아 전체의 문해율은 98.7%이며, 남성은 99.2%, 여성은 98.3%이다.[541]

5. 6. 보건

알바니아의 의료 시스템은 알바니아 보건부의 완전 통제를 받는 중앙 정부 주도의 형태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알바니아의 의료제도는 세계에서 55번째로 좋은 환경이라고 평가받았다.[54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알바니아의 평균수명은 38세였으나, 이후 의료 환경이 개선되어 2000년에는 51개의 병원(군용 및 특수 병원 포함)을 갖추게 되었다.[542] 2015년 기준 알바니아의 신생아 사망률은 1,000명당 12명으로 나타났다.



알바니아 헌법은 시민들에게 평등하고 무료이며 보편적 의료 서비스를 보장한다.[251] 알바니아의 의료 시스템은 일차 의료, 이차 의료, 삼차 의료로 구성되며, 현대화 및 발전 과정에 있다.[252][253] 알바니아의 평균수명은 77.8세로, 세계 37위를 차지하며 여러 선진국을 앞선다.[254] 평균 건강수명은 68.8세로 세계 37위이다.[255]

알바니아에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암 질병에 의한 순환기계 질환이다. 2009년 4월, 인구통계 건강조사는 알바니아에서 할례, 유산 등의 다양한 건강 조사를 실시하였다.[543] 이 외에 주요 사망 원인으로는 심혈관 질환, 정신적 외상, 암, 그리고 호흡기 질환 등이 있다. 심혈관 질환은 알바니아 사망 원인의 52%를 차지한다.[252] 알바니아는 말라리아 등의 질병을 완벽히 박멸하였다.

2009년 알바니아의 1인당 1일 과일 및 채소 공급량은 886g으로 유럽에서 5번째로 높았다.[257] 다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비해 알바니아는 비만율이 상대적으로 낮은데, 아마도 지중해식 식단 덕분일 것이다.[258][259] 2016년 세계보건기구 자료에 따르면, 알바니아 성인의 21.7%가 과체중이며, 체질량 지수(BMI)가 25 이상이다.[260]

6. 정치와 행정

알바니아 노동당(1991년 사회당으로 당명 변경)은 냉전 시대 내내 일당 독재를 하는 공산주의 체제였으나, 1990년부터 동유럽 민주화의 영향을 받아 대외 개방과 다당제 도입 등 민주화를 시작했다. 1991년 첫 총선거에서 사회당이 연립으로 정권을 유지했으나, 이듬해 1992년 총선거에서 알바니아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세력이 대승을 거두었다. 이에 따라, 제1서기에서 대통령이 된 람 아지아는 그 직을 사임했다. 민주당의 살리 베리샤가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1996년 재선되었다. -- 1997년 1월 국민 대부분이 가입했던 다단계 회사의 파산을 원인으로 알바니아 폭동이 발생했다. 6월 의회 선거 결과를 받아 7월 살리 베리샤는 사임했다. 사회당의 Rexhep Meidani|레제프 메이다니영어를 대통령으로 하여 사회당 정권이 수립되었다. 2001년 총선거에서 사회당은 73석을 획득하여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통령에는 민주당의 알프레드 모이시우가 취임했으나, 여전히 사회당 내각이 계속되었다.

현재 알바니아에는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민주당, 녹색당, 사회민주당, 인권당 연합 등 10여 개의 정당이 있다.

2012년에는 그리스의 극우 정당 황금새벽당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며, 코소보와의 연합 국가 형성을 주장하는 극우 정당 적흑연합이 결성되었다. 2013년 6월 총선거에서 이 정당은 투표 총수의 0.59%에 해당하는 1만 196표를 얻었지만, 의석 획득은 하지 못했다.

알바니아는 12개의 주(''Qark'' 혹은 ''Prefekturë'')로 나뉘어 있다. 2015년 6월을 기점으로 12개의 주들은 61개의 행정단위(''Bashkia'')로 나뉘어 있다. 이전에는 36개의 구역(''Rrethe'')으로 구성되었으나, 2000년에 폐지되었다.[554] 2015년 당시 알바니아 정부는 새로운 행정단위를 도입, 전체 행정단위 개수를 61개로 줄였으며, 이전에 시골 지역을 분류하던 ''Komuna''라는 행정단위는 폐지되었다. 이전에 존재하였던 행정단위로는 ''Lagje, Fshat'' 등이 있다.[555][556] 알바니아에는 2980개의 마을 (혹은 인구집단)이 존재하며, 이들은 지구(''lokalitete'')로 분류된다. 행정단위들은 지방 정치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논의되며, 지역의 요구와 법 집행에 대한 책임이 있다.[557] 지역 개혁 정책의 일환으로, 알바니아의 주요 행정구역 중심지역은 새롭게 디자인되었으며, 지중해 지역의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붕 색깔을 통일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556][558]

원어 명칭주도인구면적
베라트 주Qarku i Beratit베라트139,8151798km2
디버르 주Qarku i Dibrës페슈코피134,1532586km2
두러스 주Qarku i Durrësit두러스278,775766km2
엘바산 주Qarku i Elbasanit엘바산298,9133199km2
피에르주Qarku i Fierit피에르312,4481890km2
지로카스터르 주Qarku i Gjirokastrës지로카스터르70,3312884km2
코르처 주Qarku i Korçës코르처221,7063711km2
쿠커스 주Qarku i Kukësit쿠커스84,0352374km2
레저주Qarku i Lezhës레저135,6131620km2
슈코더르 주Qarku i Shkodrës슈코더르215,4833562km2
티라나 주Qarku i Tiranës티라나811,6491652km2
블로러 주Qarku i Vlorës블로러183,1052706km2


6. 1. 정부

티라나에 위치한 총리실, 알바니아 총리의 공식적인 업무처이다.


알바니아 의회의 외경.


라마 총리(Kryeministri Edi Rama)


알바니아는 1998년에 개정된 헌법에 따라 의원 내각제를 채택한 단일 공화국이다.[545] 알바니아 의회는 140석의 단원제 의회이며, 의원 임기는 4년이다.

알바니아의 대통령(''Presidenti'')은 국가원수이자 국민 통합의 상징이다. 대통령은 알바니아 의회에서 5년 임기로 선출되며, 의원 3/5 이상의 다수표를 얻어야 한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 준수를 감독하고, 알바니아 국군 총사령관을 겸임하며, 의회 폐회 시 의회 의무를 대행하고, 총리 임명권을 가진다. 2017년 4월에 선출된 현 대통령은 일리르 메타이다.

알바니아의 총리(''Kryeministri'')는 행정부 수반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대통령은 총리의 추천을 받아 장관을 임명하며, 의회는 정부 구성에 대한 최종 승인권을 가진다. 의회는 외교 및 국내 정책을 논의하고 정부 부처와 국가 기관을 지휘, 통제한다.

알바니아 의회(''Kuvendi i Republikës së Shqipërisë'')는 입법권을 행사하며, 4년 임기의 의원 140명으로 구성된다. 의원은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로 선출되며, 의회 의장은 2명이다. 의회에는 15개의 상임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총선은 최소 4년마다 열린다. 의회는 국내외 정책 방향 결정, 헌법 승인 및 개정, 전쟁 선포, 국제 협약 비준 및 취소, 대통령 선출 등의 권한을 가진다. 또한 대법원, 검찰총장 및 차관, 국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국영 신문사 등 공식 정보 전달 매체의 활동을 통제한다.

알바니아는 다당제 국가이다. 2013년 6월 23일에 치러진 총선에서는 알바니아 사회당에디 라마가 이끄는 유럽 알바니아 연맹이 승리했다. 알바니아 의회의 140석은 12개 주에 할당된 12개 선거구에서 선출되었다.

국가원수대통령은 5년 임기로, 알바니아 의회간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대통령 선거는 최대 5회까지 치러지며, 처음 3회는 60% 득표가 필요하지만, 이후는 과반수로 당선된다.[391] 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하고, 장관은 총리의 추천으로 대통령이 지명하지만, 최종적으로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입법부알바니아 의회단원제이며, 임기는 4년이고 총 140석이다. 이 중 100석은 소선거구제, 40석은 비례대표제로 선출되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이다.

6. 2. 대외 관계

알바니아의 대외 관계는 티라나에 본부를 둔 알바니아 외교부가 담당한다. 1990년 공산 정부 붕괴 이후, 알바니아는 유럽 및 국제 관계에서 역할과 책임을 확대하며 전 세계 여러 나라와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2014년 5월 5일 에서 만난 알바니아 외무장관 디트미르 부샤티와 오스트리아 외무장관 제바스티안 쿠르츠.


알바니아의 주요 외교 정책은 다음과 같다.

알바니아는 해외에 40개의 대사관과 46개의 외교 사절단을 두고 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한 최초의 남유럽 국가 중 하나로, 1992년부터 NATO와 협력하며 발칸반도 지역 안정에 기여하고, 미국유럽 연합과 강력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9년 4월, 알바니아는 크로아티아와 함께 NATO에 정식 가입했다.

알바니아는 유엔, 유럽 의회, 국제이주기구, 세계 보건 기구(WHO), 지중해 연합, 이슬람 협력 기구, 유럽 안보 협력 기구, 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무역기구(WTO), 프랑코포니 등 다양한 국제 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알바니아는 폐쇄 국가에서 개방 국가로 전환하며 선진국 및 국제기구와 관계를 확대해왔다. 2009년 NATO에 가입했고, 유럽 연합(EU)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0년 3월 24일 EU 가입 협상 개시가 결정되었으며,[392] 2021년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임기는 2022년부터 2년간이다.[393]

유럽에서는 아드리아해 건너 이웃 국가인 이탈리아와 경제적 연계가 강하며, 주요 무역 상대국 중 하나이다. 2019년 11월에는 페르시아만에서 이란 등을 경계하는 미국 주도의 연합군에 참여했고,[394] 2022년 9월에는 이란과 단교를 발표했다.[395]

알바니아는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코소보의 국가 건설과 코소보 승인 국가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 일본과의 관계

6. 2. 1. 대한민국과의 관계

1991년 8월 대한민국과 수교하였고, 1992년 10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알바니아 주재 대사관을 폐쇄하였다.[391] 1948년 11월 2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수교하였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 불참한 유일한 유럽 공산주의 국가였다.

1995년 5월 대한민국과 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하고, 1998년 11월 알바니아 외무장관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였으며, 2001년 2월에는 국회의장이 대한민국을 비공식 방문했다. 주 그리스 대한민국 대사관이 알바니아 대사관을 겸임하고 있다.

6. 3. 사법

알바니아의 사법 체계는 대륙법에 기반하여 민법, 사법 재판소와 행정 재판소로 각각 나뉘어 있다. 알바니아의 법률은 성문화되어 있으며 프랑스 민법전을 본따 제정되었다. 알바니아의 주요 사법 기관으로는 대법원 (''Gjykata e Lartë''), 헌법 재판소 (''Gjykata Kushtetuese''), 상소 법원 (''Gjykatat e Apelit''), 그리고 행정 재판소 (''Gjykata Administrative'') 등이 있으며, 모두 수도인 티라나에 위치해 있다. 알바니아의 법 집행권은 알바니아 경찰 (''Policia e Shtetit'')이 관할하고 있다. 알바니아 경찰은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법 집행기관으로, 범죄 수사, 순찰 활동, 교통 정리와 국경 관리 등을 포함한 모든 경찰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2014년, 알바니아 내무부는 알바니아 경찰의 현대화 과정을 실시하여, 알바니아 경찰이 사용하는 장치와 작업방식의 변화에 중점을 두었다. 첫 번째 단계는 새로운 경찰 차량을 배치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작업 능률과 작업 체계화를 위한 경찰관 신체 카메라 부착 등의 과정을 실시하였다. 경찰국의 모든 제복은 점검을 받았고 경찰 로고도 바뀌었다. 이 과정은 알바니아 내무부 산하의 국가 경찰력으로 구성된 정부 기관이 감독하였다. RENEA는 알바니아의 주요 반테러와 결정적 사건 대응을 관할하고 있다. RENEA가 펼치는 주요 작전은 구조 작전, 인질 억류 상황 대응, 반테러 작전, 폭력 범죄에 대한 대응 작전 등이 있다.

6. 4. 국방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알바니아 육군 (Forca Tokësore) 병사의 모습.


알바니아의 군대는 1912년 알바니아 독립 선언 직후 창설되었다. 알바니아 국군(Forcat e Armatosura të Shqipërisë)은 알바니아의 군사 및 준군사 병력을 관리하며, 알바니아의 대통령이 최고 총사령관을 겸임한다. 전시 상황을 제외하면 알바니아의 총리와 국방부 장관이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한다.[547] 현재 국방장관은 미미 코데히로, 알바니아 사상 첫 여성 국방장관이다.

알바니아 군대는 작전 참모 (''Shtabi i Përgjithshëm''), 육군 (''Forca Tokësore''), 공군 (''Forca Ajrore''), 해군 (''Forca Detare'')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전 참모총장은 알바니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알바니아는 의무 병역 제도가 없으며, 강제 징병제는 2010년 1월에 폐지되었다.[548] 병역 제도는 자발적 지원으로 운영되며, 최소 19세 이상이어야 입대할 수 있다.[549]

알바니아는 1988년 병력 65,000명에서 2009년 14,500명으로 병력을 줄였다.[550] 현재는 작은 규모의 전투기와 함대만 보유하고 있다. 1990년대에 중국에서 지원받은 탱크, 지대공 미사일 등 구식 군사 장비를 폐기했다. 군사 예산 규모 증가는 NATO 회원국 통합의 중요 조건 중 하나였다. 군사 지출은 1996년까지 국가 예산의 1.5%를 넘지 않았으나, 2009년 2%로 정점에 달했고, 이후 1.5%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551] 2008년 2월부터 지중해에서 진행된 NATO의 오퍼레이션 액티브 엔데버(Operation Active Endeavour)에 참여했다.[552] 2008년 4월 3일 NATO 회원국 지위를 제안받았고, 2009년 4월 2일 NATO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553]

2016년 세계 평화 지수에서 알바니아는 163개국 중 54위를 차지하였다.

6. 5. 행정 구역

알바니아는 12개의 주 (''Qark'' 혹은 ''Prefekturë'')로 나뉘어 있다. 2015년 6월을 기점으로 12개의 주들은 61개의 행정단위 (''Bashkia'')로 나뉘어 있다. 이전에는 36개의 구역 (''Rrethe'')으로 구성되었으나, 2000년에 폐지되었다.[554] 2015년 당시 알바니아 정부는 새로운 행정단위를 도입, 전체 행정단위 개수를 61개로 줄였으며, 이전에 시골 지역을 분류하던 ''Komuna''란 행정단위는 폐지되었다. 이전에 존재하였던 행정단위로는 ''Lagje, Fshat'' 등이 있다.[555][556] 알바니아에는 2980개의 마을 (혹은 인구집단)이 존재하며, 이들은 지구 (''lokalitete'')로 분류된다. 행정단위들은 지방 정치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논의되며, 지역의 요구와 법 집행에 대한 책임이 있다.[557] 지역 개혁 정책의 일환으로, 알바니아의 주요 행정구역 중심지역은 새롭게 디자인되었으며, 지중해 지역의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붕 색깔을 통일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556][558]

원어 명칭주도인구면적
베라트 주Qarku i Beratit베라트139,8151798km2
디버르 주Qarku i Dibrës페슈코피134,1532586km2
두러스 주Qarku i Durrësit두러스278,775766km2
엘바산 주Qarku i Elbasanit엘바산298,9133199km2
피에르주Qarku i Fierit피에르312,4481890km2
지로카스터르 주Qarku i Gjirokastrës지로카스터르70,3312884km2
코르처 주Qarku i Korçës코르처221,7063711km2
쿠커스 주Qarku i Kukësit쿠커스84,0352374km2
레저주Qarku i Lezhës레저135,6131620km2
슈코더르 주Qarku i Shkodrës슈코더르215,4833562km2
티라나 주Qarku i Tiranës티라나811,6491652km2
블로러 주Qarku i Vlorës블로러183,1052706km2


7. 경제

알바니아는 사회주의 계획 경제에서 민주주의 시장 경제 체제로 성공적인 변화를 이루었다.[559] 세계은행은 1999년부터 2013년까지 민간 부문, 특히 비농업 분야에서 해외 투자를 통해 고용률이 두 배로 증가했다고 밝혔다.[560] 2016년 기준으로 알바니아는 발칸반도에서 네 번째로 낮은 실업률을 기록했다.[565] 주요 무역 상대국은 이탈리아, 그리스, 중화인민공화국, 스페인, 코소보, 미국 등이다.

2012년 알바니아의 1인당 국내총생산(구매력 평가 기준)은 유럽 연합 평균의 30%였지만, 실제 개인 소비량(AIC)은 35%였다. 알바니아는 2010년 상반기에 경제 성장을 기록한 유럽 국가 중 하나였다.[561][562] 국제 통화 기금은 2010년 알바니아의 경제 성장률을 2.6%, 2011년에는 3.2%로 예상했다.[563]

티라나두러스는 알바니아의 경제 중심지이다. 티라나는 무역, 부동산, 금융, 유통, 교통, 미디어, 법률 서비스, 회계, 보험, 패션 등 다양한 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많은 고속도로와 철도가 이 두 도시를 통과하며 알바니아의 북부, 남부, 서부, 동부를 연결한다. 주요 기업으로는 타치 석유, 알브페트롤, ARMO 석유 정제 회사, 카스트라티,[564] 알브크롬, 안티아 시멘트, BALFIN 그룹, 알브텔레콤, 보더폰 알바니아, 텔레콤 알바니아 등이 있다. 두러스는 알바니아 최대의 항구도시이다.

2016년 12월 포브스에 따르면 알바니아의 국내총생산은 2.8% 성장했으며, 무역수지는 -9.7%, 실업률은 14.7%였다.[565] 최근 몇 년간 알바니아 정부는 국가 재정과 법률 개혁을 통해 해외 직접투자를 유치했다.[566]

알바니아 경제는 소비 회복과 투자 활성화로 성장이 예상된다. 2016년 3.2%, 2017년 3.5%, 2018년 3.8%의 경제 성장률이 예상된다. 중장기 전망은 경제 구조 개혁, 재정 긴축, 에너지 및 금융 부문 개혁, 공공 투자 관리 개선, 투자 환경 및 신용 등급 성장을 위한 법 개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567]

티라나는 알바니아 경제의 중심이다. 알바니아 내의 주요 국내 기업들의 본부와 알바니아에 진출한 해외 기업들의 지사들이 소재해 있다.

7. 1. 제1차 산업

알바니아의 농업은 중소규모 가족 단위의 집단 농장에 기반을 두고 있다. 농업은 알바니아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전체 인구의 41%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568] 국토의 24.31%가 농경지로 이용된다.[568] 알바니아 남동부 지역은 유럽에서 가장 일찍 농사를 시작한 지역 중 하나이다.[569]

남부 알바니아는 지중해성 기후의 혜택을 받아 양질의 포도주, 올리브와 감귤류를 생산하고 있다.


베라트의 포도. 지중해성 기후 덕분에 알바니아 남부에서는 주로 알바니아 와인, 올리브, 감귤류가 생산된다.


알바니아는 유럽 연합 가입 전 과정의 일환으로, 농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조성된 IPA 2011 기금의 지원을 받고 있다.[570] 알바니아는 담배, 올리브, , 옥수수, 감자, 식물성 유지, 열매, 사탕무, 포도, 육류, 벌꿀, 유제품, 전통 약재와 방향유, 무화과나무속,[571] 앵두[572] 등을 생산한다.

알바니아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포도 재배 역사를 가진 나라 중 하나로, 빙하기 당시 자연적으로 포도나무가 자란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였다. 알바니아에서 발견되는 포도씨는 최대 4,000년에서 6,000년 전의 것까지 존재한다.[573] 2009년, 알바니아는 17,500톤 이상의 포도주를 생산하였다.[574] 공산 정부 시기 동안, 알바니아는 포도주 경작지의 규모를 20,000 헥타르 (49,000 에이커)까지 늘렸다.

알바니아의 이오니아해아드리아해에 대한 높은 접근성은 알바니아의 낙후된 어업 시장에 많은 잠재가능성을 가져다 준다. 세계은행유럽 경제 공동체 전문가들은 알바니아의 어업 시장이 인근의 그리스, 이탈리아의 어업 시장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 등의 요인이 앞으로 많은 수출 이익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알바니아 인근의 해안에서는 잉어, 송어, 감성돔, 홍합, 갑각류(게, 가재, 새우 등) 등을 포획할 수 있다.

7. 2. 제2차 산업

알바니아의 2차 산업은 공산정부 붕괴 이후 지속적인 변화와 다변화를 겪어왔다. 제조업,[575] 섬유산업, 식품, 시멘트, 광업,[576] 에너지 산업, 전자 산업 등 여러 분야가 발달했다. 푸쉐-크루야에 있는 안테아 시멘트 공단은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산업 개발 투자 중 하나로 손꼽힌다.

푸쉐-크루야에 소재한 안테아 공장.


알바니아의 석유 및 가스 산업은 엄격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알바니아 경제에서 가장 유망한 산업으로 평가받는다. 알바니아는 발칸반도에서 루마니아 다음으로 석유 매장량이 많으며,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석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577] 알브페트롤은 알바니아의 국영 기업으로, 국내 석유 사업을 관리한다.

알바니아의 섬유 산업은 유럽 연합 기업들의 진출 이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2016년 알바니아 통계국(INSTAT) 자료에 따르면, 섬유 생산량은 매년 5.3%씩 증가했으며, 15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578]

알바니아는 크로뮴 생산 및 수출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주자이며,[579] 구리, 니켈, 석탄 등 다른 광물 생산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580] 바트라 광산, 불키졔 광산, 테크나 광산 등이 주요 광산으로 꼽힌다.

7. 3. 제3차 산업

알바니아의 코만 호 페리 관광은 남유럽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페리 관광 중 하나이다.


알바니아 이오니아 해안 남부의 크사밀 섬


서비스업은 알바니아 경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 중 하나이다. 알바니아의 국민소득 중 상당한 부분이 관광업에서 나오는데, 2014년에는 관광업이 알바니아 GDP의 6%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였으며, 간접적인 부분까지 포함하면 최대 20%까지 알바니아의 총소득에 기여하였다.[581]

2012년 알바니아를 방문한 관광객은 420만 명 정도였으며, 주로 이웃 국가나 유럽 연합 출신의 외국인들이었다. 2011년 론리 플래닛은 알바니아를 최고의 관광지로 선정했고,[582] 2014년 뉴욕 타임스는 알바니아를 4대 국제 관광지로 선정하였다.[583] 같은 해 알바니아를 방문한 관광객의 수는 20% 정도 증가하여, 380만 명의 방문객을 기반으로 알바니아는 유럽에서 25번째(총 47개국 중)로 자주 방문되는 국가가 되었다.[584]

알바니아 관광의 핵심은 아드리아해이오니아해 연안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이오니아 해 연안 지역에는 경치가 아름답고 수질이 깨끗한 바닷가가 많으며, 이 지역을 통틀어 알바니아 리비에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알바니아의 연안선은 총 360km 정도이다. 연안 지역에는 모래사장, 곶, 만(灣), 석호(潟湖), 작은 사력층 해변, 해식동(海蝕洞) 등 다양한 자연환경이 분포해 있다. 연안 지역은 환경학적으로 매우 깨끗하여, 지중해 지역에서 보기 드문 미발견 지역들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프로클레티예산맥(알바니아의 알프스 또는 저주받은 산맥으로도 알려짐)은 북부 알바니아에 위치한 산악 지방으로 알바니아에서 가장 높은 산이 있다. 최근 이 산맥에서 유럽 최남단의 빙하가 발견되었다. 관광객들이 쉽게 찾아갈 수 있는 산악 지방으로는 다이디트산, 테티, 트로포야, 보스코포야, 발보나강, 켈멘디, 프레스파, 코만호, 두카트, 쉬크렐 등이 있다.

외국인 방문객 수는 매우 빠르게 증가해왔다. 알바니아는 2005년 50만 명 정도의 방문객을 기록했는데, 2012년 방문객 수는 420만 명 정도로 추정되어 7년 만에 740%의 성장세를 보였다. 알바니아 관광국에 따르면, 2015년 하계 관광업 소득은 전년 대비 25% 증가하였다.[585]

7. 4. 과학 기술

1990년 공산정부 붕괴 이전까지 알바니아는 세계에서 가장 고립되고 통제된 국가 중 하나였다. 당시 전화 이용자들은 국내 장거리 전화도 지정 통신원의 지원을 받아야 했다.[587] 알바니아의 인터넷 사용 환경은 유럽 지역에서 비교적 빠르고 저렴하다고 평가된다. 예를 들어 ABCom이라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월 2.39579USD의 가격에 30mbit 다운로드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다.[587] 이동 네트워크 시장에서는 보다폰, 텔레콤, 알바니아 이동통신, 이글 모바일 등의 이동통신 회사들이 3G, 4G 등의 데이터 플랜을 제공하고 있다.

1993년부터 알바니아는 과학 기술 인력 자원이 급격히 감소해왔다. 1991년부터 2005년까지 알바니아 내 대학, 연구 기관 소속 교수 중 50%가 이민하였다.[588] 2009년 알바니아 정부는 "알바니아의 과학 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전략"을 발표했는데,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의 중장기 계획을 포함하였다. 계획의 주 목적은 조사와 연구 부문 (R&D)에 대한 공공 투자를 GDP의 0.6%까지 증가시키고, R&D에 대한 지출의 일부분을 해외 투자로부터 이끌어, 특히 유럽 연합의 조사 기반 프로그램으로부터 연구 비용의 40%를 지원받는 것이다. 알바니아는 2024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84위를 기록했다.[282]

통신은 알바니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역동적인 부문 중 하나이다.[283][284] 보다폰 알바니아, 텔레콤 알바니아, 알브텔콤은 알바니아의 주요 이동통신 및 인터넷 제공업체 3곳이다.[283] 알바니아 전자우편통신청(AKEP)의 2018년 자료에 따르면, 알바니아에는 약 270만 명의 활성 이동통신 가입자와 거의 180만 명의 활성 광대역 가입자가 있었다.[285] 보다폰 알바니아는 93만 1천 명 이상의 이동통신 가입자를 확보했고, 텔레콤 알바니아는 약 60만 5천 명, 알브텔콤은 27만 2천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했다.[285]

2023년 1월, 알바니아는 자국의 영토 감시 및 불법 활동 식별을 위한 노력으로 첫 번째 위성인 ''알바니아 1''과 ''알바니아 2''를 궤도에 진입시켰다.[286][287] 알바니아계 미국인 엔지니어 미라 무라티는 연구 기관 오픈AI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서 챗GPT, 코덱스 및 달리와 같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및 출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88][289][290]

7. 5. 에너지

알바니아는 수력 발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세계에서 수력 발전량이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이며, 국가 에너지의 100%를 수력 발전에 의존한다.[589] 알바니아에는 피에르자, 코만, 스카비카, 바우트 테 데제스 수력 발전소를 포함한 5개의 수력 발전소가 있다. 이 발전소들은 모두 알바니아에서 가장 길고(총 길이 335km) 전력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드린강에 위치한다.

피에르자 저수지는 1978년 피에르자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세워졌다.


알바니아는 크로아티아와 슈코더르호 인근에 원자력 발전소를 공동 건설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몬테네그로 국경과 가까워 몬테네그로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590] 2009년 2월, 이탈리아 에넬 사는 알바니아의 전력 발전 다변화를 위해 800 MW 용량의 석탄 화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591]

알바니아 ''데볼 풍력발전 회사''는 노르웨이 스태트크래프트 사의 자회사로, 데볼강 인근에 두 개의 풍력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다. 그 중 모기이체 풍력발전소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발전소가 될 전망이다.[592] 데볼 풍력발전 프로젝트는 발칸반도 최대 규모의 풍력발전 투자 계획이다.[593] 두 풍력 발전소는 각각 2016년과 2018년에 완공될 계획이었다. 완공 후에는 연간 729 GWh의 전력을 생산하여 알바니아의 전력 생산량을 17%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594]

알바니아의 전력은 산악 지형을 이용한 수력 발전이 주축이며, 총 발전량의 98.8%를 차지한다. 시설 노후화로 인한 전력 부족이 문제였으나, 최근 신규 수력 발전소 건설과 송전망 개선으로 2017년경부터는 장기간 정전과 같은 상황은 도시와 지방 모두에서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7. 6. 교통

알바니아의 공산정부 붕괴 이후, 지난 20년 동안 알바니아 교통 환경은 기반 시설 현대화 과정을 거치며 많은 변화를 겪었다. 도로 시설, 도시 교통, 항공기 운행 등의 환경 개선이 전체적인 교통 환경에 기여해 왔다.

현재 알바니아에는 세 개의 주요 도로가 있다. 두러스블로러를 잇는 중앙분리 고속도로, 알바니아-코소보 고속도로, 그리고 티라나-엘바산 고속도로이다. 알바니아-코소보 고속도로는 아드리아해에 맞닿은 항구 도시 두러스코소보의 수도 프리슈티나를 잇는다. 가까운 미래에 세르비아 니시 인근의 유럽 내부망 X와 연결될 계획이었다. 당시 이 연결 프로젝트는 알바니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도로 기반 시설 건설 계획이었다.[595] 이 외에 두 개의 도로가 건설 중에 있다. 티라나범유럽 교통로를 잇는 A3 고속도로는 이후 알바니아, 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발칸반도 동부 지역을 연결할 것이며, 남북 연결 고속도로는 아드리아 해-이오니아 해 고속도로로, 아드리아해이오니아해를 거쳐 크로아티아와 그리스를 연결할 지역 고속도로이다. 도로들이 모두 완공되면, 알바니아에는 코소보, 마케도니아 공화국, 몬테네그로, 그리스를 연결하는 총 길이 759km의 도로 네트워크가 들어설 것이다.

알바니아 최대의 항구는 두러스항이다. 2014년 기준, 두러스항은 알바니아와 아드리아해에서 가장 큰 여객 항구 중 하나이며, 매년 150만 명이 두러스항을 방문한다. 여객선은 대부분 이탈리아크로아티아를 연결한다. 알바니아의 주요 항구들은 두러스, 블로러, 사란더, 션진에 있다.

너너테레사 티라나 국제공항은 알바니아 유일의 국제공항이다. 항공 여행객들은 알바니아를 방문하기 위해 이 공항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티라나 국제공항은 여러 주요 유럽 도시를 연결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2016년, 알바니아 정부는 티라나 국제공항의 항공 교통편 독점을 끝내는 협약을 맺으며, 알바니아 북부 쿠커스에 새 공항을 지을 계획을 밝혔다.[595]

알바니아의 철도는 알바니아 국영 기업 알바니아 철도가 관리한다. 알바니아의 철도 체계는 이전 전체주의 공산 정부의 엔베르 호자 지도 아래 광범위하게 건설되었다. 당시 철도 교통을 제외한 개인 교통은 금지되었다. 이전 정부 몰락 이후, 자동차 소유와 버스 이용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현재 티라나-리나스 (티라나 국제공항)-두러스를 잇는 철도 노선이 건설 중에 있다. 이 철도 건설 계획은 알바니아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으로, 중요한 경제 발전 계획이 될 전망이다.[596] 철도 노선은 2019년에 개통되었다.[597]

너너테레사 티라나 국제공항은 발칸반도에서 8번째로 바쁜 공항으로 연간 200만 명의 탑승객이 거친다.


알바니아 북부 칼리마쉬 인근의 알바니아-코소보 고속도로.


린과 포그라데츠를 연결하는 3번 국도 (''SH3'').


로가라세 산길을 통과하는 8번 국도 (''SH8'').


두러스의 지리적 이점은 두러스항을 아드리아해이오니아해에서 가장 큰 항구 중 하나로 자리 잡게 한 요소이다.


Rruga e Kombit는 아드리아해를 가로질러 서부 저지대와 알바니아 알프스를 연결한다.


도로 인프라 정비가 진행되고 있으며, 수도권에서는 고속도로와 순환도로 정비가 거의 완료되었다.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망 정비도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통행이 가능하다. 에디 라마(Edi Rama) 총리의 주도로 2018년부터 수도권 공항과 남부 관광지대를 잇는 고속도로 건설이 본격화되었다.

수도 티라나(Tirana)에서 30km 떨어진 두레스(Durrës) 인근 포르토 로마노(Porto Romano)에 국내 최대 규모의 군민 합동 항만을 건설 중이며, NATO 회원국 함정도 수용할 계획이다.[399] [400]

7. 7. 언론

알바니아의 텔레비전 송출은 1938년 RTSH(''Radio Televizioni Shqiptar'')의 개국과 함께 시작되었다. 그 이후로 알바니아의 텔레비전 매체는 꾸준히 성장해왔다. 알바니아에는 4개의 지역 라디오가 송출 중에 있다. 그 중 국제 서비스 부문은 중파(AM), 단파(SW)를 통해 알바니아어와 7개국 언어로 라디오 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있다. 알바니아 라디오의 국제 서비스는 "Keputa një gjethe dafine"를 시그니처 노래로 송출하고 있다. 1993년 알바니아 국제 텔레비전 서비스가 위성방송을 통해 첫 송출, 현재 코소보,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그리스 북부, 그리고 유럽 도처에 있는 알바니아 교민 사회를 대상으로 방송하고 있다. 알바니아 매체 관리 위원회에 따르면, 알바니아에는 66개의 라디오 방송국과 67개의 텔레비전 방송국, 3개의 국영 방송국, 62개의 지역 방송국, 50개 이상의 케이블 방송국을 포함한 257개의 매체가 송출 중에 있다. 최근 몇년간, 알바니아 방송국들은 댄싱 위드 더 스타, 빅 브라더, 갓 탤런트, 더 보이스, 그리고 더 엑스 팩터 등의 국제적인 방송 시리즈 포맷을 수입해왔다.

티라나 수도에 있는 티라나 라디오 본부의 옛터. (RTSH)는 1938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티라나 라디오로 처음 개국했다.


언론의 자유는 알바니아 헌법에 보장되어 있다.[275] 알바니아는 국경 없는 기자회가 편찬한 2020년 언론 자유 지수에서 84위를 기록했으며, 2003년 이후 점수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276]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의 집의 2020년 보고서에서는 알바니아의 언론 및 표현의 자유가 정치적 간섭과 조작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자유로운 것으로 분류되었다.[277]

Radio Televizioni Shqiptar|알바니아 라디오 텔레비전sq (RTSH)는 알바니아의 국영 방송국으로, 전국적으로 수많은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국을 운영하고 있다.[278] 주요 민영 방송 3사는 탑 채널(Top Channel), 텔레비지오니 클란(Televizioni Klan), 비지온 플러스(Vizion Plus)이며, 이들의 콘텐츠는 알바니아 전역과 코소보 및 다른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으로 송출된다.

8. 문화

오스만 제국의 오랜 지배로 "알바니아인"이라는 민족 의식 형성과 민족 문화 발전이 늦어졌다. 1887년 알바니아어 학교 교육이 시작되면서 민족 의식이 고양되었고, "알바니아 르네상스 운동"이 일어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공산주의 정권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강력한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국민 계몽과 문화 수준 향상 정책을 전개했다. 지중해 주변 민족들에 비해 온화하고 인내심이 강하다고 평가받지만, 가부장제적인 전통 요소가 남아있어 여성의 지위 향상 운동이 계속되고 있다.

스크라파르현의 전통적인 남성 민속 그룹.


알바니아 문학 작가 이스마일 카다레.


세계유산 베라트.

8. 1. 건축

알바니아의 건축은 고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다양한 문명의 유산을 반영한다. 알바니아의 주요 도시들은 성 안에서 발전하여 주거, 종교 및 상업 시설을 포함하게 되었고, 광장의 끊임없는 재설계와 건축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현재 도시들은 다양한 건축 양식의 전체 스펙트럼을 반영한다. 20세기에 공산주의 시대에는 고대의 영향을 받은 많은 역사적 및 성스러운 건물들이 철거되었다.[362]

고대 건축은 알바니아 전역에서 발견되며 빌리스, 아만티아, 포에니케, 아폴로니아, 부트린트, 안티고니아, 슈코더 및 두레스에서 가장 잘 보인다. 비잔티움 제국의 장기 집권 기간을 고려해 볼 때, 그들은 눈에 띄는 벽화와 프레스코화가 풍부한 성, 요새, 교회 및 수도원을 건설했다.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진 예는 알바니아 남부 도시와 코르체, 베라트, 보스코포예 및 지로카스터 주변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오스만 건축의 도입과 함께 모스크와 다른 이슬람 건물들이 발전했는데, 특히 베라트와 지로카스터에서 볼 수 있다.

부트린트는 1992년부터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역사주의, 아르누보신고전주의의 생산적인 시대는 19세기에 합쳐졌으며, 코르체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20세기에는 이탈리아 양식과 같은 새로운 건축 양식이 등장했는데, 이는 티라나스칸데르베그 광장과 정부 청사에서 볼 수 있다. 슈코더, 블로레, 사란데 및 두레스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도시들은 다양한 문화적 또는 경제적 영향을 통해 현재 알바니아 고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공산주의 시대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알바니아에 도입되었다. 이 시기에 많은 사회주의 양식의 단지, 넓은 도로 및 공장이 건설되었고, 광장은 재설계되었으며 많은 역사적이고 중요한 건물들이 철거되었다. 그러한 스타일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테레사 수녀 광장, 티라나 피라미드, 국회의사당 등이 있다.

세 곳의 알바니아 고고학 유적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부트린트의 고대 유적, 중세 베라트와 지로카스터의 역사 지구, 그리고 2019년부터 북마케도니아와 공유하는 오흐리드 지역의 자연 및 문화 유산이 포함된다.[363][364] 또한, 왕가의 일리리아 무덤, 아폴로니아 유적, 고대 두레스 원형극장 및 바슈토베 요새가 알바니아의 잠정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8. 2. 음악

알바니아의 전통 음악은 크게 북부의 게그 알바니아인과 남부의 라베리아, 토스크 알바니아인의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북부 음악은 기복이 심하고 영웅적인 내용이 대부분인 반면, 남부 음악은 비교적 느긋한 느낌이다. 게그 알바니아인의 음악은 다양한 서사시를 다루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주로 알바니아인들의 고대사와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운 중세 알바니아의 영웅 스칸데르베그 관련 내용을 다룬다.[600] 토스크 알바니아인의 음악은 부드럽고 가벼우며, 운율 변화에 치중한다. 알바니아 남부 지역에는 장례식 때 슬픈 목소리로 합창하며 애도하는 풍습이 있다. 알바니아의 전통 기악 형식으로는 ''카바''가 있는데, 클라리넷이나 바이올린을 아코디언이나 라후테스와 함께 연주하는 방식이다. 카바는 즉흥적이며 대체로 우울한 느낌을 준다.[600]

알바니아의 이질적인 음악 형식들은 연주자와 청중들이 애국심을 표현하는 매개체로 여겨졌고, 구술 역사를 포함하는 간이 차량들이 나라 곳곳에 활보했다.[600] 1929년과 1931년 파리에서 알바니아 히마라 출신 음악가 네코 무코, 코코 카칼리가 알바니아 여성 가수 테프타 타쉬코 코코와 함께 최초의 알바니아 전통음악 편집물을 만들었다. 이 트리오는 이후에도 여러 축음기 녹음물들을 작업했고, 이는 히마라 폴리포니 음악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601][369]

에르모넬라 야호, 인바 물라, 베베 레자, 에라 이스트레피 등은 현재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알바니아 음악가이며,[602]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소프라노 가수 에르모넬라 야호는 이코노미스트에서 "세계에서 가장 호평받는 소프라노"로 묘사된 바 있다.[603] 엘바산 출신 오페라 가수 사이미르 피르구는 2017년 ''베스트 오페라 레코딩'' 부문에서 그래미상 후보로 지명되었다.[604]

8. 3. 회화

알바니아의 전통 예술은 알바니아에서 번성했던 여러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알바니아를 5세기 가까이 지배하면서 알바니아의 예술 작품과 형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478년 알바니아가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모자이크 예술, 판벽화 등의 예술 형식에 영향을 주었고, 이렇게 형성된 예술풍은 1912년 알바니아가 독립할 때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모자이크와 벽화 예술이 고대와 중세에서 계승된 반면, 알바니아의 첫 회화는 비잔티움 제국 동방정교의 종교 예술인 아이콘이었다. 알바니아의 초기 아이콘들은 13세기 후기부터 발견되며 18세기에 번영기를 누린 것으로 추정된다. 알바니아의 대표적인 아이콘 화가로는 오뉴프리와 다비드 셀레니차 등이 있다. 베라트, 코르처, 티라나의 박물관들은 높은 가치의 아이콘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오스만 제국 시기 말기, 알바니아의 회화 예술은 민속 예술과 모스크 장식 용도로만 허용되었다.[605] 회화와 조소 예술은 12세기 초반에 출현하여 1930년대와 1940년대에 번영기를 누렸고, 당시 국가적 차원에서 첫 예술 전시회를 열었다.[605] 현대 알바니아 예술은 알바니아인들의 일상 속 분투를 다루며, 신인 예술가들은 다양한 예술 형식을 도입하여 자신들의 예술적 메시지를 전달하려 하고 있다. 알바니아 예술계에 포스트 모더니즘이 비교적 최근에 소개되었지만, 많은 예술가와 그들의 작품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알바니아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가로는 안리 살라, 시슬레지 자파, 헬리돈 지어지 등이 있다.

8. 4. 문학

알바니아어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그 안에서도 고립어로 분류된다. 1854년 독일의 비교언어학자 프란츠 보프에 의해 인도유럽어족의 일부로 밝혀졌다.

알바니아어는 고전 고대 발칸 지역에서 쓰인 일리리아어와 연관 짓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알바니아어가 일리리아어에서 파생되었다고 추정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다키아어-트라키아어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 (일리리아어와 다키아어-트라키아어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알바니아의 문화적 르네상스는 알바니아어의 발전을 통해 나타났으며, 이는 북부 알바니아의 카톨릭 신자 집단과 남부의 동방정교 집단 내의 교회 기록물과 출판물 등에서 폭넓게 표출되었다. 이후 개신교도의 알바니아어와 알바니아어 문학 부흥 노력이 있었다. 당시 성직자였던 그욘 부주쿠(Gjon Buzuku)는 가톨릭 전례를 알바니아어로 번역하면서, 알바니아어를 카톨릭 예배식에서 폭넓게 사용하였고, 이는 마르틴 루터가 독일어에 대해 한 것과 유사하다고 평가된다.

그욘 부주쿠(Gjon Buzuku)가 쓴 《메샤리》(미사경, 1555년) 발췌본


1555년 그욘 부주쿠(Gjon Buzuku)가 집필한 ''메사리'' (''Meshari'')는 중세 알바니아어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학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 알바니아어의 이전의 문어체는 정제된 수준의 언어 표현과 안정된 맞춤법에 집중하였으나, 이러한 문어체는 일반 대중들에게 크게 받아들여지지 못하였다. 부주쿠의 기록물 이전에도, 알바니아어가 문자로 기록되었다는 문헌들이 최소 14세기부터 존재한다. 가장 초기의 증거 문헌으로는 서기 1332년 당시 프랑스 출신 도미니크회 소속 바르 대주교 윌리예무스 아달이 저술한 라틴어 기록물에서 알바니아인들이 라틴 문자를 이용하여 책을 집필하였으나, 라틴어와는 다른 형식의 문어체를 사용하였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외의 알바니아어 저서로는 1462년 당시 두러스 주교 팔 옌젤리가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알바니아어로 기술한 포뮬라 에 파자씨미트 (''Unte paghesont premenit Atit et Birit et spertit senit''), 1497년 당시 알바니아를 여행하던 독일인 아놀드 폰 하르프가 집필한 알바니아어 단어 사전, 15세기 마태오의 복음서에서 발췌한 성경의 일부분을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여 알바니아어로 집필한 저서 등이 있다.

당시 쓰여진 알바니아어 출판물은 종교 문서 뿐만 아니라, 역사적 연대기의 내용도 다루고 있었다. 1504년 당시 인류학자 마린 바를레티(Marin Barleti)는 자신의 저서 슈코더르 포위 (''Rrethimi i Shkodrës'')에서 알바니아 사람들의 언어 (''in vernacula lingua'')로 쓰인 연대기를 추려낸 바 있으며, 이후 1508년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기록되는 스칸데르베그의 위인전을 펴내기에 이른다. 이 저서는 스칸데르베그에 대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알바니아 문화와 국가 정체성의 형성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16~17세기 동안에는 레크 마트랭가(Lekë Matrënga)가 쓴 1592년의 교리문답서(''E mbësuame krishterë'', Catechism), 1618년의 《그리스도교 교리》( ''Doktrina e krishterë'', The Christian Doctrine), 그리고 알바니아어 산문과 시의 최초 작가인 피에테르 부디(Pjetër Budi)가 쓴 1621년의 《로마 의식서》( ''Rituale romanum''), 조르주 카스트리오트에 대한 사과문(1636년)을 쓴 프랑 바르디(Frang Bardhi) – 사전과 민속 창작물도 출판했다 – , 알바니아 중세의 가장 보편적인 인물인 피에테르 보그다니(Pjetër Bogdani)가 쓴 신학-철학 논문 《예언자들의 무리》( ''Cuneus Prophetarum'', The Band of Prophets, 1685)가 알바니아어로 출판되었다. 20세기와 21세기 가장 유명한 알바니아 작가는 아마도 이스마일 카다레(Ismail Kadare)일 것이다.

8. 5. 민속

알바니아의 민속 신화는 신화, 전설, 민속, 동화, 그리고 알바니아인들의 우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알바니아 민속 신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의 대부분은 ''최전선 전사들의 노래'' (알바니아어: ''Këngë Kreshnikësh or Cikli i Kreshnikëve'')에 기술되어 있다. 알바니아 민속 신화의 인물들은 크게 변신(變身)의 인물들과 역사적 전설 인물들로 분류할 수 있다. 알바니아의 민속 신화는 고전 고대 당시 알바니아에 거주하고 있었던 일리리아인들의 고대 신화에 기반하여 있다.[606] 대표적인 알바니아 신화 속 인물로는 바르다, 발로즈, 에 부쿠라 에 데우트, 에 부쿠라 에 치에리트, 엔, 페런디, 프렌데, 토모르, 그리고 자나 에 말릿 등이 있다.

알바니아의 민속 구전은 19세기 중반, 요한 게오르그 폰 한, 칼 H. 레인홀드, 주세페 피테, 오귀스트 도존, 얀 야르닉, 구스타프 마이어, 홀거 플더슨, 구스타프 바이간드, 그리고 어우구스트 레스키엔 등의 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8. 6. 의복

알바니아의 전통 의상에 대한 기록은 고전 고대에서부터 발견된다.[607] 알바니아의 전통 의상은 알바니아와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지역 (아르버레셔인, 아르바니트인, 아르바나시인을 포함한 교민 사회)에서 착용되는 200 종류 이상의 의상을 포함한다. 지역마다 다른 문화적, 지리적 특성에 의해 의상의 형식, 재질, 형태, 세부, 제작 방식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일리리아 시절부터 독립적으로 축적해온 문화 정체성은 알바니아의 의복 문화가 다른 유럽 국가와 분리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설명된다. 알바니아의 전통 의상은 종종 태양, 독수리, 위성, 항성, 그리고 뱀 등의 일리리아 고대 토속신앙의 상징물들로 장식되기도 한다.[607] 현대 알바니아 사회에서는 전통 축제, 종교 기념일, 결혼식, 그리고 전통 무용단 등의 상황에 따라 전통 의상을 착용한다. 북부 고산지역, 남부 평지대의 일부 보수적인 노년층은 일상 생활에서도 전통의상을 착용한다.

알바니아의 전통 의상은 주로 가죽, 모직, 리넨, 마펄프, 그리고 실크 등 알바니아 전통 농경사회에서 자주 쓰이는 재료로 만들어졌다. 오늘날, 알바니아의 전통 직물들은 정교한 전통 무늬로 장식된다. 이 중에서도 중요한 전통 의상으로는 피스, 샤포 알바뉴아, 쥘라풰, 푸스타넬라, 조비에라, 자마단, 브레즈, 조라페, 오핑가 등이 있다.

''알바니아 평민의 의복.'' (퍼시 앤더슨, 1906)


푸스타넬라(Fustanella)는 알바니아 문화에서 깊은 문화적 의미를 지닌 알바니아의 국민 의상으로 지정되어 있다.


알바니아 전통 의상은 북부 게그(Gheg) 지역과 남부 토스크(Tosk) 지역의 서로 다른 변형을 보여주며, 알바니아의 역사, 문화적 다양성, 민족 정체성을 보여준다.[355] 게그 남성들은 밝은 색의 셔츠와 티르크(Tirq)라고 불리는 헐렁한 넓은 바지를 입는다. 이 바지는 브레즈(Brez)라는 넓게 짠 벨트로 단단히 고정된다. 그들의 의상의 필수적인 부분은 민속 모티프와 금색 패턴으로 장식된 붉은색 벨벳 조끼인 자마단(Xhamadan)이다.[356] 그들은 또한 양털로 만든 독특한 돔 모양의 모자, 켈레셰(Qeleshe)를 쓰는데, 그 기원은 일리리아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57][358] 반대로, 토스크 남성들은 무릎 길이의 옷인 푸스타넬라(Fustanella)를 선택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주름이 있는 흰색의 국민 의상으로, 흰색 셔츠와 함께 한다. 그들은 또한 게그 의상을 연상시키는 베이지색 또는 감청색의 자마단(Xhamadan)을 입는다. 남성들은 차라페(Çorape)라고 하는 무릎까지 오는 양말과 오핑가(Opinga)라고 하는 가죽 신발을 신는다.

게그와 토스크 여성들의 의상은 귀 장식, 반지, 목걸이, 허리띠 버클, 단추 등 다양한 부분에 나타나는 풍부한 색상과 정교한 필리그리 세부 사항으로 유명하다. 주요 구성 요소에는 긴 밝은 색의 셔츠와 앞치마가 있으며, 종종 크조카(Xhoka)라고 하는 모직이나 펠트 망토를 함께 한다. 돌라마(Dollama)나 민탄(Mintan)과 같은 추가적인 상의를 겹쳐 입을 수 있으며, 카피차(Kapica)나 샬(Shall)이라고 하는 머리 스카프를 쓴다. 독특한 변형에는 뒤쪽의 프슈텔라크(Pështjellak)와 앞쪽의 파라닉(Paranik)을 포함한 두 개의 앞치마가 포함된다. 게그 여성의 전통 의상에서 중요한 부분은 고대의 슈블레타(Xhubleta)이다.[355] 알바니아 유산의 상징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이 의상을 보존하고 홍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59] 그 중요성을 증명하듯이, 슈블레타(Xhubleta)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359] 독특한 종 모양의 의상은 검은색으로 만들어지고 알바니아 민족 모티프가 수놓아져 있으며, 북부 알바니아의 놀라운 장인 정신을 보여준다.[355] 그 제작 과정은 샤약(shajak) 직물 준비와 정확한 재단 기법을 포함한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359]

8. 7. 음식

쌀 캐서롤은 오븐에 구워진 뚝배기에 내오는 알바니아의 전통 요리이다.


옥수수빵(cornbread)인 부커 미스리는 알바니아 식탁의 주식이다.


전통적인 알바니아의 층층이 파이인 피테(Pite)와 함께 제공되는 구운 피망(Speca të fërguar)


알바니아의 식문화는 지중해발칸반도 국가들과 같이 오랜 역사 동안 여러 지역의 영향을 받았다. 고대 그리스인, 고대 로마인, 비잔티움 제국,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민족 집단들이 알바니아 지역을 거치며 알바니아의 식문화에 영향을 끼쳤다.[365]

알바니아인들은 점심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주로 토마토, 오이, 단고추, 올리브와 올리브기름, 식초, 소금을 곁들인 샐러드를 먹는다. 채소와 고기를 같이 요리한 음식도 함께 먹는다. 두러스, 사란더, 블로러와 같은 연안 지역에서는 해산물이 자주 쓰이는 반면, 고산 지대에서는 훈제 처리된 육류와 식초에 절여진 저장 식품들을 발견할 수 있다.

알바니아 요리는 알바니아 문화, 지리, 역사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국가의 여러 지역에서는 특정한 향토 요리가 발달했다. 특히 북부와 남부 지역의 요리 전통은 지형과 기후의 차이로 인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다양한 허브, 과일 및 채소의 생장 조건에 크게 기여한다.[365]

알바니아인들은 레몬, 오렌지, 무화과와 특히 올리브 등 다양한 과일을 생산하고 사용하는데, 올리브는 알바니아 요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바질, 라벤더, 민트, 오레가노, 로즈마리, 타임과 같은 향신료와 허브도 널리 사용되며, 마늘, 양파, 피망, 감자, 토마토와 모든 종류의 콩류와 같은 채소도 널리 사용된다.

아드리아해이오니아해 연안을 따라 위치한 알바니아에서는 생선, 갑각류, 해산물이 인기 있는 음식이며 알바니아 식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 외에도 양고기는 기독교인과 무슬림 모두에게 다양한 명절과 종교 축제를 위한 전통적인 육류이며, 가금류, 쇠고기, 돼지고기도 풍부하게 공급된다.

타베 코시("유청 카세롤")는 양고기와 쌀을 두껍고 신맛이 나는 요구르트로 덮어 구운 알바니아의 국가 요리이다. 페르게세는 피망, 토마토, 코티지 치즈로 만든 또 다른 국가 요리이다. 시금치와 기제(응유) 또는 미쉬(다진 고기)를 섞어 만든 속을 넣은 구운 페이스트리인 피테도 인기 있다.

전통적인 튀긴 반죽인 페툴라는 인기 있는 특산품이며, 슈거파우더나 페타 치즈, 다양한 과일잼과 함께 제공된다. 플리아는 크레페와 같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림을 바르고 사워크림과 함께 제공된다. 베를린 도넛과 비슷한 크로프네는 잼이나 초콜릿으로 채워져 있으며 종종 겨울에 먹는다.

커피는 알바니아 생활 양식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 나라는 세계에서 1인당 커피숍 수가 가장 많은 국가이다.[366] 차 또한 집이나 카페, 바, 레스토랑에서 즐겨 마신다. 차이 말리(시데리티스 차)는 매우 사랑받는 차이며 대부분의 알바니아인의 일상생활의 일부이다. 남부 알바니아 전역에서 재배되며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차도 인기가 있다.

알바니아 와인도 전국적으로 흔하며 수천 년 동안 재배되어 왔다. 알바니아는 오랜 역사를 가진 와인 생산국이며 구세계 와인 생산국에 속한다.[367][368]

8. 8. 영화

알바니아 영화예술의 역사는 1911년과 1912년 몇 편의 외화와 여러 편의 전쟁 기록영화를 상영한 것에서부터 거슬러 올라간다.[608] 알바니아에서 처음으로 대중에게 상영된 영화는 ''믿을 수 있는 패디''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코미디 영화였다. 외화의 유통은 슈코더르코르처 등의 도시에서 시작되었다. 최초의 알바니아 영화들은 대부분 다큐멘터리 영화로, 그 중 첫 작품은 1908년 알바니아 철자를 발표한 마나스티리트 회의의 내용을 다루었다. 공산정부 시기에는 알바니아 영화 연구소가 소련의 지원을 받아, 전쟁 당시의 분투를 담은 프로파간다 성격의 영화 제작에 집중하였다. 1990년에 이르러서는 200편 이상의 영화가 알바니아에서 제작되었으며, 450곳 이상의 상영관이 알바니아에 자리잡고 있었다. 1990년대 공산 정부가 몰락하며 경제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며, 알바니아 영화 연구소는 해체되고 이후 민영화되었다. 이후 새롭게 국가 영화 센터가 설립되었고, 알바니아 도시 곳곳에 새롭게 지어진 영화관에서는 미국 영화를 주로 상영하였다.

1952년, 당시 알바니아 공산정부는 알바니아 국가 영화 센터를 설립하였다. 이후 알바니아 국가 영화 센터는 소련의 인력들과 합작하여 알바니아 국가 영웅인 스칸데르베그의 영웅적 일대기를 담은 영화이자 알바니아 첫 서사 영화인 ''위대한 전사 스칸데르베그''를 제작하였다. 당시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대표적인 알바니아 영화감독으로는 안다미온 무라타지, 베심 사합치우, 쟈피세 케코, 디미테르 아나그노스티, 큐이팀 차슈쿠, 룰예타 호자, 사임 코코나, 사이미르 쿰바로, 크리스타크 미트로, 레온 케페즈비, 그리고 지에르지 츄바니 등이 있다. 알바니아의 대표적인 배우로는 니크 자일리자이, 클레멘트 티나즈, 마시엘라 루샤, 블레림 데스타니, 알렉산데르 모이시유, 틴카 쿠르티, 예터 말로타, 산데르 프로시, 그리고 마가리타 체파 등이 있다.

티라나 국제 영화제는 2003년 설립하여 알바니아와 발칸 지역에서 가장 큰 영화 축제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두러스는 두러스 하계 국제 영화제의 개최 도시로, 매년 8월 말 혹은 9월 초 두러스 대극장에서 열리는 축제를 기획한다.

알바니아 교민 사회에서도 국제적으로 유명한 배우들이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알바니아계 미국인인 일라이자 두슈쿠, 제임스존 벨루시, 알바니아계 코소보인인 베킴 페미유와 아르타 도브로시, 그리고 알바니아계 터키인인 바리스 아르둑 등이 있다.

알바니아계 미국인 여배우 일라이자 두슈쿠트래블 채널론리 플래닛과 함께 알바니아의 관광홍보를 위한 다큐멘터리 ''소중한 알바니아''를 제작하였다.

8. 9. 스포츠

알바니아에서는 축구, 역도, 농구, 배구, 테니스, 수영, 럭비 유니온, 체조 등의 스포츠 종목이 인기있다. 그 중 축구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인기있는 종목이다. 알바니아의 축구는 1930년 창립한 알바니아 축구 협회 (알바니아어: ''Federata Shqiptare e Futbollit'', F.SH.F.)가 관리하며 FIFA와 UEFA의 회원권을 보유하고 있다.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7년 기준 세계 51위 (2015년 8월 22일에는 22위로 최고 순위 기록)를 기록했다. 1946년 발칸컵과 2000년 몰타 국제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이력이 있으나, UEFA 유로 2016에서의 출전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UEFA 혹은 FIFA 주요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다. UEFA 유로 2016은 알바니아가 처음으로 출전한 메이저 국제 축구 대회이자 대륙 대회였다. 알바니아는 2016년 6월 19일 UEFA 유로 2016 경기에서 루마니아를 1-0으로 이기며 메이저 대회 첫 골과 유럽 선수권 대회 첫 승리를 거두었다.[375][376] 알바니아의 저명한 축구 클럽으로는 KF 스컨데르베우 코르처, KF 티라나, FK 디나모 티라나, FK 파르티자니 티라나, KF 블라즈니아 슈코더르 등이 있다.

로리크 차나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우수한 축구 선수 중 하나이다. 그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맡은 경력이 있다.


역도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스포츠 종목 중 하나로, 국가대표팀이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와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다. 알바니아의 역도 선수들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7개, 동메달 8개, 도합 1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알바니아 역도 국가대표팀은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1972년 금메달, 2002년 은메달, 2011년 동메달을 획득했다.

알바니아는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출전하였다. 또한 2006년 동계 올림픽에 데뷔를 하였다. 1980년과 1984년 올림픽 보이콧으로 인해 네 번의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으나, 1992년 하계 올림픽에 다시 참가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 알바니아는 올림픽에 불참한 적이 없다. 알바니아는 수영, 육상, 역도, 사격 그리고 레슬링 등의 종목에 참가한다. 1972년부터 알바니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알바니아는 1987년부터 지중해 경기 대회에 참가해왔다. 알바니아 선수들은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이 경기에서 43개의 메달(금 8, 은 17, 동 18)을 획득했다.

8. 10. 디아스포라

고대부터 알바니아인들은 남유럽 지역에서 교민 사회를 구축해 왔다. 15세기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를 정복하는 등 다양한 사회정치적 이유로 알바니아인 디아스포라가 대규모로 형성되었는데, 당시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이탈리아시칠리아칼라브리아주, 그리스 등지로 이주하였다. 이외에도 터키, 미국, 아르헨티나, 칠레 등에 정착하였다. 1991년 공산정부 붕괴 이후,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를 떠나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칸디나비아, 스위스, 영국으로 이주하였다.

알바니아 출신의 저명한 인물로는 테레사 수녀, 페리드 뮤라드, 리타 오라, 베베 레자, 듀아 리파, 토니 도볼라니, 파디르 베리샤, 슈코드란 무스타피, 그라니트 자카, 제르단 샤치리, 마테오 무사치오, 에르네스또 사바또, 세실리아 볼로코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Albani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0-11
[2]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 EU-SILC survey https://ec.europa.eu[...] Eurostat 2021-08-12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4] 서적 Fialuur i voghel scc...p e ltinisct mle...un prei P. Jak Junkut t' Scocniis ... https://archive.org/[...] N'Sckoder t' Scc...pniis 2016-07-23
[5] 서적 The History of the Argeads: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Wiesbaden
[6] 서적 Invoking Humanity: War, Law and Global Order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2-08-27
[7] 웹사이트 Albania http://data.worldban[...] The World Bank 2014-09-13
[8] 뉴스 reports-poverty-decreases-in-albania-after-years-of-growth http://www.nasdaq.co[...] Dow Jones Newswires
[9] 서적 The wars of the Balkan Peninsula Rowman & Littlefield
[10] 문서 Barrington
[11]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12] 서적 (unknown)
[13] 서적 The Albanian lexicon of Dion Von Kirkman. Earliest reference to the existence of the Albanian language
[14] 웹사이트 pinocacozza.it http://www.pinocacoz[...] 2007-11-23
[15] 서적 A Grammatical Sketch of Albanian for Students of Indo European http://mudrac.ffzg.u[...] Ranko Matasovic
[16] 서적 Handbuch der Südosteuropa-Linguistik Otto Harrassowitz Verlag
[17] 서적 History of Albania (A Brief Overview)
[18] 웹사이트 The Albanian Language http://mirror.undp.o[...]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0-11-09
[19]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Balkans; and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World, Tenth to Eighth Centuries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20] 학술지 Different models for the Neolithisation of Albania https://www.academia[...] 2014
[21] 학술지 Natural asphalt on Late Neolithic (5000 – 4500 BCE) potsherds from southeastern Albania: A geochemical study
[22] 학술지 The Stratigraphy of Tumulus 6 in Shtoj and the Appearance of the Violin Idols in Burial Complexes of the South Adriatic Region https://www.ceeol.co[...] 2016
[23] 학술지 The genetic history of the Southern Arc: A bridge between West Asia and Europe 2022-08-26
[24] 학술지 The Cetina phenomenon across the Adriatic during the 2nd half of the 3rd millennium BC: new data and research perspectives https://www.academia[...] 2018
[25] 서적 The Illyrians (The Peoples of Europe) https://books.google[...]
[26]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Expansion of the Greek World, Eighth to Six Centuries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6: The Four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30]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Taylor & Francis)
[31] 서적 Hellenistic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32] 서적 Epitome
[33]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336–167 B.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72-01-01
[34] 서적 Women Rulers Throughout the Ages: An Illustrated Guide https://archive.org/[...] ABC-CLIO 1999-01-01
[35] 서적 The History of Rome https://books.google[...] D. Appleton & Company 1846-01-01
[36]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Wiley 1996-01-09
[37] 논문 The Illyrian King Ballaeus – Some Historical Aspects Presses Universitaires Blaise Pascal
[38] 서적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7-01-24
[39] 서적 Encyclopedia of Race, Ethnicit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40] 서적 Studies in late Byzantine history and prosopography https://books.google[...] Variorum Reprints
[41] 서적 Illyrisch-albanische Forschungen https://archive.org/[...] Duncker & Humblot
[42]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5, C.1198-c.13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10-21
[43] 서적 The Genealogist https://books.google[...]
[44] 서적 Clements encyclopedia of world governments Political Research, Inc.
[45] 서적 Analysis and Reform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in South-East Europe https://books.google[...]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46] 서적 Islam in the Balkans: religion and society between Europe and the Arab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47] 서적 Studies on Kosova East European Monographs
[48] 웹사이트 "The Barbarian Invasions and the Middle Ages," Albania: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2008-04-09
[49] 서적 The wars of the Balkan Peninsula: Their medieval origins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50] 서적 Regnum Albaniae, the Papal Curia, and the Western Visions of a Borderline Nobility http://www.etd.ceu.h[...]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논문 Empire of Nations: The Consolidation of Albanian and Turkish National Identities in the Late Ottoman Empire, 1878–1913 https://www.scribd.c[...] Columbia University
[52]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https://books.google[...]
[53] 서적 Communism, Health and Lifestyle: The Paradox of Mortality Transition in Albania, 1950–1990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4] 서적 Islam in the Balkans: religion and society between Europe and the Arab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55] 웹사이트 Albania: A Country Study ("Albanians under Ottoman Rule") http://countrystudie[...] 2008-04-09
[56] 서적 Analysis and Reform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in South-East Europe Council of Europe 2008
[57]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the Ottoman Empire: From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Brill
[58]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9] 백과사전 Albania http://referencework[...]
[60] 백과사전 Arnawutluḳ http://referencework[...]
[61]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Imperial Harem: Women and Sovereignty in the Ott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63] 웹사이트 Dor de Dunăre şi alte nostalgii cosmopolite https://www.observat[...]
[64] 서적 Theorising Social Change in Post-Soviet Countries: Critical Approaches https://books.google[...] Peter Lang
[65] 서적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1770–1945)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66] 서적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1770–1945)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1-01-18
[67] 웹사이트 1878 The Resolutions of the League of Prizren http://www.albanianh[...] albanianhistory.net 2011-02-20
[68] 백과사전 Albanian League https://www.britanni[...] 2012-01-05
[69] 서적 Modernisierung durch Transfer zwischen den Weltkriegen https://books.google[...] Vittorio Klosterman GmbH 2011-01-24
[70] 웹사이트 Ismail Kemal bey Vlora: Memoirs http://www.albanianh[...] 2011-01-23
[71] 웹사이트 Ismail Kemal bey Vlora: Memoirs http://www.albanianh[...] 2011-01-23
[72] 서적 Modernisierung durch Transfer zwischen den Weltkriegen https://books.google[...] Vittorio Klosterman GmbH 2011-01-24
[73] 웹사이트 1913 The Conference of London http://www.albanianh[...] 2012-01-05
[74]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Press Syndicate of University of Cambridge 2011-01-21
[75] 웹사이트 The post – 1989 constitutional course of south east Europe http://www.cecl.gr/R[...] Centre for European Constitutional Law 2003-03-24
[76] 서적 The War and Democracy http://www.gutenberg[...] MacMillan 2004-01-10
[77] 웹사이트 Albania under prince Wied http://www.albanianp[...] 2011-01-25
[78]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Press Syndicate of University of Cambridge 2011-01-25
[79] 서적 Epirus Vetus : the archaeology of a late antique province https://books.google[...] Duckworth 2003
[80] 서적 Chronology of 20th century eastern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Gale Research 1994
[81] 웹사이트 The Efforts to settle amputated Albania state http://www.albaniain[...] albaniainbrief.com 2011-01-28
[82] 서적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83] 웹사이트 Albania under prince Wied http://www.albanianp[...] 2011-01-25
[84] 웹사이트 Albania under prince Wied http://www.albanianp[...] 2011-01-25
[85] 서적 Archiv und Forschung Oldenbourg Wissenschaftsverlag
[86] 서적 Albania country study https://tile.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23-09-11
[87] 서적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23-09-13
[88] 서적 Vanished Kingdoms: The History of Half-Forgotten Europ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11
[89] 서적 War in the Balkans: Conflict and Diplomacy before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09-13
[90] 서적 Twisted Paths: Europe 1914-194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9-13
[91] 서적 The Second World War (Six Volume Boxed Set) https://books.google[...] Mariner Books 2023-09-13
[92] 서적 World War II in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arland Pub
[93] 서적 Albania and the European Union: The Tumultuous Journey Towards Integration and Accession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7-03-15
[94] 서적 The Psychology of Genocide and Violent Oppression: A Study of Mass Cruelty from Nazi Germany to Rwand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0-10-11
[95] 백과사전 Albanian Nationalism https://www.britanni[...] 2016-11-22
[96] 백과사전 Envery Hoxha https://www.britanni[...] 2016-11-22
[97] 웹사이트 Human Rights in Post-Communist Albani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HRW) 2023-09-11
[98] 웹사이트 Albania and Enver Hoxha's legacy https://www.opendemo[...] 2010-06-10
[99] 웹사이트 Panorama of the Economic-Social Development of Socialist Albania http://www.revolutio[...] 2012-04-11
[100] 간행물 40 Years of Socialist Albania
[101] 뉴스 From Faculty to Factory https://jacobinmag.c[...] 2019-03-14
[102] 웹사이트 Hapet dosja, ja harta e bunkerëve dhe tuneleve sekretë http://shqiptarja.co[...] 2016-08-11
[10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The Scarecrow Press
[104] 웹사이트 Report: The Elections in Albania https://www.csce.gov[...]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CSCE) 1991-04-04
[105] 학술지 The Rise and Fall of the Albanian Pyramid Schemes http://www.imf.org/e[...]
[106] 논문 Post-socialist Financial Fragility: The Case of Albania http://papers.tinber[...]
[107] 논문 Tales from Albarado: The Materiality of Pyramid Schemes in Post-socialist Albania
[108] 문서 Albanian refugees emigrated to Italy, Greece, Switzerland, Germany, or North America.
[109]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https://www.ngdc.no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110] 웹사이트 Nato's small states: Albania as a case study https://calhoun.nps.[...] Calhoun Naval Postgraduate School (NPS) 2016-12
[111] 웹사이트 Ceremony marks the accession of Albania and Croatia to NATO https://www.nato.int[...]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2009-04-07
[112] 웹사이트 Albania in NATO http://www.ambasadat[...] Permanent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to NATO
[113] 웹사이트 Albania–Eu-Albania relation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EC) 2019-12-01
[114] 웹사이트 EU candidate status for Albania http://europa.eu/rap[...] European Commission (EC) 2014-06-24
[115] 웹사이트 Ahmetaj: Premtimi për 300 mijë vende punë është mbajtur – Gazeta SHQIP Online http://gazeta-shqip.[...]
[116] 웹사이트 PM Rama at 'Global Leader Woman' Summit http://www.ambasadat[...]
[117] 웹사이트 Albania: PM Edi Rama secures third term for Socialist Party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DW) 2021-04-27
[118] 웹사이트 Edi Rama claims 'beautiful victory' in Albanian election https://www.euronews[...] Euronews 2021-04-27
[119] 뉴스 M 6.4 – 16 km WSW of Mamurras, Albania anss 2019-12-01
[120] 웹사이트 Very Strong earthquake – Albania – November 26, 2019 https://earthquake-r[...] 2019-12-01
[121] 웹사이트 Albanians Raise $13 Million in 3 Days for Earthquake Relief https://exit.al/en/2[...] Exit News 2019-11-29
[122] 웹사이트 Ministria e Shëndetësisë: Konfirmohen dy rastet e para me koronavirusin e ri https://shendetesia.[...]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2020-03-09
[123] 웹사이트 Shqipëria preket nga virusi Corona https://www.dw.com/s[...] Deutsche Welle (DW) 2020-03-09
[124] 웹사이트 Masat për koronavirusin, Rama: Nga nesër postblloqe, gjobë 5000 euro kush thyen karantinën https://a2news.com/2[...] A2 CNN 2020-03-11
[125] 웹사이트 Rama: Mbyllja e kufijve nuk këshillohet nga OBSH, vetëm kufizime të pjesshme https://ata.gov.al/2[...] Albanian Telegraphic Agency (ATA) 2020-03-09
[126] 웹사이트 COVID-19, në Shqipëri vazhdon lehtësimi i masave https://www.aa.com.t[...] Anadolu Agency (AA) 2020-06-01
[127] 웹사이트 Fushata e vaksinimit 'Shqipëria buzëqesh' https://shendetesia.[...]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2021-08-16
[128] 웹사이트 Vaksinimi antiCOVID/ Kryhen 1,280,239 vaksinime https://shendetesia.[...]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2021-08-11
[129] 뉴스 Albania Is Planning a New Muslim State Inside Its Capital https://www.nytimes.[...] 2024-09-21
[130] 웹사이트 Some Considerations on Seawater-freshwater Relationship in Albanian Coastal Area http://aguas.igme.es[...] 2020-07-30
[131] 웹사이트 Tregues Sipas Qarqeve Indicators by Prefectures http://www.instat.go[...] Instituti i Statistikës (INSTAT) 2020-07-30
[132] 웹사이트 Largest lake in southern Europe under threat from "eco-resort" https://www.newscien[...] 2017-01-03
[133] 웹사이트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Ohrid region https://whc.unesco.o[...] UNESCO
[134] 서적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35]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Albania https://fra-data.fao[...]
[136] 웹사이트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Albania http://www.unece.org[...]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2023-07-08
[137] 웹사이트 The First National Communica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https://unfccc.int/f[...] Ministry of Environment of Albania 2023-07-08
[138] 웹사이트 Albania's Second National Communication to the Conference of Parties under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ttp://unfccc.int/re[...]
[139] 웹사이트 Albania: Climate Change Overview https://climateknowl[...] World Bank Group 2023-07-08
[140] 웹사이트 PERGATITJA E PROFILIT KOMBETAR SHQIPETAR PER TE VLERESUAR STRUKTUREN KOMBETARE NE MENAXHIMIN E KIMIKATEVE DHE ZBATIMIN E UDHEZIMEVE TE SAICM http://www.chemicals[...] 2018-03-04
[141] 웹사이트 Moti, regjistrohet temperatura rekord në Shqipëri, – 29 gradë në Librazhd https://shqiptarja.c[...] 2018-03-04
[142] 웹사이트 Climate and climate change data for Albania http://drinkadria.fg[...] 2017-11-26
[143] 논문 Twenty-first Century Glaciers and Climate in the Prokletije Mountains, Albania 2009-11-30
[144] 웹사이트 Mediterranean Basin Biodiversity Hotspot https://www.cepf.net[...] BirdLife International 2017-07
[145] 웹사이트 Biodiversity in Albania https://macfungi.web[...] National Agency of Protected Areas (Albania)
[146] 웹사이트 Fifth National Report of Albania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https://www.cbd.int/[...] Ministry of Tourism and Environment (Albania)
[147] 웹사이트 Albania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http://www.unece.org[...]
[148] 웹사이트 On the status and distribution of the large carnivores (Mammalia: Carnivora) in Albania http://www.catsg.org[...]
[149] 웹사이트 Die potentielle Verbreitung der Wildkatze (Felis silvestris silvestris) in Österreich als Entscheidungsgrundlage für weitere Schutzmaßnahmen https://www.wildkatz[...]
[150] 웹사이트 Albanian Nature http://www.ppnea.org[...]
[151] 웹사이트 Albania towards NATURA 2000 http://www.natura.al[...]
[152] 웹사이트 The National Parks of Albania The fifteen national parks in Albania encompass an area of 210,668.48 hectares which accounts for about 3.65% of the overall territory of the country. http://www.worldatla[...] 2019-09-11
[153] 웹사이트 Gap Analysis for Nature Protection Legal Acts on Wild Fauna Conservation and Hunting (Albania) https://www.al.undp.[...]
[154] 웹사이트 Country Profiles: Albania—Main Details https://www.cbd.int/[...]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155] 논문 Për miratimin e ndryshimit të statusit dhe të sipërfaqes së ekosistemeve natyrore park kombëtar (kategoria ii) të zonave të mbrojtura mjedisore https://qbz.gov.al/a[...] 2022-01-26
[156] 웹사이트 Annotated List of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Albania https://rsis.ramsar.[...] Ramsar Convention
[157] 웹사이트 Ohrid-Prespa Transboundary Biosphere Reserve, Albania/North Macedonia https://en.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158] 웹사이트 Prespa-Ohrid region: Ancient lakes and undiscovered mountain ranges https://www.euronatu[...] Euronatur
[159] 웹사이트 Ancient and Primeval Beech Forests of the Carpathians and Other Regions of Europe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UNESCO)
[160] 웹사이트 Albania's Biodiversity and Protected Areas An Executive Summary https://www.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161] 웹사이트 Albania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Policy Brief https://sidaenvironm[...] Sida's Helpdesk for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SLU)
[162] 웹사이트 Albania: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https://www.al.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Albania (UNDP)
[163] 웹사이트 Climate Risk Country Profile Albania https://climateknowl[...] World Bank
[164] 웹사이트 Albania—Country Climate and Development Report https://www.worldban[...] 2024-10
[165] 웹사이트 IMF Country Report No. 22/363: Albania https://www.imf.org/[...] 2022-11-14
[166] 웹사이트 Third National Communica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under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ttps://unfccc.int/s[...] Ministry of Environment (Albania)
[167] 웹사이트 IMF Country Report No. 22/363: Albania https://www.imf.org/[...] 2022-11-14
[168] 논문 National contributions to climate change due to historical emissions of carbon dioxide, methane, and nitrous oxide since 1850 https://doi.org/10.1[...] 2023-03-29
[169] 논문 Greenhouse gas emissions https://ourworldinda[...] 2024-01-05
[170] 웹사이트 Albania Climate Change Data {{!}} Emissions and Policies https://www.climatew[...]
[171] 웹사이트 2022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Results https://epi.yale.edu[...]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PI) 2020-06-03
[172] 웹사이트 2012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and Pilot Trend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https://wbc-rti.info[...] Columbia University, Yale University
[173] 웹사이트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 in albania after the Democratic Revolution (1991–1997) https://www.nato.int[...]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17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s://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
[17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Albania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176] 웹사이트 Albania: Freedom in the World 2023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23-09-10
[177] 웹사이트 2022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Albania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3-09-10
[178] 웹사이트 Arbëreshët kërkojnë ndihmë nga Tirana (Video) https://telegrafi.co[...] Telegrafi 2017-04-04
[179] 논문 Albanian foreign policy in the post-communist era 2011-05
[180] 웹사이트 Albania in the region https://punetejashtm[...] Ministry for Europe and Foreign Affairs (Albania) 2023-09-03
[181] 웹사이트 Meeting Global Challenges Through Partnership Albania For UN Security Council 2022–2023 https://punetejashtm[...] Ministry for Europe and Foreign Affairs 2023-09-04
[182] 웹사이트 Nato member countries https://www.nato.int[...]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2023-09-03
[183] 웹사이트 Ceremony marks the accession of Albania and Croatia to Nato https://www.nato.int[...]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2023-09-03
[184] 웹사이트 Relations with Regional Countries https://punetejashtm[...] Ministry for Europe and Foreign Affairs 2023-09-04
[185] 웹사이트 Comprehensive cooperation between Albania and Kosovo as an auxiliary instrument to a speedy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https://library.fes.[...] Friedrich Ebert Foundation 2023-09-04
[186] 헌법 http://www.osce.org/[...] 2016-07-06
[187] 웹사이트 Albania to end conscription by 2010 https://www.wri-irg.[...] 2008-08-22
[188] 웹사이트 Albania Military 2017 http://www.theodora.[...]
[189] 웹사이트 Engagement Policy and evidence of AAF participation in PK missions http://www.mod.gov.a[...]
[190] 웹사이트 Operation Active Endeavour http://www.nato.int/[...]
[191] 웹사이트 Albania membership Nato http://www.nato.int/[...] NATO
[192] 뉴스 Albania sells off its military hardware http://news.bbc.co.u[...] 2002-04-17
[193] 웹사이트 Albania to abolish conscription by 2010 http://www.setimes.c[...] 2008-08-21
[194] 웹사이트 Albanian military expenditure as % of GDP https://www.google.c[...] World Bank
[195] 웹사이트 Reforma Administrativo-territoriale https://www.parlamen[...] Government of Albania
[19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Administrative-territorial Organisation in Albania http://www.reformate[...] 2017-09-27
[19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Administrative-territorial Organization in Albania http://www.reformate[...]
[198] 웹사이트 STRATEGJIA NDËRSEKTORIALE PËR DECENTRALIZIMIN DHE QEVERISJEN VENDORE 2015–2020 http://www.qbz.gov.a[...] Fletorja Zyrtare e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2017-11-23
[199] 웹사이트 On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ing of the Local Government, Republic of Albania, 2000 http://www.moi.gov.a[...] 2010-08-27
[200] 웹사이트 Ndarja e re, mbeten 28 bashki, shkrihen komunat | Shekulli Online http://www.shekulli.[...] Shekulli.com.al 2014-01-10
[201] 웹사이트 Reforma Territoriale – KRYESORE http://www.reformate[...] Reformaterritoriale.al 2014-08-15
[202] 웹사이트 Ndarja administrative, njësitë vendore në lagje dhe fshatra http://www.top-chann[...] 2018-12-07
[203] 웹사이트 Ndarja e re, mbeten 28 bashki, shkrihen komunat – Shekulli Online http://www.shekulli.[...] Shekulli.com.al 2016-07-23
[204] 웹사이트 Popullsia në 1 Janar sipas qarqeve dhe gjinisë 2001 – 2020 http://databaza.inst[...] Instituti i Statistikës (INSTAT) 2020-07-22
[205]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06] 웹사이트 Albania http://www.worlddipl[...] World Diplomacy 2014-08-01
[207] 웹사이트 Albania: largest companies by revenue 2020 https://www.statista[...] 2024-10-02
[208] 웹사이트 GDP per capita in purchasing power standards in 2012 http://epp.eurostat.[...] Eurostat 2013-12-14
[209] 뉴스 Business: Albania, Cyprus register economic growth http://www.setimes.c[...]
[210] 웹사이트 Strong economic growth potential puts Albania and Panama top of long term investment list http://www.propertyw[...]
[211] 뉴스 Albania and the IMF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2010-10-09
[212] 웹사이트 Instituti i Statistikave http://www.instat.go[...] Instituti i Statistikave – Tiranë 2016-05-06
[213] 웹사이트 Albanian employment rate increases in agriculture, services sector in Q1 2016 http://www.fdi.gov.c[...] 2016-06-15
[214] 웹사이트 UC Research Reveals One of the Earliest Farming Sites in Europe http://www.uc.edu/ne[...] University of Cincinnati 2012-04-16
[215] 웹사이트 IPA National Programme 2011 for Albania Project Fiche 7: Support to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16] 웹사이트 Albaniens vergessener Exportschlager https://www.humboldt[...] 2016-05-10
[217] 웹사이트 Wine Albania Portal https://web.archive.[...] 2011-02-08
[218] 서적 The Sotheby's Win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219] 웹사이트 Wine production (tons) http://faostat.fao.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04-18
[220] 웹사이트 Manufacturing & garment industry https://invest-in-al[...] 2014-06-01
[221] 웹사이트 Mining sector https://invest-in-al[...] 2014-06-01
[222] 웹사이트 ANTEA, the company with the highest working standards http://www.anteaceme[...] 2017-04-17
[223] 뉴스 UPDATE 1-Bankers Petroleum's key Albanian oilfield output jumps in Q1 https://www.reuters.[...] 2011-04-07
[224] 웹사이트 Textile industry in Albania is unprepared for a potential influx of import orders http://www.balkaneu.[...] 2014-08-24
[225] 서적 Europe Review 2003/04: The Economic and Business Report https://books.google[...] Kogan Page Publishers
[226] 웹사이트 Albania – Mining and Minerals https://www.export.g[...] 2016-08-15
[227]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Sector in Albania and Its Future https://www.research[...]
[228]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Albanian Banking System in the Transition Years https://www.ijbcnet.[...]
[229] 웹사이트 TOURISM AND EMPLOYMENT IN ALBANIA – IS THERE A STRONG CORRELATION? http://www.asecu.gr/[...]
[230] 웹사이트 INFLUENCE OF TOURISM SECTOR IN ALBANIAN GDP: ESTIM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METHOD https://www.research[...]
[231] 웹사이트 Travel & Tourism: Economic Impact 2017: Albania https://www.wttc.org[...]
[232] 웹사이트 Arrivals of foreign citizens by Lëvizjet e shtetasve shqiptarë dhe të huaj and Month http://databaza.inst[...]
[233] 웹사이트 Number of tourists to Albania up 25 pct during summer 2015 http://www.travel-ga[...] 2015-10-04
[234] 웹사이트 Lonely Planet's top 10 countries for 2011 – travel tips and articles – Lonely Planet http://www.lonelypla[...]
[235] 뉴스 52 Places to Go in 2014 https://www.nytimes.[...] 2014-09-05
[236]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of Sea-Corridors and Coastal Waters: The TEN ECOPORT project in South East Europe Springer 2015-04-07
[237] 웹사이트 Coastline | The Official website of Albanian Tourism http://albania.al/ex[...] Albania.al
[238] 웹사이트 Statistikat e transportit http://www.instat.go[...] Instituti i Statistikës (INSTAT) 2019-01-27
[239] 웹사이트 Turkish consortium bids to build Vlora airport as Albania prepares to launch national carrier http://www.tiranatim[...] 2018-01-17
[240] 웹사이트 THE CORE TRANSPORT NETWORK South-East Europe Transport Observatory SEETO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41] 웹사이트 Serbia and Kosovo Only Beginning to Form Infrastructural Links: Peace Highway to Connect the Region https://kossev.info/[...] 2018-04-15
[242] 웹사이트 Trenat e rinj Tiranë-Durrës-Rinas me 222 pasagjerë, 112 të ulur http://shqiptarja.co[...]
[243] 웹사이트 Hekurudha Tiranë-Rinas-Durrës, Haxhinasto: Projekti përfundon në 2019 http://www.top-chann[...] 2016-06-25
[244] 웹사이트 Language Education Policy Profile: Albania Country Report https://rm.coe.int/l[...] 2016-10
[245] 웹사이트 The Albanian education syste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the Dutch system https://www.epnuffic[...] 2015-01-01
[246] 웹사이트 Language Education Policy Profile 2015 – 2017 ALBANIA https://rm.coe.int/l[...]
[247] 웹사이트 SCHOOL LIFE EXPECTANCY http://world.bymap.o[...] 2017-01-31
[248] CIA World Factbook 2013-06-21
[249]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lbania https://eacea.ec.eur[...] European Commission 2017-02-01
[250] 웹사이트 Health Care Systems in Transition Albania 2002 http://www.eu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51]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s://www.osce.org[...]
[252] 웹사이트 Albania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08–09 https://dhsprogram.c[...] 2010-03-01
[253] 웹사이트 Albania-prel.pmd http://www.euro.who.[...]
[254]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at Birth https://www.cia.gov/[...] CIA – The World Factbook
[255] 웹사이트 Healthy life expectancy at birth, 2000–2015 http://gamapserver.w[...] World Health Organization
[256] 웹사이트 Measuring overall health system performance for 191 countries http://pages.stern.n[...] New York University
[257] 웹사이트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Albania http://www.eu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58] 뉴스 The World Is Getting Fatter and No One Knows How to Stop It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6-04-06
[259] 웹사이트 Living Smart, the Mediterranean Way of Being Albanian http://agroweb.org/?[...] 2017-05-01
[260] 웹사이트 Prevalence of obesity, ages 18+, 2010–2014 http://gamapserver.w[...] World Health Organization
[261] 웹사이트 Albania's Technology Needs Assessment (Final Draft) https://unfccc.int/f[...] Ministry of Environment 2004-03-01
[262] 웹사이트 Renewable energy potentials of Albania https://cordis.europ[...] European Commission (EC)
[263] 웹사이트 Fostering Effective Energy Transition 2023 Edition https://www3.weforum[...] World Economic Forum
[264] 웹사이트 Albania Renewable Energy Progress Reports 2014–2015 https://www.energy-c[...] Ministry of Infrastructure and Energy (Albania)
[265] 웹사이트 Electricity production from hydroelectric sources (% of total)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66] 웹사이트 Electricity – from hydroelectric plants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67] 웹사이트 IMF Country Report No. 22/363: Albania https://www.imf.org/[...] 2022-11-14
[268] 웹사이트 Profile: Albania https://www.hydropow[...] International Hydropower Association (IHA)
[269] 웹사이트 Crude Oil Proved Reserves 2016 http://www.eia.gov/c[...] 2016-09-03
[270] 웹사이트 Albania, from the largest continental onshore oil reserves in Europe, to the new bridge between the Balkans and Italy, by Dr Lorenc Gordani http://esc.albaniaen[...] 2017-06-21
[271] 웹사이트 Scoping Report for the ESIA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Albania https://www.tap-ag.c[...] Trans Adriatic Pipeline (TAP) 2011-04-01
[272] 웹사이트 06/11347 – Albania – Benefits of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acquis – final report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EC) 2007-10-01
[273] 웹사이트 Water statistics https://ec.europa.eu[...] European Statistical Office (Eurostat)
[274] 웹사이트 Progress on Sanitation and Drinking Water : 2015 Update and MDG Assessment http://www.wssinfo.o[...]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75]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s://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
[276] 웹사이트 2020 World Press Freedom Index https://rsf.org/en/r[...]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3-01-30
[277] 웹사이트 Freedom House–Countries and Territories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78] 웹사이트 Media Outlets in Albania https://www.kas.de/d[...] Konrad Adenauer Foundation (KAS)
[279] 웹사이트 An Overview of Albanian Film History https://www.thealban[...] The Albanian Cinema Project
[280] 웹사이트 Research for Development http://www.dfid.gov.[...] DFID
[281] 웹사이트 Strategy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2009–2015 https://web.archive.[...] 2010-08-27
[282]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2024-11-29
[283] 웹사이트 Plani Kombëtar për Zhvillimin e Qëndrueshëm të Infrastrukturës Digjitale Broadband 2020–2025 https://www.infrastr[...] Ministry of Infrastructure and Energy (Albania) 2020-08-30
[284]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Sector in Albania and Its Future https://www.research[...] 2013-10-01
[285] 웹사이트 2019 Raporti Vjetor https://www.parlamen[...] Electronic and Postal Communications Authority (Albania) 2020-08-30
[286] 웹사이트 SpaceX launches two Albanian satellites{{spaced ndash}}PM Rama https://seenews.com/[...] 2023-01-04
[287] 웹사이트 Albania's first satellites launched into space https://bne.eu/alban[...] 2023-01-04
[288] 웹사이트 Who is OpenAI's Mira Murati: An AI innovation race from Tesla to ChatGPT https://medium.com/@[...] 2023-11-20
[289] 웹사이트 Meet Mira Murati, the Engineer Now Leading OpenAI https://www.nytimes.[...] 2023-11-17
[290] 웹사이트 How OpenAI interim chief Mira Murati helped launch AI into the mainstream https://www.theguard[...] 2023-11-19
[291] 웹사이트 Albania to speed up EU accession using ChatGPT https://www.euractiv[...] 2023-12-13
[292] 웹사이트 'Bisedova me Mira Muratin', Rama: Përafrimi i legjislacionit me BE-në bëhet me ChatGPT https://telegrafi.co[...] 2023-12-09
[293] 웹사이트 Albania Population Projections 2011–2031 http://www.instat.go[...] Instituti i Statistikës (INSTAT) 2020-07-30
[294] 백과사전 CIA World Factbook 2024-09-18
[295] 서적 Historia e popullit shqiptar Botimet Toena
[296] 웹사이트 30% of Albanians live abroad amid increased migration woes – EURACTIV.com https://www.euractiv[...] 2022-11-17
[297] 웹사이트 Article: Embracing Emigration: The Migration-Devel.. | migrationpolicy.org https://www.migratio[...] 2015-09-09
[298] 웹사이트 The other Albanian migrant crisis https://www.opendemo[...]
[299] 논문 UNECE Country Profile
[300] 논문 UNECE Country Profile
[301] 논문 CIEACA: Albania
[302] 웹사이트 Urban population (% of total population){{spaced ndash}}Albani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4-09-14
[303]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Berat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04]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Dibër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05]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Durrës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06]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Elbasan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07]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Fier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08]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Gjirokastër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09]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Korçë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10]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Lezhë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11]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Shkodër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12]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Tirana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13]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Vlorë County)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INSTAT) 2020-10-11
[31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s://www.osce.org[...]
[315] 서적 Balkan Border Crossings: Second Annual of the Konitsa Summer School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1
[316]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Albania? https://www.worldatl[...] 2017-08-00
[317] 뉴스 The Second Most Spoken Languages Around the World https://web.archive.[...] 2017-06-12
[318] 뉴스 The Greek language is widely spoken in Albania (H Ελληνική γλώσσα γίνεται καθομιλουμένη στην Αλβανία) http://www.kathimeri[...] 2017-06-12
[319] 웹사이트 Languages of Albania https://web.archive.[...] 2010-10-31
[320] 간행물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https://www.instat.g[...] Instituti i Statistikës (INSTAT) 2020-09-21
[321] 뉴스 Press release of the Adult Education Survey https://web.archive.[...] 2018-05-10
[322] 서적 Urgjenca gjuhësore: -huazime të zëvendësueshme me fjalë shqipe- : (fjalorth) Naimi
[323] 웹사이트 Gjuha gjermane, shumë e kërkuar në Shqipëri https://web.archive.[...] albinfo 2014-04-10
[324] 웹사이트 Në Shqipëri vazhdon të rritet interesi për gjuhën turke https://www.voal.ch/[...] voal 2016-10-05
[325] 뉴스 Albania has Recognized the Bulgarian Minority in the Country http://www.novinite.[...] 2017-10-12
[326]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Albania : Overview https://archive.toda[...]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 for Refugees 2005-05-11
[327] 서적 RFE/RL Research Report: Weekly Analyses from the RFE/RL Research Institute https://books.google[...]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Incorporated
[328]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9] 서적 Nihil Obstat: Religion, Politics, and Social Change in East-Central Europe and Russi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330] 서적 Eastern Europe at the Tur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 Guide to the Economies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1]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Book 2008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32] CIA World Factbook 2014-09-13
[333] 웹사이트 Albania https://2009-2017.st[...] 2014-09-13
[334]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for 2014: Albania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5-10-20
[335] 웹사이트 1998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s://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 2020-07-30
[336] 웹사이트 Gallup Global Reports https://web.archive.[...] Gallup 2013-03-25
[337] 웹사이트 Mapped: The world's most (and least) religious countrie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8-01-14
[338] 웹사이트 Religion prevails in the world https://web.archive.[...]
[339] 웹사이트 Albania: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https://2001-2009.st[...] U.S. State Department 2007-09-14
[340] 웹사이트 Korrieri online – Shqip https://web.archive.[...] 2005-05-23
[341] 웹사이트 Në Shqipëri P. ka 1119 kisha dhe 638 xhami https://web.archive.[...]
[342] 서적 Rediscovering the Umma: Muslims in the Balkans between 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3] 웹사이트 Albania https://web.archive.[...] TED Adventist 2013-03-25
[344] 웹사이트 Famous British celebrity visits ADRA Albania – Albania https://reliefweb.in[...] 2001-04-30
[345] 웹사이트 LDS Newsroom-Country Profile-Albania https://web.archive.[...]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346] 서적 2015 Yearbook of Jehovah's Witnesses Watch Tower Society
[347] 뉴스 1st chief rabbi inaugurated in Albania – Israel Jewish Scene, Ynetnews http://www.ynetnews.[...] 2014-02-15
[348] 백과사전 Albania Virtual Jewish Tour https://www.jewishvi[...] 2014-02-15
[349] 웹사이트 Për formën dhe përmasat e Flamurit kombëtar përmbajtjen e Himnit kombëtar, formën dhe përmasat e Stemës së Republikës të Shqiperisë dhe mënyrën e përdorimit të tyre https://web.archive.[...] Official Publishing Center (Albania) 2019-01-11
[35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3-19
[351]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National Symbols and Emblem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3-09-30
[352] 서적 Catholic World, Band 23 https://books.google[...] Paulist Fathers
[353] 서적 The Hidden Europe: What Eastern Europeans Can Teach Us https://books.google[...] SonicTrek, Inc. 2011-12-08
[354] 서적 Historia e popullit shqiptar Botimet Toena, 2002
[355] 서적 Albanian Costumes Through the Centuries: Origin, Types, Evolution https://books.google[...] Academy of Sciences of Albania 2023-09-23
[356] 논문
[357] 논문
[358] 서적 Recherches albanologiques: Folklore et ethnologie https://books.google[...] Instituti Albanologijik i Prishtinës 2013-04-14
[359] 웹사이트 Xhubleta, skills, craftsmanship and forms of usage https://ich.unesco.o[...] UNESCO 2023-09-24
[360] 웹사이트 Robert Elsie: Arti Shqiptar http://www.albaniana[...] 2015-11-22
[361] 서적 Albania – Band 23 von Cultur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4
[362] 웹사이트 Heritage from the Communist Period in Albania – An Unwanted Heritage Today? https://gupea.ub.gu.[...]
[363] 웹사이트 Butrint https://whc.unesco.o[...] UNESCO
[364] 웹사이트 Historic Centres of Berat and Gjirokastra https://whc.unesco.o[...] UNESCO
[365] 웹사이트 Albania Mania http://agroweb.org/a[...] 2017-10-13
[366] 뉴스 Albania ranked first in the World for the number of Bars and Restaurants per inhabitant https://www.ocnal.co[...] 2018-02-19
[367] 웹사이트 Why Albania Is A Great Destination For Wine Drinkers https://epicureandcu[...] 2017-01-05
[368] 웹사이트 Wines of Albania http://www.winesofba[...] 2019-01-18
[369] 웹사이트 Albanian folk iso-polyphony https://ich.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UNESCO) 2020-12-14
[370] 웹사이트 Kujtimet për Koço Çakalin, themeluesin e këngës himariote http://www.shekulli.[...] shekulli.com.al 2016-07-23
[371] 웹사이트 Historiku i Festivalit të Këngës http://www.festivali[...] Radio Televizioni Shqiptar (RTSH) 2020-12-14
[372] 웹사이트 Era Istrefi requires Albanian citizenship, meets with President Nishani http://www.ocnal.com[...] 2016-11-12
[373] 뉴스 How Ermonela Jaho became the world's most acclaimed soprano https://www.economis[...] 2016-05-28
[374] 웹사이트 Tenori shqiptar Saimir Pirgu nominohet në "Grammy Awards"! (Foto) http://telegrafi.com[...] 2016-12-07
[375] 뉴스 Euro 2016: Albania 0–1 Romania – Armando Sadiku scores the only goal to seal his country's first ever win at a major competition https://www.telegrap[...] 2016-06-19
[376] 뉴스 Romania 0–1 Albania – Sadiku scores landmark goal to provide last 16 hope https://www.mirror.c[...] 2016-06-19
[377] 웹사이트 Human Rights in Albania https://www.civilrig[...] 2017-11-02
[378] 웹사이트 Annual Review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 and Intersex People in Europe http://www.ilga-euro[...] ILGA-Europe 2015-07-08
[379] 웹사이트 Rainbow Europe https://www.rainbow-[...] 2022-05-20
[380]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021-10-11
[38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IMF 2021-10-18
[382] 서적 アルバニ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
[383] 서적 第二次世界大戦 1 河出文庫
[384]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385] 뉴스 独裁者の核防空壕を一般公開、観光資源に アルバニア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4-11-24
[386] 서적 40 Years of Socialist Albania
[387] 논문 Reflections on China II: Extracts from the Political Diary Institute of Marxist-Leninist Studies at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of Labour of Albania 1979
[388] 서적 Reflections on China. II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79
[389] 서적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I.B. Tauris & Co Ltd 1999
[390] 서적 NHK特集 現代の鎖国アルバニア 日本放送出版協会 1987
[391] 뉴스 Albanian Parliament Fails to Elect a President in 1st Vote https://www.usnews.c[...] 2022-06-02
[392] 뉴스 EU、英抜きで再拡大へ バルカン諸国の加盟交渉で合意 https://www.nikkei.c[...] 2020-03-26
[393] 뉴스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394] 뉴스 「イラン包囲網」米主導の船舶護衛活動開始 日本見送り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11-08
[39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96] 웹사이트 アルバニア:「国民平等に貧しい」と「ねずみ講バブル」の関係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8-03-06
[397] 서적 戦場でメシを食う 新潮社
[398] 논문 アルバニアの金属資源 http://www.gsj.jp/Pu[...] 地質ニュース 1998-11
[399] 뉴스 アルバニア、NATOに新たな海軍基地提供へ=首相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2-07-04
[400] 뉴스 アルバニア首相:軍港供与 NATOと協議「地理的に戦略拠点」 https://www.nikkei.c[...] 2023-02-23
[401] 웹사이트 アルバニアにおける移民と民族集団-シナジーと相互依存 http://www.watsonins[...] ワトソン・インスティテュート(Watson Institute)
[402] 웹사이트 国際的な宗教の自由 http://www.state.gov[...] アメリカ国務省
[403] 웹사이트 Family Code of Albania https://www.ilo.org/[...] Chemonics International Inc. 2003
[404] 웹사이트 ユネスコ世界遺産 アルバニア http://whc.unesco.or[...]
[405] 웹사이트 Napoli reportedly reach agreement with Empoli to sign Elseid Hysaj http://www.thesirens[...] THE SIREN's SONG 2015-07-28
[406] 문서
[407] 문서
[408] 문서
[409] 문서
[410] 문서
[411] 문서
[412] 문서
[41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7-05-21
[414] 서적 Invoking Humanity: War, Law and Global Order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2-08-27
[415] 웹사이트 Strong GDP growth reduces poverty in Albania-study - Forbes.com http://www.forbes.co[...] 2012-01-17
[41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s http://hdr.undp.org/[...]
[417] 웹사이트 BBC NEWS Europe Albania applies for EU membership http://news.bbc.co.u[...]
[418] 서적 The wars of the Balkan Peninsula Rowman & Littlefield 2007
[419] 웹사이트 isbn:069103169X - Google 검색 https://www.google.c[...]
[420] 웹사이트 isbn:9780631198079 - Google 검색 https://www.google.c[...]
[421] 서적 The Albanian lexicon of Dion Von Kirkman. Earliest reference to the existence of the Albanian language
[422] 웹인용 www.pinocacozza.it http://www.pinocacoz[...] 2017-05-24
[423] 웹인용 Web*Radio*Skanderbeg http://www.radio-ska[...] 2017-05-24
[424] 서적 History of Albania (A Brief Overview) 1964
[425] 저널 The Albanian Language 2010-11-09
[426]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27] 서적 Bronze Age migrations in the Aegean;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problems in Greek prehistory: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lloquium on Aegean Prehistory, Sheffield https://books.google[...] Duckworth 1973
[428]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Historical geography and prehistor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72
[429] 서적 Collected Studies: Further studies on various topics https://books.google[...] Hakkert 2001
[43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31]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Wiley 1996-01-09
[432] 웹인용 isbn:9780631198079 - Google 검색 https://www.google.c[...] 2017-05-25
[433]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08-05
[434] 서적 The Illyrians (The Peoples of Europe) 1996
[435] 서적 Hammond 1998; Lewis & Boardman 1994, pp. 430, 434; Boardman & Hammond 1982, p. 284; Wilkes 1995, p. 104; Encyclopædia Britannica ("Epirus") 2013
[436]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336-167 B.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72
[437] 서적 Women Rulers Throughout the Ages: An Illustrated Guide https://books.google[...] ABC-CLIO 1999
[438] 서적 The History of Rome https://books.google[...] D. Appleton & Company 1846
[439]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Wiley 1996-01-09
[440] 서적 Marjeta Šašel Kos, "The Illyrian King Ballaeus – Some Historical Aspects", Épire, Illyrie, Macédoine: Mélanges offerts au professeur Pierre Cabanes, ed. Danièle Berranger (Clermont-Ferrand: Presses Universitaires Blaise Pascal, 2007), 127.
[441]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442] 웹인용 Albania - THE BARBARIAN INVASIONS AND THE MIDDLE AGES http://countrystudie[...] 2017-05-26
[443] 서적 Illyrisch-albanische Forschungen https://books.google[...] Duncker & Humblot 1916
[444]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5, C.1198-c.13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445] 서적 The Genealogist https://books.google[...] The Association 1980
[446] 서적 Clements encyclopedia of world governments Political Research, Inc. 1992
[447] 서적 Analysis and Reform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in South-East Europe https://books.google[...] Council of Europe 2017-05-26
[448] 서적 Islam in the Balkans: Religion and Society Between Europe and the Arab World https://books.google[...]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1993
[449] 서적 Studies on Kosova East European Monographs 1984
[450] 웹사이트 Regnum Albaniae, the Papal Curia, and the Western Visions of a Borderline Nobility http://www.etd.ceu.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451] 웹인용 Licursi Senior Thesis {{!}} Ottoman Empire {{!}} Nationalism https://www.scribd.c[...] 2017-05-27
[452] 뉴스 Albania {{!}} history - geograph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7-05-27
[453] 서적 Communism, Health and Lifestyle: The Paradox of Mortality Transition in Albania, 1950-1990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454] 저널 Albania http://referencework[...]
[455] 저널 Arnawutluḳ http://referencework[...]
[456] 서적 Late Enlightenment: Emergence of modern national ide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6
[457] 웹인용 WebCite query result http://www.albanianh[...] 2017-05-27
[458] 서적 Late Enlightenment: Emergence of modern national ide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6
[459] 뉴스 Albanian League Balkan histor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7-05-27
[460] 웹인용 1920 Ismail Kemal bey Vlora: Memoirs http://www.albanianh[...] 2010-06-17
[461] 웹인용 1920 Ismail Kemal bey Vlora: Memoirs http://www.albanianh[...] 2010-06-17
[462] 서적 Modernisierung durch Transfer zwischen den Weltkriegen https://books.google[...] Klostermann 2007
[463] 서적 Modernisierung durch Transfer zwischen den Weltkriegen https://books.google[...] Klostermann 2007
[464] 웹인용 WebCite query result http://www.cecl.gr/R[...] 2017-05-28
[465]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7-29
[466] 서적 The War and Democracy http://www.gutenberg[...]
[467] 웹인용 WebCite query result http://www.albanianp[...] 2017-05-28
[468] 서적 Epirus Vetus: the archaeology of a late antique province https://books.google[...] Duckworth 2003
[469] 서적 Chronology of Twentieth Century Eastern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Gale Research, Incorporated 1994
[470] 웹인용 WebCite query result http://www.albaniain[...] 2017-05-28
[471] 서적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is 1999
[472] 서적 Archiv und Forschung Oldenbourg Wissenschaftsverlag 1993
[473] 서적 Albania and the European Union: The Tumultuous Journey Towards Integration and Access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7-03-15
[474] 서적 The Psychology of Genocide and Violent Oppression: A Study of Mass Cruelty from Nazi Germany to Rwand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0-09-13
[475] 서적 The Albanians: An Ethnic History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McFarland 1995
[476] 서적 Live to Tell: A True Story of Religious Persecution in Communist Albania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8
[477] 뉴스 Albania - Albanian nationalism history - geograph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7-05-29
[478] 뉴스 Enver Hoxha prime minister of Albani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7-05-29
[479] 서적 40 Years of Socialist Albania
[480] 뉴스 Shqiptarja.com - Ekskluzive/Hapet dosja, ja harta e bunkereve e tuneleve sekrete https://web.archive.[...] Shqiptarja.com 2017-05-29
[481] 저널 ‘The Road from Capitalism to Capitalism’: Infrastructures of (Post)Socialism in Albania http://www.academia.[...]
[482] 서적 Comparative Economic Systems https://books.google[...] Ardent Media 1969
[483] 웹인용 Panorama of the Economic-Social Development of Socialist Albania http://www.revolutio[...] 2017-05-29
[484] 간행물 Hoxha's Antireligious Campaign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485] 서적 Kombësia dhe feja në Shqipëri, 1920–1944
[48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The Scarecrow Press 2010
[487] 웹인용 Finance and Development http://www.imf.org/e[...] 2017-05-29
[488] 저널 Post-socialist Financial Fragility: The Case of Albania 2001
[489] 저널 Tales from Albarado: The Materiality of Pyramid Schemes in Post-socialist Albania 2011
[490] 문서 The Albanian diaspora mass emigration
[491] 뉴스 Albania country profile http://www.bbc.com/n[...] BBC News 2017-05-29
[492] 뉴스 Albania and Bosnia fail to impress at EU membership meeting over democratic value concerns http://www.express.c[...] Express.co.uk 2017-05-29
[493] 저널 SOME CONSIDERATIONS ON SEAWATER-FRESHWATER RELATIONSHIP IN ALBANIAN COASTAL AREA http://aguas.igme.es[...] 2017-05-31
[494] 뉴스 Information http://qendrim.forum[...] qendrim.forumotion.net 2017-05-30
[495] 저널 CONVENTION DN BIOLOGICAL DIVERSITY NATIONAL REPORT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https://www.cbd.int/[...]
[496] 서적 Albania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2010-07-01
[497] 웹인용 The Balkan Lynx Conservation Compendium http://www.catsg.org[...] 2017-05-31
[498] 웹사이트 Albania: People, CIA World Factbook, 2012 2012-04-06
[499] 저널 FEMRAT DHE MESHKUJT NË SHQIPËRI WOMEN AND MEN IN ALBANIA 2006 http://www.instat.go[...] 2017-06-05
[500] 저널 Migration and Ethnicity in Albania: Synergies and Interdependencies http://www.watsonins[...] 2017-06-05
[501] 웹인용 EUDO CITIZENSHIP http://eudo-citizens[...] 2017-06-01
[502] 웹인용 Main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 INSTAT http://www.instat.go[...] 2017-06-01
[503] 뉴스 Albania: Looking Beyond Borders http://www.migration[...] migrationpolicy.org 2017-06-01
[504] 웹인용 Popullsia e Shqipërisë, 1 Janar 2016 - INSTAT http://www.instat.go[...] 2017-06-01
[505] 서적 RFE/RL Research Report: Weekly Analyses from the RFE/RL Research Institute https://books.google[...]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Incorporated 1993
[506]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6-11-15
[507] 서적 Nihil Obstat: Religion, Politics, and Social Change in East-Central Europe and Russi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98
[508] 서적 Eastern Europe at the Tur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 Guide to the Economies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509]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Book 2008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Group 2008-06-24
[510] 웹사이트 Census 2011 Data: Resident population by ethnic and cultural affiliation http://www.instat.go[...] The Institute of Statistics of Republic of Albania 2014-04-05
[511] 웹인용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7-06-01
[512] 뉴스 Albania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2017-06-01
[513] 저널 ALBANIA 2014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www.state.go[...]
[514] 웹인용 MINA Breaking News - Albania passes census law http://macedoniaonli[...] 2017-06-01
[515] 저널 ON SOME AMENDMENTS AND ADDITIONS TO LAW NO.8669, DATED 26.10.2000 “ON THE GENERAL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AS AMENDED) http://www.instat.go[...] 2017-06-05
[516] 웹인용 Albania Nationalist Leader Resigns from Top Justice Job :: Balkan Insight http://www.balkanins[...] 2017-06-01
[517] 웹인용 Greek Consul Statement Angers Albanian MPs :: Balkan Insight http://www.balkanins[...] 2017-06-01
[518] 저널 Popullsia e Shqipërisë http://www.instat.go[...] 2016-04-12
[519] 웹인용 Population - INSTAT http://www.instat.go[...] 2017-06-04
[520] 저널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http://www.instat.go[...] 2014-09-08
[521] 웹인용 Ethnologue report for Albania http://www.ethnologu[...] 2017-06-04
[522] 웹인용 The Second Most Spoken Languages Around the World Olivet Nazarene University http://graduate.oliv[...] 2017-06-04
[523] 뉴스 H ελληνική γλώσσα γίνεται καθομιλουμένη στην Αλβανία, Της Γιώτας Μυρτσιώτη Kathimerini http://www.kathimeri[...] 2017-06-04
[524] 저널 Fjala e Drejtorit të Përgjithshëm të INSTAT, Ines Nurja gjatë prezantimit të rezultateve kryesore të Censusit të Popullsisë dhe Banesave 2011. http://www.instat.go[...] 2017-03-26
[525] 뉴스 Shqiptarja.com - Kisha Ortodokse: Censusi fshehu 17% të besimtarëve http://shqiptarja.co[...] Shqiptarja.com 2017-06-05
[526] 웹인용 World Gallup Topic http://www.gallup.co[...] Gallup, Inc. 2017-06-05
[527] 간행물 Chapter 1: Religious Affiliation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12-08-09
[528] 웹인용 Korrieri online - Shqip http://www.korrieri.[...] 2005-05-23
[529] 웹인용 Early Christianity Albania Reformation Christian Ministries - Albania & Kosovo http://reformation.e[...] 2017-06-05
[530] 서적 Yearbook of Muslims in Europe https://books.google[...] BRILL 2013-09-19
[531] 뉴스 Shqipëria refuzon Organizatën Islamike, jo pjesë e aktivitetit në Teheran Gazeta SHQIP Online http://gazeta-shqip.[...] 2017-06-05
[532] 뉴스 Albania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2017-06-05
[533] 뉴스 Famous British celebrity visits ADRA Albania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7-06-05
[534] 웹인용 Albania - LDS Newsroom http://newsroom.lds.[...] 2010-08-25
[535] 서적 2015 Yearbook of Jehovah's Witnesses Watch Tower Society
[536] 서적 Rescue in Albania: One Hundred Percent of Jews in Albania Rescued from Holocaust Brunswick Press 1997
[537] 뉴스 1st chief rabbi inaugurated in Albania http://www.ynetnews.[...] Ynetnews 2017-06-05
[538] 웹인용 Albania Virtual Jewish History Tour https://www.jewishvi[...] 2017-06-05
[539] 저널 The Albanian education syste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the Dutch system https://www.nuffic.n[...] 2017-06-05
[540] 웹인용 School Life Expectancy / Countries of the World http://world.bymap.o[...] 2017-06-05
[54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nstat.go[...] 2018-12-27
[542] 저널 Health Care Systems in Transition http://www.euro.who.[...] 2017-06-05
[543] 웹인용 The DHS Program - Where We Work http://dhsprogram.co[...] 2017-06-05
[544] 웹인용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7-06-05
[545] 웹인용 Constitute https://www.constitu[...] 2017-06-06
[546] 웹인용 Bushati në Romë: bashkërendim i prioriteteve të Samitit të Ballkanit Perëndimor http://www.mfa.gov.a[...] 2017-06-06
[547] 웹인용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lbania OSCE http://www.osce.org/[...] 2017-06-07
[548] 웹인용 Albania to end conscription by 2010 War Resisters' International https://www.wri-irg.[...] 2017-06-07
[549] 웹인용 Albania Military 2017, CIA World Factbook http://www.theodora.[...] 2017-06-07
[550] 웹인용 BBC News EUROPE Albania sells off its military hardware http://news.bbc.co.u[...] 2017-06-07
[551] 웹인용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 Google Public Data Explorer https://www.google.c[...] 2017-06-07
[552] 웹인용 NATO Topics: Operation Active Endeavour http://www.nato.int/[...] 2011-08-30
[553] 웹인용 NATO Website - Issues http://www.nato.int/[...] 2011-07-28
[554] 웹인용 Territorial Reform - History http://www.reformate[...] 2015-05-24
[555] 웹인용 Ndarja administrative, njësitë vendore në `lagje` e `fshat` - Lajme - Top Channel http://top-channel.t[...] 2017-06-07
[556] 뉴스 Ndarja e re, mbeten 28 bashki, shkrihen komunat - Shekulli Online http://www.shekulli.[...] Shekulli Online 2014-01-10
[557] 웹인용 WebCite query result http://www.moi.gov.a[...] 2017-06-07
[558] 웹인용 Territorial Reform - HOME http://www.reformate[...] 2017-06-07
[559] 웹인용 Albania - You Albania Give Me Honor, You Give Me The Name Albanian http://www.worlddipl[...] 2017-06-07
[560] 웹인용 Albania Overview http://www.worldbank[...] 2017-06-07
[561] 뉴스 Business: Albania, Cyprus register economic growth http://www.setimes.c[...]
[562] 웹사이트 Strong economic growth potential puts Albania and Panama top of long term investment list http://www.propertyw[...] 2009-04-14
[563] 웹인용 Albania and the IMF -- Page 1 of 11 http://www.imf.org/e[...] 2017-06-07
[564] 웹인용 Kastrati Group http://kastratigroup[...] 2017-06-07
[565] 저널 Anketa Tremujore e Forcave të Punës http://www.instat.go[...] 2016-05-06
[566] 웹인용 Forbes Welcome https://www.forbes.c[...] 2017-06-07
[567] 웹인용 Albania Overview http://www.worldbank[...] 2017-06-07
[568] 웹인용 Albanian employment rate increases in agriculture, services sector in Q1 2016 http://www.fdi.gov.c[...] 2017-06-08
[569] 웹인용 UC Research Reveals One of the Earliest Farming Sites in Europe http://www.uc.edu/ne[...] 2017-06-08
[570] 저널 IPA National Programme 2011 for Albania Project Fiche 7: Support to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https://ec.europa.eu[...]
[571] 웹인용 ESS Website ESS : Statistics home http://www.fao.org/e[...] 2017-06-08
[572] 웹인용 factfish Sour cherries, production quantity for Albania http://www.factfish.[...] 2017-06-08
[573] 서적 The Sotheby's Win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2011
[574] 웹인용 FAOSTAT http://www.fao.org/f[...] 2017-06-08
[575] 뉴스 Manufacturing & garment industry - Invest in Albania https://invest-in-al[...] 2017-06-08
[576] 뉴스 Mining sector - Invest in Albania https://invest-in-al[...] 2017-06-08
[577] 뉴스 UPDATE 1-Bankers Petroleum's key Albanian oilfield output jumps in Q1 http://www.reuters.c[...] 2017-06-08
[578] 웹인용 Textile industry in Albania is unprepared for a potential influx of import orders http://www.balkaneu.[...] 2017-06-08
[579] 서적 Europe Review 2003/04: The Economic and Business Report https://books.google[...] Kogan Page Publishers 2003
[580] 웹인용 Albania - Mining and Minerals {{!}} export.gov https://www.export.g[...] 2017-06-08
[581] 저널 Travel & Tourism Economic Impact 2015 Albania https://www.wttc.org[...] 2017-06-10
[582] 뉴스 Lonely Planet's top countries for 2011 - Lonely Planet https://www.lonelypl[...] 2017-06-09
[583] 뉴스 52 Places to Go in 2014 https://www.nytimes.[...] 2017-06-09
[584] 뉴스 Tirana, Albania: What to see and do on a weekend break http://www.telegraph[...] 2017-06-09
[585] 웹인용 Number of tourists to Albania up 25 pct during summer 2015 – Travel Gazette http://www.travel-ga[...] 2017-06-09
[586] 웹인용 USAID and Embassy of Sweden Announce Call for Proposals for Albania's Tourism Sector https://www.usaid.go[...] 2017-06-09
[587] 웹인용 ABCom - Albanian Broadband Communication http://www.abcom.al/[...] 2017-06-09
[588] 웹인용 Research for Development Outputs - GOV.UK https://www.gov.uk/d[...] 2017-06-09
[589] 웹인용 Electricity production from hydroelectric sources (% of total) {{!}} Data http://data.worldban[...] 2017-06-09
[590] 웹인용 Albania, Croatia to Build Nuclear Plant :: BalkanInsight.com http://www.balkanins[...] 2017-06-09
[591] 웹인용 Enel Albanian Joint Venture Introduces Coal In Albania's Power Mix {{!}} Europe > Eastern Europe from AllBusiness.com http://www.allbusine[...] 2017-06-09
[592] 웹인용 Devoll Hydropower Project http://www.power-tec[...] 2017-06-09
[593] 웹인용 Devoll Hydropower Sh.A. - Project Scheme http://www.dhp.al/in[...] 2017-06-09
[594] 웹인용 Devoll Hydropower {{!}} Devoll Hydropower Project Overview http://www.devollhyd[...] 2017-06-09
[595] 웹인용 Albanians Get to Fly from Second Airport :: Balkan Insight http://www.balkanins[...] 2017-06-10
[596] 뉴스 Shqiptarja.com - Trenat e rinj Tiranë-Durrës-Rinas me 222 pasagjerë, 112 të ulur https://web.archive.[...] 2017-06-10
[597] 웹인용 Hekurudha Tiranë-Rinas-Durrës, Haxhinasto: Projekti përfundon në 2019 - Lajme - Top Channel https://web.archive.[...] 2017-06-10
[598] 웹인용 Butrint http://whc.unesco.or[...] 2017-06-11
[599] 웹인용 Historic Centres of Berat and Gjirokastra http://whc.unesco.or[...] 2017-06-11
[600] 논문 Translated and published by Filip Fishta in Shkolla Kombëtare (The National School; No.1, May 1939), 19, and quoted from his Preface to Pjetër Dungu's Lyra Shqiptare
[601] 뉴스 Kujtimet për Koço Çakalin, themeluesin e këngës himariote - Shekulli Online http://www.shekulli.[...] 2017-06-11
[602] 뉴스 Era Istrefi requires Albanian citizenship, meets with President Nishani http://www.ocnal.com[...] 2017-06-11
[603] 웹인용 Fiery angel http://www.economist[...] 2017-06-11
[604] 뉴스 Tenori shqiptar Saimir Pirgu nominohet në "Grammy Awards"! (Foto) - Telegrafi http://telegrafi.com[...] 2017-06-11
[605] 웹인용 Arti Shqiptar {{!}} Robert Elsie http://www.albaniana[...] 2017-06-12
[606] 서적 American, African, and Old European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05-15
[607]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 Dress: Traditional Clothing Around the World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4-09
[608] 웹인용 AQSHF http://www.aqshf.gov[...] 2017-06-18
[609] 문서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610] 문서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611] 문서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된다.
[612] 문서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