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는 린킨 파크 팬들을 위한 공식 팬클럽으로, 2001년 결성되어 매년 멤버십 패키지를 발매하고 있다. 팬클럽은 린킨 파크와 마이크 시노다의 사이드 프로젝트인 포트 마이너의 팬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운영하며, 회원 전용 EP 음반을 발매해왔다. LPU는 "Songs From The Underground", "Underground 9: Demos", "Underground X: Demos", "A Decade Underground"와 같은 스페셜 에디션 및 컴필레이션 음반을 발매하며 린킨 파크 멤버들과 다양한 협력 아티스트들이 참여했다.

2. 연혁

2001년, 린킨 파크와 제시카 바르다스는 팬들과의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로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LPU)를 만들었다. LPU는 매년 멤버십 패키지를 발매하며 팬들과의 관계를 이어갔다.

2005년에는 멤버 마이크 시노다의 사이드 프로젝트 그룹인 포트 마이너의 팬클럽 '포트 마이너 밀리티아'가 LPU와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2. 1. 설립 초기 (2001-2004)

2001년, 린킨 파크와 제시카 바르다스에 의해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LPU)가 설립되었다. LPU는 린킨 파크의 팬들 간 소통과 교류를 위한 커뮤니티 조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매년 새로운 구성의 멤버십 패키지를 발매한다.

설립 첫 해에는 선착순 500명의 LPU 회원에게 멤버 전원의 사인이 담긴 《Hybrid Theory EP》 음반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또한, 초기에는 LPU 포럼을 통해 팬들에게 다양한 린킨 파크 관련 상품을 판매했으며, 이 활동은 2005년 1월 31일까지 이어졌다.

2. 2. 확장기 (2005-2010)

2005년 1월 31일까지 LPU 포럼을 통해 팬들에게 린킨 파크 관련 상품을 판매하였다.

2005년 9월, 린킨 파크의 멤버 마이크 시노다의 사이드 프로젝트 그룹인 포트 마이너의 팬클럽 '포트 마이너 밀리티아'가 LPU와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선착순 100명의 회원에게는 DVD가 수록된 포트 마이너의 1집 음반 《The Rising Tied》와 마이크 시노다의 사인이 담긴 상품 등이 증정되었다.

3. 언더그라운드 음반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LPU)는 팬클럽 회원들을 위해 매년 EP 음반을 발매했다. 이 음반들은 주로 미공개 데모 트랙, 라이브 음원, 리믹스 버전 등 정규 앨범에서는 들을 수 없는 희귀한 곡들을 담고 있어 팬들에게 높은 소장 가치를 지닌다.

LPU의 첫 번째 공식 음반은 2001년 11월 19일에 팬클럽 회원들을 위해 재발매된 《Hybrid Theory EP》이다.

이후 LPU는 버전(v) 넘버를 붙인 EP 시리즈를 매년 발매했다. 각 음반은 팬클럽 회원에게만 한정적으로 제공되었으며, 주요 발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LP Underground v2.0 (2002년 11월 18일): 6개 트랙으로 구성된 두 번째 음반. 이베이에서 "언더그라운드 2.5"라는 이름의 위조 음반이 판매되는 사건이 있었다.
  • LP Underground v3.0 (2003년 11월 17일): 라이브 앨범 《Live in Texas》 DVD에는 수록되었으나 CD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라이브 5곡을 담았다.
  • LP Underground v4.0 (2004년 11월 22일): 스튜디오 녹음 트랙 2개와 2004년 프로젝트 레볼루션 투어 중 녹음된 라이브 음원을 포함한 4개의 라이브 트랙 등 총 6곡이 수록되었다. 이 음반 역시 이베이에서 위조 음반이 판매되기도 했다.
  • LP Underground v5.0 (2005년 11월 21일): 2005년 7월 2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라이브 8 콘서트 중 제이-지와 함께 공연한 라이브 음원 6곡이 수록되었다.
  • LP Underground v6.0 (2006년 12월 5일): 6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었으며, 발매 직후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앨범 커버 디자인이 다른 한정판 패키지는 2007년 프로젝트 레볼루션 투어 기간 동안 판매되었다.
  • LP Underground v7.0 (2007년 12월 5일): 2007년 프로젝트 레볼루션 투어 중 녹음된 라이브 음원 총 10곡이 수록되었다. 린킨 파크는 공식 마이스페이스를 통해 이 음반 역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LP Underground v8.0 (2008년 추정):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에서 공식적으로 발매 정보를 밝히지는 않았으나, 2008년 4월경 미국 팬클럽 회원들을 대상으로 LPU 8.0 로고 디자인 콘테스트가 열려 최종 디자인이 선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에도 LPU는 매년 새로운 버전의 음반을 발매하며 팬들에게 특별한 음악 경험을 제공했다. 각 음반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수록곡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EP 음반 시리즈 (V2.0 - V14)

=== LP Underground v2.0 ===

2002년 11월 18일 발매된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의 두 번째 EP 음반으로, 팬클럽 회원에게만 한정적으로 제공되었다. 돈 길모어와 린킨 파크가 프로듀싱했으며, 머신 샵 레코드를 통해 유통되었다. 총 6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때 국제적인 온라인 경매 사이트 이베이에서 "언더그라운드 2.5"라는 이름의 위조 음반이 판매되는 사건도 있었다.

# "A.06" – 0:54

# "With You" (Live) – 3:22

# "Pts.OF.Athrty" (Crystal Method Remix) – 4:57

# "Dedicated" (1999년 데모) – 3:11

# "High Voltage" (Live) – 4:02

# "My December" – 4:20

=== LP Underground v3.0 ===

2003년 11월 17일 발매된 세 번째 EP 음반으로, 역시 팬클럽 한정 발매되었다. 조쉬 에이브라함이 프로듀싱을 맡았고, 머신 샵 레코드에서 유통했다. 이 음반에는 린킨 파크의 라이브 앨범 《Live in Texas》 DVD에는 수록되었으나 CD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라이브 곡 5개가 담겨 있다. 녹음은 텍사스의 릴리언트 스타디움과 텍사스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 "Don't Stay (Live)" – 3:11

# "Figure.09 (Live)" – 3:49

# "With You (Live)" – 3:21

# "By Myself (Live)" – 4:06

# "A Place for My Head (Live)" – 3:57

=== LP Underground v4.0 ===

2004년 11월 22일 발매된 네 번째 EP 음반으로, 팬클럽 회원에게만 한정 제공되었다. 돈 길모어와 조지프 한이 프로듀싱했으며, 머신 샵 레코드를 통해 유통되었다. 총 6개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튜디오 녹음 트랙 2개와 2004년 프로젝트 레볼루션 투어 중 녹음된 라이브 음원을 포함한 4개의 라이브 트랙이 수록되어 있다.

《LP Underground v2.0》과 마찬가지로, 이베이에서 20개의 트랙이 담긴 위조 음반이 판매되기도 했다.

# "Sold My Soul to Yo Mama" – 1:58

# "Breaking the Habit" (Live) – 5:35

# "Standing in the Middle" (feat. 모션 맨) – 3:22

# "Step Up / Nobody's Listening / It's Goin' Down" (Live) – 4:57

# "Wish" (Live) – 4:28

# "One Step Closer" (feat. 조나단 데이비스) (Live) – 3:57

=== LP Underground v5.0 ===

2005년 11월 21일 발매된 다섯 번째 EP 음반으로, 팬클럽 한정 발매되었다. 조지프 한이 프로듀싱을 맡았고, 머신 샵 레코드에서 유통했다. 이 음반에는 2005년 7월 2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라이브 8 콘서트 중 제이-지와 함께 공연한 라이브 음원 6곡이 수록되어 있다.

# "Somewhere I Belong" – 4:19

# "Breaking the Habit" – 4:41

# "Announcement Service Public- Intro" – 1:18

# "Dirt Off Your Shoulder/Lying From You" – 4:04

# "Big Pimpin'/Papercut" – 2:33

# "Jigga What/Faint" – 3:51

=== LP Underground v6.0 ===

2006년 12월 5일 발매된 여섯 번째 EP 음반으로, 팬클럽 회원에게만 한정 제공되었다. 릭 루빈마이크 시노다가 프로듀싱했으며, 머신 샵 레코드를 통해 유통되었다. 총 6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매 직후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앨범 커버 디자인이 다른 한정판 패키지는 2007년 프로젝트 레볼루션 투어 기간 동안 판매되었다.

# "Announcement Service Public" – 2:23

# "QWERTY" – 3:21

# "QWERTY" [Live] – 3:55

# "Pushing Me Away" (Piano Version) [Live] – 3:30

# "Breaking the Habit" [Live] – 5:21

# "Reading My Eyes" [Live] – 3:18

=== LP Underground v7.0 ===

2007년 12월 5일 발매된 일곱 번째 EP 음반이다. 발매 전인 11월 27일,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는 발매 계획을 공지했으며, 이후 밴드는 공식 마이스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이 음반 역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릭 루빈마이크 시노다가 프로듀싱했으며, 머신 샵 레코드에서 유통했다. EP에는 2007년 프로젝트 레볼루션 투어 중 녹음된 라이브 음원 총 10곡이 수록되어 있다.

# "No More Sorrow" Live (Toronto, ON) - 05:14

# "What I've Done" Live (Hartford, CT) - 03:22

# "One Step Closer" Live (Syracuse, NY) - 03:41

# "Given Up" Live (West Palm Beach, FL) - 03:10

# "Numb" Live (The Woodlands, TX) - 03:10

# "Crawling" Live (Holmdel, NJ) - 03:47

# "The Little Things Give You Away" Live (Atlanta, GA) - 07:21

# "In the End" Live (Toronto, ON) - 03:43

# "Bleed It Out" Live (Raleigh, NC) - 07:49

# "Faint" Live (Holmdel, NJ) - 04:33

=== LP Underground v8.0 ===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에서 공식적으로 발매 정보를 밝히지는 않았으나, 2008년 4월경 미국 팬클럽 회원들을 대상으로 LPU 8.0 로고 디자인 콘테스트가 열려 최종 디자인이 선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머신 샵 레코드를 통해 유통되었으며, 프로듀서 정보는 명확하지 않다. 수록곡은 주로 짧은 연주곡이나 장난스러운 느낌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 "You Ain't Gotsa Gotsa" - 0:00

# "Bubbles" - 0:58

# "No Laundry" - 3:20

# "Da Bloos" - 4:16

# "PBN' Jellyfish" - 5:31

# "26 Lettaz In Da Alphabet" - 7:26

3. 2. 스페셜 에디션 및 컴필레이션 음반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LPU)는 팬클럽 회원들에게 정규 앨범에서는 들을 수 없는 미공개 데모 트랙, 라이브 음원, 리믹스 버전 등을 담은 특별 음반을 제공해왔다. 이 음반들을 통해 팬들은 밴드의 음악 작업 과정과 다양한 시도를 살펴볼 수 있으며, 높은 소장 가치를 지닌다. 주요 스페셜 에디션 및 컴필레이션 음반의 수록곡 정보는 다음과 같다.

=== Songs From The Underground (2008) ===

LPU 1.0부터 6.0까지의 EP에서 선별된 곡들과 일부 미공개 라이브 트랙을 포함한 컴필레이션 음반이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Announcement Service Public
2QwertyStudio Version
3And One
4Sold My Soul to Yo Mama
5DedicatedDemo 1999
6Hunger Strike템플 오브 더 도그 커버, Live From Projekt Revolution 2008
7My DecemberLive 2008
8Part of Me
9CrawlingLive From Projekt Revolution 2008 (Bonus Track)



=== Underground 9: Demos (2009) ===

주로 미공개 데모 트랙들로 구성된 음반이다. 다양한 시기의 데모곡을 통해 밴드의 음악적 진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A-SixOriginal Long Version 2002
2FaintDemo 2002
3Sad"By Myself" Demo 1999
4Fear"Leave Out All the Rest" Demo 2006
5Figure.09Demo 2002
6Stick and Move"Runaway" Demo 1998
7Across the LineUnreleased Demo 2007
8Drawing"Breaking the Habit" Demo 2002
9Drum Song"The Little Things Give You Away" Demo 2006



=== A Decade Underground (2010) ===

LPU 10주년을 기념하여 발매된 컴필레이션 음반으로, 이전 LPU 음반들의 주요 트랙 및 미공개 데모를 포함하고 있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Announcement Service Public
2QwertyStudio Version
3And One
4Sold My Soul to Yo Mama
5DedicatedDemo 1999
6Hunger Strike템플 오브 더 도그 커버, Live From Projekt Revolution 2008
7My DecemberLive 2008
8Part Of Me
9Across the LineUnreleased Demo 2007
10Pretend To BeUnreleased Demo 2008



=== Underground X: Demos (2010) ===

LPU 1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발매된 데모 모음집이다. 다양한 시기의 미공개 데모 트랙들이 수록되어 있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UnfortunateUnreleased Demo 2002
2What We Don't KnowUnreleased Demo 2007
3Oh No"Points of Authority" Demo
4I Have Not BegunUnreleased Demo 2009
5PaleUnreleased Demo 2006
6Pretend to BeUnreleased Demo 2008
7DividedUnreleased Demo 2005
8What I've Done마이크 시노다 Remix
9CoalUnreleased Demo 1997
10HaloUnreleased Demo 2002



=== LPU 11 (2011) ===

Hybrid TheoryMeteora, Minutes to Midnight 앨범 작업 과정에서 만들어진 데모 트랙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YOMinutes To Midnight Demo
2Slip1998 Unreleased Hybrid Theory Demo
3SoundtrackMeteora Demo
4In the EndDemo
5ProgramMeteora Demo
6Bang Three"What I've Done" Original Demo
7Robot BoyTest Mix, Optional Vocal Take
8Broken FootMeteora Demo
9Esaul"A Place for My Head" Demo
10Blue1998 Unreleased Hybrid Theory Demo



=== LPU 12 (2012) ===

Minutes to MidnightMeteora 시기의 데모와 미공개 트랙들을 포함하고 있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HomecomingMinutes To Midnight Demo
2Points of AuthorityDemo
3ClarityMinutes to Midnight Demo
4AsbestosMinutes to Midnight Demo
5BunkerMinutes to Midnight Demo
6So Far AwayUnreleased 1998
7PepperMeteora Demo
8DebrisMinutes to Midnight Demo
9OminousMeteora Demo
10ForgottenDemo



=== LPU 13 (2013) ===

2000년대 중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의 다양한 데모 트랙과 LPU 세션 참여 밴드의 곡을 포함한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Basquiat2007 Demo
2Holding Company2011 Demo
3Primo"I'll Be Gone" Longform 2010 Demo
4Hemispheres2011 Demo
5Cumulus2002 Demo
6Pretty Birdy"Somewhere I Belong" 2002 Demo
7Universe2006 Demo
8Apaches"Until It Breaks" Demo No.1
9Foot Patrol"Until It Breaks" Demo No.2
10Three Band Terror"Until It Breaks" Demo No.3
11Truth Inside A LieBy Ryan Giles (LPU Sessions 2013)
12ChangeBy Beta State (LPU Sessions 2013)



=== LPU 14 (2014) ===

주로 2000년대 중후반 작업된 데모 트랙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크 시노다의 초기 "Breaking the Habit" 데모 버전도 포함되어 있다.

트랙 번호곡 제목비고
1Aubrey One2009 Demo
2Malathion+Tritonus2008 Berlin Demo
3Berlin One, Version C2009 Demo
4Blanka2008 Demo
5Heartburn2007 Demo
6Breaking the HabitOriginal Mike 2002 Demo
7Dave SbeatFeat. Joe (2009)
8Froctagon2009 Demo
9Rhinocerous2002 Demo
10After Canada2005 Demo


4. 참여 멤버

LPU 시리즈에는 기본적으로 린킨 파크의 멤버들이 참여하여 곡 작업 및 활동을 진행했다. 일부 앨범에서는 제이-지와 같은 다른 아티스트와의 협업 결과물이 수록되기도 하였다.

4. 1. 린킨 파크 멤버

이름역할
체스터 베닝턴보컬
마이크 시노다보컬, 기타리스트, 키보드리스트, 샘플링
브래드 델슨기타리스트
데이브 "피닉스" 파렐베이시스트
롭 버든드러머
조지프 한턴테이블리스트, 샘플링


  • 제이-지 - 보컬 (3-6번 트랙)

4. 2. 기타 협력 아티스트

린킨 파크의 팬클럽 한정반인 LP Underground v5.0 EP2005년 11월 21일에 발매되었다. 이 EP에는 총 6개의 트랙이 수록되어 있으며, 특히 2005년 7월 2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라이브 8 콘서트 실황이 담겨 있다. 해당 공연에서 린킨 파크는 유명 래퍼 제이-지와 함께 무대에 올라 협업 공연을 선보였다.

5. LPU의 의의와 영향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LPU)는 린킨 파크와 팬들 간의 직접적인 소통과 교류를 위한 공식 팬클럽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단순히 밴드의 소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팬들이 서로 교류하고 팬덤 문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LPU는 한정판 음반이나 상품 제공, 멤버와의 만남 기회 등을 통해 팬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밴드와 팬 사이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5. 1. 린킨 파크 음악 활동에 대한 영향

(작성할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 제목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2. 팬덤 문화에 대한 영향

2001년, 린킨 파크와 제시카 바르다스는 팬들 간의 커뮤니티 형성을 목적으로 린킨 파크 언더그라운드(Linkin Park Underground, LPU)를 만들었다. LPU는 매년 멤버십 패키지를 발매했으며, 첫 해에는 선착순 500명의 회원에게 사인이 담긴 《Hybrid Theory EP》 음반을 제공했다. 또한, 2005년 1월 31일까지는 포럼을 통해 팬들에게 린킨 파크 상품을 판매하기도 했다.

2005년 9월에는 마이크 시노다의 사이드 프로젝트 그룹인 포트 마이너도 유사한 형태의 팬클럽 '포트 마이너 밀리티아(Fort Minor Militia)'를 만들었다. 이 팬클럽은 선착순 100명의 회원에게 DVD가 포함된 1집 음반 《The Rising Tied》와 마이크 시노다의 사인이 담긴 상품 등을 증정했다.

5. 3. 한국 대중음악계에 대한 영향

(작성할 내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