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그네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그네토는 움직이는 자기장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 주로 불꽃 점화 기관의 점화 장치로 사용되었다. 1830년대에 개발되어 초기에는 전기 도금, 아크 조명, 등대 등에 사용되었으며, 이후에는 자기 여자 다이나모 개발에도 기여했다. 현대에는 소형 풍력 터빈, 자전거 조명, 의료 기기, 그리고 점화 장치 등에 활용되며, 특히 항공기 엔진과 모터스포츠 차량에서 신뢰성 있는 점화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전기 - 열전 발전기
    열전 발전기는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제베크 효과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며, 텔루르화비스무트, 텔루르화납 등의 반도체 재료가 사용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발전기 - 원자력 전지
    원자력 전지는 핵 붕괴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 우주 탐사, 의료 기기 등에 활용되며, RTG와 베타전지 등으로 나뉘고, 긴 수명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지만, 방사성 물질 사용에 따른 안전 문제와 규제를 한계로 지적한다.
마그네토

2. 역사

마그네토의 역사는 19세기 초 마이클 패러데이자기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시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발명가와 기술자들의 노력을 통해 마그네토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발전해 왔다.

1918년 납 축전지와 점화 코일을 사용한 저압 배터리식 점화 장치가 등장한 후에도 마그네토는 주로 소형 내연 기관의 점화 장치로 널리 사용되었다.

마그네토는 전기 의료 기구로서 몇몇 정신 의학에서도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프랑스 의사 뒤셴(Duchenne)은 1850년에 자석을 사용한 발전기를 발명하여 의료 분야에서 사용했다고 한다.

2. 1. 초기 발전

1831년, 마이클 패러데이는 움직이는 자기장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시연했다. 자기를 이용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최초의 기계는 영구 자석을 사용했으며,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기석을 사용한 다이나모 기계는 나중에 개발되었다. 1832년 이폴리트 픽시가 제작한 기계는 회전하는 영구 자석을 사용하여 두 개의 고정된 코일에 교류 전압을 유도했다.[2]

2. 2. 전기 도금

정류자를 가진 울리치 전기 발전기


산업 공정에 사용된 최초의 전기 기계는 마그네토, 즉 울리치 전기 발전기였다.[3] 1842년, 존 스티븐 울리치는 전기 도금에 배터리 대신 전기 발전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영국 특허 9431호를 받았다. 1844년에 제작된 이 기계는 버밍엄의 엘킹턴 공장에서 사용되었다.[4] 전기 도금은 버밍엄 장난감 산업에서 단추, 버클 및 기타 소형 금속 제품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기계는 축 방향 자기장을 가진 네 개의 말굽 자석을 사용한다. 로터에는 10개의 축 방향 보빈이 있다. 전기 도금에는 직류(DC)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교류(AC) 마그네토는 사용할 수 없다. 울리치의 기계는 출력을 직류로 정류하기 위해 정류자를 사용했다.

2. 3. 아크 조명

초기 다이너모는 대부분 쌍극자형이었으며,[5] 따라서 전기자가 두 극을 지나 회전함에 따라 출력도 주기적으로 변동했다.

충분한 출력 전력을 얻기 위해 마그네토 발전기는 더 많은 극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8개의 U자형 자석을 고리 모양으로 배열하여 16극을 만들었다. 사용 가능한 선속은 자석의 야금학적 특성에 의해 제한되었으므로, 더 많은 자석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증가시키는 방법밖에 없었다. 이것만으로는 충분한 전력이 나오지 않아 추가적인 회전자 디스크를 축을 따라 회전축 방향으로 쌓았다. 이렇게 하면 각 회전자 디스크가 최소한 두 개의 고가 자석의 선속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처음에 사용된 회전자는 극마다 하나씩 16개의 축 방향 보빈으로 감겨 있었다. 이는 쌍극자형 다이너모에 비해 회전당 더 부드러운 출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었으며,[6] 아크 램프 구동 시 유리했다. 따라서 마그네토는 조명 발전기로서 작은 틈새시장을 형성했다.

벨기에 전기 기술자 플로리스 놀렛(1794–1853)은 이러한 유형의 아크 조명 발전기로 특히 유명해졌으며, 이를 제조하기 위해 영국-프랑스 회사인 소시에테 드 랄리앙스를 설립했다.

프랑스 엔지니어 오귀스트 드 메리텐스(1834–1898)는 이 목적을 위해 마그네토를 더 발전시켰다.[7] 그의 혁신은 이전에 개별 보빈에 감겨 있던 회전자 코일을 '환상 권선' 전기자로 대체한 것이다.[8] 이러한 권선은 그램 링과 유사한 분할된 철심에 배치되어 하나의 연속적인 고리를 형성했다. 이는 아크 램프에 더 유리한 더욱 균일한 출력 전류를 제공했다.[9]

2. 4. 등대

드 메리텡은 오늘날 등대자석 발전기 생산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드 메리텡의 자석 발전기는 단순하고 신뢰성이 높았으며, 특히 정류자를 사용하지 않아 선호되었다.[9] 다이나모 발전기에서 정류자는 등대의 바닷 공기 속에서 지속적인 문제를 일으켰다. 당시 등대지기들은 대개 반퇴직한 선원들이었으며, 복잡한 기계를 유지할 만큼 기계적 또는 전기적 기술이 충분하지 않았다.

오귀스트 드 메리텡의 등대 발전기


그림에 나타난 드 메리텡 자석 발전기는 '환상 권선' 전기자를 보여준다. 단일 회전자 디스크만 존재하므로 각 말굽 자석은 개별 자석의 스택으로 구성되지만, 한 쌍의 극편을 통해 작동한다.

2. 5. 자기 여자 다이나모

헨리 와일드는 마그네토와 전자석 발전기를 결합하여, 마그네토를 더 큰 교류 발전기의 계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에만 사용하도록 개발했다.[10] 랭킨 케네디는 배에서 조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이나모와 마그네토를 같은 샤프트에 조립한 이보다 단순한 버전을 개발했다.[11] 여기서 케네디의 혁신은 브러시 기어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마그네토에서 생성된 전류는 회전하는 샤프트에 부착된 전선을 통해 다이나모의 회전 계자 코일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다이나모의 출력은 고정자 코일에서 가져온다. 이는 기존의 다이나모와 비교해 '안팎이 뒤집힌' 형태이지만 브러시 기어가 필요하지 않다.

와일드 기계. 작은 마그네토(상단)가 아래의 더 큰 교류 발전기의 계자 코일에 전원을 공급한다.


바레이, 지멘스, 휘트스톤에 의한 자기 여자 계자의 발명은 마그네토 여자기를 없앴다. 계자 코일의 철 아머처 내 작은 잔류 자계는 약한 영구 자석, 즉 마그네토 역할을 했다. 발전기의 분로 배선은 출력 전류의 일부를 계자 코일로 다시 공급하여 출력을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자계가 재생적으로 '증가'하지만 완전히 증가하는 데 20~30초가 걸릴 수 있다.[12]

2. 6. 점화 장치 개발

1899년 고틀리프 다임러가 "다임러 피닉스"에 마그네토식 점화 장치를 처음 사용했다.[19] 그 후, 벤츠, Mors, Turcat-Mery, Nesseldorf[20] 등의 초기 자동차 회사들은 마그네토식 점화 장치를 채택했다. 1902년 독일보쉬는 더블 코일식 마그네토를 개발했고, 1903년에 실용적인 점화 플러그가 등장하면서 완성되었다.

3. 작동 원리

마그네토와 점화 코일


'''마그네토'''를 사용한 점화 장치는 '''마그네토식 점화 장치''' 또는 '''자기 점화 방식'''이라고 불리며, 배터리 없이도 점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여 기기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예초기, 체인톱 등 내연 기관을 동력원으로 하는 휴대용 작업 기계나 오프로드 레이싱용 오토바이 등에 널리 사용된다.

마그네토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하나는 두 개의 자석 사이에 코일을 회전시켜 발전하는 "셔틀식"이고, 다른 하나는 코일은 정지하고 자석이 회전하여 발전하는 "인덕터식"이다.

마그네토에서 발전된 전기는 점화 코일로 보내져 점화에 사용된다. 엔진이 1회전할 때마다 캠축은 접점 개폐기를 1회 이상 작동시킨다. 접점 개폐기가 닫혔다 열리는 과정에서 점화 코일 내부 1차 코일(솔레노이드)의 전류가 끊기고,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2차 코일(고전압 코일)에 전압이 발생한다. 접점 개폐기가 열릴 때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막기 위해 콘덴서가 설치된다.

2차 코일은 1차 코일보다 더 많은 권수를 가져 변압기 역할을 한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수비는 전압 증폭률을 결정하며, 권수비가 클수록 더 크게 증폭된다.

최근에는 전기 손실이 큰 접점 개폐기 대신 이그나이터를 사용한 풀 트랜지스터식 디스트리뷰터나 CDI식 점화 장치를 조합하여 효율과 신뢰성을 높였다.

마그네토 점화 방식은 납축전지를 사용하는 '''배터리 점화 방식'''보다 신뢰성이 높아 항공용 엔진에도 널리 사용된다.

3. 1. 셔틀식 마그네토

두 개의 자석 사이에 코일을 끼워 회전시켜 발전하는 방식을 "셔틀식" 마그네토라고 부른다. 코일은 정지하고 자석이 회전하는 방식은 "인덕터식" 마그네토라고 부르며, 두 방식 모두 오늘날에도 용도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3. 2. 인덕터식 마그네토



인덕터식 마그네토는 코일은 정지된 채로 자석이 회전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1] 셔틀식과는 반대 방식이며, 두 방식 모두 오늘날에도 용도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1]

3. 3. 점화 코일 및 콘덴서

마그네토에서 발전된 전력은 점화 코일로 보내져 점화용 전기로 사용된다. 이때 엔진이 1회전하면, 캠축은 접점 개폐기를 반드시 1회 이상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접점 개폐기의 단속에 의해, 점화 코일 내부의 1차 코일(솔레노이드)의 전류가 단속되고,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2차 코일(고전압 코일) 내에 전압이 유기된다. 접점 개폐기가 열릴 때, 접점 포인트에는 아크 방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방전을 억제하기 위해 콘덴서가 설치된다.

2차 코일은 1차 코일과 같은 철심을 공유하면서도, 더 많은 권수를 가지고 있으며, 변압기로 작용하고 있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수비는 전압 증폭률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권수비가 커질수록 증폭량이 커진다.

4. 현대적 응용

마그네토는 현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형 풍력 터빈 발전에 마그네토 교류 발전기가 널리 쓰이며,[13][14] 자전거 조명과 USB 전원 장치에는 병 발전기나 허브 발전기 형태의 마그네토가 사용된다. 이들은 직류가 아닌 교류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발전기와 구별된다.

전기 의학 초창기에는 정신 질환 치료 목적으로 마그네토가 활용되기도 했다. 프랑스 의사 뒤센 드 불로뉴는 신경학 임상 실험을 위해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마그네토를 개발하였다.[19]

스파크 플러그를 사용하는 엔진의 점화 시스템에도 마그네토가 이용된다. 항공기 엔진에는 신뢰성 확보를 위해 쌍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오토바이, 스노모빌, 잔디 깎는 기계, 체인톱 등에도 경량화와 경제성을 위해 마그네토가 쓰인다.

초창기 수동식 전화기는 전화 교환원 호출용 벨을 울리기 위해 사용자가 크랭크를 돌려 발전하는 마그네토식 발전기를 사용했다.

4. 1. 전력 생산

자석식 발전기는 단순성과 신뢰성이 뛰어나지만, 영구 자석에서 얻을 수 있는 자기 선속의 양에 따라 크기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고정된 여자(勵磁, excitation) 방식 때문에 동기화된 전력망에서 작동할 때 단자 전압이나 무효 전력 생산을 제어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고출력 응용 분야에는 사용이 제한되었다. 전력 발전용 자석식 발전기는 아크등이나 등대와 같이 출력 안정성 또는 단순한 신뢰성과 같은 특정 기능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좁은 분야에 국한되어 사용되었다.[1]

4. 1. 1. 풍력 터빈

소형 풍력 터빈은 발전을 위해 마그네토 교류 발전기를 널리 채택하고 있으며, 특히 자가 제작 방식에서 그러하다.[13][14] 이 발전기들은 네오디뮴 희토류 자석을 3상 고정자 및 브리지 정류기와 함께 사용하여 직류(DC)를 생성한다. 생성된 전류는 직접 물을 펌프질하거나,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상업용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설계로는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와 허브 베어링에서 재활용된 축 방향 자속 발전기가 있다. 맥퍼슨 스트럿은 터빈을 바람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방위각 베어링을 제공한다.[15] 브레이크 디스크는 부착된 희토류 자석과 함께 회전하여 전기자를 형성하며, 여러 개의 축 방향 코일을 장착한 합판 디스크가 이 옆에 배치되고, 그 뒤에는 철 전기자 링이 있다.

4. 1. 2. 자전거

오늘날 마그네토는 자전거 조명과 USB 전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가장 흔한 형태는 병 발전기로, 자전거 타이어에 닿아 바퀴가 회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이보다 비싸지만 효율적인 허브 발전기는 바퀴 허브 내의 클로 폴 케이지 안에서 네오디뮴 자석을 구리 코일 주위로 회전시킨다. 이 두 장치는 "발전기"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교류를 생산하는 마그네토이며, 직류를 생산하는 진정한 발전기와는 다르다.[1]

마그네토는 내연 기관 점화 장치 외에도 자전거와 자동차 바퀴에 장착되어 조명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바퀴에 장착된 마그네토식 발전기는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므로, 바퀴가 회전하는 동안에만 조명이 켜진다.[1]

4. 2. 의료 응용

마그네토는 전기 의학 초창기에 정신 질환 치료를 위한 의료 분야에도 적용되었다. 1850년, 프랑스 의사 뒤센 드 불로뉴는 신경학 임상 실험을 위해 손으로 회전수를 조절하거나 두 코일의 인덕턴스를 변화시켜 외부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마그네토를 개발하고 제조했다.[19]

4. 3. 점화 장치

스파크 플러그에 고전압 펄스를 생성하도록 개조된 마그네토는 스파크 점화 왕복 엔진의 점화 시스템에 사용된다. 신뢰성과 단순성 때문에 왕복 항공기 엔진에 사용되며, 종종 쌍으로 사용된다. 오토바이 및 스노모빌과 같은 모터 스포츠 차량은 배터리에 의존하는 점화 시스템보다 가볍기 때문에 마그네토를 사용한다. 잔디 깎는 기계, 체인톱, 휴대용 펌프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소형 내연 기관은 경제성과 무게 감소를 위해 사용한다. 크랭킹 배터리가 있는 일반 자동차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그네토를 사용한 점화 장치는 '''마그네토식 점화 장치''' 또는 '''자기 점화 방식'''이라고 불리며, 배터리를 탑재하지 않아도 점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기기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예초기체인톱 등 내연 기관을 동력원으로 하는 휴대용 작업 기계나 오프로드 레이싱용 오토바이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셔틀식" 마그네토는 두 개의 자석 사이에 끼워진 코일을 회전시켜 발전한다. "인덕터식"은 코일은 정지된 채로 자석이 회전하여 발전한다. 두 방식 모두 오늘날에도 용도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마그네토에서 발전된 전력은 점화 코일로 보내져 점화용 전기로 사용된다. 엔진이 1회전하면, 캠축은 접점 개폐기를 반드시 1회 이상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접점 개폐기의 단속에 의해, 점화 코일 내부의 1차 코일(솔레노이드)의 전류가 단속되어,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2차 코일(고전압 코일) 내에 전압이 유기된다. 접점 개폐기가 열릴 때, 접점 포인트에는 아크 방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방전을 억제하기 위해 콘덴서가 설치된다.

2차 코일은 1차 코일과 같은 철심을 공유하면서도, 더 많은 권수를 가지고 있으며, 변압기로 작용하고 있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수비는 전압 증폭률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권수비가 커질수록 증폭량이 커진다.

근대 마그네토 점화 장치에서는 전기적인 손실이 큰 접점 개폐기 대신에, 이그나이터를 가진 풀 트랜지스터식 디스트리뷰터나 CDI식 점화 장치와 조합되어, 효율과 신뢰성이 높아졌다.

배터리 등의 다른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고 자체적으로 충족되며 신뢰성이 높은 점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용 엔진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에도 항공기용 왕복 엔진에서는 마그네토에 의한 점화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3. 1. 항공 엔진의 트윈 마그네토

항공기용 왕복 엔진에서는 2계통의 마그네토와 실린더당 2개의 점화 플러그를 사용하여 엔진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고장에 대비한 이중화를 확보한다. 2개의 점화 플러그는 연소실 내 2곳의 다른 위치에 화염을 발생시켜, 실린더 내 혼합기가 완전 연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로 인해 대배기량 실린더의 경우에도 화염 전파 지연에 의한 노킹을 억제할 수 있다.

2계통의 점화 장치는 엔진의 연소 효율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옥탄가가 낮은 가솔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태평양 전쟁 (대동아 전쟁) 중 전투기용 엔진의 경우, 실린더 1기통당 배기량이 컸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점이었다.

1970년대 배기가스 규제 대책으로 몇몇 제조사에서 항공 엔진과 같은 트윈 플러그식 엔진을 출시하기도 했지만, 점화 장치 자체의 성능이 대폭 향상된 현재에는 이러한 엔진은 소수이다.

4. 3. 2. 자동차의 트윈 플러그

일부 구식 고급차에는 점화 플러그 두 개 중 하나는 마그네토식 점화 장치로, 다른 하나는 알터네이터와 배터리를 주 전원으로 하는 배터리식 점화 장치로 점화되는 트윈 플러그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는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점화 시기 제어가 정밀하지 않아 마그네토 점화와 배터리 점화의 점화 시기가 약간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웠다.

자동차용 가솔린 엔진의 경우, 배터리 점화 장치가 주로 점화 시기를 결정하고, 마그네토식 점화 장치는 보조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배터리식 점화 장치의 제어 기술이 향상되면서, 트윈 플러그식 엔진에서도 마그네토가 점화 시스템의 보조 계통으로 탑재되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 현대적인 엔진은 실린더 용적이 작고, 효율적인 연소실과 밸브 배치를 가지고 있어, 낮은 옥탄가가솔린으로도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트윈 플러그는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4. 4. 전화

초창기 수동식 전화기는 교환대에서 대기하는 전화 교환원을 호출하는 벨을 울리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발전하는 마그네토식 발전기를 사용했다. 이러한 전화기는 주로 전기가 들어오지 않거나 배전 상황이 열악한 지역에서 사용되었다.[1] 크랭크를 돌려 교환원을 호출한 후의 일반적인 통화는 전화기에 내장된 아연-탄소 전지 전기로 충당되었다.[2] 일본에서는 '''자석식 전화기'''라고 불린다.[2]

군용 유선 전화기에는 현재도 이 구조가 채택되고 있다.[2] 과거 태평양 전쟁 중 미국군이 사용했던 EE-8형 야전 전화기(Field telephone)나, 구 일본 육군이 채택했던 92식 야전 전화기, 현재 육상자위대가 사용하는 70식 야외 전화기 JTA-T1가 대표적인 예이다.[2]

일본의 일반 가입 회선에서는 2002년까지 일본전신전화가 4호 자석식 전화기를 가입자에게 대여했다.[2] 1979년 완전 자동화 이후, 국부 전원이 없는 일반 가입 회선은 폐지되었으며, 사실상 착신 전용 공전식 전화기로 사용되었다.[2] ''→흑전화''[2]

5. 미래 전망

현대 희토류 자석 개발로 간단한 마그네토 교류 발전기가 전력 발전기로서 더욱 실용적인 제안이 되고 있는데, 이는 자기장 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자석은 작고 가벼워서 일반적으로 회전자를 형성하므로, 출력 권선을 고정자에 배치하여 브러시 기어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1980년대 후반, 초기 희토류 자석의 일종인 사마륨-코발트와 같은 자성 재료 발전으로 영구 자석 교류 발전기를 매우 견고한 발전기가 필요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유도 미사일에서 이러한 발전기는 플럭스 스위칭 교류 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다.[17] 이들은 터빈에 직접 연결되어 고속으로 작동해야 한다. 두 유형 모두 출력 코일이 고정자에 포함되어 있어 브러시 기어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참조

[1] 서적 Magnetos for Automobilists, how Made and how Used: A Handbook of Practical Instruction in the Manufacture and Adaptation of the Magneto to the Needs of the Motorist https://archive.org/[...] C. Lockwood and son
[2] 서적 Electricity in the service of man: a popular and practical treatise on the applications of electricity in modern life https://books.google[...] Cassell & Company, limited
[3] 웹사이트 Woolrich Electrical Generator https://web.archive.[...] Thinktank 2017-09-12
[4] 논문 The early history of gold plating 1973-03
[5] 문서 See the related bipolar electric motor for a discussion of their development from bipolar to multipolar fields.
[6] 문서 Actually a higher AC frequency.
[7] 웹사이트 Meritens, Baron Auguste de http://www.bookrags.[...]
[8] 문서 Dynamo
[9] 서적 Electrical Installations Caxton
[10] 문서 "Kennedy, Electrical Installations, Vol. III, 1903, p. 207"
[11] 문서 "Kennedy, Electrical Installations, Vol. III, 1903, p. 208"
[12] 서적 Electrical Machine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13] 웹사이트 How to Build a Wind Turbine http://www.scoraigwi[...]
[14] 웹사이트 A Wind Turbine Recipe Book: Axial Flux Windmill Plans http://www.scoraigwi[...]
[15] 웹사이트 The triplets - 10 foot diameter brake disk wind turbines | Otherpower http://www.otherpowe[...]
[16] 서적 IEMDC 2001. IEEE International Electric Machines and Drives Conference (Cat. No.01EX485)
[17] 서적 Guided Weapons Brassey's
[18] 서적 Magnetos for Automobilists, how Made and how Used: A Handbook of Practical Instruction in the Manufacture and Adaptation of the Magneto to the Needs of the Motorist C. Lockwood and son
[19] 서적 Automotive Electrical Equipment Tata McGraw-Hill
[20] 간행물 Cars: Early and Vintage, 1886-1930 Grange-Universal
[21] 서적 Magnetos for Automobilists, how Made and how Used: A Handbook of Practical Instruction in the Manufacture and Adaptation of the Magneto to the Needs of the Motorist https://archive.org/[...] C. Lockwood and 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