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 발전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류 발전기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교류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1830년대에 그 기본 원리가 발견되었으며, 초기에는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다가 1870년대 후반부터 아크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면서 '교류 발전기'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교류 발전기는 여자 방식, 위상 수, 회전 유형, 냉각 방식 등에 따라 분류되며, 발전소, 자동차, 디젤 전기 기관차, 선박, 항공기,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자동차에서는 엔진 작동 시 배터리 충전 및 전기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연비 향상을 위해 발전량 제어 기술이 적용되거나, ISG, BSG와 같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전기 - 열전 발전기
열전 발전기는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제베크 효과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며, 텔루르화비스무트, 텔루르화납 등의 반도체 재료가 사용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발전기 - 원자력 전지
원자력 전지는 핵 붕괴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 우주 탐사, 의료 기기 등에 활용되며, RTG와 베타전지 등으로 나뉘고, 긴 수명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지만, 방사성 물질 사용에 따른 안전 문제와 규제를 한계로 지적한다. - 에너지 전환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은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투입된 에너지 대비 유용하게 사용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이며, 다양한 형태와 분야에서 적용된다. - 에너지 전환 - 무선 충전
무선 충전은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로, 전자기 유도 방식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스마트폰, 전기 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지만 충전 속도, 열 발생, 보안 취약점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교류 발전기 | |
|---|---|
| 개요 | |
| 명칭 | 교류 발전기 |
| 영어 명칭 | Alternator |
| 일본어 명칭 | オルタネーター (Orutanētā) |
| 용도 | 자동차 오토바이 선박 철도 차량 항공기 발전소 |
| 기능 |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
| 작동 원리 | |
| 작동 방식 | 전자기 유도 현상 이용 |
| 회전 요소 | 전기자 코일 (일부 유형) 자석 (영구 자석 또는 전자기석) |
| 생성 전기 | 교류 (AC) |
| 구조 및 유형 | |
| 주요 구성 요소 | 회전자 (Rotor) 고정자 (Stator) 정류기 (Rectifier, 교류를 직류로 변환) |
| 회전자 유형 | 돌극형 회전자 (Salient-pole rotor) 원통형 회전자 (Cylindrical rotor) |
| 여자 방식 | 자여자식 (Self-excited) 타여자식 (Separately excited) |
| 응용 분야 | |
| 차량용 |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및 전기 시스템 전원 공급 |
| 발전소 | 대규모 전력 생산 |
| 비상 발전기 | 정전 시 비상 전원 공급 |
| 풍력 발전 |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
| 선박 및 항공기 | 전력 시스템에 전원 공급 |
| 장점 및 단점 | |
| 장점 | 효율성 높은 전력 밀도 내구성 유지 보수 용이 |
| 단점 | 초기 비용 (일부 유형) 복잡한 제어 시스템 (일부 유형) |
| 관련 기술 | |
| 전기 모터 |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 |
| 변압기 | 전압 레벨 변경 |
| 전력 변환기 | AC/DC 또는 DC/AC 변환 |
| 기타 정보 | |
| 역사 | 최초의 교류 발전기는 마이클 패러데이가 발명 |
| 현대적 발전기 | 니콜라 테슬라가 개발한 다상 교류 시스템 |
| 미래 전망 | 효율성 향상, 소형화, 지능형 제어 시스템 통합 |
2. 역사
교류 발전 시스템은 1830년대 전자기 유도의 발견과 함께 간단한 형태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직류(DC) 발전이 주를 이루었으나, 정류자 없이 교류를 직접 생산하는 방식의 효율성이 주목받으면서 교류 발전기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마이클 패러데이와 히폴리테 픽시 등이 초기 교류 발전기 개발에 기여했으며, 로드 켈빈과 세바스천 페란티는 100~300Hz 주파수의 교류 발전기를 개발했다.[8] 마이클 패러데이는 "회전 사각형"을 개발했는데, 이는 자기장이 반대 방향으로 있는 영역을 각 활성 도체가 차례로 통과하는 ''이극성'' 방식으로 작동했다.[9]
1870년대 후반, 아크등 조명을 위한 중앙 발전소 시스템에 교류 발전기가 사용되면서 "교류 발전기"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10][8] 1883년, 간츠 공장은 정전압 발전기를 발명하여 출력 전압 안정화에 기여했다.[12][13] 1880년대 중반, 변압기의 도입으로 교류 발전기의 활용도가 크게 증가했다.[14] 1891년 이후, 여러 위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다상 교류 발전기가 등장했다.[15] 이후의 교류 발전기는 아크 조명, 백열등 및 전동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16헤르츠에서 약 100헤르츠 사이의 다양한 교류 주파수로 설계되었다.[16] 알렉산더슨 교류 발전기와 같은 특수 무선 주파수 교류 발전기는 제1차 세계 대전 전후 장파 라디오 송신기로 사용되었다.
2. 1. 한국에서의 역사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수력발전소 건설과 함께 교류 발전기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광복 이후, 경제 발전과 산업화를 거치면서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교류 발전기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차량용 교류 발전기 기술이 크게 발전했다.1960년대부터 자동차에 직류 정류자 발전기(다이나모) 대신 교류 발전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25] 교류 발전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아이들링 중에도 발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6]
최근에는 친환경 자동차(하이브리드, 전기차)의 등장으로 교류 발전기 기술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는 모터의 회생 동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교류 발전기가 탑재되지 않은 차종도 있다.
3. 작동 원리
자기장 속에서 도체가 상대적으로 움직이면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기전력은 반대 극성의 자극 아래에서 움직일 때 극성이 바뀐다. 일반적으로 회전자라고 불리는 회전 자석은 고정자라고 불리는 철심의 코일에 권선으로 고정된 도체 세트 내부에서 회전한다. 회전 자계는 고정자 권선에서 교류 전압을 유도한다. 고정자 권선의 전류가 회전자의 위치와 단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교류 발전기는 동기 발전기이다.[3]
회전자의 자기장은 영구 자석 또는 자계 코일 전자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차량용 교류 발전기는 회전자 권선의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발전기의 발전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회전자 권선을 사용한다. 영구 자석 기계는 회전자의 자기화 전류로 인한 손실을 피하지만, 자석 재료의 비용 때문에 크기가 제한된다. 영구 자기장이 일정하기 때문에, 단자 전압은 발전기의 속도에 따라 직접 달라진다.
자동 전압 제어 장치는 계자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고정된 전기자 코일의 출력 전압이 수요 증가로 인해 내려가면, 더 많은 전류는 전압 조정기를 통해 회전 방향 코일에 공급된다. 이것은 전기자 코일에서 큰 전압을 유도하는 필드 코일 주위에서 자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원래 값으로 되돌려진다.
중앙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발전기는 교류 전력을 조절하고 순간 오류의 영향에 대한 전력 시스템을 안정화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계자 전류를 제어한다.
4. 동기 속도
교류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는 전극의 수와 회전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특정 주파수에 상응하는 속도를 동기 속도라고 한다.[28]
동기 속도 공식은 다음과 같다.
:
| 극 수 | 회전 속도 (r/min), 다음을 제공… | ||
|---|---|---|---|
| 50 Hz | 60 Hz | 400 Hz | |
| 2 | 3,000 | 3,600 | 24,000 |
| 4 | 1,500 | 1,800 | 12,000 |
| 6 | 1,000 | 1,200 | 8,000 |
| 8 | 750 | 900 | 6,000 |
| 10 | 600 | 720 | 4,800 |
| 12 | 500 | 600 | 4,000 |
| 14 | 428.6 | 514.3 | 3,429 |
| 16 | 375 | 450 | 3,000 |
| 18 | 333.3 | 400 | 2,667 |
| 20 | 300 | 360 | 2,400 |
| 40 | 150 | 180 | 1,200 |
5. 분류
교류 발전기는 여자 방식, 위상 수, 회전 유형, 냉각 방식, 적용 분야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19]
| 분류 기준 | 설명 |
|---|---|
| 여자 방식 |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방식과 계자 코일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
| 위상 수 | 출력 전압의 위상 수에 따라 단상, 삼상, 다상 등으로 나뉜다. |
| 회전 유형 | 전기자가 회전하는 회전 전기자형과 계자극이 회전하는 회전 계자형으로 나뉜다. 회전 전기자형은 저전압·소용량에, 회전 계자형은 고전압·대용량에 주로 쓰인다. |
| 냉각 방식 | 대부분 주변 공기를 이용해 냉각하는 공랭식 방식을 사용하며, 시내버스와 같은 차량이나 해양 응용 분야에서는 유랭식 또는 수냉식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
| 적용 분야 | 자동차 등에서는 엔진의 회전을 동력원으로 하여 발전하고, 전장 부품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한다. |
5. 1. 여자 방식
교류 발전기에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영구 자석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자기장을 생성하는 방식과 계자 코일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교류 발전기는 특히 마그네토라고 불린다.다른 교류 발전기에서는 권선형 계자 코일이 회전하는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석을 형성한다. 영구 자석을 사용하여 교류를 생성하는 장치는 영구 자석 교류 발전기(PMA)라고 하며, 정류자가 있는 경우 교류 또는 직류를 모두 생성할 수 있다.
브러시리스 교류 발전기이 여자 방식은 교류 발전기와 같은 축에 고정된 더 작은 교류 발전기(AC)로 구성된다. AC 고정자는 적은 양의 계자 코일 여자 전류를 생성하며, 이 전류는 회전자에서 유도되어 권선에 내장된 브리지 정류기에 의해 DC로 정류되어 더 큰 연결된 교류 발전기의 계자 코일을 여자시켜 전기를 생성한다. 이 시스템은 브러시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어 수명이 늘어나지만, 전체 효율은 약간 낮다. 이 시스템의 변형은 시동 시 배터리에서 직류를 사용하여 초기 여자를 하는 일종의 교류 발전기이며, 그 후 교류 발전기는 자체적으로 여자된다.[19]
브러시리스 교류 발전기는 하나의 샤프트에 나란히 연결된 두 개의 교류 발전기로 구성된다. 1966년까지 교류 발전기는 회전 자계 방식의 브러시를 사용했다.[20]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브러시리스 교류 발전기가 가능하게 되었다. 소형 브러시리스 교류 발전기는 하나의 장치처럼 보일 수 있지만, 대형 버전에서는 두 부분이 쉽게 식별된다. 주 교류 발전기는 두 부분 중 더 크고, 더 작은 부분은 여자 발전기이다. 여자 발전기는 고정자 코일과 회전 전기자(전력 코일)를 가지고 있다. 주 교류 발전기는 회전 자계와 고정자 전기자를 사용하여 반대 구성을 사용한다. 회전 정류자 어셈블리라고 하는 브리지 정류기가 회전자에 장착된다. 브러시나 슬립 링은 사용되지 않아 마모 부품 수를 줄인다. 주 교류 발전기는 회전 자계와 고정자 전기자(발전 권선)를 가지고 있다.
고정자 여자 발전기 필드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을 변경하면 여자 발전기의 3상 출력이 변경된다. 이 출력은 회전자에 장착된 회전 정류자 어셈블리에 의해 정류되며, 결과적인 직류는 주 교류 발전기의 회전 자계에 공급되어 교류 발전기 출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작은 직류 여자 전류가 간접적으로 주 교류 발전기의 출력을 제어한다.[21]
잔류 자기 방식이 방식은 약한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철심에 남아있는 잔류 자기에 의존하며, 이를 통해 약한 전압이 생성될 수 있다. 이 전압은 전기자 코일을 여자(勵磁)하는 데 사용되어 교류 발전기가 ''축적'' 과정의 일부로서 더 강한 전압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초기 교류 전압이 축적된 후, 계자는 교류 발전기에서 정류된 전압으로 공급된다.[19]
5. 2. 위상 수
교류 발전기는 출력 전압의 위상 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출력은 단상 또는 다상일 수 있다. 삼상 교류 발전기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다상 교류 발전기는 2상, 6상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19]5. 3. 회전 유형
회전 전기자형 발전기는 고정된 계자극 사이에서 전기자가 회전하며, 슬립링과 브러시를 통해 전류를 얻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슬립링과 브러시 접촉 부분에서 불꽃이 발생하고 절연이 어려워 대전력용으로는 제작이 어렵다. 주로 110 ~ 220V의 저전압, 소용량에 사용된다.회전 계자형 발전기는 고정된 전기자 안쪽에서 계자극이 회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기자에서 발생한 기전력을 그대로 외부로 빼낼 수 있고, 전기자 철심의 홈을 깊게 하여 고압 절연을 충분히 할 수 있어 코일 배열 및 결선에 유리하다. 회전자극에는 철심에 계자 코일을 끼운 전자석을 사용하고 슬립링을 통해 계자 전류를 공급하는데, 고전압이 아니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발전기에서는 전기자 쪽을 '고정자', 계자 쪽을 '회전자'라고 부른다. 고전압, 대용량 교류 발전기에 주로 사용되며, 발전 전압은 보통 3,000 ~ 22,000V이고, 3만V를 넘는 것도 제작되었다.
5. 4. 냉각 방식
대부분의 교류 발전기는 주변 공기를 이용해 냉각하는 공랭식 방식을 사용하며, 교류 발전기를 구동하는 샤프트에 부착된 팬에 의해 인클로저를 통해 강제로 공기가 통과한다. 시내버스와 같은 차량의 경우, 전기 시스템에 대한 과도한 부하로 인해 대형 교류 발전기를 오일로 냉각하는 유랭식 방식을 사용해야 할 수 있다.[22] 해양 응용 분야에서는 수냉식 냉각도 사용된다. 고가의 자동차는 높은 전기 시스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수냉식 교류 발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6. 응용 분야
교류 발전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자동차: 엔진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전장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충전한다. 정류기를 통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전압 레귤레이터를 통해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최근에는 연비 향상을 위해 발전량을 조절하는 충전 제어 기술도 적용되고 있다.
- 디젤 전기 기관차: 원동기로 교류 발전기를 회전시켜 견인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 선박: 해양 환경에 맞게 개조된 교류 발전기가 사용되며, 방폭 설계가 적용된다.
- 항공: APU, RAT 등에 사용된다.
- 무선 통신: 알렉산더슨 발전기와 같은 가변 릴럭턴스형 고주파 교류 발전기가 모스 부호 통신 등에 사용되었다.[16]
- 하이브리드 자동차: 발전기 겸용 스타터나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활용되기도 한다.[27]
6. 1. 발전소
대부분의 발전소는 동기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한다.[23] 한국의 주요 발전소(수력, 화력, 원자력)에서도 교류 발전기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수력 발전소의 발전기(수차발전기)는 회전축을 지면에 세우는 종형(縱形)과 수평으로 놓는 횡형이 있다. 프랜시스 수차·카플란 수차 등의 경우는 종형이며, 펠톤 수차인 경우는 보통 횡형이다. 발전기의 가격은 횡형쪽이 싸지만 종형은 낙차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수차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있어 소요 면적이 적게 든다. 대용량인 발전소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종형을 쓰고 있다. 회전속도는 크지 않으므로, 발전기의 길이에 비례해서 직경을 크게 하고, 돌기(突起)된 많은 자극(磁極)을 갖는 철형회전자(凸形回轉子)를 사용하게 된다.
화력 발전소의 발전기(터빈발전기)는 매우 고속으로 운전되므로 회전자는 기계적으로 튼튼하게 하고, 관성을 줄이기 위해 가늘고 긴 원통 회전자로 한다. 또 극히 미세한 기계적 편심(偏心)에 의해서도 회전수(고유회전수)에 이상진동(異常振動)이 발생한다. 이 회전수는 규정된 회전수보다 몇 퍼센트 낮은 정도이므로, 정상운전(定常運轉)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시동·정지시에는 반드시 그 회전수를 통과하므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송전계통의 사고 등으로 갑자기 회전수가 저하됐을 경우라도, 위험한 회전수가 되지 않도록 보호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터빈발전기에서는 운전중 특히 회전자 코일 가운데의 전류라든가 공기와의 마찰 등에 의해 발열하므로, 항상 기름이나 공기를 순환시켜서 냉각하고 있다. 냉각제로서 공기 대신에 기체 수소를 쓰게 된 다음부터는, 대용량의 발전기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수소는 열을 잘 전달하므로 냉각효과가 좋을 뿐만 아니라, 자극의 회전에 따르는 마찰이 적으므로 에너지 손실이라든가 소음이 적다. 특히 최근의 터빈발전기에서는 절연물을 통하여 코일을 냉각시키는 대신 회전자 코일 내부에 중공부분(中空部分)을 만들어, 수소를 순환시키는 직접냉각법도 채용되고 있다. 또 고정자 코일에도 물 또는 기름 등의 액체나 수소에 의한 직접냉각법이 쓰여져 오고 있다. 그러나 수소 중에 공기가 30% 이상 섞여 들어가면 폭발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으므로, 수소의 누설이나 공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히 연구하여, 케이스는 모두 내폭구조(耐爆構造)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6. 2. 자동차
교류 발전기는 현대식 내연 기관 자동차에서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엔진이 작동할 때 전기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25]1960년대까지 자동차는 정류자가 있는 직류 다이나모 발전기를 사용했다. 실리콘 다이오드 정류기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대신 교류 발전기가 사용되었다.[26] 직류 정류자 발전기와 비교하면, 교류 발전기는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아이들링 중에도 발전할 수 있어서 채용되게 되었다.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교류 발전기는 엔진의 회전을 동력원으로 하여 발전하고, 전장 부품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한다. 출력축의 회전을 직접 교류 발전기의 회전으로 하는 경우나, 벨트와 풀리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가 있다. 발전된 교류 전력은 직류로 변환되어 축전지나 콘덴서에 축적된다.
교류 발전기에서 발전된 교류 전류는 정류기(렉티파이어, rectifier영어)에 의해 직류 전류로 변환된다. 다이오드를 사용한 반도체 정류기가 이용된다. 또한, 교류 발전기는 회전 속도가 높아질수록 높은 전압을 발생시키므로,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영어)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정류기와 일체화된 「레귤레이트 렉티파이어」등도 있다). 과거에는 릴레이와 저항기를 사용하여 단계 제어했지만, 최근에는 집적 회로(IC)로 전압을 제어하고 있다. 정류기와 IC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냉각 핀이 갖춰진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케이스에 수납되어, 교류 발전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과거 자동차에서는 교류 발전기가 항상 발전했기 때문에, 배터리(납축전지)가 완전 충전된 후에도 배터리의 전극에서 생기는 물의 전기 분해로 전력을 소비시켰다(이 때문에, 전해액이 감소했다). 한편 최근의 자동차에서는 연비 향상을 목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감시하고, 필요 전압을 밑돌지 않는 범위에서 교류 발전기의 발전량을 억제하거나 발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하는 차종(충전 제어차)도 있다. 이것은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감속 시에 교류 발전기의 부하를 높이고, 대신 가속·정상 시에 낮춤으로써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의 소비를 억제하면서, 엔진 출력이 아닌 차량이 가진 운동 에너지를 전력으로 바꾸는 것으로, 회생 제동과 비슷한 구조이다.
교류 발전기는 전압을 가함으로써 모터(영구 자석 동기 발전기라면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로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ISG(Integrated Starter Generator)나 BSG(Belt Starter Generator), BAS (Belted Alternator Starter)등의 명칭으로 자동차에서는 발전기 겸용의 스타터로 이용되거나, 마일드 하이브리드라고 불리는 방식을 채용하는 차종에서는 엔진을 어시스트하는 하이브리드 모터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6. 3. 디젤 전기 기관차
후기 디젤 전기 기관차 및 디젤 동차에서 원동기는 견인 전동기 (AC 또는 DC)에 전기를 공급하는 교류 발전기를 회전시킨다.견인 교류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최대 1200V DC를 견인 전동기에 공급하기 위해 통합된 실리콘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한다.
최초의 디젤 전기 기관차와 현재 운행 중인 기관차 중 다수는 실리콘 전력 전자 장치가 등장하기 전에는 DC 견인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기가 더 쉬웠기 때문에 DC 발전기를 사용했다. 이들 중 대부분은 두 개의 발전기를 가지고 있었는데, 하나는 더 큰 주 발전기의 여자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선택적으로, 발전기는 열차 보조 전원(HEP) 또는 전기 열차 난방을 위한 전원도 공급한다. HEP 옵션은 기관차가 움직이지 않을 때에도 480V 60Hz HEP 적용 시 일반적으로 900r/min의 일정한 엔진 속도를 필요로 한다.
6. 4. 선박
해상용 교류 발전기는 해양 환경에 맞게 개조된 것을 제외하면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와 유사하다. 해상용 교류 발전기는 브러시에서 발생하는 스파크가 엔진실 환경에서 폭발성 가스 혼합물에 점화되지 않도록 방폭(점화 보호) 설계된다. 설치된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12V 또는 24V를 사용할 수 있다. 대형 해상 디젤 엔진은 최신 요트의 과도한 전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개 이상의 교류 발전기를 갖추고 있을 수 있다. 단일 교류 발전기 회로에서는 분리 충전 다이오드(배터리 절연기) 또는 전압 감지 계전기를 사용하여 엔진 시동 배터리와 자가용 또는 하우스 배터리(또는 배터리들) 사이에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대형 하우스 배터리 뱅크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해상용 교류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외부 조절기를 사용한다. 다단계 조절기는 충전 효율성(충전 시간) 및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해 계자 전류를 제어한다. 다단계 조절기는 다양한 배터리 유형에 맞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두 개의 온도 센서를 추가할 수 있는데, 하나는 배터리용으로 충전 전압을 조정하고 다른 하나는 교류 발전기 자체의 과열 방지용이다.[1]6. 5. 항공
APU, RAT 등에 사용된다.6. 6. 무선 통신
알렉산더슨 발전기와 같은 가변 릴럭턴스형 고주파 교류 발전기는 모스 부호 통신 등에 사용되었다.[16] 이 기계들은 무선 전송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류를 생성하도록 제작되었지만 효율은 낮았다.6. 7. 기타
ISG (Integrated Starter Generator), BSG (Belt Starter Generator), BAS (Belted Alternator Starter) 등의 명칭으로 자동차의 발전기 겸용 스타터 또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활용된다.[27]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는 모터의 회생 제동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교류 발전기가 없는 차종도 있다.참조
[1]
웹사이트
Abraham Ganz at the Hindukush
https://web.archive.[...]
Studiolum
2015-09-30
[2]
서적
Electrical railroading; or, Electricity as applied to railroad transportation
Frederick J. Drake & Co.
1908
[3]
서적
Magnetoelectric Devices
John Wiley and Sons
1966
[4]
웹사이트
List of Plug/Sockets and Voltage of Different Countries
http://www.worldstan[...]
World Standards
[5]
서적
The Foundations of Vacuum Coating Technology
https://books.google[...]
[6]
간행물
Charles C. Britton, An Early Electric Power Facility in Colorado
https://web.archive.[...]
2016-08-15
[7]
웹사이트
Milestones:Ames Hydroelectric Generating Plant, 1891
http://www.ieeeghn.o[...]
IEEE
2011-07-29
[8]
서적
The Truth about Tesla: The Myth of the Lone Genius in the History of Innovation
Quarto Publishing Group USA
2015
[9]
서적
Dynamo-Electric Machinery
[10]
서적
Empires of Light: Edison, Tesla, Westinghouse, And The Race To Electrify The World
Random House
2004
[11]
서적
Almost Edison: How William Sawyer and Others Lost the Race to Electrification
ProQuest
2006
[12]
서적
Proceedings, Part 2
https://books.google[...]
[13]
서적
A Handbook of Circuit Math for Technical Engineer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4]
웹사이트
Milestones:Alternating Current Electrification, 1886
http://www.ieeeghn.o[...]
IEEE Global History Network
2013-09-22
[15]
서적
Dynamo-Electric Machinery
[16]
서적
Dynamo-Electric Machinery
[17]
서적
Electric Power Systems Secon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1972
[18]
문서
The Electrical Year Book 1937
Emmott & Co. Ltd.
[19]
서적
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 Handbook—General (FAA-H-8083-30)
https://web.archiv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13-09-06
[20]
웹사이트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https://www.stamford[...]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2022-08-18
[21]
서적
Fundamentals of Electrical Drives
CRC Press
2002
[22]
서적
Fundamentals of Medium/Heavy Duty Diesel Engines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5
[23]
논문
Soft synchronization of dispersed generators to micro grids for smart grid applications
https://ieeexplore.i[...]
[24]
웹사이트
How Alternators Work
http://www.vehicle-e[...]
Armoto Motor Units Ltd.
2014-02-20
[25]
웹사이트
Alternators
http://www.srmclassi[...]
SRM Engineering Ltd.
2014-02-20
[26]
서적
大車林-自動車情報辞典
三栄書房
[27]
문서
日産のS-HYBRIDやスズキのSエネチャージ、マイルドハイブリッドなど
[28]
문서
The Electrical Year Book 1937
Emmott & Co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