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선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 선속은 자기장이 있는 공간의 곡면을 통과하는 자기장의 양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자기 선속은 자기장과 면적 요소의 곱을 면적 전체에 대해 적분하여 계산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웨버(Wb)를 사용한다. 가우스 자기 법칙에 따라 닫힌 곡면을 통과하는 총 자기 선속은 0이며,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에 의해 자기 선속의 시간 변화는 기전력을 유도한다. 초전도체에서는 자기 선속이 양자화되어 자기 선속 양자의 정수배 값만 가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량 - 전위
전위는 전기장 내 단위 전하의 위치 에너지로, 정전기학에서는 기준점에 따라 정의되며 전위차만이 의미를 갖고, 전기장의 음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전기 공학에서는 회로 해석에 활용된다. - 물리량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 전자기학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전자기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자기 선속 | |
|---|---|
| 일반 정보 | |
![]() | |
| 기호 | Φ, ΦB |
| 단위 | 베버(Wb) |
| 다른 단위 | 맥스웰 |
| 기본 단위 | kg⋅m2⋅s−2⋅A−1 |
| 차원 | M L2 T−2 I−1 |
2. 정의
자기장 '''B'''가 있는 공간 상의 곡면 ''S''와 그 둘레를 이루는 폐곡선 ''C''를 생각하자. ''S''의 무한소 면적 요소 ''dS''에 수직인 단위 벡터를 '''n'''이라고 할 때, 곡면 ''S''를 지나는 '''자기 선속''' Φ는 다음과 같은 적분 값으로 정의된다.
:
가우스의 자기 법칙에 따라, 자기력선은 중간에 끊어지거나 없어지지 않으므로, 서로 다르지만 그 둘레가 같은 곡면의 자기 선속은 같다.
자기 선속은 넓이와 자기장의 곱이므로, 그 단위는 넓이의 단위와 자기장의 단위의 곱이다. 국제단위계에서 자기 선속의 단위는 웨버(Wb)이며, 1 Wb = 1 m² × 1 T이다. CGS 단위계에서 자기 선속의 단위는 맥스웰(Mx)이다.
2. 1. 자속 밀도와의 관계
자기 선속은 주로 자속 밀도로 다루어진다. 방향이 정해진 임의의 곡면 S를 생각할 때, 이 곡면을 통과하는 자속 Φ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3]:
여기서 는 자속 밀도이고, 는 면적 요소이며 그 방향은 곡면의 법선 방향을 향한다.
더 정교한 물리 모델에서는 자기 선속을 면을 통과하는 자기장의 법선 성분의 면적분으로 정의한다. 자기장이 일정하면 벡터 면적 '''S'''의 면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B''는 자기장의 크기(자기 선속 밀도)로 단위는 Wb/m2(테슬라)이고, ''S''는 면의 면적이고, ''θ''는 자기 장선과 '''S'''에 대한 법선(수직) 사이의 각도이다. 변하는 자기장의 경우, 먼저 미소 면적 요소 d'''S'''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을 고려한다. 여기서 우리는 자기장이 일정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
일반적인 면 '''S'''는 미소 요소로 나눌 수 있으며, 면을 통과하는 총 자기 선속은 면적분이다.
:
3. 자기 선속의 보존
자기 단극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공간 내 임의의 영역의 경계면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항상 0이 된다. 이 식에 발산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식은 맥스웰 방정식 중 하나이다.
4. 전자기 유도 법칙
닫힌 회로에 유도되는 기전력(EMF)은 그 회로를 경계로 하는 곡면을 관통하는 자기 선속의 시간 변화에 비례한다. 이를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이라고 한다. 이 법칙은 발전기의 원리가 된다.
:
예를 들어, 전도성 와이어 고리(loop)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변하면 고리에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관계는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 는 기전력(EMF)이다.
- 마이너스 부호는 렌츠의 법칙을 나타낸다.
- 는 열린 면 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다.
- 는 열린 면 의 경계이다. 일반적으로 면은 움직이고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시간의 함수이다. 기전력은 이 경계를 따라 유도된다.
- 는 윤곽 의 미소(infinitesimal) 벡터 요소이다.
- 는 경계 의 속도이다.
- 는 전기장이다.
- 는 자기장이다.
기전력에 대한 두 가지 방정식은 첫째, (움직일 수도 있는) 면 경계 를 따라 시험 전하를 이동시키는 데 드는 로렌츠 힘에 대한 단위 전하당 일이며, 둘째, 열린 면 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의 변화이다.
자기 선속의 크기가 변화하면 그 변화 속도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기장이 발생한다. 자기장은 전기장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유도되므로, 이러한 전기장과 자기장(또는 전기력선과 자기력선)의 상호 유도가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일종의 파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전자기파라 한다.
5. 자기 선속의 양자화
고리 모양의 초전도체를 생각해 보면, 초전도체 자체는 마이스너 효과에 의해 내부에 자기 선속이 들어갈 수 없지만, 고리의 구멍 부분을 통과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구멍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다음 값의 정수배만 가질 수 있다.
: (2018CODATA 권장값)[4]
여기서 는 플랑크 상수, 는 기본 전하이다.
이와 같이 초전도 고리를 통과할 수 있는 자속의 양이 불연속적인 값이 되는 것을 "자기 선속의 양자화"라고 부르며, 그 최소 단위인 를 자기 선속 양자(magnetic flux quantum)라고 한다. 자기 선속의 양자화는 초전도를 특징짓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며, 1961년에 디버, 페어뱅크 등[5]과 돌, 네이버 등[6]에 의해 독립적으로 관찰되었다.
5. 1. 자기 선속 양자화 관측 방법: 돌, 네이버 등의 방법
지름 10um의 수정 막대 표면에 납을 증착하여 납으로 된 원통을 만들고, 원통이 수평이 되도록 크라이오스타트 내부에서 수정 섬유로 매단다. 어떤 외부 자기장(동결 자기장) 속에서 이 원통을 초전도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고, 외부 자기장을 제거하면 원통에 영구 전류에 의한 자속이 갇힌 상태가 된다. 이 자속의 자기 모멘트를 원통의 측정 자기장 하에서의 진동 주기로부터 평가하면, 자속 양자의 정수배 값만을 취한다.[8]참조
[1]
서적
Electricity and Magnet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Physics for Engineering and Science
McGraw-Hill/Schaum
[3]
문서
徳岡 (1988)
[4]
문서
2018CODATA
[5]
문서
Deaver and Fairbank (1961)
[6]
문서
Doll and Nabauer (1961)
[7]
학술지
電子波で見る電磁界分布 【ベクトルポテンシャルを感じる電子波】
https://www.journal.[...]
2024-04-24
[8]
문서
Ibach, Lueth
[9]
문서
2010년 CODATA 표준 상수에서의 값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