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람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람풀(''Ammophila arenaria'')은 여러해살이 식물로, 모래 언덕에 적응하여 생존하며, 바람과 물에 의해 번식한다. 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호주, 캐나다, 칠레, 뉴질랜드 등 전 세계 해안 사구에서 발견된다. 북미 태평양 연안에서는 침입종으로 작용하여 토착 식물을 밀어내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며, 뉴질랜드와 서호주에서도 비슷한 문제를 일으킨다. 마람풀은 뿌리, 줄기, 잎 등 다양한 부분에서 활용되며, 지붕 덮개, 바구니 제작, 종이 생산 등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겨이삭아족 - 산새풀속
    산새풀속은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분포하며 갯조풀, 낭림새풀, 백산새풀, 산새풀, 실새풀, 야지피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한국에도 여러 자생종이 있는 식물 속이다.
  • 겨이삭아족 - 실새풀
    실새풀은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숲속과 풀밭에서 자라며 8~9월에 원추꽃차례에 달리는 꽃이 피고 잎과 잎집에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식물상 -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식물상 - 보검선인장
    보검선인장은 다육식물의 일종으로, 최대 5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 관목이며, 식용, 사료, 토양 침식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멕시코와 텍사스 등 여러 지역에서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 1827년 기재된 식물 - 도금양아과
    도금양아과는 도금양과에 속하는 아과로, 도금양아과와 프실록실론아과의 두 아과로 분류되며, 1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7년 기재된 식물 - 연꽃과
    연꽃과는 연꽃속과 멸종된 여러 속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현존하는 연꽃속은 아시아 원산의 연꽃과 북미 원산의 미국연꽃 두 종으로 나뉜다.
마람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흰색 모래언덕
흰색 모래언덕
학명Ammophila arenaria
명명자(L.) Link
이명Arundo arenaria, (Linnaeus)
Ammannia coccinea purpurea, (Lam.) Koehne
Ammannia teres, (Raf.)
Calamagrostis arenaria, (L.) Roth
Ammophila australis는 Ammophila arenaria 아종 australis의 동의어 ((Mabille) M.Laínz)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마람풀속
마람풀
크기
높이약 1.2m
최대 2m
잎 길이최대 1m
꽃차례 길이10 ~ 30cm

2. 생태 및 생육 특성

마람풀은 주로 해안의 모래 언덕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여러해살이 풀이다. 모래가 계속 쌓이는 불안정한 환경에 매우 잘 적응하여 생육하며, 이러한 특성 덕분에 모래 언덕을 안정화하고 초기 식생 정착을 돕는 중요한 개척종 역할을 수행한다.

강한 바람과 염분이 많은 해안가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건조한 조건에 견딜 수 있는 건생 식물의 특징을 보인다. 땅속으로 뻗어 나가는 뿌리줄기를 통해 영양 번식을 주로 하며 넓은 군락을 형성한다. 마람풀의 생육 특성과 생애 주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생명 주기' 섹션에서 다룬다.

2. 1. 생명 주기

수분 손실을 줄이는 말린 잎을 보여주는 마람풀의 잎 하나


말린 잎의 100배 확대 단면


''마람풀''(Ammophila arenariala)은 여러 해 동안 생존할 수 있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주로 봄에 잎 생산이 잎의 노쇠를 초과하며 왕성하게 성장한다. 그러나 가을이 되면 성장이 거의 멈추고 잎이 노화된다.[5] 겨울에는 추운 날씨 때문에 성장이 매우 느려지지만 완전히 멈추지는 않는다.[6]

마람풀은 건생 식물로서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는 특징을 보인다. 가뭄 시에는 잎이 안쪽으로 말리는데(그림 참조), 이는 말린 잎 안의 습도를 비교적 높게 유지하여 수분 손실을 막기 위함이다. 잎의 V자형 홈 기저부에 있는 불리폼 세포에 물이 차면 부풀어 오르면서 잎이 다시 펴진다.[7]

이 식물은 모래 환경에 매우 잘 적응하여, 1년 이상 모래에 묻혀도 생존할 수 있다. 다른 식물들은 모래에 묻히면 죽지만, 마람풀은 오히려 잎을 더 길게 늘여 성장한다.[8][9]

꽃차례는 발아 후 두 번째 해 가을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이듬해 5월 또는 6월에 성숙한다. 꽃은 보통 5월부터 8월 사이에 핀다.[6] 유럽에서는 기후 차이로 인해 주로 5월에 개화한다.[10] 열매는 9월에 익으며, 씨앗은 다음 해 봄에 발아한다. 성체 식물은 강인하지만 씨앗의 생존력은 낮고, 묘목 또한 건조, 매몰, 침식 등으로 인해 생존율이 낮다.[11] 따라서 마람풀의 주요 번식 방법은 바람과 물을 통해 해안을 따라 퍼지는 뿌리줄기를 이용하는 것이다.[12]

3. 분포 및 서식지

옥스위치 만의 모래 언덕에 촘촘하게 덮인 마람풀

3. 1. 자연 분포 지역

''갯메꽃''은 유럽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호주, 캐나다, 칠레, 포클랜드 제도(말비나스 제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미국에서도 자생한다.[13]

3. 2. 뉴질랜드 분포

주로 모래 언덕에서 자라며, 때로는 비옥하지 않은 내륙 지역에서도 발견된다.[14] 뉴질랜드에서는 웰링턴 지역을 포함하여 채텀 제도, 오타고 지역, 도우보이 만, 메이슨 만 등에서 발생한다. 분포 범위는 남위 32도에서 55도까지이다.[15]

3. 3. 서식지 선호도

마람풀은 전 세계 해안 사구에서 자란다. 활동적인 모래 지역과 앞사구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서 자라는 것을 선호한다. 다양한 종류의 광물 성분과 유기물이 적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선호한다. 마람풀의 최적 토양 조건은 토양 pH 4.5~9.0, 토양 온도 10°C~40°C,[16] 그리고 염분 농도 1.0~1.5% 이하이다.[17] 마람풀은 또한 pH가 약 9.1인 알칼리성 토양과 pH가 4.5 미만인 산성 토양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성체는 다양한 화학적 문제를 견딜 수 있다. 마람풀은 건조한 모래에 잘 적응하는 능력이 있어, 수분 수준이 낮을 때 잎이 말리고 촘촘해진다.[15]

4. 침입성

마람풀은 본래 사구 안정화를 목적으로 전 세계 여러 해안 지역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강한 생명력과 빠른 확산 속도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 침입종으로 지정되어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뉴질랜드, 호주 등에서는 마람풀이 심각한 유해 잡초로 간주된다. 이 식물은 해안 사구 지대에 빠르게 정착하여 밀집된 군락을 형성하며, 기존에 서식하던 토착 식물들을 밀어내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마람풀의 확산은 해안 사구의 자연적인 지형 변화 과정을 방해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는 마람풀의 확산을 억제하고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4. 1. 북미 태평양 연안

''마람풀''은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유해 잡초 중 하나이다. 이 모래에 적응한 풀은 19세기 중반에 이동하는 사구를 안정시키기 위해 북미 서부 해변에 귀화 식물로 도입되었다. 쉽게 자라 캘리포니아에서 브리티시 컬럼비아까지 발견된다.

이 풀은 지역 생태계에서 침입종으로 작용하여 토착 식물을 밀어내고, 토착 절지동물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한 서부 눈물떼새 (Charadrius nivosusla)가 둥지를 트는 데 사용하는 중요한 모래 공간을 덮는 밀집된 단일 종 집단을 형성한다.[18] 이 식물의 확산은 특히 사구에서 캘리포니아 해변 생태계의 지형을 변화시켰다. 이 풀의 존재는 20세기 오리건주워싱턴주에서 토착 사구 서식지 파괴의 주요 원인이었으며,[19] 이는 사구 안정화 효과를 위해 정확히 심어졌기 때문이다.[20]

캘리포니아에서 이 풀을 근절하기 위한 시도로 수동 뽑기, 태우기, 기계적 제거 후 염수 관개, 글리포세이트 살포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되었다.[19] 최적의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덤불 제거와 같은 기계적 처리 방식이 토착 사구 식물 및 사구 지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제초제 및 수동 뽑기와 같은 저강도 처리를 권장하고 있다.[21]

캘리포니아 보존단(California Conservation Corps)은 2000년 모로 스트랜드 주립 해변에서의 계획과 같이 침입성 해변 풀 제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22]

4. 2. 뉴질랜드 및 호주

캘리포니아에서 침입종으로 분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뉴질랜드와 서호주 해안 지역에서도 마람풀은 심각한 침입성 잡초로 여겨진다. 이 식물은 본래 모래 언덕을 안정화할 목적으로 해당 지역에 도입되었으나, 결과적으로 토착 식물인 스피니펙스의 서식지를 잠식하며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흥미롭게도 뉴질랜드에서는 고유 나방 종인 ''Agrotis innominata''의 유충이 마람풀을 주요 숙주 식물 중 하나로 이용하도록 적응한 사실이 밝혀졌다.[23] 이러한 이유로 뉴질랜드 해안 지역에서 침입종인 마람풀을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해당 지역에 고유 나방 ''Agrotis innominata''가 서식하는지를 먼저 조사하여 이 종의 보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23]

5. 천적, 기생충 및 질병

뉴질랜드에서는 마람풀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주요 질병은 보고되지 않았다. 다만, 세 종류의 병원성 곰팡이가 존재하는데, 이는 Claviceps|자낭균la 속, Puccinia|녹병균la 속, 그리고 Fusarium|털녹병균la 속이다. 이 곰팡이들은 각각 맥각병, 녹병, 잎반점을 일으키며, 마람풀의 꽃 머리와 잎 모두에서 발견될 수 있다.

반면, 유럽 국가에서는 마람풀을 먹이로 삼는 다양한 해충이 알려져 있다. 이 해충들은 마람풀 줄기의 30%에서 40% 가량을 고사시키고, 다른 식물 종에게도 피해를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토양에 항상 존재하는 특정 곰팡이들은 안정화된 모래 언덕의 식물 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24]

6. 활용

마람풀의 뿌리는 먹을 수 있지만, 다소 가늘고 섬유질이 많다. 꽃이 피는 줄기와 잎은 지붕 덮개, 바구니 제작 및 빗자루 제작에 사용된다. 줄기에서 얻은 섬유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땅속줄기는 로프와 매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25]

참조

[1] GISD Ammophila arenaria
[2] 웹사이트 Ammophila arenaria https://www.cal-ipc.[...] 2023-03-15
[3] 서적 Exploring the Cornish Coast Alison Hodge 2008
[4] 웹사이트 Invasive Plants of California's Wildland: Ammophila arenaria http://www.cal-ipc.o[...] California Invasive Plants Council 2008-09-18
[5] Encyclopedia Ammophila arenaria http://eol.org/pages[...] 2015
[6] 논문 Ammophila arenaria (L.) Link (Psamma arenaria (L.) Roem. et Schult.; Calamagrostis arenaria (L.) Roth). 1979
[7] 웹사이트 Leaves and Leaf Anatomy https://lima.osu.edu[...] The Ohio State University at Lima 2021-05-13
[8] 학술지 The Effects of Burial by Sand on Ammophila Breviligulata https://www.jstor.or[...] 1984
[9] 학술지 Newborough Warren, Anglesey: II. Plant associes and succession cycles of the sand dune and dune slack vegetation 1960
[10] 간행물 ELEMENT STEWARDSHIP ABSTRACT for Ammophila arenaria. 1988
[11] 문서 content
[12] 논문 Changes in structure and function of Ammophila during primary succession. 1980
[13] 웹사이트 Ammophila arenaria http://www.issg.org/[...] 2015-05-04
[14] 웹사이트 Ammophila arenaria http://nzpcn.org.nz/[...] 2015-05-04
[15] 서적 Marram Grass — Friend or Foe? A Review of the Use of Ammophila arenaria on New Zealand Sand Dunes https://ref.coastalr[...] New Zealand Forest Research Institute Limited 2006
[16] 논문 Newborough Warren, Anglesey. I. The dune system and dune slack habitat. 1959
[17] 서적 Control of European Beachgrass (Ammophila arenaria) on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The Nature Conservancy Lanphere-Christensen Dunes Preserve Arcata 1997
[18] 웹사이트 UC Cooperative Extension Species Profile: Ammophila arenaria http://ucce.ucdavi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8-09-18
[19] 웹사이트 Control of European Beachgrass (Ammophila arenaria) on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cal-ipc.[...] 2008-09-20
[20] 웹사이트 Exploring the Oregon Dunes . TV {{!}} OPB https://www.opb.org/[...]
[21] 학술지 Non-target effects of invasive species management: beachgrass, birds, and bulldozers in coastal dunes https://esajournals.[...] 2010-11-24
[22] 웹사이트 Beach Grass Removal Project https://www.parks.ca[...] 2024-11-07
[23] Cite Q
[24] 학술지 Marram gass (Ammophila arenaria) and coastal sand stability in New Zealand https://ref.coastalr[...]
[25] 웹사이트 Ammophila arenaria - (L.)Link http://www.pfaf.org/[...]
[26] 웹인용 Ammophila arenaria (L.) Link http://www.theplantl[...] 2019-04-25
[27] 문서 Hortus Regius Botanicus Berolinensis 1: 105. 1827
[28] 웹인용 Ammophila arenaria (L.) Link https://npgsweb.ars-[...] USDA 2019-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