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는 1283년 노르웨이의 에이리크 2세와 스코틀랜드 공주 마거릿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할아버지는 스코틀랜드 왕 알렉산더 3세였으며, 1286년 알렉산더 3세가 사망하면서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가 되었으나, 1290년 스코틀랜드로 향하던 중 오크니 제도에서 사망했다. 그녀의 죽음으로 스코틀랜드의 아살 왕조는 단절되었고,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의 개입으로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그녀를 스코틀랜드 최초의 여왕으로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계 노르웨이인 - 에드바르 그리그
    에드바르 그리그는 노르웨이 민족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지휘자로, 《페르 귄트》 부수 음악과 《피아노 협주곡 A단조》 등 서정적이고 민족색 짙은 작품으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 노르웨이계 스코틀랜드인 - 덩컨 2세
    덩컨 2세는 1094년 잠시 스코틀랜드 왕위에 올랐던 말콤 3세의 아들로, 잉글랜드에서 성장하여 윌리엄 2세의 지원으로 왕위를 찬탈했으나 6개월 만에 암살당하며 앵글로-색슨과 켈트족 간의 갈등과 스코틀랜드 내부 반발, 왕위 계승 암투를 보여주었다.
  • 13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윌리엄 월리스
    윌리엄 월리스는 스코틀랜드 독립전쟁에서 영국 지배에 맞서 싸운 영웅으로, 스털링 다리 전투 승리 후 스코틀랜드 수호관이 되었으나 폴커크 전투에서 패배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그의 투쟁은 스코틀랜드 독립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 13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로버트 1세
    로버트 1세는 1274년에 태어나 1329년에 사망한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1306년 왕위에 올라 독립 왕국을 건설했으며, 배넉번 전투 승리와 에든버러-노샘프턴 조약을 통해 독립을 확고히 했다.
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이드 오브 노르웨이, 마거릿. 러윅 타운 홀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
메이드 오브 노르웨이, 마거릿. 러윅 타운 홀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
칭호스코틀랜드 여왕 (논쟁 중)
재위1286년 – 1290년
선임알렉산더 3세
후임존 (1292년)
왕가스베레
아버지에이리크 2세
어머니마거릿 오브 스코틀랜드
출생일1283년 3월 ~ 4월 9일 사이
출생지퇸스베르그, 노르웨이
사망일1290년 9월 26일 ~ 9월 29일 사이 (7세)
사망지오크니 제도, 노르웨이
매장지베르겐, 그리스도 교회
노르웨이어Margrete
게일어Maighread
일본어マーガレット
로마자 표기Māgāretto
한국어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
로마자 표기Mareŭgeureteu Eirikseudotireu

2. 유년 시절

에이리크 2세와 그의 첫 번째 아내인 스코틀랜드의 마거릿 사이에서 외동딸로 태어났다. 어머니 마거릿은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3세의 딸이었다.[1] 1283년 3월에서 4월 9일 사이에 노르웨이 남동부 해안 도시인 퇸스베르그에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출산 합병증으로 사망했다.[2]

마르그레트의 아버지 에이리크 왕은 당시 15세로 왕으로서 권한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딸의 미래에 대해 큰 발언권을 가지지 못했다. 마르그레트는 베르겐 주교의 보호를 받으며 베르겐에서 성장했다.[1]

1281년 에이리크 2세와 스코틀랜드의 마거릿의 결혼을 주선한 조약에는, 알렉산더 왕에게 적법한 아들이 없거나 아들이 적법한 자녀를 남기지 못할 경우 스코틀랜드 공주와 그녀의 자녀들이 스코틀랜드 왕위를 계승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었다. 또한 이 조약은 부부의 딸들이 "관례라면" 노르웨이 왕위도 상속받을 수 있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1280년에 성문화된 노르웨이의 상속법은 남성만이 상속하도록 규정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측은 속은 셈이 되었고 마르그레트는 아버지의 왕국을 계승할 수 없었다.

2. 1. 출생과 가족 배경

노르웨이의 에이리크 2세와 그의 첫 번째 아내인 스코틀랜드의 마거릿 사이에서 외동딸로 태어났다. 어머니 마거릿은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3세의 딸이었다.[1] 1283년 3월에서 4월 9일 사이에 노르웨이 남동부 해안 도시인 퇸스베르그에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출산 합병증으로 사망했다.[2]

마르그레트의 아버지 에이리크 왕은 15세였고 왕으로서 권한이 거의 없어 딸의 미래에 대해 큰 발언권을 가지지 못했다. 마르그레트는 베르겐 주교의 보호를 받으며 베르겐에서 성장했다.[1]

2. 2. 노르웨이에서의 성장

마르그레트 공주는 1283년 3월에서 4월 9일 사이에 노르웨이 남동부 해안 도시인 퇸스베르그에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출산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1][2]

어린 마르그레트의 아버지 에이리크 2세는 15세였고 왕으로서 권한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딸의 미래에 대해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다. 대신 마르그레트는 베르겐 주교 나르베의 보호 아래 베르겐에서 성장했다. 이는 그녀의 결혼이 노르웨이 왕국의 외교 정책에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1281년 에이리크 2세와 스코틀랜드의 마거릿의 결혼을 주선한 조약은 알렉산더 왕에게 적법한 아들이 없거나, 아들이 적법한 자녀를 남기지 못할 경우, 스코틀랜드 공주와 그녀의 자녀들이 스코틀랜드 왕위를 계승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또한 이 조약은 부부의 딸들이 "관례라면" 노르웨이 왕위도 상속받을 수 있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1280년에 성문화된 노르웨이의 상속법은 남성만이 상속하도록 규정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측은 속은 셈이 되었다. 즉, 마르그레트는 아버지의 왕국을 계승할 수 없었다.

3.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마르그레트의 어머니는 딸이 태어난 직후 사망했다.[1][2] 1286년 3월 19일, 외할아버지 알렉산더 3세가 급사하면서, 마르그레트는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로 지목되었다.[3] 3세의 어린 나이로 스코틀랜드 최초의 여왕이 되었지만, 노르웨이 왕궁에 머물렀다.[3]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는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권을 노리고 자신의 왕세자 에드워드(훗날 에드워드 2세)와 마르그레트의 결혼을 강요했다.[4] 스코틀랜드 장로와 중신들은 이 요구를 수용하여 1290년 3월에 결혼에 동의했고,[5] 같은 해 7월 18일, 스코틀랜드 남부에서 잉글랜드에 굴욕적인 내용의 결혼 조건이 결정되었다.[6]

결혼을 위해 스코틀랜드로 향하던 마르그레트는 1290년 9월 26일 오크니 제도에 도착했으나, 심한 뱃멀미로 인해 스코틀랜드 땅을 밟지 못하고 사망했다.[7] 7세의 어린 나이였다. 마르그레트의 죽음으로 스코틀랜드의 아살 왕조는 단절되었고, 존 베일리얼 등 13명의 왕위 요구자가 난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8]

3. 1. 상속녀 지명

1284년 1월 28일, 마르그레트의 외삼촌 알렉산더가 사망하면서, 마르그레트는 외할아버지 알렉산더 3세의 유일한 혈육이자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1] 알렉산더 3세는 아들의 미망인인 플랑드르의 마가렛이 임신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다리지 않고, 스코운에서 스코틀랜드의 13명의 백작, 24명의 남작, 그리고 3명의 씨족장들을 불러들여 자신의 손녀를 후계자로 인정하겠다는 맹세를 하도록 했다.[1]

3. 2. 알렉산더 3세의 사망

1286년 3월 19일, 마르그레트의 할아버지 알렉산더 3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했다.[3] 알렉산더 3세는 욜란다 드뢰와 재혼한 상태였는데, 조언에도 불구하고 폭풍우 속에서 말을 타고 욜란다 여왕을 만나러 가다가 다음 날 척추의 경추 골절로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3]

알렉산더 3세의 아들 알렉산더는 1284년 1월 28일에 이미 사망한 상태였고, 알렉산더 3세의 아내 마가렛은 1275년에 사망했기에, 알렉산더 3세에게는 손녀 마르그레트만이 유일한 후손으로 남겨졌다.[3] 알렉산더 3세는 아들의 미망인인 플랑드르의 마가렛이 임신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다리지 않고, 2월 5일에 스코틀랜드의 13명의 백작, 24명의 남작, 그리고 3명의 씨족장들을 스코운으로 불러들여 자신의 손녀를 후계자로 인정하겠다는 맹세를 하도록 했다.[3]

알렉산더 국왕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스코틀랜드의 유력자들은 왕국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모였다. 그들은 정당한 상속자를 위해 왕위를 지킬 것을 맹세하고, 나라를 다스릴 여섯 명의 섭정을 선택했는데, 이들은 스코틀랜드의 수호자로 알려졌다. 알렉산더 3세가 죽을 당시 왕위 계승은 정해져 있었지만, 마르그레트의 즉위는 아직 확실하지 않았다. 그녀의 계모인 욜란다 여왕이 임신 중이었고, 그 아이가 왕위를 계승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3] 욜란다 여왕은 11월에 사산아를 낳았다.[3]

3. 3. 섭정 통치와 혼란

알렉산더 3세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스코틀랜드의 유력자들은 왕국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모였다. 그들은 정당한 상속자를 위해 왕위를 지킬 것을 맹세하고, 나라를 다스릴 여섯 명의 섭정을 선택했다. 알렉산더 3세가 죽을 당시 왕위 계승은 정해져 있었지만, 마르그레트의 즉위는 아직 확실하지 않았다. 그녀의 계모인 욜란다 여왕이 임신 중이었고, 그 아이가 왕위를 계승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3]

4월 의회에서 앤넌데일의 제5대 영주 로버트 브루스와 갤러웨이 영주 존 발리올 사이에 분쟁이 있었다. 브루스는 마르그레트의 즉위에 반대했을 수도 있고, 혹은 욜란다 여왕의 아이와 마르그레트 다음으로 왕위를 계승할 권리를 두 사람이 모두 주장했을 수도 있다.

욜란다 여왕은 11월에 사산아를 낳았고, 몇 달 안에 에릭 왕의 가장 저명한 조언자인 비아르네 에를링손|Bjarne Erlingssonno이 마르그레트를 위해 왕국을 요구하기 위해 스코틀랜드에 도착했다. 브루스는 그의 아들인 로버트와 함께 반란을 일으켰지만, 1287년 초에 패배했다.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으로 인해 에릭 왕은 세 살 된 딸이 노르웨이를 떠나 스코틀랜드로 가는 것을 꺼렸다.

4. 잉글랜드와의 관계

1286년 알렉산더 3세가 급사하면서, 그의 외손녀인 마르그레트가 3세의 나이로 스코틀랜드 최초의 여왕으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마르그레트는 노르웨이에 머물렀다.[3]

인접국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는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권을 노리고 마르그레트와 자신의 아들 에드워드의 결혼을 추진하여 1290년 3월에 승인을 받았다.[5] 같은 해 7월 18일에는 잉글랜드가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권을 가져가는 굴욕적인 조건으로 결혼 조건이 결정되었다.[6]

마르그레트는 결혼을 위해 노르웨이 베르겐을 떠나 스코틀랜드로 향했으나, 9월 26일 오크니 제도에서 심한 뱃멀미로 7세의 나이에 사망했다.[7]

4. 1. 에드워드 1세의 개입

에드워드 1세는 1286년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권을 노리고 자신의 아들 에드워드(훗날 에드워드 2세)와 마르그레트의 결혼을 추진했다.[4] 1289년 5월, 마르그레트의 아버지 에이리크 2세는 "여군주이자 여왕"으로 불리는 마르그레트의 미래에 대한 국왕들의 논의를 위해 에드워드 1세에게 사절을 보냈다. 당시 마르그레트는 아버지와 함께 노르웨이에 있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인들은 두 왕 사이의 협상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에드워드 1세는 이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했다. 1289년 11월 6일 솔즈베리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이 조약에는 에이리크 2세와 마르그레트가 에드워드 1세에게 마르그레트의 조카(에드워드 2세)를 위해 개입하여 "다른 왕들이 그들의 왕국에서 하는 것처럼 그곳에서 정하고 누릴 수 있도록" 요청했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다.

마르그레트는 1290년 11월 1일까지 스코틀랜드를 거쳐 잉글랜드로 보내질 예정이었다. 에드워드 1세는 마르그레트의 남편을 선택할 권한을 가졌지만, 에이리크 2세는 이에 대한 거부권을 유지했다. 1289년 11월 16일에는 에드워드 1세의 요청에 따라 마르그레트가 그의 아들 카르나본의 에드워드와 결혼하는 것을 허용하는 교황 특사가 발행되었다.

스코틀랜드의 수호자들과 성직자, 고위 인사들은 "스코틀랜드의 여군주 마르그레트 여왕, 우리의 여군주"를 위한 잉글랜드와의 결혼을 확고히 지지한다고 서신을 보냈다. 마르그레트의 남편이 왕이 될 것이라는 암시가 강하게 드러났으며, 에드워드 1세는 자신의 아들의 즉위를 앞당기기 위해 마르그레트를 여왕이라고 칭했지만, 스코틀랜드인들은 일반적으로 그녀를 단지 그들의 여군주라고 묘사했다.

1290년 3월, 스코틀랜드의 장로와 중신들은 에드워드 1세에게 마르그레트와 에드워드 2세의 결혼에 동의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5] 같은 해 7월 18일 버검 조약을 통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개인 연합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는 완전한 독립을 유지하고, 마르그레트는 대관을 통해 스코운에서 군주가 될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이 조약에는 국경 지대에 잉글랜드 군을 배치하고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권을 잉글랜드 측에 넘기는 굴욕적인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6]

4. 2. 솔즈베리 조약과 버검 조약

1289년 5월, 에이리크 2세는 "여군주이자 여왕"이라 불리는 마르그레트의 미래에 대한 논의를 위해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에게 사절을 보냈다. 마르그레트가 아직 아버지와 함께 있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인들은 두 왕 간의 협상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3] 에이리크는 에드워드에게 빚을 지고 있었고, 에드워드는 이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려 했다. 브루스를 동반한 수호자들은 마침내 10월 솔즈베리에서 잉글랜드 및 노르웨이 사절들과 만났다. 1289년 11월 6일 솔즈베리 조약이 작성되었으며, 에이리크와 마르그레트, 즉 "왕국 여왕이자 상속자"는 에드워드에게 그녀의 조카를 위해 개입하여 "그녀가 다른 왕들이 그들의 왕국에서 하는 것처럼 그곳에서 정하고 누릴 수 있도록" 요청했다.

마르그레트는 1290년 11월 1일까지 스코틀랜드를 거쳐 잉글랜드로 보내질 예정이었다. 스코틀랜드인들이 스코틀랜드가 평화롭고 안전하다는 것을 에드워드에게 확신시켜주면, 그는 그녀를 그들에게 보낼 것이다. 에드워드는 그녀의 남편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그녀의 아버지는 그 선택에 대한 거부권을 유지했다. 에드워드의 요청에 따라, 마르그레트가 그녀의 백부의 아들인 카르나본의 에드워드와 결혼하는 것을 허용하는 교황 특사가 1289년 11월 16일에 발행되었다.

수호자들과 다른 성직자 및 고위 인사들은 "스코틀랜드의 여군주 마르그레트 여왕, 우리의 여군주"를 위한 잉글랜드와의 결혼을 확고히 지지한다고 썼다. 마르그레트의 남편이 왕이 될 것이라는 점이 강하게 암시되었고, 에드워드는 자신의 아들의 즉위를 앞당기기 위해 마르그레트를 여왕이라고 칭했지만, 스코틀랜드인들은 일반적으로 그녀를 단지 그들의 여군주라고 묘사했다.

마르그레트의 결혼, 지참금, 왕위 계승, 그리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간의 의도된 개인 연합의 성격에 대한 협상은 1290년까지 계속되었다. 7월 18일에 합의된 버검 조약은 개인 연합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가 완전히 독립을 유지해야 하며[6] 마르그레트만이 대관으로 스코운에서 군주가 될 것이라고 규정했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 (마르그레트의 외가 쪽 증조부)는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권을 노리고 4세의 왕세자 에드워드(훗날 에드워드 2세)와 마르그레트의 결혼을 강요했다.[4] 스코틀랜드의 장로와 중신들은 이 요구를 거절할 수 없었고, 1290년 3월에 두 사람의 결혼에 동의하겠다는 것을 에드워드 1세에게 통지했다.[5] 같은 해 7월 18일, 스코틀랜드 남부에서 결혼 조건이 결정되었지만, 국경 지대에 잉글랜드 군을 배치하는 것은 물론 스코틀랜드의 왕위 계승권을 잉글랜드 측으로 넘기는 굴욕적인 내용이었다.[6]

5. 죽음과 유산

마르그레트의 어머니는 마르그레트를 낳은 직후 사망했다.[1][2] 1286년 3월 19일, 할아버지 알렉산더 3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마르그레트는 스코틀랜드의 왕위 계승자로 지목되었으나 노르웨이에 머물렀다.[3]

이웃 나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는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권을 노리고 자신의 아들 에드워드(훗날 에드워드 2세)와 마르그레트의 결혼을 강요했다.[4] 스코틀랜드는 이 요구를 받아들여 1290년 3월에 결혼에 동의했고,[5] 같은 해 7월 18일에는 스코틀랜드에게 굴욕적인 결혼 조건이 결정되었다.[6]

마르그레트는 결혼을 위해 스코틀랜드로 향하던 중 오크니 제도에서 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이로 인해 스코틀랜드의 아살 왕조는 단절되었고, 존 베일리얼 등 13명의 왕위 요구자들이 나타나 왕위 계승 분쟁이 벌어졌다.[8]

1300년, 베르겐에 마르그레트를 자칭하는 인물(가짜 마르그레테)이 나타났지만, 곧 처형되었다.[7]

5. 1. 스코틀랜드로의 항해와 죽음

1290년 8월 말, 마르그레트는 그레이트브리튼 섬으로 가기 위해 베르겐에서 출항을 준비하거나 이미 항해 중이었다. 배는 그녀의 아버지 소유였지만, 아버지는 동행하지 않았다. 그녀의 측근 중 가장 저명한 인물은 나르베 주교와 토레 하콘손 남작이었다.[3] 그녀는 건강한 상태로 출발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항해 중에 병을 얻었다. 배는 9월 23일경 스코틀랜드 해안에 있는 노르웨이 제도인 오크니 제도에 도착했다.[3]

식중독 또는 덜 가능성이 높은 멀미로 오크니 제도에서 일주일 동안 고통받은 후, 마르그레트는 1290년 9월 26일에서 29일 사이에[3] 나르베 주교의 품에서 사망했다.[3] 스콘에 모였던 스코틀랜드의 유력자들은 10월에 그녀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3] 그녀의 시신은 베르겐으로 옮겨졌고, 에이리크 왕은 딸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관을 열 것을 고집했다. 그는 시신을 현재는 파괴된 크리스트 교회 제단 북쪽 벽에 매장했다.[3]

마르그레트를 태운 배는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스코틀랜드를 향해 출발했다. 도중에 심한 폭풍우를 겪었지만, 배는 9월 26일오크니 제도(당시는 노르웨이령)에 도착했다. 그러나 마르그레트는 심한 뱃멀미로 스코틀랜드 땅을 밟지 못하고 그곳에서 사망했다.[7] 겨우 7세였다. 마르그레트의 죽음으로 스코틀랜드의 아살 왕조는 단절되었고, 존 베일리얼 등 13명의 왕위 요구자가 난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8]

5. 2. 왕조 단절과 왕위 계승 분쟁

마르그레트는 윌리엄 사자왕의 혈통에서 마지막 적자였다.[1] 마르그레트가 죽자 13명의 남자가 왕위 계승권을 주장했는데, 특히 브루스와 발리올 가문이 두드러졌다.[2] 존 발리올 등 13명의 왕위 요구자가 난립하는 상황이 발생했다.[8]

역사가들은 마르그레트를 여왕으로 간주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마르그레트는 즉위식을 거치지 않았고,[3]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그녀를 여왕이라고 거의 부르지 않고 "여주인"이라고 칭했다. 그녀는 사후 대의명분을 심의하는 동안 일반적으로 스코틀랜드의 "여주인", "상속자" 등으로 불렸으며 "여왕"이라고 불리는 경우는 드물었다.[4] 그녀의 전기 작가 중 한 명인 아치 던컨은 즉위식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여왕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1286년 후반에 발행된 문서들은 더 이상 "그가 누구든 왕"을 언급하지 않아, 마르그레트가 이미 왕위를 차지한 것으로 간주되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녀의 또 다른 전기 작가인 노먼 H. 리드는 마르그레트가 동시대인들에게 "여왕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즉위식이 없었기 때문에 "[그녀의] 통치는 시작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교황 니콜라우스 4세는 마르그레트를 스코틀랜드의 군주로 간주하고 그렇게 대우했으며, 매튜 드 크램베스의 주교 선출에 관한 교서를 그녀에게 보냈다.[5] 현대 역사학에서는 그녀를 거의 만장일치로 "여왕"이라고 부르며, 참고 문헌들은 알렉산더 3세의 사망일인 1286년 3월 19일을 그녀의 통치 시작일로 제시한다.[4]

5. 3. 가짜 마르그레테 사건

1300년, 마르그레테를 자칭하는 가짜 마르그레테가 베르겐에 나타났으나, 곧 처형되었다.[7]

6. 역사적 평가와 논쟁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7. 가계도

스코틀랜드의 헨리
영어
스코틀랜드의 윌리엄 1세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영어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2세헌팅던의 마가렛헌팅던의 이소벨
영어
잉글랜드의 마가렛
영어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3세갤러웨이의 데르보르길라로버트 브루스
영어
노르웨이의 에릭 2세스코틀랜드의 마가렛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존 발리올
영어
노르웨이의 소녀 마가렛


참조

[1] 웹사이트 Margaret of Scotland http://britroyals.co[...]
[2] 웹사이트 Margaret, Maid of Norway http://www.undiscove[...]
[3] 서적 森、p. 97
[4] 서적 森、p. 99
[5] 서적 森、p. 101
[6] 서적 森、p. 102
[7] 서적 森、p. 103
[8] 서적 森、p. 104
[9] 웹사이트 Margaret of Scotland http://britroyals.co[...]
[10] 웹사이트 Margaret, Maid of Norway http://www.undisco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