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는 기원전 3세기에 활동한 로마 공화정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그는 기원전 267년에 집정관으로 선출되었으며, 제1차 포에니 전쟁에 참전하여 북아프리카를 침공했다. 튀니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으나, 로마로 보내져 강화 조약 협상을 거부하도록 설득한 후 카르타고로 돌아가 고문을 받고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로마인들에게 시민적 미덕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의 죽음에 대한 역사적 진실성에는 논쟁이 있으며, 그의 이야기는 로마의 역사가와 웅변가들에 의해 미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틸리우스 씨족 -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는 로마 제국 시대 군 복무를 시작으로 여러 속주의 총독, 다키아 전쟁 참전, 두 번의 집정관,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등을 역임하고 셉템비리 에풀로눔과 소달레스 아우구스탈레스 일원으로 종교 활동도 한 인물이다.
  • 로마 공화국의 제독 -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인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정적이었으며, 집정관 시절 카이사르와 갈등을 겪고 시리아 총독을 지낸 후 카이사르 내전에서 폼페이우스 편에 서서 함대를 지휘하다 병사했다.
  • 로마 공화국의 제독 -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는 아우구스투스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악티움 해전 승리를 이끌고 로마의 공공시설 개선에 기여한 고대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이다.
  • 제1차 포에니 전쟁 관련자 - 하밀카르 바르카
    하밀카르 바르카는 고대 카르타고의 군사 지휘관으로, 제1차 포에니 전쟁 말기에 시칠리아에서 로마군과 대치하며 게릴라전을 펼쳤고, 이후 히스파니아에서 세력을 확장하다가 카르타헤나 건설 중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한니발이 로마와의 전쟁을 이어받았다.
  • 제1차 포에니 전쟁 관련자 - 한노 대왕
    한노 대왕은 고대 카르타고의 군사 지도자, 정치가, 귀족 가문 출신 인물들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기원전 4세기부터 2세기까지 카르타고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한노 대왕 1세, 2세, 3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로마자 표기M. Atilius M. f. L. n. Regulus
회화
안드리스 코르넬리스 렌스가 그린 카르타고로 자진 귀환하는 레굴루스의 신화 (1791년), 현재 에르미타주 미술관 소장
국적로마 공화정
직업정치가 및 군인
배우자마르키아
자녀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기원전 227년의 집정관)
친척가이우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기원전 257년의 집정관) (형제)
생애
출생기원전 307년 이전
사망기원전 250년
사망 장소카르타고
경력
활동 기간기원전 267년 – 255년
관직집정관 (기원전 267년, 256년)
프로콘술(기원전 255년)
군사 경력
참전 전투제1차 포에니 전쟁
에크노무스곶 해전
아스피스 공성전
아디스 전투
튀니스 전투
바그라다스 강 전투 (기원전 255년)

2. 생애

레굴루스는 기원전 267년에 처음으로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살렌토 반도에 살던 메사피아인에게 승리하여 브린디시를 공략하고, 동료 집정관 루키우스 율리우스 리보와 함께 개선식을 거행했다.

레굴루스는 기원전 256년에, 임기 중 사망한 퀸투스 카이디키우스를 대신하여 보충 집정관으로 재선출되어 제1차 포에니 전쟁에 참전했다. 루키우스 만리우스 불소 롱구스와 함께 시칠리아섬 인근 에크노무스곶에서 카르타고군을 상대로 해전에서 승리하고 북아프리카를 침공했다.

본 곶 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아피스에 상륙하여 아피스 공성전을 벌인 이후, 로마군은 시골을 약탈하고 약 2만 명의 전쟁 포로를 붙잡았다. 만리우스는 로마로 소환되어 해상 개선식을 거행했고, 레굴루스는 튀니스를 점령하여 카르타고와 협상에 들어갔다. 바그라다스 강을 건너는 동안 그의 군대는 거대한 뱀과 싸웠다고 전해진다. 카르타고에서 남쪽으로 약 24킬로미터 떨어진 아디스 공성전 동안, 카르타고인들은 불리한 언덕 지형에서 공격을 감행했고, 이로 인해 로마가 승리한 아디스 전투가 발발했다. 튀니스에서 겨울을 나면서 레굴루스는 카르타고인들과 협상했지만, 가혹한 조건으로 인해 결렬되었다.

그의 지휘권은 기원전 255년까지 프로로가티오(연장)되었다. 그해 봄, 카르타고의 크산티푸스 휘하의 스파르타 용병의 도착과 레굴루스의 가혹한 제안에 대한 반발로 무장한 카르타고인들은 바그라다스 강 전투(튀니스 전투)에서 레굴루스와 싸웠다. 평원에서 카르타고인들은 전쟁 코끼리와 기병대를 활용할 공간을 확보했고, 레굴루스는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키케로는 『의무에 관하여』에서 레굴루스가 한니발의 아버지 하밀카르 바르카 밑에 있던, 스파르타인 장군 크산티포스의 계략에 걸려 아프리카에서 사로잡혔다고 기록했다. 약 2천 명의 로마인만이 전투에서 탈출하여 폭풍으로 난파되기 전에 로마 해군에 의해 구조되었다. 레굴루스는 포로 상태에서 방치 또는 굶주림으로 사망했지만, 그의 운명은 "곧 전설로 미화되었다".

레굴루스는 튀니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강화 조약 협상을 위해 가석방 신분으로 로마에 보내졌으나, 로마 원로원에 강화 조약 제안을 거부할 것을 간청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가석방 조건을 지키기 위해 카르타고로 돌아갔고, 그곳에서 고문을 받고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로마인들에게 전해지며 시민적 미덕의 귀감으로 여겨졌다.

키케로는 『의무에 관하여』에서 레굴루스가 포로 교환에 반대하고 카르타고로 돌아가 고문 끝에 죽음을 맞이한 것을 명예를 중시한 ''전형적인 예''로 언급했다. 또한 『선과 악의 궁극에 관하여』에서는 레굴루스가 적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카르타고로 돌아가 불면과 굶주림에 시달렸지만, 쾌락을 추구한 토리우스보다 행복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는 폴리비우스의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아 역사적 진실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카르타고에 적대적이던 작가 디오도로스는 레굴루스가 자연적 원인으로 사망했다고 전했다.

레굴루스의 포획과 애국적인 저항에 대한 신화는 로마 아이들과 애국적인 이야기꾼들이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가 되었으며, 로마의 역사가와 웅변가들에 의해 수년에 걸쳐 발전하고 다듬어졌다. 최초의 증거는 기원전 129년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의 역사에서 발견되며, 이 기록에서 카르타고인들은 그를 굶겨 죽였다고 묘사한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5세기)에서 레굴루스가 사방에 날카로운 못이 박힌 좁은 상자에 갇혀 극심한 고통을 받았다고 묘사했다. 일설에는 그가 못이 박힌 통에 갇혀 잠을 재우지 않는 고문을 당한 끝에 사망했다고도 한다.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레굴루스는 기원전 267년에 처음으로 집정관에 선출되었다.[8] 살렌토 반도에 살던 메사피아인에게 승리하여 브린디시를 공략하고, 동료 집정관 루키우스 유니우스 리보와 함께 개선식을 거행했다.[8]

2. 2. 제1차 포에니 전쟁

레굴루스는 기원전 267년에 처음으로 집정관이 되어 메사피아인들과 싸웠다. 기원전 256년, 그는 임기 중 사망한 퀸투스 카이디키우스를 대신하여 보충 집정관으로 재선출되어[9] 제1차 포에니 전쟁에 참전했다.[18] 루키우스 만리우스 불소 롱구스와 함께 시칠리아섬 인근 에크노무스곶에서 카르타고인들을 상대로 해전에서 승리하고 북아프리카를 침공했다.[18]

본 곶 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아피스에 상륙하여 아피스 공성전을 벌인 이후, 로마군은 시골을 약탈하고 약 2만 명의 전쟁 포로를 붙잡았다. 만리우스는 로마로 소환되어 해상 개선식을 거행했고, 레굴루스는 튀니스를 점령하여 카르타고와 협상에 들어갔다.[1] 바그라다스 강을 건너는 동안 그의 군대는 거대한 뱀과 싸웠다고 전해진다.[1] 카르타고에서 남쪽으로 약 24킬로미터 떨어진 아디스 공성전 동안, 카르타고인들은 불리한 언덕 지형에서 공격을 감행했고, 이로 인해 로마가 승리한 아디스 전투가 발발했다. 튀니스에서 겨울을 나면서 레굴루스는 카르타고인들과 협상했지만, 가혹한 조건으로 인해 결렬되었다.[1]

그의 지휘권은 기원전 255년까지 프로로가티오(연장)되었다. 그해 봄, 카르타고의 크산티푸스 휘하의 스파르타 용병의 도착과 레굴루스의 가혹한 제안에 대한 반발로 무장한 카르타고인들은 바그라다스 강 전투(튀니스 전투)에서 레굴루스와 싸웠다. 평원에서 카르타고인들은 전쟁 코끼리와 기병대를 활용할 공간을 확보했고, 레굴루스는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1] 키케로는 『의무에 관하여』에서 레굴루스가 한니발의 아버지 하밀카르 바르카 밑에 있던, 스파르타인 장군 크산티포스의 계략에 걸려 아프리카에서 사로잡혔다고 기록했다. 약 2천 명의 로마인만이 전투에서 탈출하여 폭풍으로 난파되기 전에 로마 해군에 의해 구조되었다. 레굴루스는 포로 상태에서 방치 또는 굶주림으로 사망했지만, 그의 운명은 "곧 전설로 미화되었다".[1]

2. 3. 포로 생활과 죽음

레굴루스는 기원전 255년 튀니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18] 강화 조약 협상을 위해 가석방 신분으로 로마에 보내졌으나, 로마 원로원에 강화 조약 제안을 거부할 것을 간청했다고 전해진다.[18] 그는 가석방 조건을 지키기 위해 카르타고로 돌아갔고, 그곳에서 고문을 받고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로마인들에게 전해지며 시민적 미덕의 귀감으로 여겨졌다.[17]

키케로는 『의무에 관하여』에서 레굴루스가 포로 교환에 반대하고 카르타고로 돌아가 고문 끝에 죽음을 맞이한 것을 명예를 중시한 ''전형적인 예''로 언급했다.[7] 또한 『선과 악의 궁극에 관하여』에서는 레굴루스가 적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카르타고로 돌아가 불면과 굶주림에 시달렸지만, 쾌락을 추구한 토리우스보다 행복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는 폴리비우스의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아 역사적 진실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3][4] 카르타고에 적대적이던 작가 디오도로스는 레굴루스가 자연적 원인으로 사망했다고 전했다.[18]

레굴루스의 포획과 애국적인 저항에 대한 신화는 로마 아이들과 애국적인 이야기꾼들이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가 되었으며, 로마의 역사가와 웅변가들에 의해 수년에 걸쳐 발전하고 다듬어졌다. 최초의 증거는 기원전 129년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의 역사에서 발견되며, 이 기록에서 카르타고인들은 그를 굶겨 죽였다고 묘사한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5세기)에서 레굴루스가 사방에 날카로운 못이 박힌 좁은 상자에 갇혀 극심한 고통을 받았다고 묘사했다.[5] 일설에는 그가 못이 박힌 통에 갇혀 잠을 재우지 않는 고문을 당한 끝에 사망했다고도 한다.[10]

3. 가족

기원전 294년 집정관의 아들로, 고대 칼라브리아 가문의 후손이다. 후기 로마 작가들에 따르면, 아내 마르키아는 남편의 사망 소식을 듣고 카르타고 포로들을 고문해 죽였다고 한다.[6][11][12] 리비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두 아들 마르쿠스와 가이우스는 각각 기원전 227년과 225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 가이우스는 갈리아인과의 테라몬 전투에서 전사했다.[13] 형제 또는 친척인 가이우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세라누스는 기원전 257년과 250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14]

4. 유산 및 평가

레굴루스의 이야기는 로마인들에게 시민적 미덕과 애국심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그의 포로 생활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키케로는 그의 행동을 의무와 명예를 중시한 전형적인 예로 언급했다.

줄리오 로마노, 통에 갇힌 레굴루스 (1560년)

살바토르 로자, 레굴루스를 통에 못 박는 카르타고 병사 (1661–62년)

미셸 기슬랭 스타플로, 가족에게 붙잡히는 레굴루스 (1832년)

터너, 레굴루스 (1828년, 1837년 가필)[15]

자크 루이 다비드, 카르타고로 떠나는 레굴루스 (1785-86년)[16]

4. 1. 대한민국과의 관계 (현대적 관점)

참조

[1] 서적 1896
[2] 서적 1989
[3] 서적 2012
[4] 논문 Regulus bei Naevius: Zu frg. 50 und 51 Blänsdorf https://www.degruyte[...] 1998-06-01
[5] 서적 City of God https://books.google[...] T. & T. Clark 1871
[6] 서적 1989
[7] 웹사이트 Marcus Atilius Regulus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2-09-08
[8]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9]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10] 서적 ローマ共和政偉人伝 早稲田大学地中海研究所 2006
[11]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12] 문서 Fasti triumphales
[13]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14]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15] 웹사이트 テート http://www.tate.org.[...]
[16] 웹사이트 シカゴ美術館 http://www.artic.edu[...]
[17] 웹인용 Marcus Atilius Regulus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09-08
[18] 서적 Carthage and the Carthagini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