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파르타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로, 라케다이몬 또는 라케다이모니아로도 불렸다. 펠로폰네소스 남동부 라코니아 지역에 위치했으며, 유로타스 강 유역을 중심으로 라코니아와 메세니아를 지배했다. 스파르타는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시작된 역사를 거쳐, 기원전 8-7세기 리쿠르고스의 개혁을 통해 사회 제도를 정비하고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승리하며 그리스의 패권을 장악했다. 이후 쇠퇴기를 겪었지만, 로마 시대까지 지역 강국으로 존속했다. 스파르타는 엄격한 군사 훈련 '아고게'와 시민, 페리오이코이, 헤일로타이로 구성된 독특한 사회 구조를 가졌으며, 라코노필리아라는 스파르타 문화에 대한 애호를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코니아현 - 셀라시아 전투
기원전 222년에 벌어진 셀라시아 전투는 마케도니아 연합군이 스파르타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스파르타의 쇠퇴를 가져왔고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라코니아현 - 마니반도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쪽의 산악 지역인 마니 반도는 고대 문명의 영향과 비잔티움 제국 시대의 자치권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으며, 탑 모양 주택과 역사 유적, 아름다운 해변, 그리고 호모 사피엔스 두개골 발견지로 유명하고,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마니오트인들의 고향이다. - 스파르타 -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고대 스파르타의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스파르타 시민에게 예속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했던 원주민 집단으로, 생산물 일부를 바치고 억압 속에서 생활하며 반란을 시도하기도 했다. - 스파르타 - 에포로스
에포로스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왕을 견제하며 행정, 사법, 군사적 권한을 행사한 5인 집정관직으로, 국민회의에서 매년 선출되어 법률 제정, 사법 재판, 외교, 군사 원정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스파르타 정치 체제의 핵심 요소였다. - 그리스 신화의 장소 - 칼케돈
칼케돈은 기원전 685년 메가라 식민지로 건설되어 무역으로 번성하고 여러 신전이 건설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자유 도시의 지위를 얻었지만 여러 침입을 겪었고, 451년에는 칼케돈 공의회가 개최되었으며, 여러 순교자들과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한 고대 도시이다. - 그리스 신화의 장소 - 툴레
툴레는 고대 그리스 지리학자들이 언급한 북쪽의 미지의 섬 또는 지역으로, 극야와 백야 현상과 관련되어 묘사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브리타니아 북쪽,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등으로 여겨졌고, 신비주의적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스파르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Lakedaímōn|label=none}} |
일반 명칭 | 스파르타 |
다른 이름 | |Spártā}}, |Spártē}} |
위치 | 스파르타 |
언어 | 도리스 그리스어 |
종교 | 그리스 다신교 |
역사 | |
건국 시기 | 기원전 900년대 |
멸망 시기 | 기원전 192년 |
건국 사건 | 건국 |
멸망 사건 | 아카이아에 합병 |
주요 사건 | 메세니아 전쟁 (기원전 685–668년) 테르모필레 전투 (기원전 480년) 펠로폰네소스 전쟁 (기원전 431–404년)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362년) |
이전 국가 | 그리스 암흑 시대 |
다음 국가 | 아카이아 동맹 |
정치 | |
정치 체제 | 이두정 군주제 |
지도자 직함 | 왕 |
주요 지도자 | 아기스 1세 (기원전 930년경–900년) 나비스 (기원전 207–192년) |
입법 기관 | 에포로스 게루시아 |
상징 | |
상징 종류 | 람다 (Λάμδα)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Lakedaímōn |
국기 | |
![]() | |
![]() | |
![]() |
2. 이름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스파르타를 '라케다이몬'(Λακεδαίμων) 또는 '라케다이모니아'(Λακεδαιμονία)라고 불렀다. 호메로스,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도 주로 이 명칭을 사용했다.[3] 헤로도토스는 스파르타를 지칭할 때 '라케다이몬'만 썼으며, 어떤 구절에서는 스파르타의 저지 도성과 대비하여 테라프네의 아카이아 성채를 지칭하기 위해 그렇게 부르기도 하였다.[13]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남동부 라코니아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고대 스파르타는 라코니아에서 가장 큰 강인 에우로타스 강둑에 세워졌다. 에우로타스 강은 신선한 물을 공급했으며, 유로타스 계곡은 서쪽으로 타이게토스 산(2407m), 동쪽으로 파르논 산(1935m)에 둘러싸인 천혜의 요새였다. 북쪽으로는 라코니아가 고도 1000m의 구릉지대를 통해 아르카디아와 분리되어, 이러한 천연 방어 시설이 약탈과 침략으로부터 스파르타를 보호해 주었다. 스파르타는 육지로 둘러싸여 있었지만, 라코니아 만에 속국 항구인 기테이온을 가지고 있었다.[19]
투키디데스는 스파르타가 황폐해져 사원과 기초만 남는다면, 후대 사람들은 스파르타의 힘이 그 명성에 걸맞았다는 것을 믿기 어려워할 것이라고 기록했다. 스파르타는 고대 그리스 도시들처럼 마을들의 집단과 유사하여 초라한 모습을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24][25]
'라코니아'는 타위게토스 산맥 동쪽 고원을 이루는, 스파르타 도성 주변 지역을 일컫는 말이었다. 때로는 메세니아를 비롯하여 스파르타가 직접적으로 지배하는 모든 지역을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다.
그리스 신화에서 라케다이몬은 제우스와 뉨페 타위게테의 아들이다. 그는 에우로타스의 딸 스파르타와 혼인하여 아미클라스, 에우리디케, 아시네를 낳았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딴 나라인 스파르타의 왕이 되었으며, 도읍의 이름은 아내의 이름을 따랐다.[19] 그는 스파르타와 아미클라이 사이에 카리테스의 성소를 건설하였다고 하며, 클레타와 파엔나 신에게 이름을 주었다고 한다. 테라프네 근처에 그에게 봉헌된 성소가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 라케다이몬은 근대 그리스 라코니아 현의 관구 이름이기도 하다.
“스파르타”는 도리스 방언(고대 그리스어 Σπάρτα|Spártāgrc)가 어원이다. 아티카 방언에서는 “스파르테”(Σπάρτη)라고 불렸으며,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스파르티”(Σπάρτη)가 된다.
3. 지리
에우로타스 강 유역에 위치한 스파르타는 라코니아와 메세니아를 지배했다. 스파르타는 성벽이 없었는데, 이는 스파르타 육군이 최강이라는 것이 당시 그리스 세계의 상식이었고 침략은 자살 행위와 같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스파르타의 전사 공동체가 약화되어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패할 때까지 스파르타 지배 지역에 침입할 수 있었던 군대는 존재하지 않았다.
4. 역사
20세기 초까지 스파르타의 주요 고대 건물은 극장이었지만, 지상에서는 옹벽의 일부만 보였다. '레오니다스의 무덤'이라 불리는 사각형 건물은 거대한 돌로 지어졌고 두 개의 방이 있었다. 유로타스 강 위 고대 다리 기초, 원형 구조물 잔해, 후기 로마 시대 방어시설 잔해, 벽돌 건물과 모자이크 포장도 있었다.[24]
1872년 스타마타키스(Stamatakis)가 설립하고 1907년 확장된 지역 박물관에는 비문, 조각상 등 고고학 유물이 수집되었다. 아테네 미국 고고학학교는 1892년과 1893년에 원형 건물을 부분 발굴하여 헬레니즘 시대 반원형 옹벽으로 밝혀졌으며, 로마 시대에 부분 복원되었다.[24]
1904년 아테네 영국 고고학학교는 라코니아 탐사를 시작, 이듬해 탈라마이, 게론트라이, 모네무바시아 근처 안젤로나에서 발굴했다. 1906년 스파르타 자체 발굴이 시작되었다.[24]
리크가 묘사한 '작은 서커스'는 기원후 200년경 아르테미스 오르티아 신전 제단 주변에 건설된 극장과 같은 건물로, 음악 및 체조 경연, 스파르타 소년들의 ''디아마스티고시스''가 있던 곳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2세기 건설된 이 신전은 기원전 6세기 신전 기초 위에 세워졌으며, 옆에서는 기원전 9세기 또는 10세기 신전 잔해가 발견되었다. 신전 구역 내 기원전 9~4세기 점토, 호박, 청동, 상아, 납 봉헌물은 초기 스파르타 예술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24]
1907년 '청동 집'(Χαλκίοικος, Chalkioikos)의 아테나 신전 위치가 극장 위 아크로폴리스에서 확인되었다. 사원은 거의 파괴되었지만, 라코니아 최장 고대 비문, 청동 못과 판, 봉헌물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4~2세기 여러 단계로 건설된 성벽은 48 스타디온(약 10km) 길이로 추적되었다. 아크로폴리스를 둘러싼 후기 로마 시대 성벽(일부는 262년 고트족 습격 이후 건설)도 조사되었다. 파우사니아스 묘사를 바탕으로 스파르타 지형 연구에서 여러 지점이 확인되었다.[24]
아르카이크 시대 이전 스파르타 주택과 마을은 거의 알려진 것이 없지만, 메세니아 니코리아 발굴에서 기둥 구멍이 발견되었다. 이 마을들은 개방적이었고, 돌 기초와 점토 벽으로 지어진 작고 단순한 집들로 구성되었다.[26]
4. 1. 선사 시대
스파르타 지역의 초기 거주 흔적은 신석기 중기의 도기 파편으로, 스파르타 남쪽/남서쪽으로 약 2km 떨어진 쿠포부노 근처에서 발견되었다.[146] 이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나오는 옛 미케네 문명의 흔적으로, 스파르타 문명 이전의 유일한 흔적이다.
청동기 시대 말기, 북쪽에서 도리아 인이 침입하여 펠로폰네소스에 정착했다.[147][148][149]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이들은 마케도니아 부족으로, 기원전 1200~1100년경 반도로 이주하여 이곳 부족들을 복속시켰다고 한다. 도리아인들은 스파르타의 영토를 넓혔으며,[150] 동쪽과 남동쪽 아르고스의 도리아인, 북서쪽의 아르카디아 아카이아인들과도 싸웠다. 스파르타는 타위게토스 평원의 지리적 이점 덕분에 성벽 없이도 안전했다.[150]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 스파르타는 내전을 겪었다.[151] 이후 리쿠르고스의 개혁을 통해 사회 제도를 정비했다.[152]
4. 2. 고전기
메세니아 전쟁을 통해 펠로폰네소스의 강자로 부상한 스파르타는 이후 수백 년간 육군에서 필적할 수 없는 명성을 얻었다.[156] 기원전 480년 레오니다스 1세가 이끄는 소규모 스파르타군은 테르모필라이 전투에서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 전설적인 최후의 항전을 벌였다.[157] 이들은 수적으로 열세에도 불구하고 페르시아군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비록 이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스파르타 군의 용맹함은 그리스 전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년 뒤, 스파르타는 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그리스 동맹군을 이끌고 페르시아에 맞서 승리했다. 이 전투에서 그리스 호플리테스와 팔랑크스의 우수한 무기, 전략, 청동 무구는 그 진가를 발휘했다.[158] 플라타이아이에서의 승리로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은 막을 내렸고, 스파르타는 그리스 군대의 주도국이 되었다.[158]
고전기에 스파르타는 아테나이, 테바이, 페르시아와 패권을 다투었다.[158]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404년)에서 스파르타는 해군력을 강화하여 아테네를 꺾고 그리스의 패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코린토스 전쟁(기원전 395년~387년)에서 스파르타는 그리스 주요 국가들의 연합군과 싸우면서 해군력에 큰 타격을 입었다.[159] 이 전쟁은 안탈키다스의 화의로 종결되었지만, 스파르타는 그리스 정치에서 패권국의 위치를 유지했다.[161]
그러나 스파르타는 레욱트라 전투에서 테바이의 에파메이논다스에게 대패하면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161] 이 전투는 스파르타 군대가 전병력을 동원하고도 육전에서 패배한 첫 사례였다. 스파르타는 시민권이 혈연으로 세습되었기 때문에 시민 수가 감소하고 헤일로타이 인구가 증가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4. 3. 헬레니즘과 로마 시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스파르타를 정복하려 하지 않았다. 스파르타는 제거하기에는 큰 위협이 아니었지만, 무예 실력이 여전하여 침략하면 피해를 입을 위험이 컸기 때문이다. 쇠퇴기에도 스파르타는 자신들이 ‘헬라스 세계의 수호자’라는 의식을 잊지 않았다. 필리포스 2세가 스파르타에 “만약 내가 라코니아로 진입한다면, 나는 스파르타를 쓰러뜨리겠다”라고 서신을 전하자, 스파르타 사람들은 짧게 ‘만약’이라고만 답하였다.[162]
필리포스 2세는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그리스를 통합한다는 명분으로 코린토스 동맹을 창설하였으나, 스파르타는 페르시아 편에 서서 코린토스 동맹에 가입하지 않았다. 스파르타인들은 자신들이 주도하지 않는 범그리스 군대와 함께하는 데는 관심이 없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페르시아를 정복하고 본국으로 돌아온 후 페르시아의 무구 300벌을 아테네에 보내며 "필리포스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와 '''스파르타인 이외의''' 모든 헬라스인에게 소아시아에서 노획한 전리품을 주노라."라고 새겼다.
포에니 전쟁 당시 스파르타는 로마 공화정의 동맹국이었다. 그러나 결국 아카이아 동맹에 편입되면서 정치적 독립을 잃게 된다. 기원전 146년 로마 장군 루키우스 뭄미우스가 그리스를 정복한 후, 스파르타는 로마 상류층들이 스파르타의 이국적인 관습을 보기 위해 오는 관광지가 되었다. 기원후 378년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로마군이 대패하였을 때, 스파르타 팔랑크스도 로마 제국군과 함께 전투에서 서고트족 군대를 만나 패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63]
4. 4. 중세와 근대
비잔티움 시대 사료에 따르면 라코니아 지방의 일부인 마니반도에는 10세기까지도 스파르타 시민들과 고대 전통이 남아있었다고 하며, 차코니아에는 오늘날에도 도리스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 중세에 라코니아의 정치·문화 중심지는 미스트라스로 옮겨갔다. 근대의 스파르타는 그리스 왕국의 국왕 오톤의 칙령으로 재건되었다.
5. 사회
스파르타는 엄격한 사회 계급 구조를 가졌으며, 스파르타식 교육인 아고게를 마친 사람만이 시민권을 얻었다. 시민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도시 원주민의 후손(스파르티아타이)이어야 했다.[170]
예외적으로, '수양 아들'을 뜻하는 트로피모이는 외국 유학생 신분으로 스파르타에 왔으며, 아테네 장군 크세노폰도 두 아들을 이 자격으로 보냈다. 헤일로타이(스파르타의 노예)의 아들 중 스파르티아타이가 입양하여 비용을 댄 신트로포스도 시민이 될 수 있었고, 훈련에서 뛰어나면 스파르티아타이로 후원받기도 했다.[170]
스파르타 영토 내에는 자유민 페리오이코이와 국가 소유 농노인 헤일로타이도 있었다.[171] 이들은 아고게를 받을 수 없었고, 비용을 감당 못하는 스파르타인은 시민권을 잃었다. 이는 시민 수 감소와 비시민(특히 헤일로타이)의 수적 우세로 이어져 국가 유지에 위협이 되었다.
스파르타는 과두정치 국가로, 아기아다이 왕가와 에우리폰티다이 왕가 출신 두 왕이 통치했다.[164] 왕의 임무는 종교, 사법, 군사에 한정되었고, 민사 및 형사 사건은 에포로이와 게루시아 의회에서 결정했다.
헤일로타이와 페리오이코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5. 1. 정치 체제
도리스인의 나라였던 스파르타는 크레테의 도리스인을 본따 국가를 발전시켰다. 스파르타는 아기아다이 왕가와 에우리폰티다이 왕가 출신의 두 왕이 다스렸는데,[164] 두 왕가 모두 헤라클레스의 자손으로 여겨졌으며 동등한 권위를 가졌다. 서로의 행위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으며, 이를 거스를 수는 없었다. 시민 의회가 행사한 권력은 어디서 기원했는지 사실상 알려져 있지 않은데, 사료가 부족한데다 스파르타의 비밀주의 때문이었다.두 왕의 임무는 우선 종교, 사법, 군사 분야에 있었다. 이들은 국가의 최고 제사장이었으며 스파르타 정치에서 늘 중요한 권위를 행사했던 델포이 성소와 연락했다. 헤로도토스 시대(기원전 450년경)에 국왕의 사법 기능은 상속녀, 양자 입양, 공공 도로에 관한 송사로 제한되었다. 민사 및 형사 소송은 원로원인 게루시아와 더불어 관리 집단인 에포로스가 결정했다. 게루시아는 60세 이상의 원로 28명과 두 왕(나이 제한 없음)으로 이루어졌는데, 원로의 경우 종신직으로 선출되고 보통 왕가 출신이었다.[165] 고급 정책 결정은 원로원에서 숙의하여 스파르타 시민의 집합체인 다모스에게 양자 택일식으로 정책을 제안하는데, 다모스가 투표를 통해 두 안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다.[166][167]
아리스토텔레스는 스파르타의 왕정을 "일종의 무제한적이고 영속적인 장군직"(Pol. iii. I285a),[168]이라고 기술했으며, 이소크라테스는 스파르타인을 일컬어 "본국에서는 과두정, 전투시에는 왕정의 지배"(iii. 24).[169]를 받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왕의 권한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줄어들었다. 기원전 5세기의 페르시아 전쟁 시대부터 왕은 선전 포고할 권리를 잃었으며, 전장에서 에포로스 두 사람과 동행하게 되었다. 왕은 장군직 외에는 명목상 원수로 전락했다. 실권은 에포로스와 게루시아가 가졌다.
국정에는 두 명의 세습 왕이 공존했으며, 그 권한은 전시의 군 지휘권 등으로 제한되었다. 두 왕가는 각각 아기스 왕조(Agiad dynasty영어)와 에우뤼폰 왕조(Eurypontid dynasty영어)로 불리며, 스파르타 통일 과정에서 이루어진 타협의 유산으로 보인다. 페르시아 전쟁의 테르모필라이 전투에서 유명한 레오니다스 1세는 아기스 왕조의 왕이다. 게루시아는 전 시민이 참여하는 민회에서 병역 면제에 도달한 60세 이상의 시민 중에서 선출된 28명과 두 명의 왕을 합쳐 30명으로 구성되었고, 그 지위는 종신이었다. 민회의 결정에 대해 거부권을 가지고 있어 사실상 최고 결정 기관이었다. 또한, 민회에서 30세 이상의 시민 중 매년 5명의 에포로이가 선출되어 왕을 포함한 모든 시민에 대한 감독권과 사법권을 가졌다.
5. 2. 시민
스파르타에서는 모든 사람이 시민으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었다. 스파르타 주민 중 스파르타식 교육 과정인 아고게를 완수한 사람만이 시민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보통 아고게를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을 스파르티아타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조상이 도시의 원주민 출신이어야 했다.하지만 스파르타 시민에는 두 가지 예외가 있었다. '수양 아들'을 뜻하는 트로피모이는 외국에서 유학 온 학생이었다. 예를 들어 아테네의 장군 크세노폰도 두 아들을 트로피모이 자격으로 스파르타에 보냈다. 또 다른 예외는 헤일로타이의 아들 가운데 스파르티아타이가 공식적으로 입양하여 비용을 댄 사람은 신트로포스 자격으로 호적에 등록될 수 있었다. 신트로포스가 훈련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면, 스파르티아타이로 후원받을 수도 있었다.[170]
그 외에 비시민이면서 스파르타 영토 내에 사는 자유민인 페리오이코이와 국가 소유의 농노인 헤일로타이 두 집단이 있었다.[171] 비시민 출신은 아고게를 받을 수 없었고, 아고게 비용을 댈 여력이 없는 스파르타인은 시민권을 잃을 수도 있었다. 이러한 법은 스파르타가 전투 등으로 시민을 잃어도 대신할 사람이 없게 되며, 시민의 수가 비시민, 특히 더 위험한 헤일로타이보다 수적으로 훨씬 열세에 놓일 경우 국가 유지가 위태롭게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었다.
국정에는 두 명의 세습 왕이 공존했으며, 그 권한은 전시의 군 지휘권 등으로 제한되었다. 두 왕가는 각각 아기스 왕조(Agiad dynasty영어)와 에우뤼폰 왕조(Eurypontid dynasty영어)로 불리며, 스파르타 통일 과정에서 이루어진 타협의 유산으로 보인다. 페르시아 전쟁의 테르모필라이 전투에서 유명한 레오니다스 1세는 아기스 왕조의 왕이다. 전 시민이 참여하는 민회(아펠라)에서 병역 면제에 도달한 60세 이상의 시민 중에서 선출된 28명과 두 명의 왕을 합쳐 30명으로 구성된 장로회(게루시아)는 민회의 결정에 대해 거부권을 가지고 있어 사실상 최고 결정 기관이었다. 또한, 민회에서 30세 이상의 시민 중 매년 5명의 에포로이가 선출되어 왕을 포함한 모든 시민에 대한 감독권과 사법권을 가졌다.
신생아는 부족 장로의 면접을 받았고, 허약한 아이는 타이게토스 산[131]의 동굴에 버려졌다. 남자아이는 7세에 가정을 떠나 공동 생활을 하고, 12세부터 본격적인 육체 훈련과 스파르타인으로서의 교육(아고게)를 받았다. 군사 훈련의 하나로, 헤일로타이에게서 물건을 훔쳐 살해하는 것도 장려되었다. 이렇게 그들은 질실강건, 인내와 복종을 익히고, 18세에 민회의 만장일치로 성인의 반열에 들었다.
군에 종사하게 되면 장군의 관리 하에 놓이고, 매일 15명 단위의 저녁 식사에 참여하여 정치 논의에 참여했다. 공동 식사는 단결을 다지는 장소이자 청년을 교육하는 장소였다. 병영에서의 생활을 일상으로 했기 때문에, 아내가 있어도 밤에는 병영으로 돌아가야 했다. 전장에서 겁쟁이로 여겨진 경우, 모든 공동체에서 배척되어 턱수염의 절반을 깎은 모습으로 살아가야 했다. 60세가 되면 병역이 면제되었다.
5. 3. 헤일로타이와 페리오이코이
스파르타는 과두정치 국가였다. 국가는 아기아드 가문과 유뤼폰티드 가문 출신의 세습 왕 두 명이 다스렸고,[24] 왕의 임무는 주로 종교적, 사법적, 군사적이었다. 민사 및 형사 사건은 에포로이와 게로우시아 의회에서 결정했다. 스파르타 사회는 시민 외에 자유민인 페리오이코이와 국가 소유의 헬롯[68] 계급으로 구성되었다.헤일로타이와 페리오이코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5. 3. 1.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메세니아와 라코니아의 자유민 출신 그리스인이었으나, 스파르타인에게 전투에서 져서 노예가 된 사람들이었다.[172][173] 이들은 스파르타인의 땅을 경작하는 농노였으며, 여성 헤일로타이는 유모로 일하기도 했다.[174] 헤일로타이는 스파르타 군대와 함께 비전투원 농노로 종군하기도 했는데, 테르모필라이 전투에서 전사한 그리스인 중에는 수많은 헤일로타이도 있었다.[175]헤일로타이와 스파르타 주인과의 관계는 늘 적대적이었다. 투키디데스는 "스파르타의 정책은 헤일로타이에 대해 경계할 필요성에 주로 좌우되었다."고 평가했다.[176][177] 기원전 3세기에 프리에네의 미론[178]은 헤일로타이가 수치스러운 일을 맡았고, 매년 정해진 횟수만큼 매를 맞았으며, 힘 센 자는 사형에 처해졌다고 전했다.[179] 플루타르코스도 스파르타인들이 헤일로타이를 "가혹하고 잔인하게" 대했다고 기록했다.[180]
헤일로타이는 투표권이 없었지만, 결혼할 수 있었고,[181] 제한된 양이나마 개인 재산도 가질 수 있었다.[182]
해마다 에포로스가 취임하면 의례적으로 헤일로타이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여 스파르타인들은 이들을 죽일 수 있었다.[183] 이런 일은 크립테이아에 가담한 크립테스가 맡았다.[184]
5. 3. 2. 페리오이코이
페리오이코이는 헬롯과 비슷한 출신이었으나, 스파르타 사회에서 상당히 다른 지위를 차지했다. 이들은 완전한 시민권을 누리지는 못했으나 자유민이었으며 헬롯처럼 가혹한 대우를 받지도 않았다. 스파르타인에게 이들이 어떻게 종속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이들은 일종의 예비군으로 복무하거나 숙련 기술, 해외 무역을 담당한 듯하다.[187] 스파르타 군대에서 페리오이코이 중장보병 군대가 플라타이아이 전투 같은 데서 싸우기도 했으나, 이들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주로 갑옷과 무기를 제작하고 수리하는 일이었다.[188]5. 4. 경제
스파르타 시민은 법으로 상업이나 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그 결과 페리오이코이에게 그 일이 맡겨졌다.[24] 금과 은 소유는 (이론상) 금지되었고, 화폐는 쇠막대 형태였다.[189] 이는 절도와 해외 교역을 어렵게 만들어 부의 축적을 억제했다.[190] 부는 토지 자산에서 나왔고, 스파르타 시민에게 할당된 농지를 경작하는 헤일로타이의 연공을 받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부를 균등하게 나누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초기부터 부의 차이가 있었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에피타데우스가 토지 증여나 유증 금지 관습을 없애면서 불평등은 더욱 심해졌다.[191]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토지가 대지주 소유가 되었지만, 시민 수는 감소했다. 기원전 5세기 초 10,000명이던 시민 수는 아리스토텔레스 시대(기원전 384~322년)에 1,000명 이하, 아기스 4세 즉위 당시(기원전 244년)에는 700명으로 줄었다. 독신자나 만혼자를 처벌하는 법을 제정했지만, 시민 수 감소를 막기에는 너무 늦었고 효과도 없었다.

스파르타의 농업은 주로 보리, 포도주, 치즈, 곡물, 무화과에 의존했다. 이러한 품목들은 각 스파르타 시민의 클레로스(kleros, 토지 할당량)에서 현지에서 재배되었고, 헤일로타이(helots, 노예)들이 경작했다. 스파르타 시민들은 자신들의 클레로스에서 얻은 수확물의 일정량을 시시티아(syssitia, 공동 식당)에 기부해야 했다. 시시티아에 대한 이러한 기부는 모든 스파르타 시민에게 필수적이었다. 기부된 모든 음식은 그 시시티아의 스파르타 인구를 먹이기 위해 재분배되었다.[112] 토지를 경작한 헤일로타이들은 자신들이 수확한 것의 일부로 식량을 공급받았다.[113]
5. 5. 교육

스파르타는 '스파르타식 교육'이라는 말로 널리 알려질 정도로 혹독한 교육으로 유명했다. '아고게'라고 불리는 이 교육은 모든 스파르타인에게 의무였다.[102] 남성은 7세에 군사 교육을 시작하여 전사가 되는 과정을 거쳤다. 군사 훈련, 합숙 훈련 외에도 다양한 지식과 교양을 쌓았으며, 20세가 되면 성인식을 치렀다. 성인식에서는 노예 계급인 헤일로타이를 몰래 습격해 살인, 강도 등 범죄를 저지르거나, 산에 가서 맹수를 사냥하기도 했다. 이런 성인식을 통과해야만 완전한 스파르타인으로 인정받았다.[103]
스파르타 소년들은 나이 많은 남성을 멘토로 삼았다. 이들이 대리 부모이자 역할 모델이었다는 자료도 있지만, 성관계를 맺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자료도 있다. (스파르타 남색의 정확한 성격은 불분명하다.)
일부 스파르타 청년들은 '크리프테이아'(*Krypteia*)라는 비밀 부대에 소속되었다. 이들은 헬롯 인구를 위협하고, 취약한 헬롯 라코니아인들을 찾아내 살해하는 임무를 맡았다.[51]
스파르타 여성들도 남성과 비슷하게 광범위한 정규 교육을 받았다. '무시케'(*mousikē*)라고 불리는 이 교육에는 음악, 무용, 노래, 시가 포함되었다. 특히 합창 무용은 헬레네와 아르테미스 숭배 등 의식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중요하게 여겨졌다.[104] 이는 고대 그리스의 다른 도시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독특한 점이다.
국정에는 두 명의 세습 왕이 있었고, 이들의 권한은 전시의 군 지휘권 등으로 제한되었다. 두 왕가는 각각 아기스 왕조와 에우뤼폰 왕조였다. 페르시아 전쟁의 테르모필라이 전투에서 활약한 레오니다스 1세는 아기스 왕조 출신이다. 60세 이상의 시민 중에서 선출된 28명과 두 왕을 합쳐 30명으로 구성된 장로회(게루시아)는 민회(아펠라)의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또한, 매년 5명의 에포로이가 선출되어 왕을 포함한 모든 시민을 감독하고 사법권을 행사했다.
신생아는 부족 장로의 면접을 보았고, 허약한 아이는 타이게토스 산[131]의 동굴에 버려졌다. 남자아이는 7세에 가정을 떠나 공동 생활을 했고, 12세부터 본격적인 육체 훈련과 교육(아고게)을 받았다. 군사 훈련의 일환으로 헤일로타이를 살해하는 것도 장려되었다. 18세에 민회의 만장일치로 성인이 되었다.
군 복무 중에는 장군의 관리 하에 놓였고, 매일 15명 단위의 저녁 식사에 참여하여 정치 논의를 했다. 공동 식사는 단결을 다지는 장소이자 청년 교육의 장이었다. 병영 생활이 일상이었기 때문에 아내가 있어도 밤에는 병영으로 돌아가야 했다. 60세가 되면 병역이 면제되었다.
스파르타는 결혼을 제도화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였다. 국민병역제도와 함께 운용되었고, 군사 조직 유지를 위한 결혼이었다. 일부다처제와 일처다부제가 채택되었고, 성교육도 성행했다. 여성에게도 체육이 장려되어 건강한 아이를 낳는 것이 기대되었다. 15세 정도에 부모가 결정한 30세 정도의 남성과 결혼했다. 전사하는 경우가 많아 형제나 여러 남성이 한 여성을 아내로 맞이했다고 전해진다. 아내는 자유 시민권을 받았고, 여러 남편의 사후 재산을 상속받고 자손의 후견인이 될 수 있었다. 스파르타 병사의 딸은 7세부터 민회 참여가 허용되었다.
스파르타인들은 뛰어난 금속 공예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국민병역제도 도입 이후 사치를 배제하고 귀금속 장신구 착용을 금지했다. 상업은 페리오이코이가 담당했지만, 철화 사용만 허용하여 다른 도시들과의 무역은 부진했고, 기술력도 쇠퇴했다.
6. 라코노필리아
라코노필리아는 스파르타와 스파르타의 문화, 정치 체제에 대한 애호를 의미한다. 스파르타는 당대에 이미 선망의 대상이었으며, 심지어 아테네에서도 그러했다. 고대 아테네의 훌륭한 사람들은 스파르타를 이상적인 국가로 여겼다.[193] 플라톤을 비롯한 여러 그리스 철학자들은 스파르타를 돈과 교역에 물들지 않은 강건한 이상 국가로 묘사했다.
문예 부흥으로 고전 연구가 다시 활발해지면서 마키아벨리의 저작에서 볼 수 있듯이 라코노필리아도 다시 등장했다.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영국의 헌정주의자 존 아일머는 "라케다이모니아(스파르타)는 지금까지 있던 나라 중에 가장 고귀하고 훌륭한 나라였다"고 언급하며 튜더 시대 잉글랜드의 혼합 정체와 스파르타 공화정을 비교했다. 장-자크 루소는 '예술과 학문에 대한 담화'에서 아테나이와 스파르타를 비교하며, 세련된 아테네 문화보다 소박한 스파르타 체제를 더 높게 평가했다. 혁명기와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에서도 스파르타는 사회 정화의 표본이었다.[194]
칼 오트프리트 뮐러는 스파르타의 이상을 스파르타가 속한 도리스인의 인종적 우수성과 연관 지어 라코노필리아를 새롭게 해석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스파르타를 찬양하면서, 1928년에 독일이 "살아남을 가치가 있는 자"를 제한함으로써 스파르타를 모방했다고 밝혔다. 히틀러는 "스파르타는 한때 훌륭한 수단을 가졌다... 스파르타인 6,000명이 헤일로타이 350,000명을 종속케 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스파르타인의 인종적 우수성 덕분이었다"라고 말했다. 스파르타는 "최초의 인종주의 국가"였다.[195]
오늘날 "스파르타적"이라는 표현은 단순성, 검소함, 혹은 사치나 편의를 기피함을 이를 때 쓴다.[196] 라코니아식 어법이란 스파르타인의 특징이었던 간결하고 무뚝뚝한 어법을 가리킨다.
참조
[1]
언어
[2]
서적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Routledge
2015-08-27
[3]
백과사전
1940
[4]
백과사전
1940
[5]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ra-ke-da-mi-ni-jo
http://www.palaeolex[...]
[6]
서적
A Companion to the Ancient Greek Language
Wiley-Blackwell
[7]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8]
웹사이트
TH 229 Fq (305)
https://www2.hf.uio.[...]
University of Oslo
[9]
웹사이트
ra-ke-da-no
https://web.archive.[...]
Deaditerranean
2014-03-23
[10]
서적
Black Athena Revisited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1]
백과사전
1940
[12]
백과사전
[13]
백과사전
Lacedaemon
https://books.google[...]
G. Robinson [etc.]
[14]
백과사전
https://www.perseus.[...]
[15]
백과사전
s.v. Ἀγιάδαι
https://archive.org/[...]
Frederick Mauk
[16]
웹사이트
Orosius, 1.21.12
http://attalus.org/t[...]
[17]
서적
Contributions toward a History of Arabico-Gothic Culture
Innes & Sones
[18]
서적
Library
https://penelope.uch[...]
[19]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0]
서적
[21]
서적
[22]
웹사이트
Spartans: A New History
https://www.wiley.co[...]
2021-02-03
[23]
서적
[24]
백과사전
Sparta
[25]
서적
[26]
서적
A COMPANION TO SPARTA
Wiley Blackwell
[27]
웹사이트
Home
http://www.bsa.ac.uk[...]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28]
논문
The Mycenaean presence in the southeastern Eurotas valley: Vouno Panagias and Ayios Georgios
[29]
서적
[30]
서적
Constitution of the Lacedaemonians
[31]
서적
[32]
서적
Life of Lycurgus
[33]
서적
A Historical Commentary on Thucydides
[34]
논문
The growth of Greek cities in the first millennium BC. v.1
http://www.princeton[...]
2005-12
[35]
서적
Once Again: Studies in the Ancient Greek Polis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017-12-29
[3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https://archive.org/[...]
Routledge (UK)
[37]
서적
Herodotus, 7.202, 7.228
[38]
서적
Herodotus, 7.220-7.225
[39]
백과사전
Sparta
Britannica
[40]
서적
Dictionary of Ancient & Medieval Warfare
[41]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Greece and the Hellenistic World
[42]
서적
The Ancient Greeks
[43]
서적
Philip laid Lakonia waste as far south as Gytheion and formally deprived Sparta of Dentheliatis (and apparently the territory on the Messenian Gulf as far as the Little Pamisos river), Belminatis, the territory of Karyai and the east Parnon foreland.
[44]
웹사이트
De Garrulitate
http://www.perseus.t[...]
Tufts University
2021-05-05
[45]
서적
De garrulitate
https://www.perseus.[...]
[46]
서적
De garrulitate
https://www.perseus.[...]
[47]
웹사이트
Agis III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3-26
[48]
서적
Hellenistic and Roman Sparta : a tale of two cities
Routledge
2002
[49]
학술지
Agis III
1967-12-29
[50]
서적
World History
[51]
서적
World History
[52]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his time
[53]
서적
Tusculanae Disputationes
Teubner
[54]
서적
Spar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학술지
Population Patterns in Late Archaic and Classical Spart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6]
서적
Legion versus Phalanx: The Epic Struggle for Infantry Supremacy in the Ancient World
Osprey Publishing
[57]
서적
Heritage and Hellenism: The Reinvention of Jewish Tradition
[58]
웹사이트
47. 1 Maccabees
https://b-ok.org/dl/[...]
[59]
웹사이트
What were the Spartans like? Note to Lego Masters: they didn’t build city walls
https://theconversat[...]
[60]
서적
A History of the Laws of War: Volume 2: The Customs and Laws of War with ...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1-10-07
[6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08-22
[62]
웹사이트
Tsakonian Studies: The State-of-the-Art
https://www.research[...]
Institute of Modern Greek Studies
2022-07-04
[63]
서적
The Greeks at War
[64]
서적
The Politics By Aristotle
[65]
서적
A companion to Greek studies
[66]
사전
LSJ
[67]
서적
The Greek World
Routledge
1987
[68]
서적
Ancient Greece
[69]
서적
Herodotus (IX, 28–29)
[70]
서적
Hellenica
[71]
웹사이트
Sparta
https://www.history.[...]
2021-08-03
[72]
서적
Helots and Perioeci
Wiley-Blackwell
[73]
서적
Helotage and the Spartan Economy
Wiley Balckwell
[74]
논문
Third year of the war, 429–28 [II 71–103]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2-24
[75]
서적
Spartans: A New History
Wiley-Blackwell
[76]
서적
Thucydides (IV, 80)
[77]
서적
Thucydides (VII, 27)
[78]
서적
[79]
서적
Apud Athenaeus, 14, 647d = ''FGH'' 106 F 2
[80]
서적
Life of Lycurgus
[81]
서적
Life of Lycurgus
[82]
서적
Thucydides (Book IV 80.4)
[83]
서적
[84]
논문
Population Patterns in Late Archaic and Classical Sparta
[85]
서적
Sparta and Lakonia
Routledge
[86]
서적
Das Andere Sparta
Verlag Philipp von Zabern
[87]
서적
Ancient History
Excel HSC
[88]
서적
The 48 Laws of Power
Penguin Books
[89]
서적
Property and Wealth in Classical Sparta
[90]
서적
Das Andere Sparta
Verlag Philipp von Zabern
[91]
서적
Sparta
Basel Blackwell and Mott Ltd.
[92]
서적
Property and Wealth in Classical Sparta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93]
서적
Social Conflict in Ancient Greece
[94]
논문
4. Raising a Spartan
2022-05-26
[95]
서적
Infanticide: an anthropological analysis
Prometheus Books
[96]
논문
Ancient Sparta – Research Program of Keadas Cavern
https://web.archive.[...]
2010
[97]
논문
Disability and Infanticide in Ancient Greece
2021
[98]
서적
Tyrtaeus, fr.12 lines 27-32
[99]
서적
Life of Lycurgus
[100]
서적
Testimonia on Funerary Banquets in Ancient Sparta
Peeters
[101]
논문
The typology and topography of Spartan burials from the Protogeometric to the Hellenistic period: rethinking Spartan exceptionalism and the ostensible cessation of adult intramural burials in the Greek world
[102]
서적
Spartan Society
[103]
서적
Western Heritage
Pearson
[104]
서적
A Companion to Sparta
Wiley-Blackwell
[105]
서적
Aristophanes and Athenian Society of the Early Fourth Century B.C
Brill Archive
[106]
논문
The Dispersion of Pederasty and the Athletic Revolution in Sixth-Century BC Greece
[107]
서적
Die Dorische Knabenliebe: ihre Ethik und ihre Ideen (The Doric pederasty: their ethics and their ideas)
Sauerländer
[108]
서적
Life of Lycurgus
[109]
서적
Readers Companion Military Hist
[110]
서적
The Greeks
[111]
논문
Sons and Mothers
http://www.sparta.ma[...]
Markoulakis Publications
2013-09-14
[112]
서적
Ceramics, Cuisine and Culture
Oxbow Books
[113]
논문
Mess Contributions and Subsistence at Sparta
[114]
서적
The Life of Lycurgus
[115]
서적
Spartan Society
[116]
서적
[117]
서적
Die Frauen von Sparta
Deutscher Taschenbuch Verlag
[118]
서적
Goddess, Whores, Wives, and Slaves: Women in Classical Antiquity
Schocken Books
[119]
웹사이트
Gorgo and Spartan Women
http://www.geocities[...]
2011-08-10
[120]
웹사이트
Sparta Reconsidered—Spartan Women
http://www.elysiumga[...]
Elysiumgates.com
2010-07-11
[121]
서적
[122]
서적
Spartan Women
Wiley Blackwell
[123]
서적
Dorians
[124]
서적
The Imaginary Spartan Politeria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125]
서적
Sparta: Beyond the Mirage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002-12-31
[126]
웹사이트
The True Hollywood Left
http://www.lacan.com[...]
www.lacan.com
[127]
웹사이트
Hitler, Pol Pot, and Hutu Power: Distinguishing Themes of Genocidal Ideology
https://www.un.org/s[...]
2021-04-28
[128]
서적
The Making of Israeli Militarism
Indiana University Press
[129]
서적
Land and Power: The Zionist Resort to Force, 1881–1948
Stanford University Press
[130]
웹사이트
Spartan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1-10-05
[131]
서적
図解雑学 世界の歴史
ナツメ社
[132]
서적
歴史
http://www.perseus.t[...]
[133]
서적
金枝篇
s:The Golden Bough/A[...]
[134]
서적
The Myth of Sacred Prostitution in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Life of Lycurgus
[140]
서적
Laws
[141]
서적
Heraclides Lembos Fr. Hist. Gr.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A Historical Commentary on Thucydides
[157]
서적
[158]
백과사전
Sparta
Britannica
[159]
서적
Dictionary of Ancient&Medieval Warfare
[160]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Greece and the Hellenistic World
[161]
서적
The Ancient Greeks
[162]
서적
Europe: a History
[163]
서적
The Military Engineer
Society of American Military Engineers
[164]
서적
Sparta and Lakonia
[165]
서적
The Greeks at War
[166]
서적
The Politics
[167]
서적
A companion to Greek studies
[168]
백과사전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169]
백과사전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170]
서적
The Greek World
[171]
서적
Ancient Greece
[172]
서적
[173]
서적
Hellenica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Life of Lycurgus
[184]
서적
[185]
서적
Book IV 80.4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Excel HSC Ancient History
[190]
서적
The 48 Laws of Power
Penguin Books
[191]
서적
Social Conflict in Ancient Greece
[192]
서적
먹거리의 역사(상)
까치글방
[193]
서적
Dorians
[194]
웹사이트
The True Hollywood Left
http://www.lacan.com[...]
[195]
웹사이트
'Hitler, Pol Pot, and Hutu Power: Distinguishing Themes of Genocidal Ideology', Holocaust and the United Nations Discussion Paper
http://www.un.org/ho[...]
2011-08-10
[196]
웹사이트
Spartan
http://www.merriam-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