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린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린디시는 이탈리아 풀리아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메사피아인들의 정착지에서 기원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해상 무역과 해군력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중세 시대에는 동로마 제국, 노르만족, 십자군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1943년에는 이탈리아의 임시 수도 역할을 했다. 현재는 화학 산업, 항공우주 산업, 농업, 관광 등이 발달했으며, 브린디시-살렌토 공항은 유엔 인도적 지원 물류창고로도 활용된다.
브린디시는 아풀리아주 아드리아 해 해안에 있는 항구 도시이다. 로마 제국 시대부터 지중해의 요충지로 번영했으며, 19세기 중반 수에즈 운하 개통 이후에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항로의 발착지 중 하나였다. 현재도 이탈리아 국내는 물론 그리스와 아드리아해 연안 국가들, 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지중해 지역 각지로 향하는 페리 등 해상 교통의 중심지이며,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항구 중 하나이다.
2. 역사
브린디시의 건설에 대한 여러 전승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전설적인 영웅 디오메데스가 건설했다는 설이다. 스트라보는 크레타의 크노소스에서 이주해 와서 건설되었다고 말한다.[5]
고대부터 지중해 무역을 통해 번영했으며, 로마에서 750km에 달하는 아피아 가도의 종착점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로마 제국의 대표적인 시인인 베르길리우스는 이곳에서 사망했다.
이후 동로마 제국과 양시칠리아 왕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19세기 후반에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3년 무솔리니 정권 붕괴 후 바돌리오 정권이 독일군의 공격을 받아 로마에서 수도를 옮길 수밖에 없게 되자, 1944년까지 브린디시에 수도가 있었다.
아드리아해에 접한 항구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부터 지중해의 요충지로 번영했다. 19세기 중반 수에즈 운하가 개통된 이후로는 프랑스 마르세유 등과 함께 일본 등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항로(구아 항로)의 발착지 중 하나였다.
현재도 이탈리아 국내는 물론 그리스와 아드리아해 연안 국가들, 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지중해 지역 각지로 향하는 페리 등 해상 교통의 중심지이며,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항구 중 하나이다.
2. 1. 고대
브린디시는 원래 로마 제국 이전에 메사피아인들의 정착지였다. 그리스어 브렌테시온(Brentesion)을 거쳐 라틴어 브룬디시움(Brundisium)이 된 이름은 메사피아어 브렌티온(Brention)에서 유래한 것으로, "사슴 머리"를 뜻하며 아마도 자연 항구의 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6] 기원전 267년(또는 기원전 245년) 로마에 정복되어 라틴 식민지가 되었다.[6] 외항에 위치한 푼타(Punta) 곶 반도는 청동기 시대(기원전 16세기) 마을로 확인되었는데, 돌담으로 보호된 오두막들이 발견되었고, 미케네식 토기 조각들이 출토되었다. 헤로도토스는 이 지역 주민들의 미케네 기원을 언급했다. 토르 피사나(Tor Pisana)의 고분에서는 기원전 7세기 전반기에 코린트식 항아리가 발견되었다.
포에니 전쟁 이후, 브린디시는 로마 해군력과 해상 무역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동맹시 전쟁에서 로마 시민권을 얻었고, 술라에 의해 자유항이 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49년 카이사르의 포위 공격을 받았고, 기원전 42년과 40년에도 다시 공격을 받았다.
기원전 220년경 시인 파쿠비우스가 이곳에서 태어났고, 유명한 시인 베르길리우스가 기원전 19년에 이곳에서 사망했다. 로마 시대에 브룬디시움은 약 1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대도시였으며, 디라키움(Durrës)이나 코르키라(Corcyra)를 경유하여 그리스와 동방으로 가는 주요 출항지였다. 아피아 가도와 트라야누스 가도와 연결되어 있었다. 아피아 가도의 종착점은 예전에 두 개의 아름다운 기둥으로 둘러싸여 있었는데, 하나는 남아 있고 다른 하나는 인근 도시 레체로 옮겨졌다.
2. 2. 중세 및 근대
6세기에 서고트족에게 정복당했다가 동로마 제국에 의해 재정복되었다.[21] 674년 롬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곧 재건되었다. 9세기에는 사라센인들의 거주지가 있었고, 836년 해적들에게 공격받았다. 1070년 노르만족에게 정복되어 타란토 공국과 아풀리아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십자군 전쟁 시대에 과거의 영광을 되찾았고, 주교좌가 회복되었으며, 새로운 대성당과 성이 건설되었다.[21] 1156년 동로마 제국의 브린디시 포위 공격은 브린디시 전투로 이어졌고, 동로마 제국의 남부 이탈리아 정복 야망은 좌절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2세는 1227년 제6차 십자군을 위해 브린디시 항구에서 출발했다. 1348년 흑사병, 1352년과 1383년 약탈, 1456년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다. 1707년부터 1734년까지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았고, 그 후 부르봉 왕가의 지배를 받았다.[21] 1943년 9월부터 1944년 2월까지 이탈리아의 임시 수도 역할을 했다. 21세기에 브린디시는 산 마르코 연대의 본거지이다. 2012년 5월 19일, 브린디시 학교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16세 여학생이 사망했다.
3. 지리
브린디시 지역은 해양 기원의 석회암과 모래가 퇴적된 광활한 평야 지대가 특징이며, 그 아래에는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점토층이, 더 아래에는 석회암과 토양으로 구성된 중생대 탄산염 암층이 존재한다. 농업 발전으로 인해 물 자원 사용이 증가하면서 무분별한 사용이 늘고 있다.[13]
브린디시 시 관할 구역 내에는 다음과 같은 환경 보호 지역이 있으며, 최근에 조성된 곳도 있다.3. 1. 위치 및 특징
브린디시는 아풀리아주 아드리아 해 해안 깊숙이 들어온 천연 항구에 자리 잡고 있다. 브린디시 평야의 일부이며, 살렌토 평야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토레 과체토의 세계자연기금(WWF) 해양 보호구역이 도시 근처에 있다. 브린디시 지역은 해양 기원의 석회암과 모래가 퇴적된 평야 지대이다.[13]
브린디시 시는 브린디시현 남동부 아드리아해 연안에 위치하며, 레체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37km, 타란토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62km, 주도 바리에서 남동쪽으로 약 105km, 수도 로마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477km 떨어져 있다.[37] 또한, 아드리아해를 사이에 두고 알바니아의 티라나 남서쪽 약 175km, 그리스의 요아니나 북서쪽 약 270km 지점에 위치한다.[37]
3. 2. 기후
브린디시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보인다.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햇볕이 풍부하다. 여름철 불쾌지수는 7월과 8월에 30°C를 규칙적으로 넘고, 때로는 37°C까지 치솟기도 한다. 겨울은 온화하고 비가 적당히 내린다. 브린디시와 대부분 지형적으로 평평한 살렌토 반도는 일년 내내 약한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 살렌토의 두 가지 주요 바람은 마에스트랄과 시로코이다. 아드리아해에서 부는 북풍인 마에스트랄은 시원한 바람으로 여름 더위를 완화하고 겨울철 체감 온도를 높인다. 사하라 사막에서 부는 남풍인 시로코는 살렌토에 더 높은 기온과 습도를 가져온다. 봄과 가을에는 시로코 바람이 뇌우를 동반하여 때때로 사하라 사막의 붉은 모래를 이 지역에 떨어뜨리기도 한다. 브린디시에서는 눈이 드물지만 2017년 1월의 한파 동안 눈과 얼음이 이탈리아 남부 대부분 지역에 내렸다.
4. 문화
브린디시는 이교와 기독교 전통이 결합된 타란티즘 신앙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곳이다. 과거 히스테리 증상을 보이는 여성은 타란툴라 거미에 물린 것으로 여겨졌으며, 유일한 치료법은 며칠 동안 춤을 추는 것이었다. 탬버린, 바이올린, 만돌린, 기타, 아코디언 연주자들이 격렬한 리듬의 핀치 음악을 연주하여 엑소시즘이 이루어졌다. 브린디시의 핀치 음악은 기독교적 언급[22]과 치료적 레퍼토리 및 음악적 세부 사항[23]이 없다.
지난 10년 동안 브린디시에서는 여러 극단들이 연구 및 배우 훈련을 위한 극장 활동을 하고 있으며, 장애인을 위한 극장 홍보를 위한 사회문화 프로젝트도 개발해왔다. 이들은 여섯 편의 공연을 제작했다.[23]
시립극장은 테아트로 베르디(Nuovo Teatro Verdi)이다. 2006년에 문을 열었으며, 2022년 스테파노 미첼리가 극장 재단 이사장으로 임명되었다. 극장은 상주 오케스트라인 오케스트라 델 누오보 테아트로 베르디(Orchestra del Nuovo Teatro Verdi)와 첫 번째 교향악 콘서트 시즌을 선보였다. 같은 해 테너 파비오 아르밀리아토가 첫 번째 베르디 갈라의 공식 개막식에서 공연했으며, 새로운 재즈와 클래식 음악 축제 및 국제적인 게스트 아티스트들이 극장에서 데뷔했다.
모리 오가이(森鷗外)의 소설 『무희』 서두에 브린디시(작중 표기는 「フリンヂイシイ」[38] 또는 「ブリンヂイシイ」[39])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무희』는 브린디시 항에서 유라시아 항로로 귀국길에 오른 주인공이 여행 중에 쓴 회상록 형식을 취하고 있다. TV 애니메이션 『폴피의 긴 여정』에서는 그리스에서 온 주인공이 처음으로 도착한 이탈리아 도시가 브린디시이다.
4. 1. 어원 및 문장
(Βρεντεσιονgrc), Brundisium|브룬디시움la)을 거쳐 이탈리아어 Brindisi|브린디시it라는 이름이 되었으며, "사슴의 머리"를 의미한다.[3][4] 도시 이름은 항구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브린디시 시의 문장은 고대 브린디시 도시의 특징들과 관련이 있다. 사슴 머리는 메사피아어로 된 도시 이름인 ''Brention''에서 유래했는데, 항구 도시의 모양, 즉 수사슴 뿔을 연상시키는 모양에서 영감을 받았다. 문장에는 아피아 가도의 "종착 기둥"도 포함되어 있다.
4. 2. 종교
브린디시-오스투니 대교구(라틴어: Archidioecesis Brundusina-Ostunensis)는 오스투니와 함께 가톨릭 레체 대교구의 보좌주교이며 아풀리아 교회 지역의 일부이다.[19] 이 교구는 4세기에 설립되었으며, 초대 주교는 알렉산드리아의 성 레우키오였다. 9세기, 사라센에 의해 도시가 파괴된 후, 주교들은 오리아에 거주지를 정했다. 테오도시우스 주교는 9세기 말에 성 레우키오의 유물을 회수하고 성인의 순교 기념 성당 위에 지은 바실리카에 보존하는 데 성공했다.[20] 10세기에 오스투니 교구가 설립되었고, 처음에는 콘베르사노-모노폴리 교구에 합쳐졌으며, 고대 에그나티아 교구의 후계자였을 가능성이 높다.1986년 9월 30일, 주교성의 결정에 따라 브린디시 대교구와 오스투니 교구가 브린디시-오스투니 대교구로 통합되었다. 새로운 교구는 1986년 10월 20일 내무부의 결정에 따라 시민적으로 인정받았다.
브린디시에는 동방 정교회 성 니콜라스 미라의 교구(비잔틴 전례)가 있다. 브린디시에 그리스 정교회가 존재한 것은 비잔티움 제국 통치 이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바실리우스 수도승의 확산이 강력하게 이루어졌다.[21]
유대인들은 서기 53년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소규모이지만 활동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 새로운 알바니아 이민으로 인해 일부 이슬람 종교적 존재가 다시 나타났다.
4. 3. 교육
주립 도서관은 코멘다 거리에 있는 공공 도서관으로, 10만 권이 넘는 장서와 방대한 신문 아카이브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가 도서관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24] 현대적인 강당 안에는 미디어 사무실과 바리 및 레체 대학교 사무실의 사무국이 운영되고 있다. 대주교 아닐레 데 레오 도서관은 두오모 광장에 있는 브린디시 신학교에 있는 공공 도서관으로, 1798년 브린디시 대주교 아닐레 데 레오가 약 6,000권의 장서로 설립하였다. 현재 20만 권이 넘는 장서, 17권의 고판본, 200권이 넘는 16세기 수기들을 소장하고 있으며, 희귀한 작품들과 다양한 수기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24]살렌토 대학교 브린디시 캠퍼스에는 사회과학, 정치학, 지리학 학부가 있으며 사회학, 사회복지, 정치학 과정을 제공한다. 바리 대학교는 경영학, 경영 및 컨설팅, 경제학, 해양 및 물류, 정보기술, 디자인, 간호학, 물리치료 과정을 제공한다.
프로빈치아 고고학 박물관 "F. 리베초"는 두오모 광장에 있으며, 비문, 조각, 골동품, 선사 시대 유물, 주화, 중세 유물, 근세 유물, 푼타 델 세로네의 청동 유물 등 6개의 전시 구역을 갖추고 있다. 조반니 타란티니 교구 박물관은 세미나리오 궁전에 있으며, 교구 교회들에서 온 그림, 조각상, 장식품, 성의 등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아마세아의 테오도로 성인의 유해가 있는 은제 양각 상자와 가나의 혼례를 묘사한 7세기 주전자가 중요하다. 살렌토 농촌문화 민족 박물관은 나무와 돌로 만든 조각상과 농업, 농촌 문화 관련 도구들을 전시한다.[23]
4. 4. 음식
브린디시의 요리는 밀가루, 보리, 채소, 청어 등 기본 재료를 사용하는 간단한 음식이다. 밀보다 저렴한 밀가루나 정제되지 않은 보리를 주로 사용한다.[27]대표적인 요리로는 다음이 있다.
- 페토레: 튀긴 효모 반죽으로, 취향에 따라 단맛 또는 짠맛을 낸다. 대구, 멸치, 꽃양배추, 브로콜리 등을 넣기도 한다.
- 파타니 타제다 쌀과 홍합: 쌀, 감자, 홍합을 넣어 만든다.
- 수프
- 생선 요리
- 소라콩을 넣은 마시드 포테이토
- 넓적콩과 홍합 요리
- 라카나 홍합[27]
아몬드 우유는 잘게 썬 아몬드에 물을 우려내어 짜서 만든다. 아풀리아 지역은 아몬드 우유를 전통 이탈리아 식품 목록에 포함시켰다. 리몬첼로는 신선한 레몬 껍질에 물, 설탕, 알코올을 넣어 만든 리큐르이다.[27]
브린디시 치즈는 주로 양과 염소의 방목이 활발하여 양젖으로 만들어진다. 여름에는 리코타 치즈를 생산하며, 신선하게 먹거나 몇 달 동안 숙성시켜 더 강한 풍미를 낸다. 겨울철에 전형적인 치즈는 페코리노, 리코타, 강한 리코타(또는 코티지 치즈)이다. 스파게티 소스의 풍미를 더하거나 브루스케타에 발라 먹는다.[27] 인기 있는 신선 치즈로는 부라타, 렌넷, 만테카 치즈, 모차렐라, 피오르 디 라테가 있다.
살렌토 전통 음식의 주인공은 바로 채소이다. 제철에 따라 순무 잎, 여러 종류의 양배추, 엉겅퀴의 비트 잎, 고추, 가지, 호박(모두 햇볕에 말리거나 올리브 오일에 조리), 아티초크 등이 있다. 또한, 전통 요리에는 쓴치커리, 민들레(또는 zangune), 야생 아스파라거스, 야생겨자, 엉겅퀴, 람파스치오니(pampasciuni 또는 pampasciuli라고도 함), 케이퍼와 같은 야생 채소도 사용된다.[27]
브린디시 요리에서는 녹색 또는 흰색 토마토를 자주 사용한다. 주로 토마토 소스에 사용되지만, 자연 건조 과정을 거친 후 올리브 오일에 절여 먹기도 한다. 녹색과 검은색 올리브를 으깨거나 소금물에 절인 것도 많이 소비된다. 콩, 완두콩, 협죽도과 식물(Vicia faba)과 같은 콩류는 봄과 겨울에 신선하거나 말려서 먹는다.[27]
과일을 이용한 요리로는 퀴스, 구운 무화과와 말린 무화과(아몬드를 채워 만든다), 오렌지와 레몬 잼, 무화과 잼 등이 있다.[27]

파스타와 빵은 정제되지 않은 밀가루로 만들어져 어두운 색을 띤다. 듀럼 밀을 전통적인 밀가루와 섞어 사용한다. 지역 특색이 담긴 요리로는 채소 라자냐, 카바텔리, 오레키에테(브린디시 방언으로는 스타치오디), 리코타 치즈를 채운 라비올리가 있다.
빵 제조에서는 듀럼 밀, 강력분, 보리빵을 사용하는 것이 지역 관습이다. 브린디시 제빵사들은 효모를 사용하여 오븐 돌 위에서 구운 빵(크리시추니라고 함)에 올리브 가지를 사용하여 특유의 향을 낸다. 올리브를 넣어 만든 전통 빵(푸치아라고 함)도 있다. 이 빵은 일반 빵보다 훨씬 정제된 밀가루를 사용하며, 검은 올리브를 첨가한다.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일종의 건조한 단단한 빵인 프리젤라와 타랄리니도 중요하다. 푸체와 울리아테 케이크도 전형적인 빵이다.
지역 디저트 중에서는 껍질을 벗긴 아몬드와 설탕을 갈아서 만든 아몬드 페이스트가 중심을 차지한다. 또 다른 특산품은 카르텔라테라는 페이스트리인데, 특히 크리스마스 무렵에 만들어진다. 밀가루, 올리브 오일, 화이트 와인으로 만든 얇은 반죽을 여러 겹으로 말아서 구멍을 내어 장미 모양으로 만든다. 그런 다음 튀겨서 말리고, 미지근한 빈콧토 또는 꿀에 적신다.[27]
브린디시 지역에서는 알레아티코 디 풀리아 DOC, 오스투니 DOC, 브린디시 로쏘 DOC, 로사토 브린디시 DOC, 풀리아 IGT가 생산된다.[27] 브린디시에서 재배되는 일부 포도 품종은 다음과 같다.
- 말바시아 네라 디 브린디시
- 네그로아마로
- 오타비아넬로
- 상지오베제
- 수수마니엘로
브린디시 DOC는 헤크타르당 15톤으로 제한된 포도 수확량으로 적포도주와 로제 와인을 모두 생산하며, 최소 알코올 도수 12%의 와인을 생산해야 한다. 와인은 일반적으로 네가로아마로와 말바시아 네라를 주로 사용하여 블렌딩하지만, 상지오베제는 최대 10%까지, 몬테풀치아노는 최대 20%(상지오베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30%)까지 블렌딩에 사용할 수 있다. ''리제르바''로 분류되려면, 와인은 출시 전 최소 2년간 숙성되어야 하며 최소 알코올 도수 12.5%를 달성해야 한다.[28]
5. 경제
산업 발전은 브린디시 경제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그 결과 해안을 따라 개발이 이루어졌다. 항구의 위치를 활용하여 브린디시는 그리스와 튀르키예의 주요 항구이기도 하다.
5. 1. 산업
브린디시의 주요 산업은 화학 산업과 항공우주 산업이다. 브린디시 지역에는 식품 가공, 에너지, 제약 등 다양한 형태의 화학 산업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다. 이탈리아 화학 산업 협회(Federchimica)는 브린디시를 주요 화학 산업 중심지로 인정하고 있다.브린디시의 석유화학 단지에는 에니(Eni)의 폴리메리 유로파(Polimeri Europa), 스남(Snam), 에니파워(EniPower) 등 다양한 사업체가 위치해 있다. 브린디시는 이탈리아에서 발전량이 많은 지역이다.[21] 에넬(ENEL) 페데리코 2세 발전소는 1991년부터 1993년 사이에 가동을 시작했다. 에니파워(EniPower) 브린디시 중앙 발전소는 완공되면 1,170MW의 설비 용량을 갖추게 된다.
알레니아 아에로나우티카(Alenia Aeronautica) 공장(여객기 구성에서 화물기로 개조하는 것을 전문으로 함), 아비오(Avio)(군용 엔진 센터)와 아구스타(Agusta)(헬리콥터 금속 구조물 생산)도 브린디시에 위치해 있다.
5. 2. 농업
브린디시의 농업은 원예, 포도 재배, 과일, 올리브 재배를 포함한다. 수 세기 동안 이 지역을 특징지은 것은 아몬드, 올리브, 담배, 아티초크, 곡물 재배였다. 가축으로는 소, 염소, 양을 사육한다.5. 3. 관광
브린디시는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과 해안선을 보존하고 있으며, 특히 북쪽 해안에는 많은 대규모 사구와 해변이 있다. 내륙에는 농촌관광이 발달하여 와인(아피아 와인)이나 올리브 오일(콜리나 디 브린디시 오일)을 선보인다. 그러나 브린디시 관광은 이탈리아 관광객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74%, 외국인 수요는 26%) 계절적 요인이 매우 크다.[16]6. 교통
브린디시는 해상 교통의 중심지이며, 브린디시-살렌토 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도 발달했다. 알이탈리아 항공 등의 정기편이 이탈리아 국내는 물론 유럽 각국과 아프리카를 오가고 있다. 고속도로를 이용한 고속버스와 이탈리아 국철을 통해 이탈리아 국내 각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6. 1. 도로
- 바리-레체 고속도로는 바리와 A14 고속도로를 연결하며, 브린디시와 레체를 경유한다.
- 아드리아티카 SS 16은 브린디시 우회도로로, 산 비토 데이 노르만니와 레체를 거쳐 브린디시와 타란토를 연결한다.
6. 2. 철도
브린디시 역은 아풀리아 주의 중요한 철도 교차점이며, 아드리아 해안 철도와 타란토-브린디시 철도가 교차한다. 이 역은 첸토스타치오니에서 관리하며, 아드리아 해안 철도와 이오니아 해안 철도가 운행하는 모든 목적지와 브린디시를 연결한다. 브린디시 마리티마 역은 2006년에 폐쇄되었다.6. 3. 해상 교통
브린디시 항구는 예로부터 그리스와의 무역 중심지였다. 아드리아해에서 가장 중요한 상업 및 산업 항구 중 하나로, 주로 석탄, 중유, 천연가스, 화학 물질 등을 취급한다.[29]항구는 외항, 중항, 내항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외항: 남쪽 본토, 페다그네 제도 동쪽, 코스타 부두에서 섬 서쪽에 이른다.
- 중항: 피곳 해협 앞쪽 평균 해역, 내항으로의 접근로, 아풀리아 해협 북쪽의 분지로 이루어진다.
- 내항: 브린디시 중심부에 북쪽과 동쪽 모두를 연결하는 두 개의 긴 부두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쪽의 품"과 "동쪽 안쪽"이라고 불린다.
브린디시 시의 대중교통은 브린디시 시내버스 회사에서 운영하며, 브린디시 현의 다른 지자체와도 연결한다. 뿐만 아니라, 브린디시 항구의 내수면으로 해상 운송 서비스도 제공한다. 브린디시는 그리스 등 여러 곳으로 운항하는 주요 페리 항구이기도 하다.[29]
아드리아해에 접한 항구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부터 지중해의 요충지로 번영했다. 19세기 중반에 수에즈 운하가 개통된 이후로는 프랑스의 마르세유 등과 함께 일본 등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항로(구아 항로)의 발착지 중 하나였다.
현재도 이탈리아 국내는 물론 그리스와 아드리아해 연안 국가들, 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지중해 지역 각지로 향하는 페리 등 해상 교통의 중심지이며,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항구 중 하나이다.
6. 4. 항공 교통
파폴라-카살레 공항은 도시 중심부에서 6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이탈리아와 유럽 주요 도시와 매일 연결된다.[1] 이 공항은 1920년대에 군용 비행장으로 설립되었으나, 2008년부터 민간 공항으로 법적 지위가 변경되었다.[1] 1994년 유엔은 이 공항을 주요 세계 물류 기지로 선택했고, 2000년에는 유엔 인도적 지원 물류창고(UNHRD)가 브린디시로 이전하여 세계식량계획이 관리하며 전 세계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1]
7. 국제 관계
브린디시는 알바니아 루시녜, 그리스 파트라스, 코르푸, 튀르키예 아마시아, 미국 샬럿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0] 브린디시에는 덴마크, 프랑스, 그리스, 네덜란드 영사관이 있다.
참조
[1]
사전
Brindisi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5-30
[2]
사전
Brindisi
Merriam-Webster
2019-05-30
[3]
논문
Sul nome di Brindisi
Archivio Storico Pugliese
1955
[4]
서적
Selection among Alternates in Language Standardization
DE GRUYTER MOUTON
[5]
서적
Strabo
[6]
웹사이트
Brundisium (Brindisi) Puglia, Italy
http://icarus.umkc.e[...]
2006-04-19
[7]
문서
Documento sulle nozze di Isabella di Brienne
[8]
문서
Documento sulla VI Crociata partita da Brindisi
[9]
백과사전
Brindisi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10]
웹사이트
Kosovo Force: San Marco
http://www.nato.int/[...]
2006-04-19
[11]
뉴스
Bomb kills girl outside school in Brindisi, Italy
https://www.bbc.co.u[...]
BBC
2012-05-19
[12]
뉴스
Bomba a Brindisi
https://bari.repubbl[...]
La Repubblica
2012-05-19
[13]
논문
The Plains of Brindisi: phenomena of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aquifers in the area
Journal of Applied Geology 3
[14]
웹사이트
Brindisi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18
[15]
웹사이트
Brindisi Casale
http://climaintoscan[...]
Temperature estreme in Toscana
2023-09-18
[16]
문서
Immigrazione albanese sulla stampa quotidiana
[17]
문서
Statistiche ISTAT – La presenza straniera a Brindisi al 31 dicembre 2008
[18]
논문
The sentential complementation of salentino: a study of a language without infinitival clauses
[19]
문서
L'arcidiocesi di Brindisi-Ostuni
[20]
서적
Bisanzio sulle due sponde del Canale d'Otranto
https://www.academia[...]
Fondazione Centro italiano di studi sull'alto Medioevo
2021-01-20
[21]
논문
Sul nome di Brindisi
[22]
문서
Tre Violini
[23]
서적
Brindisi. Nuova guida
[24]
웹사이트
Il sito della Biblioteca arcivescovile Annibale De Leo
[25]
웹사이트
FLAVIA PENNETTA UP TO WORLD NO. 6
http://www.wtatennis[...]
2015-09-28
[26]
웹사이트
Il sito dell'emittente Radio Dara
[27]
서적
Storia e cultura dei monumenti brindisini
[28]
서적
Wine Label Language
Firefly Books
[29]
웹사이트
Greek ferries to Greece and the Greek islands
http://www.greekferr[...]
2006-04-19
[30]
웹사이트
Corfu's Twin Cities
http://www.allcorfu.[...]
2010-02-25
[31]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Brindisi(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03
[32]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Kmq) - Brindisi(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03
[33]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9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9-08-25
[34]
웹사이트
アッピア街道
http://www.jcca.or.j[...]
건설컨설턴츠협회
2014-06-17
[35]
웹사이트
세계열국에 있어서 민간항공사업
{{신문기사문고|url|0100101[...]
경성일보 (고베대학 전자도서관 시스템 신문기사 문고 수록)
2014-06-17
[35]
웹사이트
흑사관 살인사건
https://www.aozora.g[...]
아오조라 문고
2014-06-17
[36]
서적
海外見聞録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1886
[37]
웹사이트
2点間の直線距離を測る
http://www.benricho.[...]
2014-06-08
[38]
간행물
日本現代文學全集 7 森鴎外集
https://www.aozora.g[...]
講談社
1962
[39]
서적
水沫集
春陽堂
1892 #明治25年は1892年
[40]
웹인용
Brindisi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9-18
[41]
웹인용
Brindisi Casale
http://climaintoscan[...]
Temperature estreme in Toscana
2023-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