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다이라 나가치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나가치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1496년 가독을 상속받아 안쇼 성의 성주가 되었다. 그는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공격에 맞서 싸우며 미카와국의 고쿠진 영주였던 마쓰다이라 씨를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시키는 기반을 다졌다. 렌가에도 능하여 교양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장남 노부타다에게 가독을 물려준 후에도 후견인 역할을 수행했다. 만년에는 증손인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영향을 미쳤으나, 손자 노부사다를 편애하여 가신단의 실망을 사기도 했다. 1544년에 사망했으며, 다이주지에 묘가 있다.

2. 생애

1496년(메이오 5년), 아버지의 은거로 가독을 이어받아 안쇼 성 성주가 되었다. 이 시기 인접한 스루가국이마가와 우지치카로부터 공격을 받았으나, 뛰어난 무장으로 평가받던 나가치카는 이를 잘 막아내며 미카와국의 고쿠진(国人) 영주였던 마쓰다이라 씨를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시키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 과정에서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가신이었던 이세 신쿠로 나가우지(伊勢新九郎長氏, 훗날의 호죠 소운)와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나가치카는 렌가 작가로서도 알려져 있으며, 유명한 렌가사(連歌師) 소쵸(宗長)를 오카자키에 초청하는 등 문화적인 교양도 갖추었다고 전해진다.

1506년, 장남 마쓰다이라 노부타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나[8], 이른 시기의 은퇴 배경은 명확하지 않다. 일설에는 나가치카 자신이 1501년에 이미 출가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9] 은퇴 후에도 아들 노부타다와 손자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후견인으로서 이마가와 군과의 전투에 참여하고, 사사 관련 실권을 유지했다. 특히 이마가와 씨의 침공으로 이와즈 성의 종가(이와즈 마쓰다이라 가문)가 쇠퇴하자,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이 사실상 마쓰다이라 일족의 종가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고, 나가치카는 1527년 불탄 가모군 로쿠쇼묘진(六所明神)을 마쓰다이라 씨족신으로 삼고 재건을 주도했다.

은퇴 후 도에쓰(道閲)라는 법명으로 활동하며 노부타다를 보좌했으나, 노부타다가 가문 내 신망을 얻지 못하자 가로(家老) 사카이 다다나오의 탄원으로 노부타다를 은퇴시키고 손자 기요야스에게 가독을 잇게 했다. 만년에는 여러 아들 중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의 노부사다를 편애하여, 기요야스 사후 가문을 이은 증손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와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이후 히로타다와 화해하고, 그의 아들(나가치카의 현손)에게 자신 및 기요야스와 같은 아명인 다케치요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는데, 이 아이가 훗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이다.

1544년(덴분 13년) 8월 22일에 사망했다. 향년은 통설에 따라 72세(1473년생) 또는 90세(1455년생 설)로 추정된다. 묘는 다이주지에 있으며, 법명은 '掉舟院殿一閑道閲大居士'이다.

240px

2. 1. 초기 생애와 가독 상속

1496년(메이오 5년), 아버지의 은거로 가독을 이어받아 안쇼 성(安祥城)의 성주가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인접한 스루가국이마가와 우지치카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었고, 나가치카는 고전을 예상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가신이었던 이세 신쿠로 나가우지(伊勢新九郎長氏, 훗날의 호죠 소운)와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나가치카는 뛰어난 무장으로 평가받으며 이마가와 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이러한 활약을 통해 나가치카는 미카와국의 고쿠진(国人) 영주였던 마쓰다이라 씨를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시키는 기반을 마련한 인물로 여겨진다.

또한, 나가치카는 렌가(連歌, 연가) 작가로서도 알려져 있으며, 유명한 렌가사(連歌師) 소쵸(宗長)를 자신의 영지인 오카자키에 초청하는 등 문화적인 교양도 갖추었다고 전해진다.

2. 2. 이마가와 가와의 항쟁

1496년(메이오 5년), 아버지의 은퇴로 가독을 이어받아 안쇼 성 성주가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이웃 나라인 스루가국이마가와 우지치카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면서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당시 나가치카는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가신이었던 이세 신쿠로 나가우지(伊勢新九郎長氏, 훗날의 호죠 소운)와 싸우기도 했다. 뛰어난 무장이었던 나가치카는 이마가와 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 그는 미카와국의 고쿠진 영주였던 마쓰다이라 씨를 센고쿠 다이묘로 발돋움시키는 기초를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류에이 비감》에 따르면, 1501년(분키 원년) 음력 9월, 나가치카는 이마가와 가문의 대장 이세 신쿠로 나가우지(당시 법명 소운)와의 이와츠키 성 아래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때 선봉에는 사카이 사에몬노죠 우지타다(酒井左衛門尉氏忠, 법명 죠켄)와 그의 동생 요시로 지카시게(与四郎親重), 그리고 혼다(本多), 오쿠보(大久保), 야나기하라(柳原) 등의 가신들이 있었다.

그러나 《도쿠가와 실기》에서는 이 전투를 1506년(에이쇼 3년) 음력 8월 20일의 일로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대군을 이끌고 동 미카와 지역을 장악한 이마가와 우지치카는 서 미카와로 진격했다. 나가치카는 성에서 농성하는 대신 야전을 택하여 직접 부하들을 이끌고 안쇼 성에서 출진했다. 동 미카와 세력까지 합쳐 1만여 명에 달하는 이마가와 대군에 맞서 나가치카는 불과 500여 명의 병력으로 맞섰다.

마쓰다이라 군사들이 결사적으로 항전하자, 전의가 낮았던 이마가와 측의 동 미카와 세력이 먼저 무너졌다. 나가치카는 기세를 몰아 아직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이마가와 병력까지 격파했으며, 마침내 이마가와 군의 총대장 이세 신쿠로 나가우지의 하타모토(본대 직속 부대)마저 무너뜨렸다. 해가 진 후에도 마쓰다이라 군은 진형을 유지하며 야하기가와 강을 앞에 두고 진을 쳤다. 예상치 못한 고전에 당황한 이마가와 군은 아쓰미반도다하라 성에 주둔한 도다 씨에게 배후를 공격당할 것을 우려하여 다음 날 아침, 동 미카와의 이마바시 성(今橋城)을 거쳐 본국으로 철수했다.

이 승리로 나가치카의 명성은 크게 높아졌고, 마쓰다이라 일족 내에서의 구심력도 강화되었다.[7] 이후에도 이마가와 씨와의 싸움은 1508년(에이쇼 5년)까지 이어졌지만, 나가치카는 영지를 지키고 유지하는 데 힘쓰며 마쓰다이라 씨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1508년(에이쇼 5년) 음력 8월, 이마가와 우지치카의 대리인인 이세 소즈이(호죠 소운)가 이끄는 이마가와 군은 다이죠지를 본진으로 삼아 이와쓰 성을 공격했다(에이쇼 미카와의 난). 『미카와 이야기』에 따르면, 이와쓰 성주는 뛰어난 가신들 덕분에 적의 접근을 막으며 선전했다. 그 사이 안쇼 성의 나가치카가 이와쓰 성을 구원하기 위해 이다노(井田野)에 나타나자, 이마가와 군은 이를 맞아 싸웠으나 나가치카의 용맹함에 고전하며 이세 소즈이의 본진까지 위협받았다. 결국 도다 씨의 배후 공격을 우려한 이마가와 군은 철수했다고 한다.

하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이마가와 군의 공격 목표 자체가 이와쓰 마쓰다이라 가문이었기 때문에 이와쓰 성이 함락되자 소즈이가 군대를 철수시켰다고 보기도 한다. (이와쓰 함락에 대해서는 이와쓰 가문 일족 대부분이 전사했다는 기록과, 이마가와 측 오쿠다이라 씨의 호소카와 주둔 및 소즈이 본대가 나가치카의 구원군을 야하기 강 서쪽으로 물리쳐 이와쓰 구원을 봉쇄했다는 관점에서 이 견해를 지지하는 의견도 있다.) 이 전투의 결과, 마쓰다이라 종가였던 이와쓰 마쓰다이라 가문은 교토로 피난하는 등 크게 쇠퇴한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나가치카가 이끌던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총령(종가) 지위를 사실상 계승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4]

같은 해, 나가치카는 장남 마쓰다이라 노부타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퇴했다. 이른 시기의 은퇴 배경은 명확하지 않으나, 장남 노부타다의 자질에 대한 우려나 나가치카 자신이 이미 1501년에 출가(入道)했다는 점 등이 거론된다. 그러나 은퇴 후에도 아들 노부타다와 손자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후견인으로서 이마가와 군과의 전투에 참여하는 등 활동을 계속했다.

2. 3. 은거와 후계 문제

1506년, 나가치카는 장남 마쓰다이라 노부타다에게 가독(家督)을 물려주고 은거했다.[8] 이 시기의 은거는 다소 이른 감이 있지만,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일설에는 노부타다가 암우(暗愚)하다는 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나가치카 자신이 1501년에 이미 출가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9]

그러나 은거 후에도 나가치카는 적자 노부타다와 적손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후견인으로서 활동하며 이마가와 군과 싸웠다. 또한 사사(寺社, 절과 신사) 등에 관한 실권은 여전히 장악하고 있었다. 1523년(다이에이 3년)과 1527년(다이에이 7년) 음력 1월에는 마쓰다이라 향(松平郷)의 고게쓰인(高月院)에 사령(寺領, 사찰의 영지)을 기부했다. 같은 해 음력 12월에는 이마가와 씨의 미카와 침공 과정에서 불탄 가모군(加茂郡)의 로쿠쇼묘진(六所明神, 현재 아이치현 도요타시 사카우에 정坂上町의 로쿠쇼 신사六所神社)을 마쓰다이라 일족의 씨신(氏神)으로 삼고 조영봉하장(造営奉賀状)을 발급했다. 이는 이마가와 씨의 침공으로 이와즈 성(岩津城)이 공격받아 종가였던 이와즈 마쓰다이라 가문의 일족 대부분이 전사하면서,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이 명실상부한 마쓰다이라 종가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루어진 조치로 여겨진다.

은퇴 후 입도하여 도에쓰(道閲)라는 법명을 사용한 나가치카는 계속해서 노부타다를 후견하고 보좌했다. 하지만 노부타다는 역량이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일문중(一門衆)과 가신단으로부터 신망을 얻지 못해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은 해체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가로(家老) 사카이 다다나오(쇼겐 将監)가 탄원하자, 나가치카와 노부타다 부자는 노부타다의 은거와 그의 적자인 기요야스에게 가독을 물려주는 것을 받아들였다.

만년에는 후카마(福釜), 사쿠라이(桜井), 도조(東条), 후지이(藤井) 등 새롭게 분가를 이룬 아들들 중에서 유독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노부사다를 편애했다. 이 때문에 기요야스가 사망한 뒤 어린 나이에 가독을 이은 마쓰다이라 히로타다(나가치카의 증손)가 노부사다에 의해 오카자키성에서 쫓겨났을 때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노부사다의 오카자키성 입성에 관해서는 히로타다 옹립 세력이 히로타다를 오카자키 성에서 데리고 나온 것이 먼저였으며, 노부사다의 행동은 사태 수습을 위한 움직임 이상이 아니었다는 무라오카 미키오의 설도 있다[6]). 이 때문에 가신단의 실망을 샀다고 한다.

이후 히로타다와 화해한 나가치카는, 히로타다에게서 태어난 적장자(나가치카에게는 현손에 해당)에게 자신 및 기요야스와 같은 아명인 다케치요(竹千代)라는 이름을 지어주도록 명했다. 이 아이가 바로 훗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이다. 그러나 나가치카가 편애했던 노부사다는 히로타다의 대까지 가독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마쓰다이라 일족과 가신단 사이에 내분을 일으켰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어린 시절 이에야스가 겪게 되는 고난의 한 원인이 되었다.

2. 4. 죽음

은퇴 후 불교에 귀의하여 도에쓰(道閲)라고 칭한 나가치카는 아들 노부타다를 후견·보좌했지만, 노부타다는 능력이 부족하고 가문 내 신망을 얻지 못해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은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가로 사카이 타다나오의 탄원으로 나가치카와 노부타다는 노부타다의 은퇴와 그의 아들인 기요야스에게 가독을 물려주는 것을 받아들였다.

만년에는 후쿠가마, 사쿠라이, 토조, 후지이 등 새롭게 분가를 세운 아들들 중 특히 사쿠라이 가문의 노부사다를 편애했다. 이 때문에 기요야스 사후 어린 나이에 가문을 계승한 증손 히로타다가 노부사다에 의해 오카자키성에서 쫓겨났을 때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6], 이 때문에 가신단의 실망을 샀다고 한다. 이후 히로타다와 화해하고, 태어난 히로타다의 아들(나가치카의 현손)에게 자신과 기요야스와 같은 '''아명'''인 '''타케치요'''(竹千代)라는 이름을 지어주도록 했는데, 이가 훗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이다. 그러나 나가치카가 몹시 아낀 노부사다는 히로타다 대까지 가독에 집착하여 마쓰다이라 가문과 그 가신단에 내분을 일으켰고, 결과적으로 어린 시절 이에야스가 겪게 될 고난의 한 원인이 되었다.

1544년(덴분 13년) 8월 22일에 사망했다. 통설에 따르면 1473년(분메이 5년) 출생으로 향년 72세이지만, 실제 출생 연도는 1455년(고쇼 원년)으로 여겨지기도 하여 이 경우 향년 90세가 된다. 묘는 다이주지(大樹寺)에 있으며, 법명은 '掉舟院殿一閑道閲大居士'이다.

3. 평가

마쓰다이라 나가치카에 대한 평가는 주로 그의 말년 행적, 특히 후계자 선정과 특정 아들에 대한 편애 문제에 집중된다.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타다의 능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후견을 계속했으나 결국 손자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에게 가독이 넘어가게 되었다. 또한, 여러 아들 중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노부사다를 지나치게 편애하여, 노부사다가 증손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오카자키성에서 축출했을 때 이를 방관하는 결과를 낳았다.[6] 이러한 나가치카의 행동은 가신들의 실망을 샀으며, 이후 노부사다가 일으킨 내분은 결국 현손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어린 시절 겪게 될 고난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3. 1. 부정적 평가

나가치카는 은거 후에도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타다를 후견했지만, 노부타다는 능력이 부족하고 가신들의 신망도 얻지 못해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은 해체 위기에 놓였다. 결국 가로 사카이 다다나오(酒井忠尚)의 요청으로 노부타다는 은퇴하고, 그의 아들인 마쓰다이라 기요야스가 가독을 잇게 되었다.

만년에 나가치카는 후카마, 사쿠라이, 도조, 후지이 등 여러 분가를 만든 아들들 중 유독 사쿠라이 가문의 노부사다를 편애했다. 이 때문에 손자 기요야스가 죽고 어린 증손 마쓰다이라 히로타다가 뒤를 이었을 때, 노부사다가 히로타다를 오카자키성에서 쫓아냈음에도 나가치카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6] 이 일로 나가치카는 가신들의 실망을 샀다고 전해진다.

나중에 히로타다와 화해한 나가치카는, 히로타다의 아들(나가치카의 현손)이 태어나자 자신과 기요야스처럼 다케치요라는 이름을 지어주도록 했다. 이 아이가 바로 훗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이다. 하지만 나가치카가 편애했던 노부사다는 히로타다 시대까지도 가독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마쓰다이라 일족과 가신단 사이에 내분을 일으켰으며, 이는 결국 어린 시절 이에야스가 겪게 될 고난의 한 원인이 되었다.

참조

[1] 문서 弟の超誉存牛の生年が文明元年(1469年)なので、実際の生年は康正元年(1455年)が有力視されている。
[2] 문서 通称・入道名については『朝野旧聞裒藁』による。
[3] 논문 実名についての考察は平野明夫が詳細に解説している。平野は現存文書から「長親」・「忠次」よりも「長忠」を用いた可能性を示唆している。 2002
[4] 웹사이트 第1章 岡崎市の歴史的風致形成の背景 https://www.city.oka[...] 岡崎市 2022-06-03
[5] 웹사이트 市指定:史跡 松平八代墓 https://www.city.oka[...] 岡崎市ホームページ 2020-09-08
[6] 서적 戦国期三河松平氏の研究 岩田書院 2023
[7] 문서 이 싸움은 1508년설도 있다.
[8] 문서 가독 계승은 1509년(에이쇼 6년) 경이라는 설도 있다.
[9] 문서 나가치카는 이미 1499년(메이오 8년) 아버지인 지카타다의 생전에 삭발하여, 도에쓰(道閲)라 칭하고 있었다고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