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12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력 12월은 한 해의 마지막 달로, 한국에서는 섣달, 일본에서는 시와스(師走), 중국에서는 납월(臘月)로 불린다. 섣달그믐은 음력 12월의 마지막 날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명절이며, 동아시아 각국에서 랩바절, 소년, 제석 등의 전통 행사가 치러진다. 음력 12월은 양력 날짜로 매년 다르며, 역사적으로 청나라 멸망, 고하나조노 천황의 사망 등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력 12월 - 음력 12월 3일
음력 12월 3일은 한국과 일본에서 역사적 사건들과 여러 저명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이 기록된 날이며, 현재까지 특별한 기념일이나 연중행사는 알려진 바 없다. - 음력 12월 - 음력 12월 4일
음력 12월 4일은 역사적 사건들과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일로 기록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태정대신 취임, 모리야마 붕괴 사건, 고이시카와 요쇼소 개설, 헨리 휴스켄 사망 등 중요한 사건이 있었고, 한국에서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탄생과 수도권 전철 개통 등이 있었으나 관련 기록은 아직 부족하여 보완이 필요하다. - 달력에 관한 - 9월 22일
9월 22일은 살라미스 해전,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등 세계 및 한국사의 주요 사건들과 추분, OneWebDay 등의 문화적 기념일, 그리고 마이클 패러데이, 김광섭, 김미화 등 다양한 분야 저명한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일이 있는 날이다. - 달력에 관한 - 11월 15일
11월 15일은 화약 음모 사건, 미국 독립을 위한 연합 조약 채택, 세계 인구 80억 명 돌파와 같은 세계적인 사건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종료, 국가정보원 도청 수사, 포항 지진과 같은 한국 관련 사건을 포함하며 역사적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과 여러 국가의 기념일이 있는 날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음력 12월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납월(臘月) |
일본어 표기 | 시와스(師走) |
로마자 표기 | Layue |
의미 | '제사를 지내는 달' 또는 '섣달' |
특징 | 한 해의 마지막 달 |
기간 | 음력 11월 이후, 음력 1월 이전 |
중국어 표기 | 腊月 |
월력 정보 | |
한국어 명칭 | 음력 12월 |
일본어 명칭 | 시와스(師走) |
중국어 명칭 | 腊月 (làyuè) |
영어 명칭 | Twelfth month of the Chinese calendar |
시작 시기 | 동지가 포함된 음력 11월 다음 달 |
종료 시기 | 음력 1월 직전 |
절기 | 소한과 대한 |
윤달 여부 | 윤달이 아님 |
전통 및 문화 | |
한국 전통 |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준비를 하는 달 |
중국 전통 | 섣달 제사 및 다양한 전통 행사 진행 |
일본 전통 | 스님들이 바빠지는 달, 다양한 연말 행사 |
다른 문화권 | 각 문화권마다 다양한 의미를 부여함 |
추가 정보 | |
참고 | 음력 설날 |
2. 명칭 및 어원
음력 12월은 한국에서 '섣달'이라고 불린다. 이는 한 해의 마지막 달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음력 12월의 마지막 날은 섣달그믐으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중요한 명절이다. 이날에는 묵은 빚을 청산하고 새해를 맞을 준비를 한다.
일본에서는 음력 12월을 '시와스(師走|시와스일본어)라고 부른다. '시와스'의 어원은 오래되어 확실하지 않다. 大言海|다이겐카이일본어에는 "세모(歳極)의 약칭이라고도 하며, 또는 모든 일이 마무리(為果)되는 달이라는 뜻, 또는 농사일이 끝나는 뜻이다"라고 하였다.[2] "열두 달의 이름은 모두 벼의 생육 순서에 따라 지어졌다"라는 설명도 있다.[3] 참고로, "승려(師는 승려를 의미함)가 불사로 바쁘게 돌아다니는 데서 유래했다"라는 설이 헤이안 시대부터 있었지만, (色葉字類抄|이로하자류쇼일본어에 기록이 있다) 이는 민간어원(언어학적 근거가 없는, 억측의 어원)이며, 헤이안 시대에는 이미 '시와스'의 어원을 알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4]
다른 이름으로 음력 12월을 'きとう|키토일본어(계동)'이라고 한다. 납(臘)의 달에 따라 '납월(臘月)'이라고도 한다.[5][6]
3. 한국의 전통 및 행사
3. 1. 한국의 역사적 사건
4. 동아시아의 전통 및 행사
동아시아에서는 음력 12월에 다양한 전통과 행사가 행해진다.
중국에서는 납향(臘享)이라 하여 조상과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다.[5][6] 랩바절은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기념하는 불교 행사이다.[1] 소년(小年)은 섣달그믐을 앞두고 집안을 청소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행사이다. 제석(除夕)은 섣달그믐에 해당하며, 온 가족이 모여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명절이다.
일본에서 12월은 시와스(師走, しわす|시와스일본어)라고 불린다. 이 단어의 어원은 오래되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승려들이 불사(佛事)로 바쁘게 돌아다니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헤이안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지만, 이는 언어학적 근거가 없는 민간어원설이다.[2][4] 그 외에도 음력 12월은 '계동(きとう)' 또는 '납월(臘月)'이라고도 불린다.[5][6]
4. 1. 중국
납향(臘享)은 납월에 조상과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다.[5][6] 랩바절은 납월 8일에 행해지는 불교 행사로,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기념한다.[1] 소년(小年)은 납월 23일 또는 24일에 행해지는 행사로, 섣달그믐을 앞두고 집안을 청소하고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한다. 제석(除夕)은 납월 29일 또는 30일, 즉 섣달그믐에 해당하는 날로, 온 가족이 모여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명절이다.4. 2. 일본
일본에서 12월은 시와스(師走, しわす|시와스일본어)라고 불린다. 이 단어의 어원은 오래되어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승려들이 불사(佛事)로 바쁘게 돌아다니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헤이안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지만, 이는 언어학적 근거가 없는 민간어원설이다.[2][4] 그 외에도 음력 12월은 '계동(きとう)'이라고도 불리며, 납(臘)의 달에 따라 '납월(臘月)'이라고도 불린다.[5][6]4. 3. 동아시아 역사적 사건
푸이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는 1911년 음력 12월 25일에 퇴위 조서를 발표하면서 청나라는 멸망했다. 악비, 악운, 장현 등 남송 시대 장군들은 1141년 음력 2월 29일에 처형되었다.[1] 육유는 남송 시대의 저명한 시인으로, 1209년 음력 2월 29일에 사망했다.[2]5. 기타
원문 소스에 음력 12월과 관련된 특별한 기록이 없어,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1. 음력/양력 환산
음력 12월은 양력으로 매년 날짜가 바뀐다.서력(西暦) | 초하루(朔) | 그믐(晦) | 일수(日数) |
---|---|---|---|
2014년 | 2015년 1월 20일 | 2015년 2월 18일 | 30일 |
2015년 | 2016년 1월 10일 | 2016년 2월 7일 | 29일 |
2016년 | 12월 29일 | 2017년 1월 27일 | 30일 |
2017년 | 2018년 1월 17일 | 2018년 2월 15일 | 30일 |
2018년 | 2019년 1월 6일 | 2019년 2월 4일 | 30일 |
2019년 | 12월 26일 | 2020년 1월 24일 | 30일 |
2020년 | 2021년 1월 13일 | 2021년 2월 11일 | 30일 |
2021년 | 2022년 1월 3일 | 2022년 1월 31일 | 29일 |
2022년 | 12월 23일 | 2023년 1월 21일 | 30일 |
2023년 | 2024년 1월 11일 | 2024년 2월 9일 | 30일 |
2024년 | 12월 31일 | 2025년 1월 28일 | 29일 |
2025년 | 2026년 1월 19일 | 2026년 2월 16일 | 29일 |
5. 2. 탄생
- 1267년 음력 12월 1일 - 고우다 천황: 일본 제91대 일본 천황.[1]
- 1543년 음력 12월 26일 - 도쿠가와 이에야스: 일본 도쿠가와 막부의 창업주이자 초대 쇼군.[2]
- 1858년 음력 12월 1일 - 우에무라 마사히사: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의 일본 기독교 목사, 신학자이자 비평가.[3]
- 1859년 음력 12월 1일 - 황귀비 숙신: 청나라 동치제의 황귀비.[4]
5. 3. 사망
참조
[1]
웹사이트
Layue, a joyful celebration in the run-up to Spring Festival
https://www.chinadai[...]
2024-01-12
[2]
웹사이트
WEB言海 p.461、「志はす」の項(「大言海」とは、やや記述が異なる)
http://www.babelbibl[...]
[3]
서적
お言葉ですが・・・(7)、漢字語源の筋ちがい
(株)文藝春秋
2006-06-10
[4]
서적
お言葉ですが・・・(7)、漢字語源の筋ちがい
(株)文藝春秋
2006-06-10
[5]
웹사이트
行事目白押しの12月?
https://www.j-cfa.co[...]
2024-03-21
[6]
웹사이트
臘月(ろうげつ)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