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카리오 사카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카리오 사카이는 1878년 필리핀에서 태어난 인물로,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에서 활약했다. 그는 카티푸난의 창립 멤버이자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함께 스페인에 맞서 싸웠으며,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체포된 후 카티푸난의 새 지도자이자 타갈로그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는 미국에 저항하며 게릴라전을 이끌었으나 1906년에 체포되어 이듬해 처형되었다. 그는 1907년 교수형에 처해지기 전, 필리핀의 독립을 외치며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동상이 세워지고, 군 기지의 이름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필리핀 사람 -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는 필리핀의 독립운동가이자 혁명가로, 스페인 식민 통치에 맞서 카티푸난을 조직하여 필리핀 혁명을 주도했으나, 독립 세력 내부 권력 투쟁에서 패배 후 처형당했으며 사후 필리핀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사형된 필리핀 사람 - 호세 리살
    필리핀의 소설가, 시인, 안과의사이자 지식인, 민족주의자였던 호세 리살은 스페인 식민 통치에 저항한 필리핀 민족주의의 영웅으로, 그의 저술과 활동은 필리핀 독립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필리핀 혁명 관련자 - 마르셀로 델 필라
    마르셀로 델 필라는 필리핀의 작가, 변호사이자 언론인으로서 프로파간다 운동의 핵심 인물이며, 반(反)수도회 운동을 이끌고 《디아리옹 타갈로그》를 창간하여 수도회를 비판하고, 스페인에서 《라 솔리다리다드》의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필리핀 저널리즘의 아버지"로 불린다.
  • 필리핀 혁명 관련자 - 마리아노 폰세
    마리아노 폰세는 필리핀의 의사이자 작가, 독립운동가로서, 스페인 유학 중 《라 솔리다리다드》 창간에 기여하고 필리핀 혁명 당시 무기 조달을 위해 일본에 파견되었으며, 귀국 후 필리핀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회고록을 집필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사형된 대통령 - 응오딘지엠
    응오딘지엠은 명문 가톨릭 가문 출신으로 반공주의를 펼치며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독재 통치와 불교 탄압으로 국민적 반발을 사 결국 쿠데타로 암살당한, 베트남 전쟁에 큰 영향을 미친 복합적인 인물이다.
  • 사형된 대통령 - 사담 후세인
    사담 후세인은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이라크의 대통령으로 장기간 독재 체제를 구축했으며, 반대파 숙청, 전쟁,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다가 2006년 사형당했다.
마카리오 사카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01년의 마카리오 사카이 장군
직함타갈로그 공화국의 대통령
임기 시작1902년 5월 6일
임기 종료1906년 7월 14일
부통령프란시스코 카레온
출생 이름마카리오 사카이 이 데 레온
출생1878년 3월 1일
출생지톤도, 마닐라, 필리핀 총독부, 스페인 제국
사망1907년 9월 13일 (29세)
사망지산타크루스, 마닐라, 필리핀 제도 도서 정부, 미국
직업혁명가, 상인
소속 정당카티푸난
참고

2. 초기 생애

마카리오 사카이 데 레온은 1878년 3월 1일 마닐라 시 톤도의 타보라 거리에서 태어났다.[5][6] 그는 처음에는 ''칼레사''(마차) 제조 공장에서 견습생으로 일했다. 또한 재단사이자 연극 배우이기도 했으며, ''프린시페 발도비노'', ''도세 파레스 데 프랑시아'', ''아만테 데 라 코로나''를 포함한 여러 연극에 출연했다.[6][5]

1894년 카티푸난 운동의 창립 멤버였던 그는 필리핀 혁명 기간 동안 스페인에 맞서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함께 싸웠다.[6] 1899년에는 미국의 지배에 맞서 필리핀 독립을 위한 투쟁을 이어갔다. 필리핀-미국 전쟁 초기에 그는 선동 행위로 투옥되었고, 이후 사면의 일환으로 석방되었다.[7]

3. 필리핀 혁명과 카티푸난 활동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체포되자, 마카리오 사카이는 카티푸난의 새 지도자이자 카타갈루간 공화국의 대통령, 그리고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4번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1]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미구엘 말바르가 체포된 뒤에도 필리핀의 독립 투쟁은 계속되었지만, 미군 당국은 잔존 유격대들을 도적으로 간주하였다.[1] 시메온 올라가 이끌던 1,000여 명의 게릴라들은 1903년 말까지 필리핀 각지에서 투쟁했고, 필리핀 중부에서는 마카리오 사카이와 프란시스코 카레온 마르코스가 지휘하는 군대가 1906년까지 저항을 이어갔다.[1]

1904년, 사카이는 사마르에서 미국 총독부에 대한 마지막 조직적 저항을 개시하였다.[1] 평화로운 마을을 불사르는 등의 혼란을 틈타 봉기를 계속했지만, 봉기자들의 전술은 실패로 돌아갔다.[1] 미국과의 항전 중 1906년 7월에 체포되어 이듬해 1월에 처형당했다.[1]

4. 타갈로그 공화국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체포되자, 마카리오 사카이는 카티푸난의 새 지도자이자 카타갈루간 공화국의 대통령, 그리고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4번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10]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미구엘 말바르가 체포된 후에도 필리핀에서는 전투가 계속되었지만, 미군 당국은 남은 유격대원들을 도적으로 간주하였다. 시메온 올라가 이끌던 1,000여 명의 게릴라들은 1903년 말까지 필리핀 각지에서 투쟁했고, 필리핀 중부에서는 마카리오 사카이와 프란시스코 카레온 마르코스가 지휘하는 군대가 1906년까지 저항을 계속했다.

1904년, 사카이는 사마르에서 미국 총독부에 대한 마지막 조직적 저항을 개시했다. 평화로운 마을을 불태우는 등의 혼란을 틈타 봉기를 이어갔지만, 봉기자들의 전술은 실패로 돌아갔다. 사카이는 미국과의 항전 중 1906년 7월 체포되어 이듬해 1월 처형되었다.

4. 1. 수립 배경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체포로 미국 통치에 대한 필리핀 저항이 끝나지 않았다는 것이 대중적인 믿음이다.[10] 사카이가 이끄는 부대를 포함하여 여러 부대가 여전히 활동하고 있었다.[11] 아기날도가 미국에 항복하자 사카이는 혁명의 지도력을 장악하고 스스로를 타갈로그 공화국의 최고 대통령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이 공화국이 루손에서 민다나오에 이르는 필리핀의 모든 섬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모롱–누에바에시하 사령부를 인수하고 부하들에게 다른 타갈로그 지역을 책임지도록 임명한 사카이는 반역자, 즉 적을 지지하는 자는 추방, 투옥 또는 죽음으로 처벌한다는 내용의 헌법을 작성했다. 1902년 5월, 사카이와 그의 부대는 미국에 대한 공개적인 저항을 선언하고 5년 동안 게릴라 습격을 감행했다.[12]

1902년경, 사카이는 리잘의 산 어딘가에 타갈로그 공화국을 설립했다. 그의 첫 번째 군사 포고령과 "대통령 겸 총사령관"으로서의 대통령 명령은 1903년에 발령되었다.[6] 사카이의 군사 포고령 제1호는 1903년 5월 5일, 대통령 명령 제1호는 1903년 3월 18일에 발행되었다.[6]

4. 2. 공화국 선포와 활동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히자 카티푸난의 새 지도자이자 카타갈루간 공화국의 대통령이며,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4번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10] 에밀리오 아기날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뒤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미군 당국은 나머지 유격대들을 도적으로 간주했다. 비센테 루크반등 여러 부대가 여전히 활동하고 있었다.[11] 사카이가 아기날도의 혁명 정부 내에서 어떤 직책을 맡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아기날도가 미국에 항복하자 사카이는 혁명의 지도력을 장악하고 스스로를 타갈로그 공화국의 최고 대통령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이 공화국이 루손에서 민다나오에 이르는 필리핀의 모든 섬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모롱–누에바에시하 사령부를 인수하고 부하들에게 다른 타갈로그 지역을 책임지도록 임명한 사카이는 반역자, 즉 적을 지지하는 자는 추방, 투옥 또는 죽음으로 처벌한다는 내용의 헌법을 작성했다. 1902년 5월, 사카이와 그의 부대는 미국에 대한 공개적인 저항을 선언하고 5년 동안 게릴라 습격을 감행했다.[12]

1902년경, 사카이는 리잘의 산 어딘가에 타갈로그 공화국을 설립했다. 그의 첫 번째 군사 포고령과 "대통령 겸 총사령관"으로서의 대통령 명령은 1903년에 발령되었다.[6] 사카이의 군사 포고령 제1호는 1903년 5월 5일자로, 대통령 명령 제1호는 1903년 3월 18일자로 발행되었다.[6] 시메온 올라가 이끌던 1,000여 명의 게릴라들은 1903년말까지 필리핀 각지에서 투쟁했고, 필리핀의 중부에서는 마카리오 사카이와 프란시스코 카레온 마르코스가 지휘하는 군대가 1906년까지 저항을 계속했다.

1904년 사마르에서 미국 총독부에 대한 마지막 조직적 저항을 개시했다. 평화로운 마을을 불사르는 등의 혼란을 틈타 봉기를 계속했지만, 봉기자들의 전술은 실패했다.미국과의 항전 중 1906년 7월에 체포되어 이듬해 1월에 처형당했다.

4. 3. 군사 조직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뒤, 카티푸난의 새 지도자이자 카타갈루간 공화국의 대통령인 마카리오 사카이는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4번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에밀리오 아기날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뒤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미군 당국은 나머지 유격대들을 도적으로 간주했다. 시메온 올라가 이끌던 1,000여 명의 게릴라들은 1903년말까지 필리핀 각지에서 투쟁했고, 필리핀의 중부에서는 마카리오 사카이와 프란시스코 카레온 마르코스가 지휘하는 군대가 1906년까지 저항을 계속했다.[1]

1904년 사마르에서 미국 총독부에 대한 마지막 조직적 저항을 개시했다. 평화로운 마을을 불사르는 등의 혼란을 틈타 봉기를 계속했지만, 봉기자들의 전술은 실패했다. 미국과의 항전 중 1906년 7월에 체포되어 이듬해 1월에 처형당했다.[1]

사카이의 1903년 6월 19일자 군사 훈령 제7호에서 타갈로그 공화국("필리핀 공화국"이라고 함) 정부는 조직적인 군대 창설을 확인했다. 군대는 ''카보한''(8명의 병사, 분대와 동일), ''카밀레로스''(9명의 병사), ''콤파니아스''(117명의 병사, 중대와 동일), ''바탈리온스''(801명의 병사, 대대와 동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1904년 4월 5일자 사카이의 두 번째 선언문에는 군대의 정확한 병력 규모를 확인할 수 없다고 적혀있다. 역사가들이 공화국 군대의 규모를 추측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충분한 문서가 없지만, 이는 사카이의 군대가 존재했으며 사카이 자신이 임명하고 위임한 장교들이 이끌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

사카이의 1903년 5월 8일자 대통령령 제2호에서 정부는 미국에 대항하는 투쟁을 수행하기 위한 무기 확보를 위해 대통령실 또는 산하 사령부에 총기를 넘겨줄 수 있는 시민에게 군 계급을 부여하겠다고 밝혔다. 계급은 다음과 같이 부여되었다.[1]

총기 수계급
10~15정소위
16~25정대위
26~36정소령
40~50정대령



사카이의 1903년 5월 25일자 군사 훈령 제5호에서 정부는 군대의 부대에 다음과 같은 색상 코드를 지정했다.[1]

부대색상
포병빨간색
보병하늘색
기병남색
공병짙은 갈색
참모장짙은 녹색
위생병노란색
해병대회색


4. 4. 앨리스 루스벨트 롱워스 납치 계획

레온 비야푸에르테 장군에 따르면, 그와 카레온, 사카이의 부대는 필리핀 방문을 계획하고 있던 앨리스 루스벨트 롱워스,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딸을 납치할 계획을 세웠다.[12] 이 계획은 롱워스를 미국 측에 넘기고 필리핀 독립을 즉시 인정받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것이었다.[12] 롱워스가 바기오행 기차 여행을 연기하면서 납치는 시도되지 않았다.[12]

5. 항복과 배신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후, 카티푸난의 새 지도자이자 카타갈루간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취임한 사카이는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4번째 대통령이 되었다. 에밀리오 아기날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뒤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미군 당국은 나머지 유격대들을 도적으로 간주했다. 1904년 사마르에서 미국 총독부에 대한 마지막 조직적 저항을 개시했다. 평화로운 마을을 불사르는 등의 혼란을 틈타 봉기를 계속했지만, 봉기자들의 전술은 실패했다.

1905년, 필리핀 노동 지도자 도미나도르 고메즈는 총독 헨리 클레이 아이디로부터 사카이와 그의 부하들의 항복을 협상할 권한을 받았다. 고메즈는 사카이의 진영에서 그를 만나 국민 의회의 설립이 사카이의 완고함 때문에 지연되고 있으며, 의회 설립이 필리핀 독립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카이는 자신의 부하들에게 일반적인 사면을 허가하고, 그들이 총기를 소지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그와 그의 장교들이 나라를 떠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건으로 저항을 끝내기로 동의했다. 고메즈는 사카이에게 이러한 조건이 미국인들에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확신했고, 사카이의 사절인 레온 비야푸에르테 장군은 미국 총독으로부터 이에 대한 동의를 얻어냈다.[6]

사카이는 투쟁이 헌법적 수단으로 전환되었고 의회 설립이 독립을 쟁취하는 수단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1906년 7월 14일 항복했으며, 그와 그의 관리들에 대한 사면과 "자유의 문" 역할을 할 필리핀인으로 구성된 필리핀 의회 결성을 약속받고 산에서 내려왔다.[13] 비야푸에르테와 함께 사카이는 마닐라로 갔고, 그곳에서 환영을 받았으며 환영회와 연회에 초대되었다.

초대 중 하나는 헌병대장인 미국인 해리 H. 반돌츠 대령으로부터 온 것이었고, 7월 17일 카비테에서 루이스 J. 반 샤이크 대령이 주최하는 파티였다. 그것은 함정이었다. 파티가 진행되는 동안 사카이와 그의 주요 부하들은 무장 해제되어 체포되었다.[14][15]

1907년 풍자 만화 리팡 칼라바우(Lipag-Kalabaw)는 도미나도르 고메즈를 로마 백부장 롱기누스로 묘사하며, 십자가에 매달린 자유 투사들 (왼쪽부터) 마카리오 사카이, 프란시스코 카레온, 훌리안 몬탈반, 루시오 데 베가에게 창의 마지막 일격을 가하고 있는데, 그들은 미국 정부에 의해 강도질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16]

재판에서 사카이는 "1902년 11월 12일 강도법에 따라 미국의 통치에 대한 모든 무장 저항 행위를 강도질로 해석하는" ''반데레리슴'' 혐의로 기소되었다. 미국 식민지 필리핀 대법원은 이 결정을 지지했다.[17] 사카이는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아 1907년 9월 13일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는 죽기 전에 다음과 같은 진술을 했다.

그는 그날 늦게 마닐라 북부 묘지에 묻혔다.[3]

6. 처형과 유언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후, 사카이는 카티푸난의 새 지도자이자 카타갈루간 공화국의 대통령이며,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4번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뒤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미군 당국은 나머지 유격대들을 도적으로 간주했다.[6]

1906년 7월 미국과의 항전 중 체포되어 이듬해 1월에 처형당했다. 1905년, 필리핀 노동 지도자 도미나도르 고메즈는 총독 헨리 클레이 아이디로부터 사카이와 그의 부하들의 항복을 협상할 권한을 받았다. 고메즈는 사카이의 진영에서 그를 만나 국민 의회의 설립이 사카이의 완고함 때문에 지연되고 있으며, 의회 설립이 필리핀 독립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카이는 부하들에게 일반적인 사면을 허가하고, 총기 소지를 허용하며, 자신과 장교들이 나라를 떠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건으로 저항을 끝내기로 동의했다. 고메즈는 사카이에게 이러한 조건이 미국인들에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확신했고, 사카이의 사절인 레온 비야푸에르테 장군은 미국 총독으로부터 이에 대한 동의를 얻어냈다.[6]

사카이는 투쟁이 헌법적 수단으로 전환되었고 의회 설립이 독립을 쟁취하는 수단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1906년 7월 14일 항복했으며, 그와 그의 관리들에 대한 사면과 "자유의 문" 역할을 할 필리핀인으로 구성된 필리핀 의회 결성을 약속받고 산에서 내려왔다.[13] 비야푸에르테와 함께 사카이는 마닐라로 갔고, 그곳에서 환영을 받았으며 환영회와 연회에 초대되었다.

초대 중 하나는 헌병대장인 미국인 해리 H. 반돌츠 대령으로부터 온 것이었고, 7월 17일 카비테에서 루이스 J. 반 샤이크 대령이 주최하는 파티였다. 그것은 함정이었다. 파티가 진행되는 동안 사카이와 그의 주요 부하들은 무장 해제되어 체포되었다.[14][15][16]

재판에서 사카이는 "1902년 11월 12일 강도법에 따라 미국의 통치에 대한 모든 무장 저항 행위를 강도질로 해석하는" ''반데레리슴'' 혐의로 기소되었다. 미국 식민지 필리핀 대법원은 이 결정을 지지했다.[17] 사카이는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아 1907년 9월 13일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는 죽기 전에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그는 그날 늦게 마닐라 북부 묘지에 묻혔다.[3]

7. 유산

1902년 미구엘 말바르가 사로잡힌 뒤에도 미군 당국은 나머지 유격대들을 도적으로 간주했지만, 필리핀 중부에서는 마카리오 사카이와 프란시스코 카레온 마르코스가 지휘하는 군대가 1906년까지 저항을 계속했다.[20] 미국과의 항전 중 1906년 7월에 체포되어 이듬해 1월에 처형당했다.

1993년 퀘존 주 돌로레스에 설치된 국립 역사 표지

  • 2008년 9월 13일, 그의 사망 101주년 기념일에 마닐라 톤도의 플라자 모르가에 마닐라 역사 유산 위원회에 의해 사카이의 실물 크기 동상이 공개되었다.[20]
  • 같은 달, 필리핀 상원은 사카이의 삶과 독립을 위한 그의 동료 독립 투사들의 기여를 기리는 두 개의 별도 결의안을 채택했다.[21][22]
  • 필리핀군 참모총장 에르난도 이리베리 장군은 2016년 1월 일반 명령 제30호를 발령하여 캠프 이름을 미국의 점령 기간 동안 캠프에 부여되었던 캠프 엘드리지에서 캠프 제너럴 마카리오 사카이로 변경하면서, 라구나 주 로스 바뇨스에 있는 캠프 제너럴 마카리오 사카이의 이름이 이 장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3]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 서적 Struggle for Freedom' 2008 Ed. https://books.google[...] Rex Book Store
[3] 웹사이트 Macario Sakay's Death Certificate https://familysearch[...]
[4] 서적 Bandoleros: Outlawed Guerrillas of the Philippine–American War, 1903–1907 https://books.google[...] New Day Publishers
[5] 서적 General Macario L. Sakay, the Only President of the "Tagalog Republic": Was He a Bandit Or a Patriot? https://books.google[...] J. B. Feliciano 1955
[6] 서적 General Macario L. Sakay: Was He a Bandit or a Patriot? J. B. Feliciano and Sons Printers-Publishers
[7] 서적 Struggle for Freedom' 2008 Ed.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8] 웹사이트 The Period of Suppressed Nationalism: Act No. 292 or the Sedition Law https://www.scribd.c[...] 2010-03-04
[9] 간행물 Law against treason, sedition, etc. (Act No. 292) http://www.filipinia[...] United States Philippine Commission.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02
[10] 서적 My Country and My People 6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2019-08-19
[11] 서적 Filipino Heritage: The American colonial period (1900–1941) https://books.google[...] Lahing Pilipino Pub. ; [Manila] 1978
[12] 서적 Filipino Heritage: The American colonial period (1900–1941) https://books.google[...] Lahing Pilipino Pub. ; [Manila] 1978
[13] 서적 Philippine Cartoons: Political Caricature of the American Era, 1900-1941 https://books.google[...] Vera-Reyes 1985
[14] 서적 The Philippines: A Past Revisited https://books.google[...] Renato Constantino
[15] 서적 History of the Philippine Labor Movement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16] 문서 Torres,2018
[17] 웹사이트 The Last Holdouts: General Vicente Lukban falls, Feb. 18, 1902 http://www.filipinoa[...]
[18] 서적 The Philippines: A Past Revisited https://books.google[...] Renato Constantino
[19] 서적 The Philippines: Colonialism, Collaboration, and Resistance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Publishers Co
[20] 뉴스 The mark of Sakay: The vilified hero of our war with America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08-09-08
[21] 웹사이트 Resolution No. 121 http://www.senate.go[...]
[22] 웹사이트 Resolution No. 623 http://www.senate.go[...]
[23] 뉴스 AFP action rectifies historical injustice http://opinion.inqui[...] 2016-10-23
[24] 웹사이트 Why Did Sakay Wear His Hair Long? http://nhcp.gov.ph/w[...] 2016-10-21
[25] 웹사이트 Tanghalang Pilipino: Character Portraits - Montalan, Sakay/Bonifacio, Carreon https://web.facebook[...] 2017-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