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 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의회는 필리핀의 입법 기관으로,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이다.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시 정부가 존재했고, 필리핀 혁명 시기에는 말로로스 의회가 소집되었다. 미국 식민 시대에는 필리핀 위원회와 필리핀 의회가 설립되었으며, 이후 존스법에 따라 양원제 의회가 구성되었다. 1935년 헌법에 따라 단원제 국회가 설립되었으나, 1940년 개정을 통해 양원제 의회가 부활했다. 1973년 헌법은 단원제 바타상 팜반사를 설치했으나, 1987년 헌법으로 대통령제 정부와 양원제 의회가 복원되었다. 의회는 일반 입법, 묵시적 권한, 고유 권한을 가지며, 법률 제정 절차를 따른다. 상원은 파사이에 위치한 GSIS 건물에서, 하원은 퀘존 시티의 바타상 팜반사 단지에서 회의를 진행하며, 각 원은 의장과 지도부를 선출하여 운영된다.

2. 역사

2. 1.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의 필리핀 식민지배 시대에, 시정부 또는 카빌도가 설립되었다. 그 예로 1571년에 설립된 마닐라 카빌도가 있다.[6]

필리핀이 스페인 동인도 제도의 일부로 식민 통치를 받는 동안, 식민지는 스페인 코르테스에 대표를 파견하지 못했다. 식민지가 스페인의 일부가 된 1809년에야 비로소 코르테스에 대표를 파견할 수 있게 되었다. 필리핀과 같은 식민지들이 대표자를 선출하는 동안, 코르테스가 소집될 수 있도록 대리인들이 임명되었다. 필리핀의 대리인이자 최초의 대표자는 페드로 페레스 데 타글레와 호세 마누엘 쿠토였는데, 두 사람 모두 식민지와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7]

1810년 7월, 마누엘 곤잘레스 데 아길라르 총독은 선거를 치를 지시를 받았다. 마닐라 시 의회만이 대표를 선출할 자격이 있었기 때문에, 대표를 선출하는 임무를 맡았다. 시 의회 대표 3명, 총독, 마닐라 대주교는 벤투라 데 로스 레예스를 마닐라의 코르테스 대표로 선출했다. 데 로스 레예스는 1811년 12월 카디스에 도착했다.[7]

그러나 나폴레옹 1세가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고 그의 형제 조제프 보나파르트가 스페인 왕위에서 쫓겨나자, 1816년 5월 24일 코르테스는 카디스 헌법을 더 보수적인 헌법으로 대체하여 필리핀의 코르테스 대표권을 없앴다. 19세기 후반, 교육받은 계층인 일루스트라도들은 코르테스에서 필리핀의 대표권 회복을 요구하며 불만을 표출했다.[4]

2. 2. 필리핀 혁명 시대

일루스트라도들의 운동은 스페인 지배를 전복하려는 필리핀 혁명으로 변모했다. 1898년 6월 12일 독립을 선포한 대통령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말로로스에서 혁명 의회의 소집을 명령했다.[4] 말로로스 의회는 여러 가지 사항 중에서 말로로스 헌법을 승인했다.[4] 파리 조약의 승인과 함께 스페인은 필리핀을 미국에 할양했다.[4] 미국 정복을 막으려던 혁명가들은 필리핀-미국 전쟁을 일으켰지만, 1901년 아기날도가 체포되면서 패배했다.[4]

2. 3. 미국 식민 시대

필리핀이 미국의 식민 지배를 받던 시절, 입법 기관은 1900년부터 1907년까지 존재했던 필리핀 위원회였다. 미국 대통령이 필리핀 위원회 위원을 임명했다. 또한, 두 명의 필리핀인이 1907년부터 1935년까지, 그리고 1935년부터 1946년까지는 한 명의 필리핀인이 거주 위원으로 미국 하원에서 활동했다. 거주 위원들은 하원에서 발언권은 있었지만 투표권은 없었다.[4]

1902년 필리핀 법안에 따라 상원인 필리핀 위원회와 하원인 필리핀 의회로 구성된 양원제 필리핀 의회가 설립되었다. 이 양원제 의회는 1907년에 개원했다. 당시 의장인 세르히오 오스메냐와 다수당 원내대표였던 마누엘 케손의 지도 아래, 제59차 미국 의회의 규칙을 필리핀 의회 규칙으로 대체로 채택했다.[4]

1916년, 존스법에 따라 입법 시스템이 바뀌었다. 필리핀 위원회가 폐지되고, 필리핀 하원필리핀 상원으로 구성된 새로운 양원제 필리핀 의회가 설립되었다.[4]

2. 4. 코먼웰스 및 제2공화국 시대

입법 시스템은 1935년에 다시 변경되었다. 1935년 필리핀 헌법은 필리핀인들에게 정부에서 더 많은 역할을 부여한 필리핀 영연방을 설립한 것 외에도, 단원제 필리핀 국회를 설립했다.[4] 그러나 1940년, 1935년 필리핀 헌법 개정을 통해 필리핀 하원필리핀 상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필리핀 의회가 만들어졌다.[4] 1941년 선출된 사람들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45년까지 직무를 수행하지 못했다.[4] 침략한 일본군은 제2 필리핀 공화국을 세우고 자체 제2 필리핀 공화국 국회를 소집했다.[4] 1945년 일본의 패배와 함께 필리핀 영연방과 그 의회가 복원되었다.[4] 같은 체제는 1946년 7월 4일 미국이 독립을 승인할 때까지 계속되었다.[4]

2. 5. 독립 시대

1946년 7월 4일 필리핀 공화국이 출범하면서 공화국 법률 제6호에 따라 기존 의회는 제1공화국 의회로 불리게 되었다.[4] 이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1972년 9월 23일 계엄령을 선포할 때까지 의회는 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4]

1970년대 초, 마르코스는 1935년 헌법 개정을 위해 헌법 개정회의를 소집했고, 1973년 헌법이 승인되었다.[4] 이 헌법은 양원제 의회를 폐지하고 준대통령제 정부 체제 하에 단원제 바탕상 팜반사(Batasang Pambansa)를 설립했다.[4] 바탕상 팜반사는 1978년에 처음 소집되어 총리를 선출했다.[4]

1986년 필리핀 민중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된 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대통령령으로 통치했다.[4] 같은 해 말, 아키노 대통령은 헌법위원회를 임명하여 새 헌법을 만들었고, 다음 해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이 승인되었다.[4] 이로써 대통령제 정부와 양원제 의회가 복원되었으며, 1987년 복원된 의회가 처음 소집되었다.[4]

3. 의석

필리핀 의회의 상원과 하원은 메트로 마닐라 내 서로 다른 곳에서 회의를 진행한다. 상원은 파사이에 있는 정부 서비스 보험 시스템(GSIS) 본사인 GSIS 건물에서, 하원은 퀘존 시티의 바타상 팜반사 단지에서 회의를 갖는다. 두 건물은 약 25km 떨어져 있다.

바라소인 교회


마닐라 아윤타미엔토


구 의회 건물


불라칸주 말롤로스의 바라소인 교회는 제1 필리핀 공화국의 단원제 의회 장소였다. 미국이 제1공화국을 정복한 후 설립한 필리핀 입법부는 1907년부터 1926년까지 인트라무로스의 아윤타미엔토에서 회의를 열었고, 이후 인트라무로스 밖 의회 건물로 이전했다. 의회 건물에서 상원은 위층, 하원은 아래층을 사용했다.

1945년 마닐라 전투로 의회 건물이 파괴되자, 연방 의회는 삼팔록의 구 일본 학교에서 회의를 가졌다. 의회는 학교 강당에서 회의를 열었고, 상원은 저녁, 하원은 매일 아침 회의를 진행했다. 상원은 마닐라 시청으로 이전했고, 하원은 학교에 남았다. 1950년, 의회는 재건된 의회 건물(현재 국회 의사당)로 돌아왔다. 1973년 마르코스 대통령 통치 시기 의회는 폐쇄되었다. 마르코스는 퀘존 시티에 단원제 의회 의석을 건설했는데, 이것이 바타상 팜반사 단지가 되었다. 바타상 팜반사(국회)는 1978년 바타상 팜반사 단지에서 처음 회의를 열었다.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되면서 양원제 의회가 부활했다. 하원은 바타상 팜반사 단지를, 상원은 국회 의사당으로 돌아왔다. 1997년 5월, 상원은 마닐라 만 매립지에 있는 파사이의 GSIS 소유 새 건물로 이전했고, 국회 의사당은 국립미술관이 되었다. 상원은 타구이 포트 보니파시오에 자체 소유 새 건물로 이전할 예정이다.

4. 권한

필리핀 의회는 일반 입법권, 묵시적 권한, 고유 권한을 행사한다.[4] 일반 입법권은 개인 간 또는 개인과 국가 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률 제정으로 구성된다.[4] 묵시적 권한은 의회에 명시적으로 부여된 다른 권한의 효과적인 행사에 필수적이다. 고유 권한은 명시적으로 주어지지는 않았지만, 의회의 존재에 필요하여 행사하는 권한으로, 절차 규칙 결정, 불참 의원의 출석 강제, 의사록 작성 등이 이에 해당한다.[4]

헌법은 의회에 특정 입법권을 명시적으로 부여한다. 예산 편성권, 입법부 구성권, 탄핵권, 조약 비준권(상원만 행사), 전쟁 선포권(합동회의에서 결정), 사면 동의권, 대통령/부통령 선거 결과 집계 위원회 역할, 세금 부과 권한 등이 이에 해당한다.[4]

필리핀 의회는 행정권, 감독권, 선거권, 사법권도 가진다.[4] 행정권에는 의회 직원 임명, 조약 승인, 인사위원회를 통한 대통령 임명자 승인, 파면권 등이 있다. 감독권은 행정부에 대한 통제 및 감독으로, 부처/기관/사무소 신설 결정, 공무원 권한 및 의무 정의, 정부 운영 자금 배정 등이 포함된다. 선거권으로는 의장 및 기타 의회 직원 선출, 대통령/부통령 선거 결과 집계 위원회 역할, 동률 발생 시 대통령 선출 등이 있다. 사법권은 의원 징계, 사면 동의 및 승인, 탄핵 사건의 시작, 기소 및 결정, 의원 선거 소송 결정 등을 포함한다.[4]

그 외에도 헌법에 따라 의회에 위임된 권한은 다음과 같다. 감사원의 자금 및 재산 감사 권한 부여, 대통령에게 관세율, 할당량 및 관세를 정할 권한 부여, 대통령에게 비상시 규칙 및 규정을 수립할 권한 부여, 입법 지역 재분배, 자치에 관한 법률 시행, 국어 위원회 설립, 무상 공립 중등 교육 시행, 소규모 천연자원 이용 허용, 산림 및 국립공원의 경계 지정, 선조 영역의 소유권 및 범위 결정, 독립적인 경제 및 계획 기관 설립 등이 있다.[4]

4. 1. 일반 입법권

4. 2. 묵시적 권한

4. 3. 고유 권한

4. 4. 특정 입법권

4. 5. 행정권

4. 6. 감독권

4. 7. 선거권

4. 8. 사법권

4. 9. 기타 권한

5. 법률 제정 절차

필리핀 의회에서 법률이 제정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 법률안 준비: 의원 또는 참고 및 조사국 법률안 작성부가 의원의 요청에 따라 법률안을 준비하고 작성한다.
  • 1차 심사: 법률안은 법률안 및 색인 서비스에 제출되어 번호가 매겨지고 복제된 후, 3일 후 1차 심사를 위한 의사일정에 포함된다. 1차 심사에서 의장은 법률안의 제목과 번호를 낭독하고 해당 상임위원회에 회부한다.
  • 상임위원회 심사/조치: 법률안이 회부된 상임위원회는 공청회 개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법률안을 평가한다. 공청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시간을 정하고 공개 공고를 발행하며, 공공 및 민간 부문, 학계 및 제안된 법안 전문가의 자원 인력을 초청한다. 공청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임위원회 논의를 위한 법률안 일정을 잡는다. 공청회 또는 상임위원회 논의 결과에 따라 상임위원회는 수정안을 제출하거나 동일한 주제의 법률안을 통합하거나 대체 법률안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상임위원회 보고서를 작성하여 본회의 사무국에 공식적으로 송부한다.
  • 2차 심사: 상임위원회 보고서는 법률안 및 색인 서비스에 등록되어 번호가 매겨진 후 의사일정에 포함되어 규칙위원회에 회부된다. 규칙위원회는 2차 심사를 위한 법률안 심사 일정을 잡는다. 2차 심사에서 의장은 법률안의 번호, 제목 및 본문을 낭독하고 발의 및 토론, 수정안 제출, 투표 절차가 진행된다. 투표는 기명투표, 개표원에 의한 개표, 표결, 기명투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 3차 심사: 수정안이 있는 경우, 수정된 법률안이 3차 심사를 위해 인쇄되어 복제된다. 수정된 법률안은 3차 심사를 위한 법률안 일정에 포함되며, 3차 심사 3일 전에 모든 의원에게 배포된다. 3차 심사에서 의장은 법률안의 번호와 제목만 낭독한다. 출석 확인 또는 기명 투표가 실시되며, 의원이 원하는 경우 3분 동안 투표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법률안에 대한 수정이 허용되지 않는다.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법률안이 승인되며, 부결되면 기록 보관소에 송부된다.
  • 상원으로의 승인된 법률안 송부: 승인된 법률안은 상원에 송부되어 동의를 얻는다.
  • 상원의 하원 승인 법률안에 대한 조치: 법률안은 상원에서 동일한 입법 절차를 거친다.
  • 협의회: 협의회는 각 의회의 의원들로 구성되며, 법률안 조항에 대한 차이점이나 불일치를 해결하거나 조정하기 위해 구성된다. 협의위원은 법률안의 차이점을 조정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주제와 관련된 새로운 조항을 도입하거나 주제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법률안을 보고할 수 있다. 협의회는 모든 협의위원과 위원장이 서명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양원의 심사/승인을 위해 제출한다. 수정은 허용되지 않는다.
  • 대통령에게의 법률안 송부: 상원 의장과 하원 의장이 서명하고 상원 의장과 하원 의장이 인증한 법률안 사본은 대통령에게 송부된다.
  • 대통령의 법률안에 대한 조치: 대통령이 법률안을 승인하면, 법률 제정 번호가 부여되고 원안을 제출한 하원에 송부된다.
  • 승인된 법률안에 대한 조치: 법률안은 복제되며, 공포와 시행 기관에 대한 배포를 위해 관보 사무소에 송부된다. 그런 다음 법률 및 결의안 연례 편찬물에 포함된다.
  • 거부된 법률안에 대한 조치: 거부 메시지는 의사일정에 포함된다. 국회가 거부권을 무효화하기로 결정하면, 하원과 상원은 법률안 또는 거부된 법률안 조항을 별도로 재심사한다. 법률안 또는 거부된 조항이 각원 의원 3분의 2의 찬성으로 통과되면, 해당 법률안 또는 조항은 법률이 된다.

6. 구성

필리핀 헌법 제4조 제1절에 따라 상원하원의 양원으로 구성된다.



아래 도표에서 의회는 여러 당파로 나뉘며, 색상은 각 당파를 이끄는 인물의 정당을 나타냅니다. 당파는 의장 또는 상원 의장 선거에서 의원들의 투표에 따라 결정됩니다.

상원은 2019년과 2022년 상원 선거의 당선자들로 구성됩니다. 하원은 2022년 하원 선거의 당선자들로 구성됩니다. 양원 모두에서 다수당은 현직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을 지지하는 의원들로 구성되며, 소수당은 반대하는 의원들로 구성됩니다. 하원에는 독립 소수당이 있으며, 4석이 공석입니다.

양원 모두에서 위원회 구성원은 당파의 규모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수당과 소수당 의원만 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필리핀에서는 정당이 유동적이며, 같은 당원이 서로 다른 당파에 속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필리핀 의회는 각 원의 구성원들로부터 선출된 의장이 이끌고 있다. 상원은 상원 의장이, 하원은 하원 의장이 그 역할을 한다. 상원에는 상원 부의장이 있고, 하원에는 부의장들이 있다. 각 원은 자체적인 원내대표를 두고 있다.

6. 1. 지도부

필리핀 의회는 각 원의 구성원들로부터 선출된 의장이 이끌고 있다. 상원은 상원 의장이, 하원은 하원 의장이 그 역할을 한다. 상원에는 상원 부의장이 있고, 하원에는 부의장들이 있다. 각 원은 자체적인 원내대표를 두고 있다.

7. 표결 요건

필리핀 의회의 표결 요건은 다음과 같다.

요건상원하원합동회의전체 의원
5분의 1찬반 투표 기록 요청해당 없음해당 없음
3분의 1해당 없음탄핵소추안 통과해당 없음해당 없음
과반수 (50% + 1명)상원의장 선출하원의장 선출rowspan="2" |rowspan="2" |
colspan="2" |
3분의 2colspan="2" |전쟁 선포 (별도 투표)헌법 개정 국민투표 소집
해당 없음
4분의 3해당 없음해당 없음해당 없음헌법 개정 또는 수정 통과



대부분의 경우, 법안 승인과 같은 경우에는 출석 의원 과반수만 필요하다. 의장 선출과 같은 일부 경우에는 공석을 포함한 전체 의원의 과반수가 필요하다.

8. 회기

새로운 의회 회기는 하원 의원 선거 이후 시작된다. 1940년 개정된 1935년 헌법에 따라 상원의 중간 선거로 인해 회기 중 의원 구성이 변경되었다. 1945년부터 1972년까지 두 개의 코먼웰스 의회와 7개의 공화국 의회가 있었으며, 제2차 코먼웰스 의회는 공화국 제1대 의회가 되었다. 1973년 헌법에 따라 바타상 팜반사가 의회였으며, 두 번의 선거가 있었다. 1987년 헌법에 따라 각 상원 선거는 하원 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었으며, 그 헌법에 따른 첫 번째 의회는 "제8대 의회"로 계산되어 1935년 헌법의 마지막 의회에서 이어졌다.

8. 1. 역사적 시대별

필리핀 의회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운영 기간권한정부입법부유형상원하원
1898년~1899년말로로스 헌법 필리핀 제1공화국 통치 지역말로로스 의회단원제말로로스 의회
미국 대통령의 전시 권한 미국 군정 통치 지역계엄령; 군사 총독의 칙령 통치
1900년~1902년말로로스 헌법 필리핀 제1공화국 통치 지역말로로스 의회단원제말로로스 의회
미국 대통령의 임명 미국 군정 통치 지역타프트 위원회단원제필리핀 위원회
1902년~1907년필리핀 유기법 필리핀 도서 지역 정부필리핀 위원회단원제
1907년~1916년필리핀 입법부이원제상원하원
1916년~1935년필리핀 자치법이원제상원하원
1935년~1941년1935년 헌법국민의회단원제국민의회
1942년~1943년일본 천황의 전시 권한계엄령; 총독의 칙령 통치
1943년~1944년1943년 헌법국민의회단원제국민의회
1945년~1946년1935년 헌법 개정의회 (코먼웰스)이원제상원하원
1946년~1973년 필리핀 제3공화국의회이원제
1973년~1976년1973년 헌법 계엄령 하의 필리핀계엄령; 대통령의 칙령 통치
1976년~1978년
(소집되지 않음)
바타상 바얀단원제국민의회
1978년~1986년1973년 헌법 개정 필리핀 제4공화국바타상 팜반사단원제바타상 팜반사
1986년~1987년 과도 정부대통령의 칙령 통치
1987년~현재1987년 헌법필리핀 제5공화국의회이원제상원하원


8. 2. 역대 의회 목록

무소속 3석1946년제2차 연방 의회
200px
|frameless|국민당 (자유파) 9석
국민당 6석
인민전선 1석
200px
|frameless|국민당 (자유파) 49석
국민당 35석
민주연합 6석
기타 3석제1차 의회1947년
200px
|frameless|자유당 6석
국민당 2석1949년제2차 의회
200px
|frameless|자유당 8석
200px
|frameless|자유당 60석
국민당 33석
기타 7석1951년
200px
|frameless|국민당 8석1953년제3차 의회
200px
|frameless|국민당 5석
민주당 2석
시민당 1석
200px
|frameless|국민당 59석
자유당 31석
민주당 11석
무소속 1석1955년
200px
|frameless|국민당 9석1957년제4차 의회
200px
|frameless|국민당 6석
자유당 2석
200px
|frameless|국민당 82석
자유당 19석
국민시민당 1석1959년
200px
|frameless|국민당 5석
자유당 2석
국민시민당 1석1961년제5차 의회
200px
|frameless|자유당 4석
국민당 2석
진보당 2석
200px
|frameless|국민당 74석
자유당 29석
무소속 1석1963년
200px
|frameless|자유당 4석
국민당 4석1965년제6차 의회
200px
|frameless|국민당 5석
자유당 2석
국민시민당 1석
200px
|frameless|자유당 61석
국민당 38석
기타 5석1967년
200px
|frameless|국민당 6석
자유당 1석
무소속 1석1969년제7차 의회
200px
|frameless|국민당 6석
자유당 2석
200px
|frameless|국민당 88석
자유당 18석
기타 4석1971년
200px
|frameless|자유당 5석
국민당 3석1978년, 1984년바타상 팜반사 참조1987년제8차 의회
200px
|frameless|라칸 응 바얀 22석
민주주의를 위한 대연합 2석
200px
|frameless|PDP-라반 43석
라카스 응 반사 24석
UNIDO 19석
자유당 16석
KBL 11석
연합 55석
기타 32석
임명된 부문 의석 14석1992년제9차 의회
200px
|frameless|LDP 16석
NPC 5석
라카스 2석
자유당 1석
200px
|frameless|LDP 86석
라카스 41석
NPC 30석
LP-PDP 11석
기타 32석
임명된 부문 의석 16석1995년제10차 의회
200px
|frameless|라카스 4석
LDP 4석
국민당 1석
NPC 1석
PRP 1석
무소속 1석
200px
|frameless|여당 연합 157석
야당 연합 26석
혼합 연합 12석
기타 9석
임명된 부문 의석 16석1998년제11차 의회
200px
|frameless|라카스 5석
LDP 4석
NPC 1석
PMP 1석
PDP-라반 1석
200px
|frameless|라카스 111석
LAMMP 55석
자유당 15석
기타 25석
정당명부 14석2001년제12차 의회
200px
|frameless|라카스 3석
LDP 2석
자유당 1석
PDP-라반 1석
무소속 6석
200px
|frameless|라카스 79석
NPC 42석
LDP 21석
자유당 19석
기타 48석
정당명부 16석2004년제13차 의회
200px
|frameless|KNP 5석
라카스 4석
자유당 2석
PRP 1석
200px
|frameless|라카스 92석
NPC 53석
자유당 29석
LDP 15석
기타 20석
정당명부 28석2007년제14차 의회
200px
|frameless|자유당 2석
국민당 2석
NPC 2석
UNO 2석
캄피 1석
LDP 1석
PDP-라반 1석
무소속 1석
200px
|frameless|라카스 89석
캄피 44석
NPC 28석
자유당 23석
국민당 11석
기타 23석
정당명부 53석2010년제15차 의회
200px
|frameless|자유당 3석
라카스–캄피 2석
국민당 2석
PMP 2석
NPC 1석
PRP 1석
무소속 1석
200px
|frameless|라카스–캄피 106석
자유당 47석
NPC 29석
국민당 25석
기타 22석
정당명부 57석2013년제16차 의회
200px
|frameless|국민당 3석
UNA 3석
LDP 1석
자유당 1석
NPC 1석
PDP-라반 1석|frameless|자유당 109석
NPC 42석
NUP 24석
국민당 18석
라카스 14석
기타 27석
정당명부 59석2016년제17차 의회
200px
|frameless|자유당 5석
NPC 2석
아카얀 1석
UNA 1석
무소속 3석
200px
|frameless|자유당 115석
NPC 42석
국민당 24석
NUP 23석
UNA 11석
기타 23석
정당명부 59석2019년제18차 의회
200px
|frameless|PDP-라반 4석
국민당 3석
라카스 1석
LDP 1석
NPC 1석
UNA 1석
무소속 1석
200px
|frameless|PDP-라반 82석
국민당 42석
NPC 37석
NUP 23석
자유당 18석
라카스 12석
기타 27석
정당명부 61석2022년제19차 의회
200px
|frameless|NPC 4석
PDP-라반 1석
국민당 1석
아카얀 1석
PMP 1석
무소속 4석
200px
|frameless|PDP-라반 66석
국민당 36석
NPC 35석
NUP 33석
라카스 26석
자유당 10석
기타 47석
정당명부 62석


참조

[1] 뉴스 Escudero takes Senate helm after Zubiri resignation https://news.abs-cbn[...] 2024-05-20
[2] 웹사이트 House elects Romualdez as speaker https://www.gmanetwo[...] 2022-07-27
[3] 웹사이트 Article VI: THE LEGISLATIVE DEPARTMENT https://www.official[...] 2013-05-31
[4] 웹사이트 The Legislative Branch https://www.official[...] 2013-05-31
[5] 뉴스 LIST: New congressional districts in the 2022 elections https://www.rappler.[...] 2021-06-24
[6] 뉴스 The City Council of Manila https://news.google.[...] 2002-06-24
[7] 저널 The Philippines at the Cortes de Cádiz https://muse.jhu.edu[...] 2013-09
[8] 웹사이트 Comelec affirms cancellation of An Waray party-list registration https://newsinfo.inq[...] 2023-08-14
[9] 웹사이트 House unseats An Waray lawmaker Bem Noel after losing election case https://www.rappler.[...] 2023-09-27
[10] 웹사이트 SC affirms cancellation of An Waray party-list registration https://www.philstar[...]
[11] 웹사이트 Comelec proclaims winning party-list groups https://newsinfo.inq[...] 2022-05-26
[12] 웹사이트 United Senior Citizens party-list rep takes oath after winning fight for accreditation https://newsinfo.inq[...] 2022-11-07
[13] 웹사이트 Akbayan back in the House after Comelec formalizes 2022 election win https://www.rappler.[...] 2024-09-25
[14] 웹사이트 More rejected party-list groups get SC relief before printing of ballots https://www.rappler.[...] 2022-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