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코 요항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코 요항부는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이 대만을 점령한 후 일본 제국 해군과 오랫동안 연관된 펑후 제도의 마코 항에 설치된 3등급 해군 항구였다. 1901년 요항부로 지정되어 러일 전쟁과 중일 전쟁 초기에 기착지 및 급유 기지로 활용되었으며, 1941년 태평양 전쟁을 앞두고 필리핀과 동남아시아 침공을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경비부로 승격되었다. 1943년 다카오 경비부로 개명되어 기능이 이전되었다. 요항부와 경비부 조직 구조를 갖추었으며, 역대 지휘관 및 참모장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경비부 - 다카오 경비부
다카오 경비부는 1943년 마코 경비부에서 개명되어 설치되었으며, 1946년 종전과 함께 폐지되어 현재는 중화민국 해군 기지로 사용된다. - 1943년 해체된 단체 - 기갑군
제1기갑군은 1942년 일본 관동군이 만주 동부 국경 방위 및 전차 부대 교육 훈련을 위해 편성한 기갑 부대였으며, 요시다 신 중장이 초대 사령관를 맡았고 예하 부대로 제1전차사단, 제2전차사단 등이 있었으나 1943년 해체되었다. - 1943년 해체된 단체 - 제1견지함대
제1견지함대는 중일 전쟁 당시 장강 유역에서 활동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로, 항로 안전 확보에 주력하다 전력 축소 후 항커우 경비대로 전환, 양쯔강 특별근거지대로 재편성되어 종전 시까지 경계 및 호송 임무를 수행했다.
마코 요항부 | |
---|---|
개요 | |
명칭 | 마코 요항부 (馬公要港部) |
종류 | 요항부 (1901년~1941년) 경비부 (1941년~1943년) |
본부 | 대만 펑후 제도 마코시 |
창설 | 1943년 4월 1일 |
해체 | 1946년 4월 30일 |
2. 역사
청일 전쟁 이후 일본 제국의 대만 점령 과정에서 펑후 제도의 마코 항은 일본 제국 해군의 중요 거점으로 부상했다. 1901년 7월 4일, 마코는 3등급 해군 항구인 要港部|요코부일본어, 즉 요항부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러일 전쟁과 제2차 중일 전쟁 초기 일본 해군의 주요 기착지 및 급유 기지로 활용되었다.
1941년 11월 20일, 태평양 전쟁 발발을 앞두고 일본은 필리핀 침공과 동남아시아 지역 작전을 위한 전진 기지로서 마코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의 요항부를 '''마코 경비부'''(馬公警備府|마코 케이비후일본어)로 승격시켰다. 마코 경비부는 전쟁 초기 필리핀 및 동남아시아 침공 작전에서 중요한 기착 및 보급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3]
그러나 전황의 변화에 따라 1943년 4월 1일, 경비부의 주요 기능은 대만 본토의 다카오시(당시 다카오주)로 이전되었고, 명칭 역시 다카오 경비부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펑후 제도의 기존 부대는 '마코 방면 특별근거지대'로 축소 개편되었다.
2. 1. 설립 배경
청일 전쟁 이후 일본 제국이 대만을 점령하면서 펑후 제도에 위치한 마코 항은 일본 제국 해군과 깊은 연관을 맺게 되었다. 이러한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마코는 1901년 7월 4일부로 3등급 해군 항구인 요항부(要港部)로 공식 지정되었다. 요항부로 지정된 마코는 이후 러일 전쟁과 제2차 중일 전쟁 초기 단계에서 일본 해군의 중요한 기착지이자 급유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2. 2. 마코 경비부 승격과 태평양 전쟁
1941년 11월 20일, 일본 제국 해군은 태평양 전쟁에 대비하여 펑후 제도의 마코 기지를 요항부에서 '''마코 경비부'''(馬公警備府|마코 게이비후일본어)로 승격시켰다. 이는 필리핀 침공과 동남아시아 침략을 위한 전진 기지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경비부(警備府|게이비후일본어)는 일본 제국 해군의 2급 해군 기지로, 일선의 진수부(鎮守府|진슈후일본어)와 유사한 역할을 했다. 도크, 연료 공급 및 재보급 시설을 갖추었으나, 일반적으로 조선소나 훈련 학교는 없었다.[1] 주로 전략적 요충지나 주요 항구의 방어를 위해 설치되었으며,[2] 소규모 주둔군 함선과 해군 육전대를 자체적으로 운용했다.
마코 경비부는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필리핀 침공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해상 작전을 위한 주요 기착지 및 보급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3]
그러나 전쟁 중반인 1943년 4월 1일, 경비부의 주요 기능은 대만 본토의 다카오시(당시 다카오주)로 이전되었고, 명칭도 다카오 경비부로 변경되었다. 이후 펑후 제도의 부대는 '''마코 방면 특별근거지대'''로 개편되었다.
2. 3. 한국과의 관계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제국의 강제 징용 정책에 따라, 마코 경비부의 건설 및 운영 과정에 한국인이 강제 동원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추가적인 역사적 고증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당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개연성이 있는 주장으로 여겨진다.마코는 청일 전쟁 중 대만 침공의 거점으로 활용된 이래, 러일 전쟁, 제2차 중일 전쟁, 그리고 태평양 전쟁 중 필리핀 침공 및 동남아시아 작전에 이르기까지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침략 전쟁에서 중요한 기착지 및 보급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3] 이러한 역할은 한반도 남부에 설치되었던 진해 경비부와 함께 마코 경비부가 일본 제국 해군의 한반도 및 동아시아 해역 지배를 위한 핵심 거점 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
3. 조직 구조
마코 요항부는 작전 및 행정 지원을 담당하는 요항부와 기지 경비를 담당하는 경비부로 구성되었다. 요항부에는 참모 역할을 하는 막료를 비롯하여 항무부, 공작부, 군수부, 해군 병원, 통신대 등 다양한 부서와 시설이 포함되었다.
3. 1. 요항부
- 막료
- 항무부
- 공작부
- 군수부
- 해군 병원
- 마코 경비대
- 통신대
- * 다카오 해군통신대 / 호잔 일본 해군 무선전신소
- * 마코 해군통신대 / 마코 해군 무선전신소
- 군법회의 (1922년 4월 1일 설립)
- 감옥
- 수뢰부설대 (1906년 11월 22일 폐지)
- 수리공장
3. 2. 경비부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 부재)4. 진주만 공격 당시의 전투 서열
- 마궁 경비부
구분 | 함선명 |
---|---|
PG | 아키쓰마루 |
PG | 지요마루 |
PG | 조하쿠산마루 |
AK | 제5구레마루 |
- 마코 해군항공대
- * 94식 함상폭격기 3기
- * 제44소해대
- * 제45소해대
- * 제46소해대
5. 함선
마코 요항부에는 다양한 함선들이 배치되거나 거쳐갔다. 주요 함선들은 다음과 같다.
- 우지(宇治): 1928년
- 오이(大井): 1928년
- 기타가미(北上): 1929년
- 이스즈(五十鈴): 1930년
- 사가(嵯峨): 1934년
또한 여러 구축대가 마코 요항부에 주둔했다.
구축대 | 연도 | 소속 함선 |
---|---|---|
제14구축대 | 1928년 | 다니카제, 가와카제, 기쿠, 아오이 |
제26구축대 | 1929년, 1930년 | 가키, 쓰가, 구리, 니레(榆) |
제13구축대 | 1934년 | 와카타케, 구레타케, 사나에 |
제3구축대 | 1935년 | 시오카제, 시마카제, 우라카제, 유카제 |
제4구축대 | 1936년 | 하토, 다치카제, 아키카제, 호카제 |
제5구축대 | 1937년 | 마쓰카제, 하루카제, 아사카제, 하타카제 |
이 외에도 마공 경비 지구에는 다음 함선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 PG ''아키츠 마루''
- PG ''치요 마루''
- PG ''초하쿠산 마루''
- AK ''구레 마루 5호''
마공 항공대에는 아이치 D1A 3대가 배치되었으며, 기뢰정대 44, 45, 46도 주둔했다.
6. 역대 지휘관
'''역대 사령관'''
계급 | 이름 | 재임 기간 |
---|---|---|
중장 | 가미무라 히코노조 | 1901년 7월 4일 – 1903년 9월 23일 |
중장 | 오노모토 도모미치 | 1903년 9월 23일 – 1905년 6월 13일 |
중장 | 우에무라 나가타카 | 1905년 6월 13일 – 1905년 12월 20일 |
중장 | 하시모토 마사아키 남작 | 1905년 12월 20일 – 1906년 11월 22일 |
중장 | 나시바 도키오키 남작 | 1906년 11월 22일 – 1907년 3월 12일 |
중장 | 가노 유노신 남작 | 1907년 3월 12일 – 1909년 12월 1일 |
중장 | 다마리 지카카타 | 1909년 12월 1일 – 1910년 12월 1일 |
중장 | 이지치 히코지로 | 1910년 12월 1일 – 1911년 12월 1일 |
중장 | 고이즈미 고타로 | 1911년 12월 1일 – 1913년 4월 14일 |
중장 | 니시 신로쿠로 남작 | 1913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1일 |
중장 | 가마야 타다미치 | 1913년 12월 1일 – 1914년 12월 17일 |
중장 | 에구치 린로쿠 | 1914년 12월 17일 – 1915년 12월 13일 |
대장 | 구로이 데이지로 | 1915년 12월 13일 – 1916년 12월 1일 |
중장 | 마쓰무라 다쓰오 | 1916년 12월 1일 – 1917년 12월 12일 |
중장 | 지사카 도모지로 | 1917년 12월 12일 – 1918년 6월 13일 |
중장 | 야마지 가즈요시 | 1918년 6월 13일 – 1919년 12월 1일 |
소장 | 나카가와 시게우시 | 1919년 12월 1일 – 1920년 12월 1일 |
대장 | 타니구치 나오미 | 1920년 12월 1일 – 1921년 8월 1일 |
중장 | 요시다 기요카제 | 1921년 8월 1일 – 1921년 12월 26일 |
중장 | 이이다 히사쓰네 | 1921년 12월 26일 – 1923년 6월 1일 |
중장 | 야마우치 시로 | 1923년 6월 1일 – 1923년 11월 6일 |
중장 | 다지리 타다쓰구 | 1923년 11월 6일 – 1924년 12월 20일 |
중장 | 후지와라 에이자부로 | 1924년 12월 20일 – 1925년 8월 1일 |
중장 | 이이다 노부타로 | 1925년 8월 1일 – 1927년 12월 1일 |
소장 | 히쓰다 게사이치 | 1927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 |
중장 | 하마노 에이지로 | 1928년 12월 10일 – 1930년 12월 1일 |
중장 | 유치 슈세이 | 1930년 12월 1일 – 1932년 1월 11일 |
중장 | 고토 아키라 | 1932년 1월 11일 – 1932년 6월 18일 |
소장 | 야마우치 도요나카 | 1932년 6월 18일 – 1933년 11월 15일 |
중장 | 니야마 요시유키 | 1933년 11월 15일 – 1934년 11월 15일 |
중장 | 오노 히로시 | 1934년 11월 15일 – 1935년 11월 15일 |
중장 | 와다 센조 | 1935년 11월 15일 – 1937년 12월 1일 |
중장 | 미토 슌조 | 1937년 12월 1일 – 1938년 11월 15일 |
중장 | 하라 고로 | 1938년 11월 15일 – 1939년 11월 15일 |
중장 | 다카하시 이보 | 1939년 11월 15일 – 1941년 2월 27일 |
중장 | 야마모토 고키 | 1941년 2월 27일 – 1942년 11월 20일 |
대장 | 다카기 다케오 | 1942년 11월 20일 – 1943년 4월 1일 |
'''역대 참모장'''
계급 | 이름 | 재임 기간 |
---|---|---|
해군 중장 | 남작 니시 신로쿠로 | 1904년 12월 25일 – 1905년 6월 14일 |
해군 중장 | 남작 츠치야 미츠카네 | 1905년 6월 14일 – 1906년 5월 10일 |
해군 소장 | 오바나 산고 | 1906년 5월 11일 – 1907년 8월 5일 |
해군 소장 | 이마이 카네타네 | 1907년 8월 5일 – 1908년 8월 28일 |
해군 소장 | 히로세 준타로 | 1908년 8월 28일 – 1909년 10월 11일 |
해군 소장 | 칸노 유시치 | 1910년 10월 8일 – 1911년 6월 12일 |
해군 소장 | 히로세 코키 | 1911년 6월 12일 – 1912년 4월 20일 |
해군 소장 | 카타오카 에이타로 | 1912년 4월 20일 – 1913년 12월 1일 |
해군 중장 | 타나카 코타로 | 1913년 12월 1일 – 1914년 8월 7일 |
해군 소장 | 나카가와 시게우시 | 1914년 8월 7일 – 1915년 9월 1일 |
해군 소장 | 이와사키 모시로 | 1915년 9월 1일 – 1916년 1월 28일 |
해군 소장 | 타구치 히사모리 | 1916년 1월 28일 – 1917년 12월 1일 |
해군 소장 | 미카미 요시타다 | 1918년 12월 1일 – 1920년 7월 26일 |
해군 소장 | 토키와 모리에 | 1923년 3월 1일 – 1924년 12월 1일 |
해군 소장 | 오구리 신이치 | 1924년 12월 1일 – 1925년 4월 1일 |
해군 소장 | 요시타케 준조 | 1926년 7월 1일 – 1927년 11월 15일 |
해군 소장 | 쿠라타 타다시 | 1927년 11월 15일 – 1929년 10월 30일 |
해군 소장 | 미츠이 세이자부로 | 1929년 11월 20일 – 1931년 5월 15일 |
해군 중장 | 미토 슌조 | 1931년 5월 15일 – 1932년 12월 1일 |
해군 소장 | 스즈키 신지 | 1932년 12월 1일 – 1934년 11월 1일 |
해군 소장 | 코바타 츠요시 | 1934년 11월 1일 – 1936년 12월 1일 |
해군 중장 | 미와 시게요시 | 1936년 12월 1일 – 1938년 12월 15일 |
해군 소장 | 타나카 라이조 | 1938년 12월 15일 – 1939년 11월 15일 |
해군 소장 | 마츠자키 아키라 | 1939년 11월 15일 – 1941년 5월 10일 |
해군 중장 | 시마자키 토시오 | 1941년 5월 10일 – 1943년 4월 1일 |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s of IJA&N: Glossaries
http://maisov.oops.j[...]
2008-12-03
[2]
웹사이트
HyperWar: Japanese Naval Ground Forces (Know Your Enemy)
http://ibiblio.org/h[...]
[3]
서적
The Pacific War Pap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