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은 1804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독일의 식물학자이자 세포설의 공동 창시자이다. 그는 법학을 공부했으나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시도 후 자연 과학으로 전향하여 베를린 대학교에서 식물학을 연구했다. 1838년 "식물 발생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대한 기여"를 통해 모든 식물이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주장했으며, 테오도어 슈반과 함께 세포설을 정립했다. 슐라이덴은 세포 핵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세포 분열과의 연관성을 파악했으며, 진화론의 초기 지지자이기도 했다. 그는 예나 대학교와 타르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만년에는 철학과 역사학에 관심을 가졌고, 1881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식물학자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는 프랑스 출신의 시인이자 식물학자이며, 프로이센 군 복무와 세계 일주 탐험을 거쳐 소설 《페터 슐레미흘의 기이한 이야기》를 대표작으로 남겼고, 식물학 연구와 시 창작으로 명성을 얻었다. - 독일의 식물학자 - 에두아르트 슈트라스부르거
에두아르트 슈트라스부르거는 폴란드 출신의 식물학자로, 세포학 연구와 식물학 교과서 저술에 기여했으며, 속씨식물의 이중 수정을 증명하고 세포질과 핵질 용어를 만들었으며, 린네 메달을 수상했다. - 1804년 출생 - 벤저민 디즈레일리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19세기 영국의 정치가이자 작가로, 보수당 지도자로서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며 제국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문학 작품도 남겼으며, 윌리엄 글래드스톤과의 경쟁 속에서 영국 보수주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04년 출생 - 프랭클린 피어스
프랭클린 피어스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안 논쟁과 당파 갈등 속에서 제1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뉴햄프셔 출신 민주당원으로, 세 아들의 죽음과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았으며 외교 정책은 후대 대통령들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881년 사망 - 벤저민 디즈레일리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19세기 영국의 정치가이자 작가로, 보수당 지도자로서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며 제국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문학 작품도 남겼으며, 윌리엄 글래드스톤과의 경쟁 속에서 영국 보수주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1년 사망 - 메리 시콜
메리 시콜은 자메이카 출신으로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전통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크림 전쟁에서 부상병들을 자비로 치료하며 '시콜 어머니'로 불린 간호사이자 사업가이며, 사후 20세기 후반부터 재조명되어 인종차별을 극복한 헌신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 |
| 원어 이름 | Matthias Jakob Schleiden |
| 출생 | 1804년 4월 5일 |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자유 한자 도시 함부르크 |
| 사망 | 1881년 6월 23일 |
| 사망지 | 독일 제국, 프로이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 국적 | 독일 제국 |
| 분야 | 식물학, 생물학, 철학, 역사학 |
| 활동 기관 | 프리드리히 실러 대학교 예나, 도르파트 대학교 |
| 모교 | 루프레히트 카를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학교 괴팅겐,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
| 약칭 (식물학) | Schleid. |
| 업적 | |
| 주요 업적 | 식물의 세포설을 제창 (1838년) |
| 사제 관계 | |
| 영향 | 테오도어 슈반 |
| 제자 관계 | |
| 영향을 준 인물 | 루돌프 루트비히 카를 피르호, 에른스트 헤켈, 야코프 프리드리히 프리스 |
2. 생애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은 1804년 4월 5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함부르크의 시립 의사였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여 1827년에 졸업하였으나, 법률 사무소 운영 중 우울증과 자살 시도로 직업을 변경하게 되었다.
이후 괴팅겐 대학교에서 자연과학을 공부하다 1835년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 식물을 연구했다. 요한 호르켈의 권유로 식물 발생학을 연구하게 되었다.
슐라이덴은 현미경을 이용한 식물 구조 연구를 선호했다. 예나 대학교 식물학 교수로 재직하며 "식물 발생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대한 기여"(Beiträge zur Phytogenesisde)를 저술, 모든 식물이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로버트 브라운이 발견한 세포핵의 중요성과 세포 분열과의 연관성을 인지했다.
유대교 옹호와 반유대주의에 반대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중세 시대 유대인의 과학 보존과 부활에 대한 중요성", "중세 시대 유대인의 순교에 대한 낭만주의"라는 두 작품을 저술했다.
1863년 도르파트 대학교 식물학 교수가 되었으며, 모든 식물 부분이 세포로 만들어졌고, 식물 배아는 하나의 세포에서 발생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1881년 6월 23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사망했다.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수용한 초기 진화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
《식물과 그들의 삶》, 《연구: 대중 강연》(Studien: Populäre Vorträgede) 등은 일반 독자들을 위해 쉽게 쓰여졌으며, 독일 과학 대중화에 기여했다.[10]
1858년과 1873년에는 "에른스트"라는 필명으로 두 권의 시집을 출판했으며, 미국 작곡가 해리엇 P. 소여는 그의 시 중 하나를 "Die ersten Tropfen fallen"이라는 노래로 작곡했다.[1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04년 4월 5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시립 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14] 슐라이덴의 아버지는 함부르크 지역의 유명한 의사였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진학하여 1826년에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4] 학위 취득 후 함부르크로 돌아와 변호사로 활동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1832년에 권총으로 자살을 시도했다.[14] 이로 인해 그의 이마에는 눈에 띄는 흉터가 남았다.자살 시도를 뉘우친 후, 자연 과학에 관심을 갖고 괴팅겐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이후 베를린 대학교에서 식물학을 연구했다.
2. 2. 학문적 경력
슐라이덴은 요한 호르켈의 권유로 식물 발생학을 연구했다. 그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식물 구조를 연구하는 것을 선호했다.[14] 1838년, 슐라이덴은 "식물 발생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대한 기여"(Beiträge zur Phytogenesisde)를 저술하여 모든 식물이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테오도어 슈반과 함께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세포설의 기초가 되었다.[13]1839년, 슐라이덴은 프리드리히 실러 대학교 예나의 식물학 조교수가 되었고, 1850년부터 1862년까지 같은 대학교의 정교수로 재직했다. 1863년부터 1864년까지는 타르투 대학교에서 식물학 교수로 재직했다.[14]
2. 3. 세포설
1838년 슐라이덴은 테오도어 슈반과 식사를 하던 중 식물의 세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데에 의견이 일치했다.[13] 슐라이덴은 같은 해 논문 "식물 발생론(Beiträge zur Phytogenesisde)"에서 "식물은 독립된 세포의 집합체"라고 주장하며 식물 세포설을 제창했다. 슈반은 1839년 논문 "동물 및 식물의 구조와 성장의 일치에 관한 현미경적 연구"에서 동물 세포설을 제창하여 이들은 세포설의 공동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슐라이덴은 세포핵이 성장하여 세포가 된다는 잘못된 발표를 하기도 했다.[13] (이는 후에 루돌프 피르호에 의해 수정되었다.)
2. 4. 진화론
슐라이덴은 진화의 초기 지지자였다. 1848년 출판된 그의 저서 《식물과 그들의 삶》(''Die Pflanze und ihr Leben'')의 "식물계의 역사"에 관한 강의에서 그는 종의 변이를 옹호하는 구절을 담았다.[8] 그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받아들인 최초의 독일 생물학자 중 한 명이었으며, 독일에서 다윈주의의 주요 지지자로 묘사되어 왔다.[9]2. 5. 은퇴 이후
1863년 타르투 대학교 식물학 교수를 역임한 후,[14] 은퇴하고 드레스덴 등 각지를 전전하며 문필 활동을 했다. 만년에는 철학과 역사학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철학자 야코프 프리드리히 프리스에게 영향을 주었다. 1881년 6월 23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사망했다.[14]3. 기타
슐라이덴은 유대교를 옹호하고 반유대주의에 반대하는 글을 써서 명성을 얻었다.[8] 그는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데, 1864년까지 여섯 번이나 재판된 《식물과 그들의 삶》과 《연구: 대중 강연》(''Studien: Populäre Vorträge'')은 모두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쓰여졌다.[10] 대중 강연과 저술 활동을 통해 독일에서 과학 대중화의 동력을 창출하는 데 기여했다.[10]
슐라이덴은 '에른스트'라는 필명으로 시집을 출판하기도 했다.[11] 1858년과 1873년에 출판된 두 권의 시집이 있으며, 미국 작곡가 해리엇 P. 소여는 그의 시 중 하나를 자신의 노래 "Die ersten Tropfen fallen"으로 작곡했다.[12]
소행성 번호 37584 슐라이덴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슐라이덴은 건조 표본을 이용한 분류학적 식물학에 강하게 반대하고, 식물학 연구에 현미경 등 물리학적, 화학적 기구 도입을 주장했다.
4. 주요 저서

- 현화식물의 조직 발달에 관하여 (1838)
- 식물, 생애 (1848) (번역: 아서 헨프리)
- 농업에 적용된 전체 이론적 자연 과학 백과사전 (1850)
- 식물 연구 안내서로서의 방법론적 서론과 함께 과학적 식물학의 기초 (1861)
- 인류의 연대, 종의 기원, 그리고 자연 속 인간의 위치 (1863)
참조
[1]
서적
Das Aussprachewörterbuch
https://books.google[...]
Dudenverlag
[2]
서적
Deutsches Aussprachewörterbuch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0-10-20
[3]
서적
The Song of the Cell: An Exploration of Medicine and the New Human
https://www.simonand[...]
Scribner
2023-01-25
[4]
웹사이트
Matthias Jacob Schleiden (1804–1881) The Embryo Project Encyclopedia
https://embryo.asu.e[...]
2018-10-16
[5]
웹사이트
The Science Channel :: 100 Greatest Discoveries: Biology
http://science.disco[...]
Discovery Communications
2006-10-17
[6]
학술지
Matthias Jakob Schleiden (1804-1881): The History of Jewish Interest in Science and the Methodology of Microscopic Botany
https://www.jstor.or[...]
2003
[7]
웹사이트
Mathias Jacob Schleiden
https://web.archive.[...]
2014-02-03
[8]
웹사이트
Matthias Jakob Schleiden (1804-1881)
https://web.archive.[...]
2018-09-29
[9]
서적
The Comparative Reception of Darwin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서적
Wissenschaftspopularisierung im 19. Jahrhundert: Bürgerliche Kultur, naturwissenschaftliche Bildung und die deutsche Öffentlichkeit, 1848–1914
Oldenbourg
[11]
학술지
Matthias Jakob Schleiden (1804-1881): The History of Jewish Interest in Science and the Methodology of Microscopic Botany
https://www.jstor.or[...]
2023-05-13
[12]
웹사이트
Harriet Priscilla Sawyer Song Texts LiederNet
https://www.lieder.n[...]
2023-05-30
[13]
웹사이트
細胞の謎に挑んだ人々 2
http://homepage2.nif[...]
2015-05-05
[14]
웹사이트
Matthias Schleiden (1804-1881)
http://www.merke.ch/[...]
2015-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