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포대교는 서울특별시 마포구와 영등포구 여의도를 연결하는 다리로, 1970년 5월 서울대교로 개통되었다가 1984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개통 이후 교통 체증이 심화되어 원효대교 건설의 계기가 되었으며, 2000년 신마포대교 건설 및 구 마포대교 재가설을 통해 왕복 10차선으로 확장되었다. 대한민국 자살률 증가에 따라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자살 시도가 잦아 '생명의 다리'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나 실패로 판정, 2015년 물리적 장벽 설치로 전환되었다. 2013년에는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가 마포대교에서 투신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완공된 교량 - 생루이 교
생루이 교는 파리 4구와 5구를 잇는 센 강 위의 다리로, 생루이 섬을 지나며, 1630년 나무 다리 건설 후 파괴와 재건을 거쳐 1970년 최신 기술로 견고하고 아름답게 재건축되었다. - 1970년 완공된 교량 - 화랑교 (대구)
화랑교는 대구 동구 신암동과 효목동을 잇는 국도 제4호선(화랑로)의 일부로, 대구 시내와 외곽, 팔공산, 반야월역, 동대구역,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등을 연결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교량이다. - 국도 제46호선 - 천호대로
천호대로는 서울 동대문구 신설동역오거리에서 강동구 상일 나들목까지 이어지는 간선도로로, 1976년 '천호대로'로 개통된 후 기점 변경 및 통합을 거쳐 현재 15.5km에 이르며,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으로 서울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국도 제46호선 - 진부령로
진부령로는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46호선의 일부로,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용대 교차로에서 송죽 교차로까지 이어지며 진부령미술관 등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위치한다. - 서울 마포구의 건축물 - 광성고등학교 (서울)
광성고등학교 (서울)는 1894년 평양에서 기독교 선교와 교육을 위해 설립된 사숙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변화를 겪었으며, 1961년 서울 마포구 신수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서울 마포구의 건축물 - 가양대교
가양대교는 1994년 착공하여 2002년 준공된 다리이며, 난지도와 가양동·등촌동을 잇는 다리 건설 계획으로 시작되어 지역 주민들의 명칭 변경 요구에 따라 가양대교로 명명되었다.
마포대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교량 이름 | 마포대교 |
다른 이름 | Mapodaegyo |
공식 명칭 | 신마포대교 & 제2마포대교 |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마포구 |
횡단 | 한강 |
관리 | 서울지방국토관리청 |
설계 | 거더교 |
길이 | 1,389m |
너비 | 신마포대교: 25m (6차로), 제2마포대교: 22.75m |
교통 시설 | 국도 제46호선 |
건설 정보 | |
착공일 | 구마포대교: 1968년 2월 29일, 신마포대교: 1996년 1월, 제2마포대교: 2000년 7월 |
완공일 | 구마포대교: 1970년 5월 16일, 신마포대교: 2000년 6월 30일, 제2마포대교: 2005년 10월 17일 |
개통일 | 구마포대교: 1970년 5월 16일, 신마포대교: 2000년 7월 3일, 제2마포대교: 2005년 10월 17일 |
폐쇄일 | 구마포대교: 2000년 7월 |
한국어 이름 | |
한글 | 마포대교 |
한자 | 麻浦大橋 |
로마자 표기 | Mapo daegy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Map'o taegyo |
기타 | |
![]() |
2. 역사
1968년 2월 29일 '''서울대교'''라는 이름으로 착공하여[14] 1970년 5월 16일 개통되었다.[15] 1984년 11월 13일 서울대교에서 마포대교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6] 이후 마포대교는 이용량이 늘어나 극심한 교통체증을 겪었고, 이에 원효대교 건설과 여의도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2008년 8월부터 11월까지 보행환경 개선공사로 왕복 8차선으로 축소되기도 했다.
2012년 9월 26일 서울특별시는 삼성생명과 함께 마포대교를 생명의 다리로 조성하였다.
2013년 7월 26일 남성연대의 성재기 대표는 역차별 중지를 외치며 마포대교에서 활동비 모금을 위한 투신 퍼포먼스를 계획하였으나 사고로 사망하였다.
2. 1. 건설과 개통
1968년 2월 29일에 '''서울대교'''라는 이름으로 착공하여[14] 1970년 5월 16일에 개통되었다.[15] 1984년 11월 13일 서울대교에서 마포대교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6] 이후 마포대교는 이용량이 늘어나 극심한 교통체증을 겪었고, 이에 원효대교가 건설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여의도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2. 2. 교통 체증과 확장
마포대교는 개통 이후 이용량이 늘어나 교통 체증이 심해졌다. 이 때문에 원효대교가 건설되었고, 이는 여의도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14][15][16]2008년 8월부터 11월까지 보행환경 개선공사로 왕복 8차선으로 축소되기도 했다.
2. 3. 재가설
마포대교는 최초 개설 당시 차량 1대당 최대 중량 32톤까지만 통행할 수 있게 설계되었으나, 서울 일대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40톤 이상의 대형 차량 통행이 빈번해졌다. 이로 인해 교량 전체에 무리를 가해 상판 균열 및 하얀색 얼룩이 지는 백화 현상이 발생하기에 이르렀고 1993년에 전면 보수하기로 하였다.[17] 그런데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가 발생하면서 한강 교량 전체에 대한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고, 이때 마포대교는 기존 교량 보수를 하기 전 '''신마포대교'''를 건설하기로 하여 1996년 12월에 착공하여 2000년 6월 30일에 완공하였고, 7월 3일 오후 2시부터 통행이 이루어졌다.[18] 이와 동시에 구 마포대교는 상판을 철거하고 재가설하여 2005년 10월 17일에 '''제2마포대교'''로 재개통되어 왕복 10차선 도로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9]3. 자살 문제와 예방 노력
자살률이 높은 대한민국에서 마포대교는 투신 자살 시도가 잦은 곳으로 악명이 높았다.[4] 2007년부터 2012년 사이에는 100건이 넘는 자살 시도가 있었다.[4]
3. 1. 높은 자살률
대한민국은 자살률이 매우 높아 다리에서 뛰어내리는 자살이 흔하다. 마포대교는 2007년부터 2012년 사이에 100건이 넘는 자살 시도가 있었던 곳으로 악명이 높아 "서울 자살 다리"라고도 불렸다.[4][9]3. 2. 성재기 투신 사건
2013년 7월 26일,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는 남성에 대한 젠더 불평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단체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마포대교에서 투신했다.[3] 그의 투신 직후 구조 작업과 한강 수색이 대대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시신은 3일 후에야 수습되었다.[8]대한민국은 자살률이 높고, 다리 투신 자살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마포대교는 2007년부터 2012년까지 100건 이상의 자살 시도가 있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4]
3. 3. '생명의 다리' 캠페인
대한민국은 자살률이 매우 높아 다리에서 뛰어내리는 자살이 흔한데, 마포대교는 2007년부터 2012년 사이에 100건이 넘는 자살 시도가 있었던 곳으로 악명이 높았다.[4]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생명은 다리에서의 자살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2012년 9월부터 '생명의 다리' 캠페인을 시작했다.[9][10]이 캠페인은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다리 난간에 여러 장치를 설치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자살 예방 전문가와 심리학자의 도움을 받아 작성된 짧은 문구와 행복한 가족 사진 등이 나타나도록 조명을 설치했다.[4][5]
하지만, 이러한 조치들은 2015년에 실패로 판정되었다.[6] 결국 삼성생명은 2015년 10월까지 조명과 문구를 제거하고, 자살 예방을 위해 물리적인 장벽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11][12][13]
4. 주변 시설
마포대교는 마포구와 영등포구를 잇는 다리로,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들이 있다. 마포구 용강동 쪽에는 서울가든호텔, 토원어린이공원, 마포역이 있고, 영등포구 여의도동 쪽에는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여의도한강공원, 더 현대 서울 (백화점), 여의도고등학교가 있다.
4. 1. 마포구 용강동 측
- 서울가든호텔
- 토원어린이공원
- 마포역
4. 2. 영등포구 여의도동 측
-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 여의도한강공원
- 더 현대 서울 (백화점)
- 여의도고등학교
5. 대중문화 속 마포대교
마포대교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중요한 배경이나 소재로 등장했다.
- 영화 타짜(2006)에서는 성수대교 붕괴 사건으로 마포대교도 위험에 처하자, 등장인물 곽철용이 "마포대교는 무너졌냐?"라는 대사를 한다.[1]
- 영화 더 테러 라이브(2013)에서는 테러 범인의 표적이 되어 폭발 사고가 일어나는 다리로 나온다.[2]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2014) 촬영이 마포대교에서 진행되었다.[3]
- 최유나의 노래 "반지"(2003년)는 마포대교를 소재로 한다.[1]
5. 1. 영화
- 2006년에 개봉한 영화 타짜에서 성수대교 붕괴 사건이 일어나 마포대교도 무너질 위험에 처하자 영화에 나오는 인물인 곽철용은 "마포대교는 무너졌냐?"라고 한다.[1]
- 2013년에 개봉한 더 테러 라이브에서 범인의 표적이 되어 폭발사고가 일어난 곳의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2]
- 2014년 3월 30일에는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촬영을 이 곳에서 진행하였다.[3]
5. 2. 노래
2003년 발표된 최유나의 7집 수록곡 "반지"는 마포대교를 소재로 한 노래이다.[1]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Mapo Bridge
https://structurae.n[...]
2024-07-20
[2]
웹사이트
마포대교 麻浦大橋 (Mapo Bridge)
https://web.archive.[...]
2011-06-10
[3]
뉴스
Sung jae gi threw himself to Han river and missing
http://news.naver.co[...]
MBC
2013-07-27
[4]
뉴스
South Korea Suicides: Mapo Bridge Gets Uplifting Signs To Prevent Suicides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2-10-03
[5]
뉴스
At a Bridge in Seoul Where Koreans Frequently Give Up, Samsung Steps In
http://www.brandchan[...]
Brand Channel
2012-02-07
[6]
뉴스
Slogans for Suicide Prevention Removed from Mapo Bridge After 7 Years
http://koreabizwire.[...]
2019-10-23
[7]
웹사이트
마포대교 麻浦大橋 (Mapo Bridge)
https://web.archive.[...]
2011-06-10
[8]
뉴스
Sung jae gi threw himself to Han river and missing
http://news.naver.co[...]
MBC
2013-07-27
[9]
뉴스
South Korea Suicides: Mapo Bridge Gets Uplifting Signs To Prevent Suicides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2-10-03
[10]
뉴스
At a Bridge in Seoul Where Koreans Frequently Give Up, Samsung Steps In
http://www.brandchan[...]
Brand Channel
2012-02-07
[11]
뉴스
Slogans for Suicide Prevention Removed from Mapo Bridge After 7 Years
http://koreabizwire.[...]
2019-10-23
[12]
웹사이트
〝死の橋”となった麻浦大橋の欄干高くし自殺防止
https://japan.hani.c[...]
HANKYOREH・ハンギョレ
2015-04-17
[13]
웹사이트
自殺大国・韓国の有名スポット「ソウル自殺橋」政府の防止キャンペーンが生んだ意外な結末とは?
https://news-vision.[...]
NEW'S VISION
2018-05-22
[14]
뉴스
서울大橋(대교)착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8-02-29
[15]
뉴스
서울大橋(대교) 開通(개통) 首都(수도)발전大動脈(대동맥)1,390m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0-05-16
[16]
뉴스
2百(백)49개 길이름공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1-13
[17]
뉴스
마포대교 10월까지 전면 보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3-07-12
[18]
뉴스
신마포대교 3일 오후2시 개통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0-06-30
[19]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