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호바의 약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호바의 약속은 아프가니스탄의 고아와 과부, 지역 사회를 지원하는 호주의 자선 단체이다. 마호바 라위가 소련군의 침공으로 고통받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탈출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설립했으며,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운영된다. 이 단체는 아프가니스탄 현지에서 의료 지원, 교육 및 직업 훈련, 그리고 고아들을 위한 '희망의 집'을 운영하며, 투명한 재정 보고와 현지 협력을 통해 인도주의적 기여를 하고 있다. 마호바의 약속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유일한 독립 호주 자선 단체로, 2010년 마호바 라위는 아프가니스탄 국제 인도주의 지원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호주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동 복지 - 최기식
    최기식은 1980년대 초 광주민중항쟁 관련 수배자와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범인을 숨겨준 혐의로 구속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1983년 광복절 특사로 석방된 대한민국의 천주교 신부이다.
  • 아동 복지 - 보육원
    보육원은 가정 양육이 어려운 아동을 보호 양육하는 시설로, 아동복지법에 따라 운영되며 영아원과 육아원으로 나뉘고, 시설 환경 개선, 아동 학대 방지, 자립 지원 강화 등의 과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대안적 양육 방식이 모색되고 있다.
마호바의 약속
기본 정보
마호바의 약속 포스터
영화 포스터
감독애슐리 잽센
제작애슐리 잽센
크리스 오슨
각본애슐리 잽센
출연마호바 호비아르와 그녀의 가족
내레이션캐리 피셔
음악클린턴 쇼터
편집앤디 겐리치
배급사스타즈!
엔코어 엔터테인먼트
출시 정보
개봉일2010년 5월 7일
기타
상영 시간83분
국가미국
언어다리어

2. 배경

200px


150px


14살의 마호바 라위는 학생 활동가라는 이유로 쫓기고 있었으며, 소련군을 피해 카불의 한 지하 기지에 20일 동안 숨어 있었다.[14][3] 이후 아프가니스탄을 떠나 카이베르 고개를 넘어 파키스탄난민 수용소에 도착했을 때는 굶주림과 공포에 휩싸였다.[14][3]

1998년, 시드니 노스 라이드에 있는 임대 아파트에서 아프간 고아를 돕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5][4] 아들의 비극적인 사망 이후, 마호바는 다른 아프간 여성을 돕고, 영어와 수영 교실을 개설하며 인생을 다시 맞춰갔다.[15][4] 카불의 거리에서 죽어가는 난민 고아들의 구출을 간절히 요청하는 젊은 아프간 의사의 편지는 마호바와 그녀의 친구들이 120달러를 모으게 했고, 고아들이 기부금을 전달받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젊은 의사는 어린이들의 지문을 보내왔다.[15][4]

마호바의 약속은 아프가니스탄의 고아들을 계속 돕고 오스트레일리아와 세계에 아프가니스탄의 참혹한 상황과 그들에게 끼칠 수 있는 결과를 꾸준히 알리겠다는 그녀의 약속이 기반이 되어 설립되었다.[16][5] 2001년부터 시드니의 아프간 교민 사회의 활동적인 구성원이었으며, 이민자들을 위한 영어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16][5] 한때 난민이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파키스탄의 캠프로 도망쳐온 친지들과 연락을 유지하고 있다.[16][5]

1998년, 마호바 라위는 시드니 노스 라이드의 임대 아파트에서 소규모 기부금으로 아프간 고아를 돕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5][4] 카불 거리에서 죽어가는 난민 고아들의 구출을 간절히 요청하는 젊은 아프간 의사의 편지를 받고 마호바와 친구들은 120달러를 모금했다.[15][4] 고아들이 기부금을 받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젊은 의사는 어린이들의 지문을 보내는 방식으로 기부 활동이 본격화 되었다.[15][4]

마호바의 약속이라는 단체는 마호바가 남은 여생동안 아프가니스탄의 고아들을 계속하여 돕고 오스트레일리아와 세계에 아프가니스탄의 참혹한 상황과 이가 그들에게 끼칠 수 있는 결과를 꾸준히 알릴 것이라는 그녀의 약속이 기반이 되어 설립되었다.[16][5] 이 단체는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협회(ABC) 저널리스트인 버지니아 하우세거가 카불을 방문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잘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으며,[17][6]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다.[18][7]

2. 1. 마호바 라위의 개인적 경험

14살의 마호바 라위는 학생 활동가라는 이유로 쫓기고 있었으며, 소련군을 피해 카불의 한 지하 기지에 20일 동안 숨어 있었다.[14][3] 이후 아프가니스탄을 떠나 카이베르 고개를 넘어 파키스탄난민 수용소에 도착했을 때는 굶주림과 공포에 휩싸였다.[14][3]

1998년, 시드니 노스 라이드에 있는 임대 아파트에서 아프간 고아를 돕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5][4] 아들의 비극적인 사망 이후, 마호바는 다른 아프간 여성을 돕고, 영어와 수영 교실을 개설하며 인생을 다시 맞춰갔다.[15][4] 카불의 거리에서 죽어가는 난민 고아들의 구출을 간절히 요청하는 젊은 아프간 의사의 편지는 마호바와 그녀의 친구들이 120달러를 모으게 했고, 고아들이 기부금을 전달받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젊은 의사는 어린이들의 지문을 보내왔다.[15][4]

마호바의 약속은 아프가니스탄의 고아들을 계속 돕고 오스트레일리아와 세계에 아프가니스탄의 참혹한 상황과 그들에게 끼칠 수 있는 결과를 꾸준히 알리겠다는 그녀의 약속이 기반이 되어 설립되었다.[16][5] 2001년부터 시드니의 아프간 교민 사회의 활동적인 구성원이었으며, 이민자들을 위한 영어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16][5] 한때 난민이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파키스탄의 캠프로 도망쳐온 친지들과 연락을 유지하고 있다.[16][5]

2. 2. 단체 설립 과정

1998년, 마호바 라위는 시드니 노스 라이드의 임대 아파트에서 소규모 기부금으로 아프간 고아를 돕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5][4] 카불 거리에서 죽어가는 난민 고아들의 구출을 간절히 요청하는 젊은 아프간 의사의 편지를 받고 마호바와 친구들은 120달러를 모금했다.[15][4] 고아들이 기부금을 받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젊은 의사는 어린이들의 지문을 보내는 방식으로 기부 활동이 본격화 되었다.[15][4]

마호바의 약속이라는 단체는 마호바가 남은 여생동안 아프가니스탄의 고아들을 계속하여 돕고 오스트레일리아와 세계에 아프가니스탄의 참혹한 상황과 이가 그들에게 끼칠 수 있는 결과를 꾸준히 알릴 것이라는 그녀의 약속이 기반이 되어 설립되었다.[16][5] 이 단체는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협회(ABC) 저널리스트인 버지니아 하우세거가 카불을 방문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잘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으며,[17][6]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다.[18][7]

3. 단체의 활동

아프가니스탄 파슈툰 부족 출신 소녀, 카불, 아프가니스탄 2002.


마호바의 약속은 전적으로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운영되며(정부 지원 없음), 매달 아프가니스탄으로 자금이 보내진다. 마호바의 약속은 아프가니스탄에 등록된 비정부 기구(NGO)이다.[8] 재정 보고서는 현장에서 받아 사무실에서 영수증을 보관하며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아프가니스탄 독립 인권 위원회 등은 카불에서 가장 어려운 사례에 실질적이고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가장 적합한 시설로, 궁핍한 고아들을 이 단체에 의뢰한다.[8] 마호바의 약속은 오스트레일리아 국제 개발 위원회인 ACFID의 행동 강령 서명자이며, 카불에 있는 마호바의 약속 NGO는 아프가니스탄 구호 조정 기구인 ACBAR의 옵저버 회원이다.[8]

2009년, 마호바의 약속은 희망의 집 고아와 과부, 그리고 지역 사회에 의료 및 치과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현지 의사와 치과 의사가 근무하는 의료 센터를 열었다.[9]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과 진균 감염을 포함한 피부 문제와 모래 파리 물림으로 인한 리슈만편모충증이다. 청력 및 잇몸 문제도 흔하다.[9] 판지시르 계곡의 수공예 장인 훈련 센터에는 자녀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벌 수 있도록 기술을 배우고 싶어하는 과부들이 많이 참여했다.[9] 2010년, ''Conergy Australia''에서 다섯 대의 태양열 온수기를 기증했으며, 수개월에 걸쳐 운송 협상을 거친 후, 이 온수기들은 커뮤니티 센터 지붕에 설치되었다. 이를 통해 물을 데우기 위해 나무를 구매하는 데 사용되던 예산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9]

3. 1. 희망의 집 (Hope House)



마호바의 약속은 전적으로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운영되며(정부 지원 없음), 매달 아프가니스탄으로 자금이 보내진다. 마호바의 약속은 아프가니스탄에 등록된 비정부 기구(NGO)이다.[8] 재정 보고서는 현장에서 받아 사무실에서 영수증을 보관하며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아프가니스탄 독립 인권 위원회 등은 카불에서 가장 어려운 사례에 실질적이고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가장 적합한 시설로, 궁핍한 고아들을 이 단체에 의뢰한다.[8] 마호바의 약속은 오스트레일리아 국제 개발 위원회인 ACFID의 행동 강령 서명자이며, 카불에 있는 마호바의 약속 NGO는 아프가니스탄 구호 조정 기구인 ACBAR의 옵저버 회원이다.[8]

2009년, 마호바의 약속은 희망의 집 고아와 과부, 그리고 지역 사회에 의료 및 치과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현지 의사와 치과 의사가 근무하는 의료 센터를 열었다.[9]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과 진균 감염을 포함한 피부 문제와 모래 파리 물림으로 인한 리슈만편모충증이다. 청력 및 잇몸 문제도 흔하다.[9] 판지시르 계곡의 수공예 장인 훈련 센터에는 자녀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벌 수 있도록 기술을 배우고 싶어하는 과부들이 많이 참여했다.[9] 2010년, ''Conergy Australia''에서 다섯 대의 태양열 온수기를 기증했으며, 수개월에 걸쳐 운송 협상을 거친 후, 이 온수기들은 커뮤니티 센터 지붕에 설치되었다. 이를 통해 물을 데우기 위해 나무를 구매하는 데 사용되던 예산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9]

3. 2. 의료 지원

마호바의 약속은 2009년 희망의 집 고아와 과부, 그리고 지역 사회를 위한 의료 센터를 열었다. 현지 의사와 치과 의사가 근무하며,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과 진균 감염을 포함한 피부 문제와 모래 파리 물림으로 인한 리슈만편모충증이다.[9] 청력 및 잇몸 문제도 흔하게 발생한다.[9] 판지시르 계곡의 수공예 장인 훈련 센터에는 과부들이 많이 참여하는데, 이곳에서도 의료 지원이 이루어진다.[9] 2010년에는 ''Conergy Australia''에서 다섯 대의 태양열 온수기를 기증받아 커뮤니티 센터 지붕에 설치하여 물을 데우는 데 사용되던 예산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9]

3. 3. 교육 및 직업 훈련

2009년, 마호바의 약속은 희망의 집 고아와 과부, 그리고 지역 사회에 의료 및 치과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현지 의사와 치과 의사가 근무하는 의료 센터를 열었다.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과 진균 감염을 포함한 피부 문제와 모래 파리 물림으로 인한 리슈만편모충증이다. 청력 및 잇몸 문제도 흔하다.[9] 최근에 개설된 판지시르 계곡의 수공예 장인 훈련 센터에는 자녀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벌 수 있도록 기술을 배우고 싶어하는 과부들이 많이 참여했다.[9] 2010년, ''Conergy Australia''에서 다섯 대의 태양열 온수기를 기증했으며, 수개월에 걸쳐 운송 협상을 거친 후, 이 온수기들은 커뮤니티 센터 지붕에 설치되었다. 이를 통해 물을 데우기 위해 나무를 구매하는 데 사용되던 예산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여름에도 지역 우물의 물은 매우 차갑기 때문이다.[9]

3. 4. 기타 활동

마호바의 약속은 오스트레일리아 국제 개발 위원회(ACFID)의 행동 강령 서명자이며, 카불에 있는 마호바의 약속 NGO는 아프가니스탄 구호 조정 기구인 ACBAR의 옵저버 회원이다.[8] 2009년에는 희망의 집 고아와 과부, 지역 사회에 의료 및 치과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현지 의사와 치과 의사가 근무하는 의료 센터를 열었다.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과 진균 감염을 포함한 피부 문제와 모래 파리 물림으로 인한 리슈만편모충증이다. 청력 및 잇몸 문제도 흔하게 발생한다.[9] 판지시르 계곡의 수공예 장인 훈련 센터에는 자녀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벌 수 있도록 기술을 배우고 싶어하는 과부들이 많이 참여했다.[9] 2010년에는 ''Conergy Australia''에서 다섯 대의 태양열 온수기를 기증, 커뮤니티 센터 지붕에 설치하여 물을 데우기 위해 나무를 구매하는 데 사용되던 예산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9]

4. 단체의 특징 및 의의

아프간 소녀들이 책을 읽고 있다, 2007년


마호바의 약속(Mahboba's Promise)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유일한 독립 호주 자선 단체이다. 이 단체의 직원들은 아프간 사람들의 언어, 문화, 필요에 대한 현지 지식을 가지고 있다. 탈레반과의 전쟁이 계속되면서 구호 활동가에게 극도로 위험한 국가가 되었기에, 다른 많은 비영리 단체들이 아프가니스탄을 떠나야 했다.[10]

버지니아 하우세거(Virginia Haussegger)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마호바의] 카불에 있는 두 개의 고아원과 판지시르 계곡의 200명의 소녀를 위한 학교를 포함한 수도 외곽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은 삶을 변화시키고 구했을 뿐만 아니라, 무엇이 가능한지 보여주는 사례를 제시했다."[11]

"아프가니스탄에는 2백만 명 이상의 과부가 있으며, 그들 대부분은 문맹이고 실업 상태이다. 이곳에는 사회 복지나 정부 지원이라는 개념이 없다...마호바 라위(Mahboba Rawi)는 전쟁으로 인해 가난하게 된 아프간 여성들의 파괴되고 절망적인 삶을 재건하는, 겉보기에는 불가능해 보이는 임무를 스스로에게 부여한 특별한 여성이다...

마호바 라위의 가장 큰 프로젝트는 카불 외곽에 위치해 있으며, '희망의 집(Hope House)'이라는 자랑스러운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곳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행복하고 운이 좋은 106명의 고아들의 보금자리이다."[5]

마호바 라위는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인도주의 지원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0년 영국 여왕 생일 기념 훈장에서 호주 훈장을 수여받았다.

4. 1. 자발적 기부 및 투명성

마호바의 약속은 정부 지원 없이 전적으로 자발적인 기부금으로 운영된다.[8] 자금은 매달 아프가니스탄으로 보내지며, 마호바의 약속은 아프가니스탄 현지에 등록된 비정부 기구(NGO)이다.[8] 재정 보고서는 현장에서 받아 사무실에서 영수증을 보관하며 검사를 받을 수 있다.[8] 아프가니스탄 독립 인권 위원회 등은 카불에서 가장 어려운 사례에 실질적,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가장 적합한 시설로, 궁핍한 고아들을 이 단체에 의뢰한다.[8] 마호바의 약속은 오스트레일리아 국제 개발 위원회(ACFID)의 행동 강령 서명자이며, 카불에 있는 마호바의 약속 NGO는 아프가니스탄 구호 조정 기구(ACBAR)의 옵저버 회원이다.[8]

4. 2. 현지 협력 및 전문성

마호바의 약속(Mahboba's Promise)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유일한 독립 호주 자선 단체이다.[10] 직원들은 아프간 사람들의 언어, 문화, 필요에 대한 현지 지식을 가지고 있다. 탈레반과의 전쟁이 계속되면서 구호 활동가에게 극도로 위험한 국가가 되었기에, 다른 많은 비영리 단체들이 아프가니스탄을 떠나야 했다.[10]

버지니아 하우세거(Virginia Haussegger)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마호바의] 카불에 있는 두 개의 고아원과 판지시르 계곡의 200명의 소녀를 위한 학교를 포함한 수도 외곽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은 삶을 변화시키고 구했을 뿐만 아니라, 무엇이 가능한지 보여주는 사례를 제시했다."[11]

마호바 라위는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인도주의 지원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0년 영국 여왕 생일 기념 훈장에서 호주 훈장을 수여받았다.

4. 3. 인도주의적 기여



마호바의 약속(Mahboba's Promise)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유일한 독립 호주 자선 단체이다. 이 단체의 직원들은 아프간 사람들의 언어, 문화, 필요에 대한 현지 지식을 가지고 있다. 탈레반과의 전쟁이 계속되면서 구호 활동가에게 극도로 위험한 국가가 되었기에, 다른 많은 비영리 단체들이 아프가니스탄을 떠나야 했다.[10]

버지니아 하우세거(Virginia Haussegger)는 "[마호바의] 카불에 있는 두 개의 고아원과 판지시르 계곡의 200명의 소녀를 위한 학교를 포함한 수도 외곽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은 삶을 변화시키고 구했을 뿐만 아니라, 무엇이 가능한지 보여주는 사례를 제시했다."라고 평가했다.[11]

"아프가니스탄에는 2백만 명 이상의 과부가 있으며, 그들 대부분은 문맹이고 실업 상태이다. 이곳에는 사회 복지나 정부 지원이라는 개념이 없다...마호바 라위(Mahboba Rawi)는 전쟁으로 인해 가난하게 된 아프간 여성들의 파괴되고 절망적인 삶을 재건하는, 겉보기에는 불가능해 보이는 임무를 스스로에게 부여한 특별한 여성이다... 마호바 라위의 가장 큰 프로젝트는 카불 외곽에 위치해 있으며, '희망의 집(Hope House)'이라는 자랑스러운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곳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행복하고 운이 좋은 106명의 고아들의 보금자리이다."[5]

마호바 라위는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인도주의 지원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0년 영국 여왕 생일 기념 훈장에서 호주 훈장을 수여받았다.

5. 한국과의 관계

5. 1. 국제 협력 강화

5. 2. 난민 지원 확대

5. 3. 국제적 위상 제고

참조

[1] 간행물 Mahboba's Promise: Three out of five children in Afghanistan are orphans http://findarticles.[...] For a Change 2002-12
[2] 웹사이트 Afghanistan programs http://www.unicef.or[...] 2009-07-20
[3] 뉴스 A haven of hope amidst war-torn Kabul http://www.abc.net.a[...] ABC News 2009-05-15
[4] 서적 Mahboba's Promise https://web.archive.[...] ABC Books 2005
[5] 뉴스 Virginia Haussegger Mahboba's Promise ABC TV 7.30 Report http://www.abc.net.a[...] 2009
[6] 웹사이트 Virginia Goes to Kabul http://www.abc.net.a[...] 2009-07-15
[7] 웹사이트 Mahboba's Promise https://web.archive.[...] 2009-07-15
[8] 라디오 Mahboba's Promise http://www.abc.net.a[...] ABC Radio National 2009-06-13
[9] 간행물 Mahboba's Promise. Newsletter 2010
[10] 웹사이트 British Aid worker in Afghanistan: aid agencies to review security https://www.telegrap[...] 2023-06-29
[11] 뉴스 Doing it tough, Kabul style The Canberra Times 2009-05-02
[12] 문서 제인 밀스도 있습니다.
[13] 문서 유니세프습니다.
[14] 문서 버지니아 Haussegger 니다.
[15] 문서 Mahboba 라습니다.
[16] 뉴스 버지니아 Haussegger Mahboba 의 약속 ABC TV7.30 보고합니다 http://www.abc.net.a[...] 2009
[17] 문서 크리스님.
[18] 문서 Amin Palangi 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