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관통 단백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관통 단백질은 세포막을 관통하는 단백질로, 구조에 따라 알파 나선 단백질과 베타 배럴 단백질로 분류된다. 알파 나선 단백질은 세포막을 관통하는 알파 나선 구조를 가지며, 베타 배럴 단백질은 베타 시트가 원통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막관통 단백질은 수송, 채널 형성, 효소, 수용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세포 내외의 물질 이동, 신호 전달, 생화학 반응 촉매 등에 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관통 단백질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막관통 단백질 - 인테그린
    인테그린은 세포와 세포 외 기질 사이의 부착과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α와 β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이량체 막 단백질로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일부는 암세포 전이에 기여하고 혈전 관련 질환 치료의 표적이 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광계
    광계는 틸라코이드 막에 위치하며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는 단백질 복합체로, 광수집 복합체에 둘러싸인 반응 중심을 가지며 물 분해를 통해 전자를 얻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계 II와 NADPH를 생성하는 광계 I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광합성에서 광계 II와 광계 I 사이의 전자 및 에너지 전달을 매개하고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질러 양성자를 수송하여 ATP 합성을 촉진하는 단백질 복합체로서, 순환적 광인산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와 구조적 유사성을 갖는 8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량체이다.
막관통 단백질
개요
유형막단백질
위치생물학적 막 전체
상세 정보
기능세포 신호 전달, 막 수송
관련 질병낭포성 섬유증
식별PDB 및 관련 데이터베이스
종류
통과 횟수바이트픽(1회 통과) 또는 다중 통과
구조알파 나선 또는 베타 배럴

2. 구조에 따른 분류

막관통 단백질은 구조에 따라 크게 알파 나선 구조와 베타 배럴 구조,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4] 알파 나선 단백질은 주로 세포막에 존재하며, 베타 배럴 단백질은 그람 음성 세균의 외막, 그람 양성 세균의 세포벽, 미토콘드리아엽록체의 외막 등에서 발견된다.

단백질 도메인 외에도 펩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특이한 막관통 요소도 있다. 예를 들어 그라미시딘 A는 이량체 막관통 β-나선을 형성하는 펩타이드이다.[7]

2. 1. 알파-나선(α-helix) 막관통 단백질

알파 나선 막관통 단백질은 가장 흔한 유형의 막관통 단백질로, 세균 세포의 내막 또는 진핵 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며, 경우에 따라 세균 외막에도 존재한다.[4][5] 이는 막관통 단백질의 주요 유형으로, 인간의 경우 전체 단백질의 27%가 알파 나선 막 단백질로 추정된다.[6][25]

2. 2. 베타-배럴(β-barrel) 막관통 단백질

베타 배럴은 베타-시트가 원통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 단백질이다. 주로 그람 음성 세균의 외막, 그람 양성 세균의 세포벽, 미토콘드리아엽록체의 외막에서 발견된다. 일부는 기공 형성 독소로 분비되기도 한다.[4] 모든 베타-배럴 막관통 단백질은 가장 단순한 상하(up-and-down) 토폴로지를 가지는데, 이는 공통적인 진화 기원과 유사한 폴딩 메커니즘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3]

8개의 베타 가닥으로 구성되고 전단수 10(''n=8, S=10'')을 갖는 베타 배럴은 다음과 같다:[20]

단백질 종류
OmpA
OmpX
OmpW
PagP
PagL
NspA



다른 베타 배럴 막관통 단백질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20]

단백질 종류nS
자가수송체 도메인1214
FadL 외막 단백질 수송 계열 ( 지방산 수송체 FadL 포함)1414
일반 세균 포린 계열 (삼량체 포린)1620
말토포린 (당 포린)1822
뉴클레오사이드 특이적 포린1216
외막 인지질가수분해효소 A11216
TonB 의존적 수용체 및 플러그 도메인 (리간드-게이트 외막 채널, 코발라민 수송체 BtuB, Fe(III)-피오켈린 수용체 FptA, 수용체 FepA, 철(III) 하이드록사메이트 섭취 수용체 FhuA, 수송체 FecA, 피오베르딘 수용체 FpvA 포함)2224
외막 단백질 OpcA 계열 (외막 프로테아제 OmpT 및 부착 단백질/침윤 단백질 OpcA 포함)1012
외막 단백질 G 포린 계열1416


  • 참고: ''n''은 베타 배럴의 베타 가닥 수, ''S''는 전단 수[39]

2. 3. 기타 막관통 구조

단백질 도메인 외에도 펩타이드에 의해 형성된 특이한 막관통 요소가 존재한다. 전형적인 예는 이량체 막관통 β-나선을 형성하는 펩타이드인 그라미시딘 A이다.[7] 이 펩타이드는 그람 양성 세균에 의해 항균 펩타이드로서 분비된다. 막관통 폴리프롤린-II 나선은 자연 단백질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특별히 설계된 인공 펩타이드에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8]

3. 토폴로지에 따른 분류

막관통 단백질은 막을 관통하는 횟수와 N-말단과 C-말단이 지질 이중층의 서로 다른 쪽에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단백질이 소포체(ER) 막을 통과해야 하는 전위 및 ER-결합 번역 시에 특히 뚜렷하게 나타난다.[9] I형 및 II형 막관통 단백질은 최종적으로 토폴로지가 반전되는데, I형 단백질은 N-말단이 세포 바깥쪽에, C-말단이 세포질 쪽에 있는 반면, II형 단백질은 C-말단이 세포 바깥쪽에, N-말단이 세포질 쪽에 있다. 그러나 최종 토폴로지만이 막관통 단백질 그룹을 정의하는 유일한 기준은 아니며, 막관통 도메인의 위치와 조립 메커니즘 또한 분류에 고려된다.[10]

I형(왼쪽) 및 II형(오른쪽) 막관통 단백질

3. 1. 단일 통과(Single-pass) 막관통 단백질

I, II, III, IV형은 단일 통과 분자이다. I형 막관통 단백질은 stop-transfer 앵커 서열로 지질 막에 고정되며, 합성 중 N-말단 도메인이 소포체(ER) 강으로 표적화된다(성숙 형태가 세포막에 위치하는 경우 세포외 공간). II형과 III형은 신호-앵커 서열로 고정되며, II형은 C-말단 도메인으로 ER 강을 표적화하는 반면, III형은 N-말단 도메인이 ER 강을 표적화한다. IV형은 N-말단 도메인이 세포질로 표적화되는 IV-A와 N-말단 도메인이 강으로 표적화되는 IV-B로 세분된다.[9]

3. 2. 다중 통과(Multi-pass) 막관통 단백질

세포막을 여러 번 관통하는 단백질이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다중 통과 막관통 단백질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이 없으므로, 이 내용은 요약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4. 3차원 구조

X선 결정학, 전자 현미경, NMR 분광법으로 막단백질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11] 막관통 나선 다발과 베타 배럴은 이러한 단백질에서 가장 흔한 3차 구조이다. 환형 지질 쉘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질 이중층에 부착된 막단백질 부분은 대부분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12]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소수성 표면을 가지며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막단백질은 충분한 단백질을 얻고 결정을 성장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막단백질이 기능적으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구상 단백질보다 원자 해상도 구조를 결정하기가 더 어렵다.[13] 2013년 1월 기준으로 전체 프로테옴의 20~30%를 막단백질이 차지하지만, 결정된 단백질 구조 중 막단백질은 0.1% 미만이었다.[14] 이러한 어려움과 막단백질의 중요성 때문에 소수성 도표, 양성 내부 규칙 등 여러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단백질 구조 예측 방법이 개발되었다.[15][16][17]

알려진 막관통 단백질의 3차원 구조 수의 증가

5. 안정성 및 폴딩

막관통형 α 나선 단백질은 막 내에서 완전히 '''언폴딩'''(unfolding; 펼침)되지 않기 때문에, 열 변성 연구를 통해 판단하면 매우 안정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단백질은 막 내에서의 비자연적 응집, Molten globule|용융 글로불영어 상태로의 이동, 비자연적 이황화 결합 형성, 또는 국소적으로 불안정한 주변 영역이나 비규칙적인 루프의 언폴딩 때문에 쉽게 '''미스폴딩'''(misfold; 잘못된 접힘)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미셀 내의 막 단백질의 언폴드 상태는 열 변성 실험의 상태와 다르다. 이 상태는 접힌 소수성 α 나선과 계면활성제로 덮인 부분적으로 접히지 않은 세그먼트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라우릴 황산 나트륨(SDS) 미셀 내의 「언폴드」된 세균 로돕신은 4개의 막관통형 α 나선이 접혀 있지만, 단백질의 나머지 부분은 미셀과 물의 계면에 위치하며, 다양한 유형의 비자연적 양친매성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 변성 상태와 네이티브 상태 사이의 자유 에너지 차이는 수용성 단백질의 안정성(10kcal/mol 미만)과 유사하다.

β 배럴 막관통형 단백질의 안정성은 화학적 변성 연구에 기초한 수용성 단백질의 안정성과 유사하다. β 배럴 막관통형 단백질 중에는 카오트로픽 시약이나 고온에서도 매우 안정적인 것이 있다. 이들의 생체 내(in vivo) 폴딩은 Skp와 같은 수용성 샤페론에 의해 촉진된다. 또한, β 배럴 막 단백질은 진화 과정에서 시트의 수가 증가하거나 2배가 되어도 같은 조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몇몇 연구에서는 다른 생물 간의 거대한 서열 보존과 구조를 유지하고 폴딩을 돕는 아미노산도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7]

5. 1. 알파-나선 막관통 단백질

막관통 α-나선 단백질은 막 내에서 완전히 펼쳐지지 않기 때문에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완전히 펼쳐지려면 비극성 환경에서 많은 α-나선 수소 결합을 끊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이 단백질들은 막 내에서의 비정상적인 응집, 용융 구상체 상태로의 전이, 비정상적인 이황화 결합 형성, 또는 국소적으로 덜 안정적인 주변 영역 및 비정규 루프의 펼침으로 인해 쉽게 잘못된 폴딩(misfolding)이 일어날 수 있다.

세제 미셀 내에서 막 단백질의 펼쳐진 상태는 열 변성 실험에서의 상태와 다르다. 이 상태는 접힌 소수성 α-나선과 세제에 의해 덮인 부분적으로 펼쳐진 세그먼트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DS 미셀 내의 "펼쳐진" 세균 로돕신은 4개의 막관통 α-나선이 접혀 있으며, 나머지 단백질은 미셀-물 계면에 위치하며 다양한 유형의 비정상적인 양쪽성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변성 상태와 네이티브 상태 간의 자유 에너지 차이는 수용성 단백질의 안정성과 유사하다(10kcal/mol 미만).[2]

α-나선 막관통 단백질의 ''in vitro'' 재폴딩(refolding)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세균 로돕신과 같이 재폴딩 실험에 성공한 사례는 비교적 드물다. ''In vivo''에서 이러한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거대한 막관통 전이체 내에서 번역과 함께 폴딩이 일어난다. 전이체 채널은 새로 생성된 막관통 α-나선에 매우 이질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상대적으로 극성을 띠는 양쪽성 α-나선은 전이체 내에서 막관통 방향을 가질 수 있다(극성 잔기가 전이체의 중앙 물 채널을 향할 수 있기 때문에 막 표면에 있거나 ''in vitro''에서 펼쳐져 있을 수 있음). 이러한 메커니즘은 극성 α-나선이 막관통 단백질의 구조에 통합되는 데 필수적이다. 양쪽성 나선은 단백질이 완전히 합성되고 폴딩될 때까지 전이체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다. 단백질이 너무 오랫동안 펼쳐진 채로 전이체에 부착되어 있으면 특정 "품질 관리" 세포 시스템에 의해 분해된다.[2]

5. 2. 베타-배럴 막관통 단백질

베타-배럴(β-barrel) 막관통 단백질의 안정성은 화학적 변성 연구에 따르면 수용성 단백질의 안정성과 유사하다.[18] [37] 이들 중 일부는 카오트로픽 시약과 고온에서도 매우 안정적이다.[18] [37] 이들의 ''생체 내'' 폴딩은 단백질 Skp와 같은 수용성 샤페론에 의해 촉진된다.[18] [37] β-배럴 막 단백질은 진화 과정에서 시트 수가 추가되거나 두 배로 증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조상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18] [37] 일부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유기체 간의 거대한 서열 보존과 구조를 유지하고 폴딩을 돕는 보존된 아미노산이 나타난다.[18] [37]

6. 막관통 단백질의 기능

막관통 단백질은 세포막을 관통하며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에는 수송, 채널, 효소, 수용체가 있다.


  • 수송: 세포막을 통해 이온, 당, 아미노산, 대사물질 등 다양한 물질을 운반한다. ABC 수송체는 다양한 물질을 세포 안팎으로 수송하고, 미토콘드리아 운반체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대사에 필요한 물질을 수송한다. 주요 촉진체 슈퍼패밀리(MFS)에는 글리세롤-3-인산 수송체, 락토스 투과 효소 등이 있으며, 저항성 결절-세포 분열(RND) 슈퍼패밀리는 다제 내성을 유발하는 수송체를 포함한다.
  • 채널: 특정 이온이나 분자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전압 개폐 이온 통로는 막 전압 변화에 따라 열리고 닫히며, 아쿠아포린은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 효소: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특정 화학 반응을 촉매한다. 메탄 모노옥시게나제는 메탄 산화 반응을, 롬보이드 프로테아제는 막 단백질 절단 반응을 촉매한다.
  • 수용체: 세포 외부 신호 분자를 감지해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한다. T 세포 수용체는 면역 반응에 중요하며, 글리코포린 A는 적혈구 막에 존재하며 다양한 기능을 한다.

6. 1. 수송 (Transporters)

세포막을 통해 이온, 당, 아미노산, 대사물질 등 다양한 물질을 수송하는 막관통 단백질은 다음과 같다.

  • 세균 로돕신 유사 단백질 (로돕신 포함, 옵신 참조)
  • 세균 광합성 반응 중심 및 광계 I과 II
  • 광 수확 복합체 (bacteria) 및 엽록체
  • 막관통 시토크롬 b 유사 단백질: 조효소 Q - 시토크롬 c 환원효소(시토크롬 bc1); 시토크롬 b6f 복합체; 호흡성 질산염 환원효소; 숙신산 - 조효소 Q 환원효소(푸마르산 환원효소); 그리고 숙신산 탈수소효소. 전자 전달 연쇄 참조.
  • 시토크롬 c 산화효소는 세균미토콘드리아에서 유래한다.
  • 양성자 또는 나트륨 이동 F형 및 V형 ATPase
  • P형 칼슘 ATPase(다섯 가지 다른 형태)
  • 칼슘 ATPase 조절인자 포스포람반 및 사르코립인
  • ABC 수송체
  • 일반적인 분비 경로(Sec) 전위체(전단백질 전이효소 SecY)
  • 미토콘드리아 운반체 단백질
  • 주요 촉진제 슈퍼패밀리(글리세롤-3-인산 수송체, 락토스 투과효소, 다약제 수송체 EmrD)
  • 저항-결절-세포 분열(다약제 유출 수송체 AcrB, 다약제 내성 참조)
  • 이염기산/아미노산:양이온 공수송체(양성자 글루탐산염 공수송체)
  • 일가 양이온/양성자 역수송체(나트륨/양성자 역수송체 1 NhaA)
  • 신경전달물질 나트륨 공수송체
  • 암모니아 수송체
  • 약물/대사체 수송체(소형 다약제 내성 수송체 EmrE - 구조는 오류로 인해 철회됨)

6. 2. 채널 (Channels)

6. 3. 효소 (Enzymes)


  • 메탄 모노옥시게네이스
  • Rhomboid protease
  • 이황화 결합 형성 단백질(DsbA-DsbB 복합체)

6. 4. 수용체 (Receptors)

세포 외부의 신호 분자를 감지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는 막관통 단백질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T 세포 수용체 복합체의 서브유닛[19]
  • T 세포 수용체 막관통형 이량체화 도메인[19]
  • 사이토크롬 c 아질산염 환원 효소 복합체[19]
  • 사이토크롬 c 아질산 레덕타아제 복합체[19]
  • Glycophorin|글리코포린영어 A 이량체[19], [38]
  • 이노바이러스(사상 파지) 주요 외피 단백질[19]
  • 이노바이러스(섬유상 파지) 주요 코트 단백질[38]
  • 필린[19],[38]
  • 폐 계면활성제 관련 단백질[19],[38]
  • 모노아민 산화 효소 A 및 B[19],[38]
  • 지방산 아미드 가수 분해 효소[19],[38]
  • 사이토크롬 P450 산화 효소[19]
  • 시토크롬 P450 옥시다아제[38]
  • 미네랄 코르티코이드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11β-탈수소 효소[19]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11β-탈수소 효소[38]
  • Signal peptide peptidase|신호 펩티드 펩티다아제영어[19], [38]
  • 황산 스테릴 설포히드로라제[19]
  • 스타닌[19]
  • 스토마친 상동체에 특이적인 막 프로테아제[38]

참조

[1] 논문 Environment Polarity in Proteins Mapped Noninvasively by FTIR Spectroscopy 2012
[2] 웹사이트 Membrane Proteins https://www.ncbi.nlm[...] Garland Science 2002
[3] 서적 Medical cell bi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4] 서적 Essential bioinforma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문서 alpha-helical proteins in outer membranes include [[Stannin]] and certain [[lipoproteins]], and others
[6] 논문 Mapping the human membrane proteome: a majority of the human membrane protein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 and evolutionary origin
[7] 논문 Gramicidin cation channel: an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right-handed helix sense and verification of .beta.-type hydrogen bonding 1989
[8] 논문 Bilayer thickness determines the alignment of model polyproline helices in lipid membranes 2019
[9] 문서 Harvey Lodish etc.; Molecular Cell Biology, Sixth edition, p.546
[10] 논문 Topogenesis of membrane proteins: determinants and dynamics 2001-08-31
[11] 논문 Influence of Solubilizing Environments on Membrane Protein Structures 2011
[12] 웹사이트 General Principle of Membrane Protein Folding and Stability Stephen White Laboratory Homepage 2009-11-10
[13] 논문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membrane protein crystallography 2008-10
[14] 웹사이트 Membrane Proteins of known 3D Structure http://blanco.biomol[...]
[15] 논문 Membran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versus Reality 2007-06-07
[16] 논문 State-of-the-art in membrane protein prediction 2002
[17]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Membrane Proteins from Genomic Sequencing 2012-06
[18] 논문 An evolutionarily conserved glycine-tyrosine motif forms a folding core in outer membrane proteins 2017-08-03
[19] 논문 Structural adaptations in a membrane enzyme that terminates endocannabinoid signaling 2002-11
[20] 논문 Principles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beta-sheet barrels in proteins. I. A theoretical analysis 1994-03
[21] 논문 Environment Polarity in Proteins Mapped Noninvasively by FTIR Spectroscopy 2012
[22] 서적 Medical cell bi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3] 서적 Essential bioinforma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문서 alpha-helical proteins in outer membranes include [[Stannin]] and certain [[lipoproteins]], and others
[25] 논문 Mapping the human membrane proteome: a majority of the human membrane protein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 and evolutionary origin
[26] 논문 Gramicidin cation channel: an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right-handed helix sense and verification of .beta.-type hydrogen bonding 1989
[27] 논문 Bilayer thickness determines the alignment of model polyproline helices in lipid membranes 2019
[28] 문서 Harvey Lodish etc.; Molecular Cell Biology, Sixth edition, p.546
[29] 논문 Topogenesis of membrane proteins: determinants and dynamics 2001-08-31
[30] 논문 Influence of Solubilizing Environments on Membrane Protein Structures 2011
[31] 웹사이트 General Principle of Membrane Protein Folding and Stability Stephen White Laboratory Homepage 2009-11-10
[32] 논문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membrane protein crystallography 2008-10
[33] 웹사이트 Membrane Proteins of known 3D Structure http://blanco.biomol[...]
[34] 논문 Membran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versus Reality 2007-06-07
[35] 논문 State-of-the-art in membrane protein prediction 2002
[36]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Membrane Proteins from Genomic Sequencing 2012-06
[37] 논문 An evolutionarily conserved glycine-tyrosine motif forms a folding core in outer membrane proteins 2017-08-03
[38] 논문 Structural adaptations in a membrane enzyme that terminates endocannabinoid signaling https://semanticscho[...] 2002-11
[39] 논문 Principles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beta-sheet barrels in proteins. I. A theoretical analysis 199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