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옵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옵신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로, 빛을 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7개의 막 횡단 알파 나선 구조를 가지며, 비타민 A 유도체인 레티날을 결합하여 빛을 흡수한다. 척추동물, 곤충, 갑오징어 등 다양한 생물종에서 발견되며, 시각, 뇌 기능, 피부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한다. 동물 옵신은 섬모 옵신, 랍도머 옵신, 테트라옵신 등으로 분류되며, 미생물 옵신과는 계통 발생학적으로 관련이 없다. 미생물 옵신은 이온 채널 또는 이온 펌프로 작용하며, 광유전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P2Y12
    P2Y12 길항제는 P2Y12 수용체에 결합해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는 항혈소판제로, 클로피도그렐,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러, 캉그렐러 등이 있으며, 아스피린과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는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의 주요 치료법으로 쓰인다.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로돕신
    로돕신은 간상 세포의 외부 분절 원반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어두운 환경에서의 시각을 담당하며 빛을 흡수하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시신경에 빛 신호를 전달하는 광변환 과정을 유발하고, 로돕신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망막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시각 - 영상
    영상은 이미지 제작의 역사, 종류, 기술적 측면, 사회문화적 의미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기록, 종교,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고, 양식, 기술, 사회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
  • 시각 - 시각 장애
    시각 장애는 시각 체계 손상으로 발생하는 시력 저하 또는 상실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되며 개인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지만, 보조 수단과 재활 훈련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옵신
기본 정보
종류단백질
기능광수용체
관련 질병색맹
망막색소변성증
상세 정보
유형동물 옵신
미생물 로돕신
발견 위치
광수용체 세포
결합 분자레티날
유전자OPN1SW
OPN1MW
OPN1LW
RHO
OPN1S
OPN2
OPN3
OPN4
OPN5
참여 경로시각 전달
외부 링크UniProt
GO
식별
심볼OPN1SW
OPN1MW
OPN1LW
RHO
OPN1S
OPN2
OPN3
OPN4
OPN5
외부 데이터위키데이터: Q418788
PDB: 1GZM
InterPro: IPR000216
SCOP: 4J4Y
PROSITE: PS00277
인간 유전자
염색체7q32.1 (OPN1SW)
Xq28 (OPN1MW, OPN1LW)
3q22.1 (RHO)
10q11.2 (OPN1S)
5q13 (OPN2)
1q42.2 (OPN3)
6q25 (OPN4)
11q13.4 (OPN5)
Entrez Gene5961 (OPN1SW)
5956 (OPN1MW)
5957 (OPN1LW)
6010 (RHO)
6521 (OPN1S)
4985 (OPN2)
4986 (OPN3)
123872 (OPN4)
84246 (OPN5)
OMIM164100 (OPN1SW)
303900 (OPN1MW)
303800 (OPN1LW)
180380 (RHO)
613152 (OPN1S)
164110 (OPN2)
600810 (OPN3)
609353 (OPN4)
611095 (OPN5)
RefSeqNM_000558 (OPN1SW)
NM_000559 (OPN1MW)
NM_000560 (OPN1LW)
NM_000539 (RHO)
NM_004779 (OPN1S)
NM_002539 (OPN2)
NM_002540 (OPN3)
NM_173634 (OPN4)
NM_181673 (OPN5)
UniProtP08100 (OPN1SW)
P05107 (OPN1MW)
P04001 (OPN1LW)
P08699 (RHO)
P15408 (OPN1S)
P15400 (OPN2)
Q14187 (OPN3)
Q9UK55 (OPN4)
Q9NYX5 (OPN5)

2. 구조 및 기능

옵신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일종으로,[1][2] 7개의 막 횡단 알파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3][4] 리간드와의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옵신의 리간드비타민 A 기반 발색단인 11-''시스''-레티날[5][6][7][8][9]이며, 이는 일곱 번째 막 횡단 도메인의 라이신 잔기에 쉬프 염기를 통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10][11][12][13][14][15]

11-''시스''-레티날은 결합 부위를 차단하지만 옵신을 활성화시키지는 않는다. 옵신은 11-''시스''-레티날이 광자를 흡수하여 올-''트랜스''-레티날로 이성질체화될 때만[16][17] 활성화된다.[18][19] 이러한 변화는 옵신의 입체구조 변화를 일으켜[18] 광변환 연쇄반응을 활성화시킨다.[20] 결과적으로, 화학수용체는 광수용 단백질로 전환된다.[21]

척추동물 광수용체 세포에서 올-''트랜스''-레티날은 방출되고 망막 상피 세포에서 새로 합성된 11-''시스''-레티날로 대체된다.

11-''시스''-레티날(A1) 외에도, 11-''시스''-3,4-디데하이드로레티날(A2)도 척추동물에서, 특히 담수어에서 리간드로 발견된다.[19] A2에 결합된 옵신은 A1에 결합된 옵신에 비해 흡수 스펙트럼이 이동한다.[22]

2. 1. 레티날 결합 부위

옵신은 7개의 막 횡단 알파 나선 도메인을 가지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로, 리간드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3][4] 옵신의 리간드비타민 A 기반 발색단인 11-''시스''-레티날이다.[5][6][7][8][9] 이 레티날은 7번째 막 횡단 도메인의 라이신 잔기(Lys2967.43)에 쉬프 염기 결합을 통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된다.[10][11][12][13][14][15]

로돕신에서 이 라이신은 296번째 아미노산[12][24]이며, 따라서 두 가지 넘버링 방식에 따라 Lys2967.43으로 표기된다. 이 위치는 옵신 사이에서 잘 보존되어 있지만, 일부 옵신은 진화 과정에서 이 라이신 잔기를 잃기도 했다. 예를 들어, 선충류의 네모옵신에서는 Lys2967.43아르기닌으로 대체되었고,[29][21] 성게[30][21]의 아스트롭신과 글루옵신에서는 글루탐산으로 대체되었다.[21]

초파리 랍도머 옵신(Rh1, Rh4, Rh7)의 경우, Lys2967.43이 광수용체 기능뿐만 아니라 아리스톨로키산에 대한 화학 수용체 기능에도 관여한다. 그러나 Rh1에서 이 라이신이 아르기닌으로 대체되면 빛에 대한 민감성은 잃지만, 아리스톨로키산에는 여전히 반응한다. 따라서 Lys2967.43은 Rh1의 화학 수용체 기능에는 필수적이지 않다.[26]

2. 2. 기능적으로 보존된 잔기 및 모티프

옵신의 α-나선과 루프에는 기능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 잔기들이 보존되어 있다.

  • NPxxY7.53 모티프: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서 잘 보존된 모티프로, G 단백질 결합과 수용체 활성화에 중요하다.[21]
  • 인간 M3 무스카린 수용체에서 Asn7.49가 Asp7.49로 변이되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Ala7.49로 변이되면 활성화가 중단된다.[35]
  • 소 로돕신에서 Tyr7.53이 Ala7.53로 변이되면 G 단백질을 활성화시키지 못한다.[36]
  • Pro7.50:
  • M3 무스카린 수용체에서 Pro7.50이 Ala7.50으로 변이되면 수용체 활성화 효율이 낮아진다.[38]
  • 콜레시스토키닌 B 수용체에서 이 변이는 활성화를 완전히 중단시킨다.[39]
  • Cys138과 Cys110: 보존 정도가 높은 이황화 결합을 형성한다.
  • Glu113: Lys296과 리간드인 레티날 사이의 쉬프 염기 양성자화를 안정시키는 상대 이온 역할을 한다.
  • Glu134-Arg135-Tyr136: 광자 흡수 후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보존 정도가 높은 모티프이다.

2. 3. 스펙트럼 조절 부위

특정 아미노산 잔기, 즉 ''스펙트럼 조절 부위''는 ''λ''max 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48][49] 이러한 잔기는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을 통해 선택적으로 돌연변이시켜 옵신의 빛 흡수 특성 변화를 조사할 수 있다. 옵신의 빛 흡수 파장에 영향을 미치는 ''스펙트럼 조절 부위''는 옵신의 기능에 중요한 ''기능적으로 보존된 부위''와 구별되지만, 서로 배타적이지는 않다. 실질적인 이유로 옵신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스펙트럼 조절 부위를 조사하는 것이 더 쉽다. 스펙트럼 조절 부위가 ''λ''max에 미치는 영향은 옵신 그룹과 다른 종의 옵신 그룹 간에 다르다.

3. 인간의 옵신

인간은 시각, 뇌 기능, 피부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옵신을 가지고 있다.

약어이름λmax색상피부염색체 위치[43]
OPN1LWL-원뿔(적색 원뿔) 옵신557nm노란색원뿔 세포  Xq28[43]
OPN1MWM-원뿔(녹색 원뿔) 옵신527nm녹색원뿔 세포  Xq28[43]
OPN1SWS-원뿔(청색 원뿔) 옵신420nm자색원뿔 세포 멜라닌세포, 각질형성세포[81]7q32.1[43]
OPN2 (RHO)로돕신505nm청록색간상 세포 멜라닌세포, 각질형성세포[81]3q22.1[43]
OPN3엔세팔로옵신, 파놉신S-M청록색간상 세포, 원뿔 세포, OPL, IPL, GCL[50]대뇌 피질, 소뇌, 선조체, 시상, 시상 하부[82][51]멜라닌세포, 각질형성세포[81]1q43[43]
OPN4멜라놉신480nm[52]하늘색ipRGC[52]  10q23.2[43]
OPN5뉴로옵신380nm[100]자외선[100]신경 망막, RPE[53]앞쪽 시상 하부[54]멜라닌세포, 각질형성세포[81]6p12.3[43]
RRH페롭신  RPE 세포 - 미세 융모  4q25[43]
RGR망막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RPE 세포  10q23.1[43]



RPE, 망막 색소 상피; ipRGC, 본질적으로 광감성 망막 신경절 세포; OPL, 외부 망상층; IPL, 내부 망상층; GCL, 신경절 세포층

3. 1. 눈의 옵신

간상세포의 로돕신(OPN2)은 암순응 시력을 담당한다. 원추세포의 광수용 옵신(OPN1SW, OPN1MW, OPN1LW)은 명순응 시력 및 색각을 담당한다. 본질적으로 광감성 망막 신경절 세포(ipRGC)의 멜라놉신(OPN4)은 일주기 리듬 조절 및 동공 반사에 관여한다.[43][52][81]

약어이름λmax색상염색체 위치
OPN1LWL-원뿔(적색 원뿔) 옵신557nm노란색원뿔 세포Xq28[43]
OPN1MWM-원뿔(녹색 원뿔) 옵신527nm녹색원뿔 세포Xq28[43]
OPN1SWS-원뿔(청색 원뿔) 옵신420nm자색원뿔 세포7q32.1[43]
OPN2 (RHO)로돕신505nm청록색간상 세포3q22.1[43]
OPN4멜라놉신480nm[52]하늘색ipRGC[52]10q23.2[43]
OPN5뉴로옵신380nm[100]자외선[100]신경 망막, RPE[53]6p12.3[43]
RRH페롭신RPE 세포 - 미세 융모4q25[43]
RGR망막 G 단백질 결합 수용체RPE 세포10q23.1[43]



RPE, 망막 색소 상피; ipRGC, 본질적으로 광감성 망막 신경절 세포

3. 2. 뇌의 옵신

OPN3(엔세팔로옵신, 파놉신)은 대뇌 피질, 소뇌, 선조체, 시상, 시상하부 등에서 발현된다.[82][51] 뇌의 여러 영역에서 발견된다는 것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PN5(뉴로옵신)는 앞쪽 시상하부에서 발현되며,[54] 자외선을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100]

3. 3. 피부의 옵신

멜라닌세포와 각질형성세포는 OPN1SW, OPN2, OPN3, OPN5 등 다양한 옵신을 발현하며, 피부 색소 침착 및 자외선 반응에 관여할 수 있다.[81]

약어이름피부염색체 위치
OPN1SWS-원뿔(청색 원뿔) 옵신멜라닌 세포, 각질 형성 세포7q32.1
OPN2 (RHO)로돕신멜라닌 세포, 각질 형성 세포3q22.1
OPN3엔세팔로옵신, 파놉신멜라닌 세포, 각질 형성 세포1q43
OPN5뉴로옵신멜라닌 세포, 각질 형성 세포6p12.3


4. 다양한 생물종의 옵신

갑오징어, 문어는 피부에 옵신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네트워크의 일부이다.[55][56][57] 개구리류는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기 위해 독특한 시각 시스템을 진화시켜 왔으며, 다른 척추동물과 달리 RH2 옵신이 없다.

4. 1. 갑오징어

갑오징어는 색소포의 일부로 피부에 옵신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옵신은 갑오징어 주변 환경의 색상과 모양을 감지하는 감지 네트워크의 일부이다.[55][56][57]

4. 2. 개구리

개구리류는 밝은 숲에서 희미한 연못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기 위해 독특한 시각 시스템을 진화시켜 왔다. 개구리는 다른 종에서 중간 파장의 빛을 감지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H2 옵신이 없다는 점에서 척추동물 중에서 독특하다. 이러한 소실은 막대 세포 특유의 옵신인 RH1이 야행성 및 황혼(새벽 및 해질녘) 활동을 지원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저조도 시력에 대한 진화적 초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RH2의 소실에도 불구하고 개구리는 주간에 색상 시력을 가능하게 하는 SWS1, SWS2 및 LWS의 세 가지 원뿔 옵신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SWS2 옵신은 물속 환경이나 그늘진 지역에서 특히 유용한 파란색과 녹색 빛을 감지하도록 조정되었다. 이러한 조정은 저조도 조건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고 어두운 환경에서 더 나은 성능을 위해 단백질을 안정시키는 특정 돌연변이에 의해 강화된다. 그러나 독화살개구리과(Dendrobatidae)의 일부 개구리 종은 SWS2 옵신을 완전히 잃었다. 이러한 변화는 배우자 선택 및 포식자 억제와 같은 작업에 빨간색과 노란색과 같은 더 긴 파장에 의존하는 것과 일치하며, 이는 종종 생생한 경고색과 관련이 있다.

5. 계통 발생

동물 옵신(제2형 옵신)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7개의 막 횡단 단백질 구성원이다.[1][2]

동물 옵신은 계통 발생학적으로 섬모 옵신(c-옵신), 랍도머(r-옵신, 랍돕신), 제노옵신, 네소옵신, 테트라옵신의 다섯 그룹으로 나뉜다.[21][28] 이 중 네소옵신을 제외한 4개는 양측대칭동물에 존재한다.[21][28] 양측대칭동물 분류군은 자포동물의 옵신이 없는 측계통군을 구성한다.[21][28][27][61] 네소옵신은 자포동물 옵신 II[62] 또는 자포동물 옵신이라고도 한다.[63]

테트라옵신은 RGR/Go[64] 또는 그룹 4 옵신이라고도 하며[27] 뉴로옵신, Go-옵신, 크로모옵신의 세 하위 그룹을 포함한다.[21][28][63] 크로모옵신은 RGR-옵신, 망막색소류, 페롭신류, 바로프신류, 아스트로프신류, 네모프신류, 글루옵신류의 일곱 하위 그룹을 갖는다.[21]

동물 시각 옵신은 전통적으로 섬모형 또는 랍도머형으로 분류되지만, 이는 계통 발생학적 범주(분류군)를 가로지르므로 모호할 수 있다. "C-옵신(섬모형)"은 양측대칭동물에서 독점적으로 발견되는 분류군을 지칭하며, 상자 해파리의 자포동물 섬모 옵신 등은 제외된다. "R-옵신(랍도머형)"은 척추동물의 랍도머에 나타나지 않더라도 멜라놉신을 포함한다.[27]

5. 1. 섬모 옵신 (C-옵신)

섬모 옵신(C-옵신)은 섬모 광수용 세포에서 발현되며, 척추동물의 시각 옵신과 뇌 옵신을 포함한다.[65] 이들은 고리형 뉴클레오티드 개폐 이온 채널을 통해 빛 신호를 신경 신호로 변환하며, 이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전하 차이를 증가시켜 작동한다(즉, 과분극).[66]

척추동물 시각 옵신은 척추동물 망막에서 발현되어 시각을 매개하는 섬모 옵신의 하위 부류이며, 광수용 옵신과 암수용 옵신으로 세분된다. 뇌 옵신에는 송과체 부위에서 주로 발현되는 송과체 옵신, 망막 내부 및 뇌의 송과체와 고삐 핵 부위에서 발현되는 척추동물 고대(VA) 옵신, 메기의 부송과에서 발견된 파라피놉신, 도마뱀의 두정안의 광수용체 세포에서 처음 발견된 파리에톱신,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되는 판옵신(엔세팔롭신)과 TMT-옵신 등이 있다.

5. 1. 1. 척추동물 시각 옵신

척추동물 시각 옵신은 척추동물 망막에서 발현되어 시각을 매개하는 섬모 옵신의 하위 부류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광수용 옵신 - 명시 시각(주간)을 담당하며, 원뿔 세포에서 발현된다. 따라서 원뿔 옵신이라고도 한다. 광수용 옵신은 최고 광 흡수가 관찰되는 파장(''λ''max)인 스펙트럼 감도에 따라 더욱 세분된다. 척추동물은 일반적으로 4가지 (SWS1, SWS2, RH2, LWS) 종류의 광수용 옵신을 가지고 있다.[67][68] 포유류는 야행성 병목 현상 동안 Rh2 및 SWS2 종류를 잃어 일반적으로 이색 시각을 가진다. 영장류 조상은 나중에 두 개의 뚜렷한 LWS 옵신 (LWS와 MWS)을 개발하여, 인간은 SWS1 (OPN1SW)과 두 형태의 LWS (OPN1LW, OPN1MW)의 2가지 종류의 3개의 광수용 옵신을 갖게 되었다.
  • 암수용 옵신 - 암시 시각(어두운 빛)을 담당하며, 막대 세포에서 발현된다. 따라서 막대 옵신이라고도 한다.[65] 암수용 옵신의 가장 흔한 형태는 로돕신이므로 일반적으로 Rh1으로 표시된다.[69]

5. 1. 2. 뇌 옵신

조기어강에 속하는 물고기에서 발견되는 송과체 옵신은 Rh1(로돕신) 유전자 중복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조류와 파충류에서 발견되는 피놉신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초의 송과체 옵신(Pinopsin)은 닭의 송과선에서 발견되었으며, 청색에 민감한 옵신(λmax = 470 nm)이다.[72][73] 송과체 옵신은 뇌, 특히 송과체 부위에서 두드러지게 발현된다.

척추동물 고대(VA) 옵신에는 VA 짧은(VAS), VA 중간(VAM), VA 긴(VAL)의 세 가지 이소형이 있다. 이들은 수평 세포와 무축삭 세포를 포함한 망막 내부뿐만 아니라 뇌의 송과체와 고삐 핵 부위에서도 발현된다.[74] 이 옵신은 약 500 nm에 민감하며, 대부분의 척추동물 계통에서 발견되지만, 포유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75]

최초의 파라피놉신(PP)은 메기의 부송과에서 발견되었다.[76] 칠성장어의 파라피놉신은 UV 감지 옵신(λmax = 370 nm)이다.[77] 경골어류는 UV(λmax = 360-370 nm)에 민감한 그룹과 청색(λmax = 460-480 nm)광에 민감한 그룹, 두 그룹의 파라피놉신을 가지고 있다.[78]

파리에톱신은 도마뱀의 두정안의 광수용체 세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도마뱀 파리에톱신은 녹색 감지(λmax = 522 nm)하며, 척추동물의 시각 옵신과 같이 c-옵신임에도 불구하고, Gt 단백질을 통해 과분극을 유도하지 않고 Go 단백질을 통해 탈분극을 유도한다.[79][80]

판옵신(엔세팔롭신)은 피부[81], 뇌[82][83], 고환[82], 심장, 간[83], 신장, 골격근, 폐, 췌장 및 망막[83] 등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된다.

판옵신은 TMT-옵신과 자매 관계이다.[28][92][46][93] 텔레오스트 어류의 여러 조직에서 최초의 TMT-옵신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을 텔레오스트 다중 조직(TMT) 옵신이라고 부른다.[94] TMT-옵신은 파놉신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 그룹을 형성하며, 유사 유전자 관계에 있다.[28][46][92][93] TMT-옵신과 파놉신은 동일한 인트론을 공유하여 이들이 함께 속한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94]

5. 2. 랍도머 옵신 (R-옵신)

랍도머 옵신(R-옵신)은 Gq-단백질과 결합하기 때문에 Gq-옵신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연체동물과 절지동물에서 주로 발견된다.[65] 절지동물은 계통발생학적 측면과 스펙트럼 감수성 모두에서 뚜렷한 세 개(또는 그 이상)의 옵신 그룹을 사용하여 척추동물과 유사한 방식으로 색각을 얻는 것으로 보인다.[65]

섬모 옵신과는 달리 랍도머 옵신은 정전기 수용체 전위 이온 채널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전위차를 소멸시킨다(즉, 탈분극).[66]

오징어 로돕신의 결정 구조[13] 확인은 이 그룹 내에서 그 기능에 대한 이해를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보인다.

절지동물은 다양한 눈 유형에 서로 다른 옵신을 사용하지만, 적어도 ''말굽게''(Limulus)에서는 측면 눈과 겹눈에서 발현되는 옵신이 99% 동일하며 아마도 최근에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99]

멜라놉신(OPN4)은 일주기 리듬, 동공 반사, 고휘도 상황에서의 색 보정에 관여한다. 계통 발생학적으로는 랍도머 옵신(r-옵신)의 일원이지만, 기능 및 구조적으로는 랍돕신과 유사하지만 랍도머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척추동물의 망막에 있는 빛에 민감한 신경절 세포(ipRGC)에서 발현되는 멜라놉신은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고 동공 반사를 매개한다.[65]

5. 3. 테트라옵신

테트라옵신에는 신경옵신, Go-옵신, 크롬옵신이 포함된다.[21][28][63] 크롬옵신은 RGR-옵신, 망막색소, 퍼옵신, 바롭신, 아스트롭신, 네몹신, 글루옵신의 7가지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다.[21]

신경옵신은 일반적으로 380nm에서 UVA에 민감하다. 이는 인간과 설치류의 뇌, 고환, 피부, 망막에서 발견되며, 조류의 뇌와 망막에서도 발견된다. 조류와 설치류에서 신경옵신은 자외선 시각을 매개한다.[81][100][101] 신경옵신은 Gi 단백질과 결합한다.[100][101] 인간의 경우 신경옵신은 OPN5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인간 망막에서 그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쥐의 경우, 최소한 생체 외에서 망막과 각막을 광주기화한다.[102]

Go-옵신은 고등 척추동물[27]탈피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103] 가리비 눈의 섬모성 광수용 세포[104]와 기저 척삭동물인 창고기에서 발견된다.[105] 하지만, ''Platynereis dumerilii''에서는 Go-옵신이 눈의 라브도머 광수용 세포에서 발현된다.[88]

RGR-옵신은 망막 G 단백질 결합 수용체라고도 하며, 망막 색소 상피 (RPE) 및 뮐러 세포에서 발현된다.[106] 어둠 속에서 11-시스-레티날 대신 모든-트랜스-레티날에 우선적으로 결합한다.[40] RGR-옵신은 광 이성질화 효소로 여겨졌지만[43], 레티노이드 이동 및 생산을 조절한다.[65][107] 특히, 모든-트랜스-레티닐-에스테르로부터 11-시스-레티놀(11-시스-레티날의 전구체)의 생산을 빛과 무관하게 가속화한다.[108] 그러나, 모든-트랜스-레티닐-에스테르는 RGR-옵신에 의해 빛에 의존적으로 생성된다. RGR-옵신이 G 단백질 또는 다른 신호 전달 기전을 통해 이를 조절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09] 소 RGR-옵신은 pH 값에 따라 다른 파장에서 최대 흡수한다. 높은 pH에서는 파란색(469 nm) 빛을 최대 흡수하고, 낮은 pH에서는 UV(370 nm) 빛을 최대 흡수한다.[110]

페롭신, 시각 색소 유사 수용체는 인간에게서 ''RRH''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이다.[111]

5. 4. 제노옵신 및 네소옵신

자포동물 옵신은 제노옵신과 네소옵신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제노옵신은 이배엽동물 옵신도 포함하는 반면, 네소옵신은 자포동물에 국한된다.[21][28]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일부 자포동물 옵신이 이배엽동물의 실로옵신, 랍돕신, 테트라옵신에 속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4][97][98]

6. 미생물 옵신 (제1형 옵신)

미생물 옵신(제1형 옵신)은 동물 옵신과는 서열 상 관련이 없지만, 7개의 막 횡단 구조와 레티날 발색단을 공유하는 광수용체 단백질이다.[115] 원핵생물과 일부 조류( 채널로돕신의 구성 요소), 곰팡이에서 발견되는 반면,[114] 동물은 동물 옵신만 사용한다.[66] 미생물 옵신과 동물 옵신은 각각 1형 및 2형 옵신이라고도 한다.[115]

미생물 옵신은 이온 채널 또는 이온 펌프 역할을 하며 G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의 세 가지 생명 영역 모두에서 발견되며, 진핵생물 중에서는 녹조류와 곰팡이 같은 단세포 유기체에서 주로 발견된다.[121]

미생물 옵신은 빛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거나, 광주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종류로는 양성자 펌프인 박테리오로돕신(BR) 및 크산토로돕신 (xR), 염소 펌프인 할로로돕신(HR), 광 감지기인 감각 로돕신 I (SRI) 및 감각 로돕신 II(SRII), 프로테오로돕신(PR) 등이 있다.[122] Halobacteria의 할로로돕신과 볼복스 같은 일부 조류의 채널로돕신은 광 개폐형 이온 채널 역할을 한다.[123]

광유전학에서는 채널로돕신, 할로로돕신, 고세균로돕신 등의 미생물 옵신이 신경 활동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미생물 옵신은 동물 옵신보다 반응 속도가 빨라 더 높은 빈도로 신경 활동을 조절해야 할 때 유용하다.[124]

참조

[1] 논문 G protein involvement in receptor-effector coupling 1988-02
[2] 논문 Fingerprinting G-protein-coupled receptors 1994-02
[3] 논문 Cloning of the gene and cDNA for mammalian beta-adrenergic receptor and homology with rhodopsin 1986-05
[4] 논문 Ligand binding to the beta-adrenergic receptor involves its rhodopsin-like core 1987-03
[5] 논문 Carotenoids and the Vitamin A Cycle in Vision 1934-07
[6] 논문 Hindered Cis Isomers of Vitamin a and Retinene: The Structure of the Neo-B Isomer 1955-07
[7] 논문 The neo-b isomer of vitamin A and retinene 1956-10
[8] 논문 The Synthesis and Configuration of Neo-B Vitamin A and Neoretinine b 1956-06
[9] 논문 HINDERED CIS ISOMERS OF VITAMIN A AND RETINENE: THE STRUCTURE OF THE NEO-b ISOMER 1956-09
[10] 논문 Site of attachment of retinal in rhodopsin 1967-12
[11] 논문 The structure of bovine rhodopsin 1983
[12] 논문 Crystal structure of rhodopsin: A G protein-coupled receptor 2000-08
[13] 논문 Crystal structure of squid rhodopsin 2008-05
[14] 논문 Rhodopsin and indicator yellow 1953-03
[15] 논문 Studies on rhodopsin. VIII. Retinylidenemethylamine, an indicator yellow analogue 1955-01
[16] 논문 The Action of Light on Rhodopsin 1958-02
[17] 논문 The mechanism of bleaching rhodopsin 1959-11
[18] 논문 Crystal structure of metarhodopsin II 2011-03
[19] 논문 Molecular basis of visual excitation 1968-10
[20] 논문 Evolution and diversity of opsins 2012-01
[21] 논문 The Gluopsins: Opsins without the Retinal Binding Lysine 2022-08
[22] 논문 Spectral tuning of deep red cone pigments 2008-04
[23] 서적 Receptor Molecular Biology 1995
[24] 논문 Rhodopsin and bacteriorhodopsin: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1982-11
[25] 논문 Chromophore-Independent Roles of Opsin Apoproteins in Drosophila Mechanoreceptors 2019-09
[26] 논문 Functions of Opsins in Drosophila Taste 2020-04
[27] 논문 Shedding new light on opsin evolution 2012-01
[28] 논문 The Last Common Ancestor of Most Bilaterian Animals Possessed at Least Nine Opsins 2016-12
[29] 논문 Divergent seven transmembrane receptors are candidate chemosensory receptors in C. elegans 1995-10
[30] 논문 Opsin evolution in the Ambulacraria 2015-12
[31] 논문 Function of rhodopsin in temperature discrimination in Drosophila 2011-03
[32] 논문 Drosophila auditory organ genes and genetic hearing defects 2012-08
[33] 논문 Rethinking Opsins 2022-03
[34] 논문 Unconventional Roles of Opsins 2017-10
[35] 논문 Dissecting the conserved NPxxY motif of the M3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critical role of Asp-7.49 for receptor signaling and multiprotein complex formation 2011
[36] 논문 Role of the conserved NPxxY(x)5,6F motif in the rhodopsin ground state and during activation 2003-03
[37] 논문 Common activation mechanism of class A GPCRs 2019-12
[38] 논문 Functional role of proline and tryptophan residues highly conserved among G protein-coupled receptors studied by mutational analysis of the m3 muscarinic receptor 1993-01
[39] 논문 Mutation of Asn-391 within the conserved NPXXY motif of the cholecystokinin B receptor abolishes Gq protein activation without affecting its association with the receptor 2000-06
[40] 논문 The endogenous chromophore of retinal G protein-coupled receptor opsin from the pigment epithelium 1999-03
[41] 논문 Rhodopsin and retinochrome in the squid retina 1967-05
[42] 논문 Divers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bistable pigments 2010-11
[43] 논문 The opsins 2005-03-01
[44] 논문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otostome homologue of peropsin from a jumping spider 2010-01
[45] 논문 The evolution of vision 2014-01
[46] 논문 Two Opsin 3-Related Proteins in the Chicken Retina and Brain: A TMT-Type Opsin 3 Is a Blue-Light Sensor in Retinal Horizontal Cells, Hypothalamus, and Cerebellum 2016-11-18
[47] 논문 The role of proline residue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MT2 melatonin receptor 2008-11
[48] 논문 Molecular evolution of vertebrate visual pigments 2000-07
[49] 논문 The molecular basis of variation in human color vision 2005-05
[50] 논문 Identification of a novel asthma susceptibility gene on chromosome 1qter and its functional evaluation 2008-07
[51] 논문 Encephalopsin (OPN3) protein abundance in the adult mouse brain 2012-11
[52] 논문 Human melanopsin forms a pigment maximally sensitive to blue light (λmax ≈ 479 nm) supporting activation of G(q/11) and G(i/o) signalling cascades 2013-05
[53] 논문 Neuropsin (Opn5): a novel opsin identified in mammalian neural tissue 2003-11
[54] 논문 Evolution of mammalian Opn5 as a specialized UV-absorbing pigment by a single amino acid mutation 2014-02
[55] 논문 Evidence for distributed light sensing in the skin of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2010-10
[56] 뉴스 Octopuses, and Maybe Squid, Can Sense Light With Their Skin https://www.national[...] 2015-05-20
[57] 논문 Adaptive optoelectronic camouflage systems with designs inspired by cephalopod skins 2014-09
[58] 논문 Evolutionary analyses of visual opsin genes in frogs and toads: Diversity, duplication, and positive selection 2022-02
[59]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and spectral tuning of vertebrate visual opsins 2023-01
[60] 웹사이트 How does variation in a mating trait evolve? Insights from studies of color signals and their perception in a highly polymorphic poison frog http://d-scholarship[...] 2024-11-15
[61] 논문 Cubozoan genome illuminates functional diversification of opsins and photoreceptor evolution 2015-07
[62] 논문 A gonad-expressed opsin mediates light-induced spawning in the jellyfish ''Clytia'' 2018-01
[63] 논문 Extraocular, rod-like photoreceptors in a flatworm express xenopsin photopigment 2019-10
[64] 논문 Metazoan opsin evolution reveals a simple route to animal vision 2012-11
[65] 논문 Evolution of opsins and phototransduction 2009-10
[66] 논문 The evolution of phototransduction from an ancestral cyclic nucleotide gated pathway 2010-07
[67] 논문 Evolution and spectral tuning of visual pigments in birds and mammals 2009-10
[68] 논문 Opsins: evolution in waiting 2005-10
[69] 논문 Photocyclic behavior of rhodopsin induced by an atypical isomerization mechanism 2017-03
[70] 논문 Exo-rhodopsin: a novel rhodopsin expressed in the zebrafish pineal gland 1999-11
[71] 논문 Adaptation of pineal expressed teleost exo-rod opsin to non-image forming photoreception through enhanced Meta II decay 2011-11
[72] 논문 Pinopsin is a chicken pineal photoreceptive molecule 1994-11
[73] 논문 Photoperiodic Regulation of Reproduction in Vertebrates Annual Reviews (publisher) 2019-02
[74] 논문 Vertebrate ancient (VA) opsin and extraretinal photoreception in the Atlantic salmon (Salmo salar) 2000-06
[75] 논문 Nonvisual Opsins and the Regulation of Peripheral Clocks by Light and Hormones
[76] 논문 Parapinopsin, a novel catfish opsin localized to the parapineal organ, defines a new gene family 1997-11
[77] 논문 Bistable UV pigment in the lamprey pineal 2004-04
[78] 논문 Diversification of non-visual photopigment parapinopsin in spectral sensitivity for diverse pineal functions 2015-09
[79] 논문 Parietal-eye phototransduction components and their potential evolutionary implications 2006-03
[80] 논문 Diversity of animal opsin-based pigments and their optogenetic potential 2014-05
[81] 논문 Opsin expression in human epidermal skin
[82] 논문 Encephalopsin: a novel mammalian extraretinal opsin discretely localized in the brain 1999-05
[83]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novel human opsin gene with wide tissue ex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embedded and flanking genes on chromosome 1q43 2001-03
[84] 논문 Ciliary photoreceptors with a vertebrate-type opsin in an invertebrate brain 2004-10
[85] 논문 A ciliary opsin in the brain of a marine annelid zooplankton is ultraviolet-sensitive, and the sensitivity is tuned by a single amino acid residue 2017-08
[86] 논문 A Go-type opsin mediates the shadow reflex in the annelid Platynereis dumerilii 2018-04
[87] 논문 Ciliary and rhabdomeric photoreceptor-cell circuits form a spectral depth gauge in marine zooplankton 2018-05
[88] 논문 Spectral Tuning of Phototaxis by a Go-Opsin in the Rhabdomeric Eyes of Platynereis 2015-08
[89] 논문 The evolution of eyes and visually guided behaviour 2009-10
[90] 논문 Eye evolution and its functional basis 2013-03
[91] 논문 Homologs of vertebrate Opn3 potentially serve as a light sensor in nonphotoreceptive tissue 2013-03
[92] 논문 Diversity of Active States in TMT Opsins 2015-10-22
[93] 논문 Co-expression of VAL- and TMT-opsins uncovers ancient photosensory interneurons and motorneurons in the vertebrate brain 2013-06-11
[94] 논문 Teleost multiple tissue (tmt) opsin: a candidate photopigment regulating the peripheral clocks of zebrafish? 2003-04
[95] 논문 Jellyfish vision starts with cAMP signaling mediated by opsin-G(s) cascade 2008-10
[96] 논문 Evidence for multiple phototransduction pathways in a reef-building coral 2012-12-05
[97] 논문 Evolution and functional diversity of jellyfish opsins 2008-01
[98] 논문 The comb jelly opsins and the origins of animal phototransduction 2014-07
[99] 논문 Opsins from the lateral eyes and ocelli of the horseshoe crab, Limulus polyphemus 1993-07
[100] 논문 UV-sensitive photoreceptor protein OPN5 in humans and mice 2011-10-17
[101] 논문 Opn5 is a UV-sensitive bistable pigment that couples with Gi and Gq subtype of G protein 2010-12
[102] 논문 Neuropsin (OPN5)-mediated photoentrainment of local circadian oscillators in mammalian retina and cornea 2015-10
[103] 논문 Analysis of the opsin repertoire in the tardigrade Hypsibius dujardini provides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opsin genes in panarthropoda 2014-09
[104] 논문 A novel Go-mediated phototransduction cascade in scallop visual cells 1997-09
[105] 논문 Amphioxus homologs of Go-coupled rhodopsin and peropsin having 11-cis- and all-trans-retinals as their chromophores 2002-11
[106] 논문 An opsin homologue in the retina and pigment epithelium 1993-12
[107] 웹사이트 Molecular Evolution and Functional Diversity of Opsin-Based Photopigments http://photobiology.[...] 2018-05-07
[108] 논문 The retinal G protein-coupled receptor (RGR) enhances isomerohydrolase activity independent of light 2005-08
[109] 논문 Retinal pigment epithelium-retinal G protein receptor-opsin mediates light-dependent translocation of all-trans-retinyl esters for synthesis of visual chromophore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2008-07
[110] 논문 Blue and ultraviolet light-absorbing opsin from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1996-05
[111] 논문 Peropsin, a novel visual pigment-like protein located in the apical microvilli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1997-09
[112] 서적 Photobiology: The Science of Light and Lif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1-02
[113] 논문 Casting a genetic light on the evolution of eyes 2006-09
[114] 논문 Leptosphaeria rhodopsin: bacteriorhodopsin-like proton pump from a eukaryote 2005-05
[115] 논문 The opsin family of proteins 1986-09
[116] 논문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 between microbial rhodopsins and metazoan rhodopsins
[117] 논문 Relocating the active-site lysine in rhodopsin and implications for evolution of retinylidene proteins 2013-08
[118] 논문 Systematic study on G-protein couple receptor prototypes: did they really evolve from prokaryotic genes? 2014-08
[119] 논문 Independent HHsearch, Needleman--Wunsch-based, and motif analyses reveal the overall hierarchy for most of the G protein-coupled receptor families 2011-09
[120] 논문 The transporter-opsin-G protein-coupled receptor (TOG) superfamily 2013-11
[121] 논문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avobacteria rhodopsins reveals a unique class of light-driven chloride pump in bacteria 2014-05
[122] 논문 Of ion pumps, sensors and channels - perspectives on microbial rhodopsins between science and history 2014-05
[123] 논문 G protein-coupled time travel: evolutionary aspects of GPCR research 2007-02
[124] 논문 The microbial opsin family of optogenetic tools 2011-12
[125] 웹사이트 無脊椎動物由来の光受容タンパク質を利用した、特定の細胞応答を選択的に光でコントロールできる「精密バイアス光操作ツール」の開発 https://www.kobe-u.a[...] 神戸大学 2024-06-16
[126] 간행물 オプシ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