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누스 2세 (노르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누스 2세는 하랄 3세와 토라 토르베르그스다테르의 아들로, 1066년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부친이 사망한 후 노르웨이 국왕이 되었다. 1058년 아일랜드해 원정을 이끌며 노르웨이의 영향력을 확장하려 했으며, 1067년 동생 올라프 3세와 공동 통치를 시작했다. 망누스 2세는 1069년 질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호콘 마그누손은 삼촌 올라프 3세 사후 왕위를 주장했으나 짧은 통치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9년 사망 - 정간왕
    현종과 원혜왕후의 아들이자 문종의 동생인 정간왕은 개성국공에 봉해진 후 평양공으로 진봉되어 고려 왕실에 공헌했으나, 사후 모반 사건으로 아들이 유배되기도 했으며, 딸은 순종의 왕비가 되었다.
  • 1048년 출생 - 알렉시오스 1세
    알렉시오스 1세 콤네누스는 콤네누스 왕조를 창시하여 동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고 영토를 회복했으며, 제1차 십자군을 이용하여 셀주크 제국의 위협을 억제했으나, 십자군과의 복잡한 관계와 만년의 족벌주의, 후계 문제로 비판받았다.
  • 1048년 출생 - 북송 신종
    북송 신종은 1067년에 즉위하여 왕안석을 등용해 신법 개혁을 추진했으며 서하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1085년에 사망한 북송의 제6대 황제이다.
  • 하르드라디가 - 시구르 1세
    시구르 1세는 1103년부터 1130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노르웨이 십자군을 이끌어 '요르살라파리'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그의 치세는 노르웨이 왕국의 황금기로 여겨지지만 왕위 계승 분쟁의 씨앗을 남겼다는 평가도 받는다.
  • 하르드라디가 - 하랄드 3세 하르드라디
    하랄 3세 하르드라디는 '결단력 있는 자'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11세기 노르웨이 왕으로, 키예프 루스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군사 경험을 쌓고 국내 반대 세력을 진압하며 왕국을 강화했으나, 1066년 잉글랜드 침공 중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전사하여 바이킹 시대의 종말을 가져왔다고 여겨진다.
망누스 2세 (노르웨이)
기본 정보
이름망누스 2세
본명망누스 하랄손
로마자 표기Magnus Haraldsson
왕조하르드라다
사망1069년 4월 28일 (19–21세)
사망 장소니달로스, 노르웨이
통치
칭호노르웨이 국왕
재위 기간1066년 – 1069년 4월 28일
이전하랄 3세
이후올라프 3세
섭정올라프 3세 (1067년부터)
공동 통치자올라프 3세
가족 관계
자녀호콘 망누손
아버지하랄 3세
어머니토라 토르베르그스다테르

2. 초기 생애

망누스 2세는 하랄 3세와 토라 토르베르스다테르 사이에서 태어난 두 아들 중 첫째로, 1048년[1] 또는 1049년[2]에 태어났다. 망누스에 대해 쓰여진 궁정 시인의 시는 전해지지 않으며, 노르드 사가에서도 간략하게 언급된다.[2] ''노르웨이 왕들의 아그리프''에서는 그를 "매우 잘생긴 남자"라고 묘사한다.[3]

1058년, 망누스는 아일랜드해로 원정을 이끌어 노르웨이의 영향력을 확장하려 했다.[1] 이 원정은 에흐마르카크 막 라그나일에 반대하는 세력을 지원했으며,[1] 디아르마이트 막 마일 나 보에 대항하는 이바르 왕조의 한 분파를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2] 망누스는 오크니, 헤브리데스, 더블린에서 병력을 모집한 함대를 지휘했으며,[3] 그의 군대는 웨일스[4]잉글랜드에서 활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역사가들은 망누스의 원정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켈리 드브리스는 하랄 3세가 잉글랜드 침공 전에 상황을 시험해 보려 했을 수 있다고 보았고, 알렉스 울프는 이 원정이 원래 오크니만을 위한 것이었을 수 있으며, 이후 약탈을 찾아 아일랜드해로 원정이 이어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울프는 망누스가 1057년-1058년 스코틀랜드에서 벌어진 전쟁에서 말콤 막 돈치드를 지원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2. 1. 배경

망누스 2세는 하랄 3세 국왕과 그의 아내인 토라 토르베르스다테르(Tora Torbergsdatter)의 아들로, 1048년[1] 또는 1049년에 태어났다.[2] 그는 하랄 3세와 토라 토르베르그스다테르 사이에서 태어난 두 아들 중 첫째였다.[2] 망누스에 관해 쓰여진 궁정 시인의 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노르드 사가에서도 간략하게 언급된다.[2] ''노르웨이 왕들의 아그리프''에서는 그를 "매우 잘생긴 남자"라고 묘사한다.[3]

2. 2. 서방 원정 (1058년)

1058년, 망누스는 노르웨이의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해 아일랜드해로 원정을 이끌었으며, 노르웨이인들은 노르드-게일 왕 에흐마르카크 막 라그나일에 반대하는 세력을 지원했다.[1] 이 원정은 아일랜드 왕 디아르마이트 막 마일 나 보에 대항하는 노르드-게일 이바르 왕조의 한 분파를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2] 망누스는 오크니, 헤브리데스, 더블린에서 병력을 모집한 함대를 지휘했다.[3] 그의 군대는 웨일스에서 활동했으며,[4] 잉글랜드에서도 활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잉글랜드 연대기 작가 존 오브 우스터는 노르웨이 함대가 추방된 머시아 백작 앨프가를 복위시키는 데 관여했다고 기록했다. 아일랜드의 ''티거너흐 연대기''는 망누스의 목표가 잉글랜드의 권력을 장악하는 것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안날레스 캄브리아에''와 ''앵글로색슨 연대기''를 포함한 웨일스와 잉글랜드 자료에서는 뒷받침되지 않는다.

망누스의 원정은 아버지 하랄 3세의 잉글랜드 침공 계획의 일부였을 수 있으며, 제도 왕국에 대한 통제는 더 많은 군대를 제공했을 것이다.[1] 역사가 켈리 드브리스는 하랄이 침공 전에 잉글랜드의 상황을 시험해 보려 했을 수 있지만, 덴마크와 잉글랜드와 동시에 전쟁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잉글랜드 왕 참회왕 에드워드에게는 노르웨이의 야심이 재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였을 것이다. 동시에, 웨섹스 백작 고드윈과 그의 아들들, 특히 해럴드 고드윈슨의 권력 상승 또한 하랄의 주장에 위협이 되기 시작했다.

반면에, 역사가 알렉스 울프는 이 원정이 원래 오크니만을 위한 것이었을 수 있으며, 약탈을 찾아 아일랜드해로의 원정이 이어졌고, 우연히 망누스에게 앨프가 백작과 함께 약탈할 기회를 제공했다고 제안했다. 오크니 백작인 토르핀 시구르드손이 사망한 정확한 연도는 ''오르크네이가 사가''에서 하랄 하르드라다의 말년에 사망했다고만 언급되어 있을 뿐, 기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그의 죽음이 망누스의 원정을 촉발했을 수 있으며, 토르핀손 파울과 토르핀손 에를렌드, 토르핀의 후임 백작들이 하랄에게 복종한 것은 이 원정의 기회였을 수 있다. 울프는 또한 망누스가 1057-1058년 스코틀랜드에서 벌어진 전쟁에서 말콤 막 돈치드를 룰라크에 대항하여 지원하는 등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3. 국왕으로서의 통치와 죽음

1062년 망누스는 아버지와 함께 하랄의 덴마크 원정에 동행했다. 덴마크로 향하던 중 하랄의 함대는 덴마크 국왕 스벤 에스트리드손의 함대와 니스오 해상 전투에서 격돌하여 노르웨이가 승리했다.[2] 1066년, 스벤 에스트리드손과 평화를 맺은 하랄은 잉글랜드 원정을 시작했다. 출발하기 전, 망누스를 노르웨이의 섭정 겸 국왕으로 임명하고, 어린 아들 올라프를 원정에 동행시켰다. 풀포드 전투에서 초기에 성공했으나, 하랄은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패배하여 죽었다. 올라프는 살아남아 1067년 초 잔여 병력과 함께 노르웨이로 돌아왔고, 형 망누스와 함께 왕으로 선포되었다.[2]

마그누스와 올라프는 공동으로 왕국을 통치할 의도였지만, 실제로 올라프는 비켄 (노르웨이 남동부)을, 망누스는 우플란과 트뢰넬라그 (노르웨이 중부), 서부 노르웨이와 북부 노르웨이를 통치했다. 형제간의 적대감은 없었고, 관계는 평화로웠던 것으로 보인다.[2]

3년도 채 통치하지 못하고 망누스는 병에 걸려 1069년 4월 28일 니달로스 (트론헤임)에서 사망했다. 사가들은 망누스가 백선으로 죽었다고 주장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맥각병(클라비셉스 퍼푸레아 곰팡이에 의한 중독)으로 사망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하랄 하르드라데의 사가''에서 망누스가 "유쾌한 왕이었고 백성들이 애도했다"고 간략하게 적고 있다.[4]

망누스의 재위 기간은 짧았고, 대부분 형제와 함께 통치했기 때문에 후대 역사에서 과소평가되었다. 올라프의 긴 재위 기간 또한 망누스의 재위를 가리는 데 기여했으며, 후대 노르웨이 왕조가 올라프의 후손(또는 후손이라고 주장)이었다는 사실과 결합되었다.[2]

오늘날 마그누스 6세 (연호를 사용한 최초의 노르웨이 국왕)는 원래 동시대의 라틴어 서한에서 스스로를 IV세로 표기했으며, 마그누스 하랄드손을 제외했다. 현대에 들어 연호 체계가 바뀌면서 마그누스 하랄드손은 마그누스 2세로 포함된다.[2]

4. 가족

망누스는 아들 노르웨이의 호콘 마그누손을 두었는데, 그는 망누스가 사망한 해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1] 호콘은 1093년 그의 삼촌 올라프 키레가 사망하자 그의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왕국을 주장하며 사촌 마그누스 3세와 왕국을 공유했다.[1] 그의 아버지의 통치와 마찬가지로 호콘의 통치 또한 짧은 기간 동안 지속되다가 1095년 젊은 나이에 사망하면서 갑작스럽게 끝을 맺었다.[1]

참조

[1] 백과사전 Magnus II Haraldsson http://www.britannic[...] 2010-12-13
[2] 웹사이트 Magnus 2 Haraldsson http://snl.no/.nbl_b[...] 2013-09-14
[3] 서적 Ágrip af Nóregskonungasögum
[4] 서적 Saga of Harald Hardra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